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Patty paper를 이용한 영재 교육 자료 개발

        김경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기하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삼각형의 오심을 소재로 영재 학생들에게 창의력, 문제해결력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영재 교육의 소집단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심화 교육 자료를 Treffinger의 자기 주도적 학습모형에 따라 개발하고자 한다.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모성에 관한 연구 : 여성동원 수단으로써의 모성의 관점에서

        김경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is a study to know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motherhood in Japanese society under the war regime and also to reveal how the motherly general idea and character can be reconstructed and defined by the social condition such as war. Above all, through the policy of motherhood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carried out to draw women into the military system. it analyzes how the militaristic motherhood as well as the war regime was formed and strengthe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addition, it also has an aim to disclose the way of motherhood mobilization and the actual state on the basis of war cooperation activity of elite women as well as public women. It reveals how motherhood was used as a tool by the political object of public full mobilization under the aggressive war through this process, how Japanese women recognized and were adapted to the war, and what role they had to play in wartime. Through the feminine education which had been carried out in the era of Meiji and Taisho, the emphasized motherhood limited a woman as a mother in a home and only recognized a woman as a labor power of an industrial modernization. It means that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patriarchal society centering around Emperor was applied to women. In other word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an element of premodern based on motherhood, was used to organize and integrate the national system centering around Emperor the aim of which wa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 war regime after Japan-China War in 1937 and began wholly to control thought and every life of citizens of Japan for the aggressive war. It also began to revise an educational policy in order to strengthen motherhood as a mother who was forced to have a duty to educate the future good citizen of Japan for constructing Greater East Asia. Then the Japanese government committed crimes such as supplies and food plundering, robbing men of labor power and armaments, and women's sexual mobilization like sexually enslaving women for soldiers. All women were mobilized to cooperate with the war regime as well. In other words, the Japanese government enabled women to be mobilized for the war regime by overcoming the difference of thought and different status thanks to motherhood,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ement that Japan could keep the patriarchal Emperor regime as a nation system. In this way, since motherhood acted on as an ideology, all Japanese women were able to be mobilized for the war regime. Actually, all sorts of slogans and organizations such as birth and raising, child education, mother admiration of soldiers, war nurses, and Japan women's society, were structural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for the political object and to mobilization public women for women, elite women also began to make the assistance theory at the front of societ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war. In the center of those activities there was motherhood as a tool which was used to mobilized women for the war. Concrete contents clarified through a study run as follows. Motherhood made women strong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production that was a motherly biological function and a duty that they should make their bodies healthy and strong for a nation as a mother and woman. Motherly ideology as patriotism began to be formed. In other words, fecundity was encouraged and birth control was prohibited because