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최성필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최성필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의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대해 알아 보고, 농촌 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있어서 가족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 는 첫째,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 삶의 의미, 가족지지 사이에는 어 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 계에 있어서 가족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호남권에 소재한 60세 이상 노인 163명을 대상 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노인의 무망감, 가족지지, 삶의 의미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 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요 변수들 간 상관관계를 위해 피 어슨(Pearson)의 단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입증을 위해 메키논 ( MacKinnon) 등의 연구에서 제시한 소벨(Sobel) 검정값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면, 총 161명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응답자 중 여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연령은 70~79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종교의 경우 무교가 가장 많았다. 동거가족은 ‘부 부만 산다’가 가장 높았으며, 경제상태는 ‘중’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 으며, 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무망감은 평균이 52점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지지는 39.18점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삶의 의미는 전체가 107점으 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들을 평균화하여 평균을 알아본 결과, 4요인(생의 만족, 가족사랑, 헌신)이 3.0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1요인(자기인식, 수용, 미래열망)이 2.88점, 2요인(역할인식, 생 의 목적)2.86점, 3요인(사랑경험) 2.8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전체 삶의 의미의 차이는 성별, 연령, 종교, 자녀 만남 횟수, 수급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혼상태에 따라서는 배우자가 있는 집단이 사별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 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에 따라서는 ‘상’이라고 응답한 집 단이 ‘하’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매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집단이 ‘건강하지 않는 편이다’, ‘매우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만족에 따라서는 ‘만족하다’고 응답한 집단이 ‘보통이다’, ‘불만이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은 삶의 의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은 가족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노인의 가족지지는 삶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이 삶의 의미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농촌노인의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 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주제어: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 삶의 의미, 가족지지.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SNS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민지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SNS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민지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있어 SNS 과의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가설은 첫째, 대학생의 내현 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 있어서 SNS 과의존은 매개효과가 있는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4년제 대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200명을 대상 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통계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였다. 기술 통계와 Pearson의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고, Cronbach’s α검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 (ANOVA), 사후검정 Scheff 실시하여 변수간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 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 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SNS 과의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성 향과 SNS 과의존은 유의한 정(+)의 상관이 나타났음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SNS 과의존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SNS 과의존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SNS 과의존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활 적응하는 것에 있어 SNS 과의존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대인관계를 맺으며 성인 기를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잘 보낼 수 없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전 체 대학생활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은 SNS 과의존과 매개효과를 나 타냈다. 이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성향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면서 또한 SNS 과의존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했을 때, SNS 과의존 정도에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SNS 과의존은 학대학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활 적응을 돕 기 위한 다양한 워크숍, 세미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대학 생활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상담 및 워크숍을 개최할 필요가 있다. 집단 상담 세션과 워크숍을 통 해 학생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작용하며,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대학생활에 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 차원의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학은 정신건강 클리닉 및 상담 서비스를 강화하고, 홍보하여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의존 문제를 가진 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대학생활 적응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적응과 그 하위요인인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를 입증 하여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세밀하게 지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진옥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 진 옥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발달과업 중 필수라 할 수 있는 진로에 대한 문제들 을 들여다보고, 좋은 해결방안을 위해 함께 탐색하며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진로태도 성숙에 대해 기저를 이루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변인 간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따라 서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지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 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태도 성숙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 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 G 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 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참가자는 총 204명으로 남학생 67명과 여학생 137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일련의 진술에 대해 참여자들이 얼마나 동의하거나 불일치하는 지를 나타내는 자기 보고식 리커트 척도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대학 생들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태도성숙, 그리고 이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 과를 연구측정 할 수 있었다. 