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실내 저광 조건에서 한국 특산 좀비비추의 생장 반응

        Ha Ram Yang,Yeon Ju Park,Min Ji Kim,연제연,김완순 한국원예학회 2022 원예과학기술지 Vol.40 No.3

        To check the availability of indoor plants, we investigated the growth and photo-physiological responses in Korean endemic Hosta minor for three months of artificial low light conditions (10, 30, and 50 μmol·m-2·s-1, abbreviated as L10, L30, and L50). In the L10 treatment, the growth indicators leaf number and size, shoot biomass, and tillering capacity declined by 20–50% decline from the initial values, and those were maintained or slightly increased in the L30 treatment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o 200–300% in the L50 treatment. The light use efficiency values supported this result, which were –0.12, 0.04, and 0.16 in L10, L30, and L50, respectively. Growth adaptation to the indoor artificial lighting took four to six weeks. Net photosynthesis also decreased from the initial value after four weeks but increased in the ninth week,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light intensity levels.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was 17 ± 6.16 μmol·m-2·s-1, and the light saturation point ranged from 200 to 350 μmol·m-2·s-1. Regardless of the light intensity, the Fv/Fm values were 0.79 to 0.83, indicating a normal level, and the OJIP curve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 light intensity of 10 μmol·m-2·s-1 did not damage photosystem II but gradually negatively affected the growth of Hosta minor. We concluded that the minimum light intensity is 10 to 30 μmol·m-2·s-1 in Hosta minor and requires four weeks of low light adaptation. 한국 특산식물 좀비비추(Hosta minor)의 실내 이용을 위해 저광 조건(10, 30, 50µmol·m-2·s-1; L10, L30, L50)에서 3개월 간 생장 반응과 광 생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과 지상부, 분얼 생장 모두 초기생장(0주차)과 비교하여 L10에서는 증가 없이 오 히려 감소하였고(20–50%), L30에서는 유지되거나 약간 증가하였으며(10–50%), L50에서는 200–300% 수준으로 현저 하게 늘어났다. 처리기간 동안 건물 증가율은 L10, L30, L50에서 –20%, 10%, 90%, 광이용효율 역시 –0.12, 0.04, 0.16으로 나타났다. 순광합성량은 4주차 때는 초기값(0주차)보다 오히려 감소하였으나, 9주차 이후 증가하며 처리간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평균 광보상점은 17 ± 6.16µmol·m-2·s-1, 광포화점은 200–350µmol·m-2·s-1로 측정되었다. 광도와 관계없이 모든 처리 구 Fv/Fm 값은 0.79–0.83으로 정상 수준을 나타냈고, OJIP 곡선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에서 10µmol·m-2·s-1 저 광도 조건은 광계Ⅱ 손상을 가져오지는 않았으나, 생장을 억제시키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결론적으로 좀 비비추의 실내 이용을 위해서는 4주간의 적응이 필요하며, 한계 광도는 10–30µmol·m-2·s-1로 판단된다.

      • 시각장애인 관점의 청주시 서원구 소재 의원 접근성 실태

        양송이(Yang Song Yee),이유진(Lee You jin),양희람(Yang Hee ram),이현정(Lee Hyun Jeong)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7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1 No.1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accessibility situation of medical clinics located in Seowon-gu, Cheongju,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current situation and for future medical institution planning and design. From April 24, 2015, to May 18, 2017, accessibility situation of 52 medical clinics were evaluated based on a checklist generated by the researchers. Among 134 items evaluated, 65 items (48.5%) showed satisfaction ratio 70 percent or above and 42 items (31.3%) showed satisfaction ratio lower than 30 percents. (2) Accessibility items associated with major building structures such as width of hallways or level difference showed relatively greater satisfactory levels while items that could be improved with minor costs and efforts showed lower satisfactory levels. (3) Among nine categories, access route category showed the best accessibility situation to have the highest ratio of items with satisfactory levels 70 percents or above, and the lowest ratio of items with satisfactory levels below 30 percents; while exterior staircase category was found to have the worst accessibility situations showing opposite situ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ements of accessibility of medical clinics from policy makers , facility owners and users standpoints.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공간변화에 따른 도시 공간 장소 인식에 관한 분석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중심으로