of the reserves of soldier power worn out. It means that the birth, a human basic right, was used as a tool that could provide its government with a lot of human resources that would be good labor power and soldiers by the means of national will. By necessity of human resources, the policy and official events that emphasized the health of babies described mother as raising responsibility of mother and it made sure that raising responsibility of mother had something to do with a national meaning in turns. A supporting duty of colonializing education was called for mothers. Japanese government delivered contents that were needed to educate children and a mother's posture as a educator to women in detail, and called for women to practice them such as advocating Japanese mind, etiquette education, a law-abiding lift for the community, diligence, economical saving, and patriotism. Motherhood was used as an ideology that made women mobilize for and cooperated with Japanese militarism and war. As mothers who had a soldier killed in the battle were praised as mothers of patriotism and ordinary mothers also were glamorized and advertised as mothers of patriotism, motherhood was used as a tool to advertise its militarism. Japan women's society centered around neighborhood as well as wives' groups visited soldiers and consoled them to raise the morale of soldiers. Women were forced not only to be non-combatants who were able to support the war, but also to play a duty of mother as a backward combatant who was responsible for protecting soldiers, national defense training, and labor power in an emergency. Furthermore, feminine marriage of a private realm was also magnified in the national dimension through marriage with a wounded soldier and a pioneering soldier. That played a core role in making an theory that the sacrifice of women was a sort of system cooperation. Among elite women, system cooperation and war assistance were thought of as women's liberation. In such a belief, when women took public offices, they positively acted on war cooperation. In particular, 'mother feeling' was used to mobilize wives for the all-out war system. Besides, putting up 'mother' as one of things which were needed to save Asia from Western Society and make East Asia peaceful, they were able to stimulate the heart's desire between the nation and make a logic which the nation could participate in war without a feeling of resistance for war. In the end, war nurses in wartime were women who displayed motherly love, professionals and they were called for roles as equal battle soldiers as men as well. War nurses in wartime were women, professionals who could contribute to a nation on the basis of professional knowledge, surrogate mothers who took care of injured soldiers with devotion and service, and they were sometimes forced to play a role that they should take care of injured soldiers as combatants like general soldiers with coldness and severity in wartime. Like this, motherhood was emphasized as meditation to educate a child for modernization, as assistant labor power for industrialization, and as a war cooperative tool in wartime. As it passed the era of Meiji and Taisho, motherhood in wartime was defined as not a mother in a home but only labor power for a national development. and such motherhood ideology was formed and spread by means of a national policy. Eventually, after the period of Meiji motherhood was formed and made a tool not as a private realm in a home but as a ideology in a national dimension by the war regime. What is more, in the era of Meiji and Taisho when th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ere achieved as a national aim, motherhood was formed and spread to maintain and integrate the national regime centering around Emperor. But in wartime, feminine reproduction and raising of children were emphasized in order to provide armaments and labor power, the role of a mother was magnified in the social and national dimension, and elite feminists positively acted at the front of society in order to realize them. 