자료통계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을 시행했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고, Cronbach’s ⍺검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 간 상 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Scheff를 실시하여 변수의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 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마인드셋,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 성숙은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생들의 진로선 택과 직업 세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진로태도 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를 검증한 결과,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진로태 도 성숙과의 관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 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태도 성숙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진로태 도 성숙에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은 진로태도 성숙의 하위요인인 결정성 과 독립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의 매개 역할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접근방법으로 성장 마인 드셋 강화 프로그램개발,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구축, 진로태도성숙을 위한 교육 및 상담서비스 확대, 학교 생활만족도 향상 활동과 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아르 바이트 및 취업 경험, 동아리 및 봉사 활동 등과 관련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인의 진로태도를 성찰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얻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요 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 연구 의 개발과 필요성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향후 진로 및 직업상담 과정에 대학생들의 성장 마인드셋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다면 직업 세계와 진로선택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또, 대학의 안과 밖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멘토링이나 동아리 네트워킹, 상담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진로태도를 성찰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얻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관해 확인하는 과정이 되었다. 주제어 : 대학생, 성장 마인드셋, 진로태도 성숙, 사회적 지지

      • 은퇴자가 지각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김의태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은퇴자가 지각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김 의 태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자가 지각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관심이 우울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 타낼 것인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은퇴자 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은퇴자의 우울과 사회 적 관심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은퇴자의 사회적 관심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넷째, 은퇴자가 지각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 해서 전국의 은퇴 경험이 있는 대상자 30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2023년 8월 15월부 터 9월15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 은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 해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 인들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주요 변 인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Pearson)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 다. 넷째, 은퇴자가 지각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소벨(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으며, 은퇴 전 직업에 아주 만족한 집단 과 정년에 의하여 은퇴한 집단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결혼상태 중 기혼과 미혼 이 이혼이나 별거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상’이라고 응답 한 집단이 ‘중하’나 ‘하’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건강상태 에 따라서는 ‘아주 좋다’와 ‘보통이다’인 집단이 ‘나쁜 편이다’와 ‘아주 나쁘다’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독립변인인 우울, 매개변인인 사회적 관심, 종속변인인 삶의 만족도간의 상 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과 삶의 만족도간에는 부(-)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 으며, 우울과 사회적 관심간에도 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사회적 관심과 삶의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셋째, 은퇴자가 지각한 우울이 전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심 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심과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며, 독립변수와 매개변수를 동시에 투입하여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 향력을 분석한 결과 우울과 사회적 관심 모두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으로는 현재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우울과 사회적 관심의 관계가 밝혀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은퇴자의 삶의 만족 도 향상을 위한 우울 예방과 사회적 관심 개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실천적 제언 으로는 첫째, 은퇴자의 정기적인 사회활동 참여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는 은퇴로 인 한 급격한 사회적 변화에 적응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은퇴자들이 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전문적인 상담 서 비스와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클리닉, 병원, 또는 상담 센터와 협력하여 접근성이 우수한 양질의 상담 서비스와 집단상담 또는 워크샵을 제공한다. 셋째, 은퇴 준비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은퇴 전 반에 대한 교육을 통해 은퇴 후 삶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 한다. 이 교육은 재정 관리, 건강 유지, 사회적 관계 구축 등 은퇴 후의 다양한 측 면을 다룬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정부가 은퇴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종합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차원에서 은퇴자들이 서로 교류하고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 및 지자체는 은 퇴자를 대상으로 한 정신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홍보해야 한다. 넷째, 은 퇴 준비와 관련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은퇴자들이 은퇴 후 삶 을 보다 잘 준비할 수 있도록 하며, 은퇴 전과 후의 생활 변화에 적응하는 데 필요 한 정보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은퇴자들의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포괄하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둘째, 은퇴 후 변화를 장기적으로 추적하는 연구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해야 한다. 셋째, 은퇴자의 우울예방과 사회적 관심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전문적인 상담기법과 구체적인 실제 진행 프로그램 개발로 전문적인 심리치료 및 지원이 가능해질 것이다. 주제어 : 은퇴자, 우울, 삶의 만족도, 사회적 관심

      •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 3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조사대상자에 대하여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300부 중 유효한 설문지 270부의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둘째, 주요 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셋째,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까지 비슷한 비율로 참여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약간 높은 비율로 참여하였다. 동거가구원의 경우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형제, 자매로 구성된 가구원들이었으며, 첫째나 둘째 비율이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주 양육자는 부모 비율이 높고, 주 양육자 학력은 대학 졸업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양육자의 직업은 사무직, 자영업, 공무원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참여 아동의 종교의 경우 기독교가 가장 높았으며, 친한 친구의 경우 6명 이상이 가장 높은 아동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범위를 고려할 때 모든 변인이 정규분포 됨을 알 수 있었다. 정서발달의 하위변인인 삶의 만족도, 자아 탄력성, 자존감 순으로 점수가 분포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담임교사 적응, 학교 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 학교행사 적응, 학습활동 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 과제난이도 순으로 점수가 분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발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종교와 친한 친구의 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와 친한 친구 수에 따른 정서발달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년과 아버지와의 동거 유 · 무, 주 양육자의 대상 유무, 친한 친구의 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주 양육자의 대상 유무, 주 양육자의 직업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변수 간에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발달 하위 요인인 자아 탄력성, 자존감, 삶의 만족 등은 학교생활적응 모든 하위 요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정서발달이 높아지면 아동의 학교생활 전반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덟째,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 자신감, 삶의 만족의 정서발달 하위 요인 모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모든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정서발달이 높아지면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를 요약하면, 아동기의 정서발달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의 경우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접근 보다는 정서에 집중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학교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안정적인 주 양육자의 유 · 무와 주 양육자의 적극적 돌봄이 중요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 양육자의 양육 태도가 아동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아동기 상담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주 상담과 함께 주 양육자와의 상담을 병행함으로 더욱 상담의 기대효과가 클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주제어: 아동기,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 매개효과