        양보람 ( Yang Bo-ram ),류중석 ( Ryu Joongseok Joseph ) 한국경관학회 2014 한국경관학회지 Vol.6 No.2

        도시이미지 인식은 사람들에게 다양하게 인식하는 복합체로서, 도시이용 행태 형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도시공간에서 기존의 공간이 변화하여 도시이미지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는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시공간을 크게 변화시킨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의 인지요소 속에서 시민들의 도시공간 이용행태에 대한 도시 이미지를 도시이미지(Image map) 지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 많은 인지요소들 속에서 도시이미지(Image map) 지도를 이용해 최근 기존 공간을 새롭게 개발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시이미지 요소를 도시공간이 변화함에 따라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도시이미지의 구성은 장소의 경험 차이에 의해 중요하게 인식되고, 기억에 남는 요소가 발생한다. 둘째, 비이용자와 이용자들의 DDP를 선호 랜드마크의 작성은 순위상의 형태는 비슷하나, 직접적인 경험이 없는 비이용자들의 인식은 사회적인 이슈를 통해 접근하는 방식이다. 셋째, 도시이미지(Image map)의 유형에서 이용형태에 따라 분명한 특징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도시이미지를 공간적인 영향과 이용행태에 따른 도시공간을 이해하는 데 의미가 있다. The recognition of urban image is a complicated system, which has a lot of variation among people, and serves a key factor for use pattern of cities. The recognition of urban image is a complicated system, which has a lot of variation among people, and serves a key factor for use pattern of cities. Therefore, the cognitive factors of Dongdaemon Design Plaza - a specific renewal example - and its urban image among citizen’s use pattern has been studied by adjusting Image map. This research utilizes one of the cognitive factors - the urban image map - and focuses on Dongdaemum Design Plaza (DDP), which has been recently renewed over existing urban area. The understanding of urban image factors between users and non-users are studied under the transition of urban spaces. The result summarizes as follows. First of all, organization of urban imag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visit of study area, and inscribes a strong reminiscence. Moreover, the preference of DDP between non-users and users is similar in rankings, but the cognition of non-users is based on social issues. Finally, the type of urban image map has a clear classification under user’s activity. This research has contemplated on the spatial impacts to the urban image map and the understanding of urban spaces depending on user’s activity.

      • KCI등재

        도시이미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양보람 ( Yang Bo-ram ),류중석 ( Ryu Joongseok Joseph ) 한국경관학회 2015 한국경관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 관련 국내 연구를 이론논문, 사례논문, 계량논문으로 분류하여 고찰함으로써 도시이미지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류된 논문의 동향 분석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시간적 범위는 한국학술정보(kiss.kstudy.com)에서 ‘도시이미지’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 중에서 1985년부터 2015년까지 30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도시이미지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론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이론·사례·계량으로 분류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넷째, 다양한 도시이미지 연구 동향을 분야별로 분류해 연구 방법과 함께 ‘도시·건축, 관광, 사회·문화, 디자인, 환경·지리‘ 총 5가지 분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론논문은 전체 179편 중 49.2%로 88편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이론검증형과 정책제안형이 각각 28편(31.8%), 49편(55.7%)로 문헌검토형이 11편(12.5%)로 정책제안형을 제외한 두 연구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사례논문은 36.3%로 65편을 차지하고 있었다. 사례연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도시이미지 연구 분야가 다양해질수록 연구방법은 대상지·이용자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에 따른 영향성을 물리적·사회적·환경적 전반적인 분야에까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계량논문은 26편으로 14.5%에 불과하지만, 계량논문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계속 증가 중이다. 사람과 환경 사이에 발생하는 작용을 단순히 현상과 실험으로 검증하는 방법에 그치지 않고, 기술발전에 의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급변하는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앞으로 필수적 연구 분야로 생각된다. This paper categorizes Korean researches of urban image as ‘theory paper, case study, and simulation research’ and has investigated on the research trend of urban image and its development. The research trend of categorized papers has been analyzed on four criteria as follows. First, the time scale of publication has been fixed from 1985 to 2015, for the papers that has been searched by the keyword ‘Urban Image’ in Korean Studies Information(kiss. kstudy.com). Second, the analysis methodology fir urban image has been researched. Third, subject analysis has been accomplished under ‘review paper, case study and simulation research’ category. Finally, the research range of urban image has been focused on Research Trend of ‘Cities & Architecture, Tourism, Society & Culture, Design and Environment & Geography’, which has been referred to the publication of academic society. Moreover, this research has targeted on not only academic field, but also on various areas for the subject of urban image. In this context, the review papers are concentrating on theoretical problems and validation, which lacks the focus on applicabilit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Most case studies are mainly studying on phenomenal issues and its experiment. Simulation research has to be a mandatory research field, since it treats the relationship of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y as technological advancement,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o-called suddenly chan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