본 논문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에 일본 사회 내에서의 모성의 성격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모성의 개념과 성격이 전쟁이라는 사회적 조건에 따라 어떻게 재구성되고 정의되는가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여성을 전쟁시스템에 끌어들이기 위해 일본 정부가 실시한 모성정책을 통해 전시체제와 더불어 군국주의적 모성이 국가 주도하에 형성, 강화되었음을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일반 여성들을 비롯해 엘리트 여성들의 전쟁 협력 활동을 바탕으로 모성 동원 방법과 실태를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침략전쟁에 있어서 국민 총동원이라는 정치적 목적에 따라 모성이 도구화되는 과정과 당시 일본 여성들이 전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했으며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밝혔다. 메이지, 다이쇼 시대에 걸쳐 실시되었던 여성 교육을 통한 모성의 강조는 여성을 가정 내의 어머니로서 한정하고 산업화 근대화를 위한 노동력으로서만 인정한 것이며, 이것은 곧 천황을 중심으로 한 가부장적인 국가 이데올로기가 여성에게도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모성을 바탕으로 한 ‘양처현모’라는 전근대적 요소가 근대화·산업화를 국가 목적으로 한 천황 중심의 국가체제를 구성하고 통합하는데 이용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일본 정부는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를 확립하고 일본 국민의 사상과 일상생활을 전쟁을 위해 전면적으로 통제하기 시작했으며, 대동아건설을 위해 미래의 충량한 일본 국민을 ‘교육하는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요구하며 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방침을 개정하기 시작한다. 뿐만 아니라 종군위안부와 같이 여성의 성동원 뿐만 아니라 남성을 대신 한 노동력으로써, 후방의 전투원으로써 모든 여성들을 전시체제에 협력하도록 동원했다. 다시 말해 모성을 통해 사상이나 계급적 차이를 뛰어넘어 여성을 전시체제에 동원할 수 있었으며, 가부장적인 천황제 국가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일본의 모든 여성이 전쟁에 동원될 수 있었던 것은 모성이 하나의 이데올로기로써 작용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출산과 양육, 자녀 교육, 군국의 어머니 예찬, 종군간호부, 대일본부인회 등 정치적 목적을 위해 조직적이며 구조적으로 형성되었고, 일반 여성들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엘리트 여성이 사회 전면에서 익찬논리를 만들어냈으며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 중심에 모성이 있었고, 모성은 여성을 전쟁에 동원시키는 하나의 수단이었던 것이다. 연구를 통해 밝힌 구체적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성의 생물학적 기능인 재생산의 중요성을 여성들에게 강하게 인식시키고, 강건한 모체의 육성이 어머니이자 여성으로서 국가에 대한 의무이며, 그것이 곧 애국이라는 모성이데올로기를 형성시켰다. 즉 소모되는 병사력의 충원을 위해 다산을 장려하고 산아제한을 금지시키는 등 인간의 기본적 권리인 출산이 국가의 의지에 의해 노동력과 병사력이 되는 질 좋은 인적 자원을 다량으로 제공하는 도구로써 이용되었던 것이다. 둘째 인적 자원의 필요성에 의해 유아의 건강을 중요시하는 정책과 공적인 행사는 어머니를 양육의 전담자로 규정하면서 나아가 어머니의 양육 책임이 국가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시켰다. 셋째 신민화교육의 보조적 역할을 어머니에게 요구하였다. 일본 정신을 고취시키고, 예의범절 교육, 공동체 생활에 있어서 준법정신 고양, 근검절약과 애국심 등 자녀 교육에 있어 필요한 내용과 교육자로서의 어머니의 자세가 자세하게 시달되었고 그 실천을 요구하였다. 넷째 군국주의와 전쟁에 여성들을 협력시키고 동원하기 위하여 모성을 이데올로기로써 이용하였다. 전사한 군인의 어머니를 애국적인 어머니로 칭송하고, 평범한 어머니들을 애국적인 어머니로 미화하여 선전하면서 모성을 군국주의 선전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였다. 더 나아가 모성을 개인적 차원의 모성애가 아닌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시켜 국가와 일체화된 군국의 어머니만을 진정한 모성상으로 단정하고, 보편적 의미의 모성애를 뛰어넘어 천황에게 봉사하고 헌신하며 자식의 목숨을 순수하게 바치는 어머니로서의 자세가 진정한 모성으로 미화되었다. 다섯째 부인 단체를 비롯해 ‘隣組’를 중심으로 한 대일본부인회는 군인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병사를 위문하고 전쟁을 응원하는 비전투원으로서만이 아니라 비상시 군인수호·국방수련 및 근로노동과 같은 후방의 전투원으로서의 어머니의 역할을 요구했다. 더욱이 여성의 결혼이라는 사적 영역을 상이군인과 개척전사와의 결혼을 통해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시키고, 부인의 희생은 곧 체제 협력이라는 논리를 만들어 내는 핵심적 역할을 했던 것이다. 여섯째 엘리트 여성들에 있어서 전쟁 옹호, 체제 협력은 여성해방으로 이어지는 것이라 생각되었고 이러한 인식하에서 공직에 취임해 적극적인 전쟁 협력활동을 하기도 했다. 특히 부인들을 총력전체제에 동원시키기 위해 ‘母心’을 이용하였고, 더 나아가 서구사회로부터 아시아를 구하고 평화로운 ‘東亞’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母’를 내세움으로써 국민들 사이에 평화에 대한 염원을 자극시켜 전쟁에 저항감 없이 동참 할 수 있도록 하는 논리를 만들어 냈다. 마지막으로 전시 종군간호부는 모성애의 발현자이며, 전문 직업인이고, 남성과 동등한 전투병의 역할이 요구되어졌다. 전시 종군간호부는 여성이면서도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으로서, 한편으로는 헌신과 봉사로 부상병을 돌보는 대리모로서, 더 나아가 때로는 일반 병사와 마찬가지로 냉정함과 비장함으로 전장에서 부상병을 돌보는 전투병으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근대화를 위해 자식을 교육하는 매개로써 모성이 강조되었고, 산업화를 위해 보조 노동력으로써 강조되었으며, 전쟁에서는 전쟁 협력 도구로써 모성이 이용되었다. 그리고 메이지, 다이쇼 시대를 거쳐 아시아·태평양전쟁기의 모성은 여성을 가족 내 어머니로 위치지우고 국가 발전을 위한 노동력으로써만 한정시켰으며, 이러한 모성이데올로기는 국가 정책에 의해 형성 유포되었다. 결국 메이지 이후 모성은 가족 내의 사적영역에서가 아니라 하나의 이데올로기로써 국가차원에서 형성되었고, 국가에 의해 도구화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모성이 근대화·산업화라는 국가 목표를 달성하고, 천황을 중심으로 한 국가 체제를 유지하며 통합하는 차원에서 형성·유포되었던 메이지·다이쇼 시대와는 달리, 이 시기에는 군사력과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여성의 재생산과 아이들의 양육이 강조되었으며, 더 나아가 어머니의 역할을 사회적·국가적으로 확장시키고 여성 스스로 전쟁에 협력하도록 모성을 예찬하고 칭송하였으며, 이것을 실현하는데 있어 엘리트 여성 운동가들이 적극적으로 사회 전면에 나서 활동을 했다.