        유하승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국문초록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 매개효과 유하승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활용하여 탐구한다. 그 첫 번째로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자존감,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다음 단계로 중년 이혼 여성의 성인애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가?하는 연구문제를 도출한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현재 이혼상태라고 응답한 만 40에서 60세 미만 연령층의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SNS와 인터넷을 통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조사기간은 2023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구글폼을 통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성인애착(RAAS), 자존감, 회복탄력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Cronbach's α검증을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년여성 만 50∼55세 연령층이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결혼 과정은 연애결혼, 이혼 당시 나이는 40대, 결혼 기간은 10년 미만, 출생순위는 첫째라는 응답율이 높았다. 이혼 당시 자녀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직업은 기타 외에 전문직, 월평균 수입은 200∼3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 유형은 아이와 함께 거주하는 유형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종교는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술통계분석결과 전체 성인애착은 평균 3.05점으로 하위변인 중에서 애착친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전체는 평균 3.5점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중 통제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자존감은 평균 34.27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결혼 과정, 직업, 월평균 수입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최종학력, 직업, 월평균 수입, 가족 유형, 종교에 따라서는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애착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직업, 월평균 수입, 종교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독립변인인 성인애착, 매개변인인 회복탄력성, 종속변인인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인애착과 자존감에는 r=.576(p<.01)으로 정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에도 r=.536(p<.01) 정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회복탄력성와 자존감간에는 r=.726(p<.01)으로 정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일곱째,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이 자존감 그리고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 이혼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자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전체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인 통제력, 긍정성, 사회성들의 매개효과 또한 중년 이혼 여성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제언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 이혼 여성들의 성인애착, 자존감 및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은 성인애착 강화, 자존감과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일상에서는 경력 개발 및 직업훈련 프로그램, 건강 관리 및 웰빙 프로그램, 사회적 지원 및 커뮤니티 참여 프로그램과 재정 관리 및 상담 프로그램, 정서적 지원 및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교육 및 학습기회를 확대하고 문화적 참여 및 창의적 표현활동을 개발하여 심리적  신체적, 경제적 안정과 소속감을 느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재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 이혼 여성을 이해하고 이들이 지각한 성인애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입증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 : 중년여성, 이혼여성, 애착, 성인애착, 자존감, 회복탄력성

      •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김푸름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literacy that affect these relationships, and adapts to school life through strengthening media education. A total of 3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local children's centers and local church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research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reduce children alienated from media experience. 302 copies Of the 310 recovered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eight with low response rates.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respondents on media education experience, media literac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parents had the highest limited intervention, followed by interactive intervention and school media education.Media literacy had the highest use of smart devices, followed by Internet use, critical understanding, self-expression, and participa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the highest in teacher-related adaptation, followed by adaptation to school rules, friendship, and learning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a subregion of media literacy,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self-expression is completely mediated.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has no direct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indirectly affects them through self-expression media literacy. Thir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critical understanding, a sub-region of media literacy, was fully mediated.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has been shown to have no direct impact 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indicating that it indirectly affects the cause of critical understanding as a medium.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trengthen and expand media literacy programs for children. At the school leve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and diversified. In particular, we should focus on areas that positively affect school life adaptation, such as self-expression and critical understanding. Families should share more conversations about media use with their children and adopt an approach through guidance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restrictions. This helps children develop media literacy. Second, support for customized media training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support must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individual students. Considering the various backgrounds and needs of students, we can create positive effects by providing customized media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special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is needed. Additional support and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from economically challenged families or those who need more adaptation to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se activities, various support is needed to prevent vulnerable group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media experience. Third,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ies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o that front-line school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an use them effectively. next on, resources should be allocated and supported for media education experience at the national level. Media education programs and related resource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to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nd special support policies for the vulnerable should be prepared in a socially integrated direction.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김푸름 사회복지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본 연구는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확인하 고 이들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 여, 미디어 교육의 강화와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적립을 통하여 학교 생활에서의 적응을 돕고 미디어 경험으로부터 소외되는 아동을 줄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대상으로 광주, 전남의 지 역아동센터와 지역교회에 다니고 있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20명 을 선정하여 설문지 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310부 중에서 응답률이 낮은 8부를 제외하고 30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 출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교육경험, 미디어 리터러시,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응답 자의 기술통계분석결과 부모의 제한형 중재가 가장 높았으며, 대화형 중 재, 학교 미디어 교육 순으로 미디어 교육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스마트 기기 활용이 가장 높았고, 인터넷 활용, 비판적 이해, 자아표현, 참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응은 교사 관계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교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 학습활동 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 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영역인 자아표현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자아 표현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은 학교 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으며, 자아표현의 미디어 리터러시 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 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영역인 비판적 이해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비 판적 이해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은 직접적으로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비판적 이해라는 변인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강화 및 확대가 필요 하다. 학교 차원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다양 화해야 한다. 특히, 자아표현과 비판적 이해와 같이 학교생활 적응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역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가정에서는 아동들과 미디어 사용에 대해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제한보다는 지도와 참여를 통한 접근을 채택해야 한다. 이는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에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맞춤형 미디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별 학생의 필 요를 고려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과 필요를 고려하여, 맞춤형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긍정적인 효과 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취약 계층에 대한 특별 지원이 필요하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학생들이나 학습활동 적응이 더 필요한 학생 들에게 추가적인 지원과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취약 계층이 미디어 경험으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 하다. 셋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개발 하여 일선 학교와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국가 차원에서 미디어 교육경험에 대한 자원의 배분과 지원이 필요하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자원을 학교와 지역사회에 균등하게 배분하고, 취약 계층을 위한 특별 지원 정 책을 마련하여 사회통합적인 방향으로 가야 한다. *주제어 : 미디어 교육, 학교생활 적응, 미디어 리터러시

      •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기남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기남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스트레스가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교권침해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 중 73.82%가 여성이었으며, 30-39세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참여가 이루어졌다. 교육 경력은 10년 이상에서 20년 미만인 교사들이 가장 많았고, 학교 규모는 36개 이상의 학급을 가진 교사들이 가장 많았다. 학급 당 학생 수는 주로 21명 이상이었고, 대부분이 담임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가 도시에 위치하였고, 학사 학위를 보유한 교사들이 많았다. 결혼 여부에서는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많았으며, 기독교가 가장 많은 종교로 나타났다. 심리 상담 경험은 31.5%의 교사가 경험이 있었다. 교사들이 주로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은 학부모에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가장 흔한 것은 취미 활동이었다. 교사들은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아효능감은 평균 대비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자기조절효능감은 평균보다 높아 전체 자아효능감 점수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의 비중이 높았다. 우울에 대한 평균 점수는 41.9점으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조사한 결과, 20-29세 그룹과 30-39세 그룹은 50세 이상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교육 경력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10년 미만 교육 경력 그룹이 20년 이상 교육 경력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직위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담임 교사 그룹이 관리자(교장, 교감)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미혼 교사들이 기혼 교사들보다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심리 상담 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6회 이상 심리 상담을 받은 그룹이 심리 상담 경험이 없거나 1회로 응답한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또한 6회 이상이 1회로 응답한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그리고 교육권을 침해받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체 자기효능감이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자신감은 교육권을 침해받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다른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도 역시 교육권을 침해받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영향에서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교사의 교권 보호 및 강화를 위해 정책을 개정 및 수립해야 한다. 둘째, 교사 복지 및 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심리 상태 평가 및 모니터링을 시행해야 한다. 넷째, 교육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지원을 해야 한다. 다섯째, 멘토링 및 동료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여섯째, 정서적 지원을 위한 정기적인 모임 및 워크숍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교권 보호 및 강화를 위한 정책 개정과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 복지 및 지원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심리 상태 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교육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 교사의 참여 증진해야 한다. 일곱째, 교사 전문성 강화 및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여덟째,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개선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아홉째, 학교 환경 개선 및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제언들은 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환경과 교사의 복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하고, 관련 분야의 연구 및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초등학교 교사, 교권침해,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