      • P. J. 맥그린치 신부 제주지역 사회사목활동의 교육적 의미

        김경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삶은 정규교육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사회와 연결된 삶을 살고 있기 때문에 지식 및 기술의 성장이 아닌 인간의 삶의 성장을 바라보아야 한다. 이러한 삶의 성장과정으로서의 교육에 대한 관심은 최근 ‘웰빙(Well-being)’과 ‘힐링(Healing)’ 등 삶의 질 향상의 바람을 타며 이전에 비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Glocalization’이라는 개념의 등장으로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교육 패러다임에서 주체적 학습 중심의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는 삶의 상호관계를 맺는 가장 기초 단위인 지역사회에서 삶의 성장과정과 연결된 지역사회 평생학습의 실천 당위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삶의 성장과정으로서의 교육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발전을 이룬 사례가 있다. 바로 ‘파란 눈의 신부’, ‘돼지 신부’로 알려진 맥그린치 신부의 인간존엄성 실현을 위한 사회사목 활동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맥그린치 신부에 대한 연구는 지역사회발전을 이루어낸 결과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있지만 지역사회 발전을 이루기 위한 기반 혹은 과정으로서의 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맥그린치 신부의 제주지역 사회사목 활동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문헌분석 위주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세부내용으로 맥그린치 신부의 사회사목 활동의 계기는 인간존엄성 실현을 위한 사랑의 실천이며 사회사목 활동의 내용은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개발, 지역사회복지, 인간성회복으로 구분지어 살펴볼 수 있었다. 이후 사회사목 활동의 다양한 활동 안에서 맥그린치 신부의 교육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는 실천적 의식개선 활동 및 직업교육 등의 현실적 삶과 연결된 교육활동과 다양한 인적‧물적 교육환경을 제공하였다. 또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4H클럽 및 이시돌협회를 조직하여 교육활동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을 바탕으로 맥그린치 신부가 실천한 교육활동의 특성을 네 가지로 살펴보았는데 첫째 주체적 시민으로 성장 추구, 둘째 지역사회 역량증진을 통한 종합적 발전, 셋째 교육지원을 위한 조직화, 넷째 사랑의 실천을 통한 인간존엄성 실현이다. 그리고 정민승(2002)의 교육자의 역할모델을 토대로 교육자로서의 맥그린치 신부를 조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내용을 종합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교육활동의 모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교육이 지역사회개발의 필수요소이며, 지역사회복지확대와 같이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토대가 된다는 이론적 논의를 하나의 실천적 사례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오늘날 다양한 곳에서 시행되는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평생학습도시 및 각종 마을만들기 사업에 필요한 실천적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이후에도 맥그린치 신부의 사회사목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델을 지역사회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Since human growth is not only realized by regular education but also in the life linked to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rowth of human beings, not that of knowledge or technology. In such a course of growth in life, education is recently attracting significantly greater attention than before due to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hich involves well-being and healing. In particular, as the concept of glocalization has appear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s emphasized; the shift from the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to that of lifelong learning based on independent learning makes it necessary to implement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connected with the course of growth in life in a community,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unit of interrelationships in life. In this context, there is a case of community development based on education as a course of growth in life: the social and pastoral activities to realize human dignity by the Reverend Mcglinchey known as ‘Father with blue eyes’ or as ‘Father Pig.’ While the research on the Rev. Mcglinchey has been conducted in terms of the results of his efforts to develop the community, there is no study on his efforts related to education as the foundation or process to realize community development. In this respect,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o determine educational meanings of his social and pastoral activities in Jeju. Specifically, his social and pastoral activities aimed to live up to love to realize human dignity and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could be divided into community organization, community development, community welfare, and humanity restoration. Then,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reviewed within a diversity of social and pastoral activities. He provided educational activities connected with real life, including the activities to improve practical consciousness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various personal and physical education conditions. He also organized the 4H club and the Isidore Association to promote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by the Rev. Mcglinchey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pursuit of growth into an independent citizen; second, comprehensive development through enhancement of community capacity; third, organization for educational support; fourth,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by living up to love. On the basis of Jeong's (2002) role model for educators, light was shedded on the Rev. Mcglinchey as an educator. Lastly, the results were put together to make a model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community development. This study has given a practical case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at community education is essential to community development and may become the foundation for community development, such as spread of community welfare. I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practical guidelines necessary for the current projects of creating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other villages in pursuit of community development in various region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continuously on the social and pastoral activities by the Rev. Mcglinchey as well as studies aiming to apply the model in this study to communities.

      • 토마스 머튼의 관상 이해

        김경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 1915-1968)은 그의 자전 소설인 칠층산(The Seven Storey Mountain, 1948)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이렇게 마무리 짓는다. ‘Sit finis libri, non finis quaerendi.’(책은 끝났으되 탐구는 끝나지 않았노라). 사실 칠층산 출판 이후로도 그의 하느님에 대한 갈증은 그의 저서들에서 ‘관상’이라는 주제로 끊임없이 되풀이 되었다. 하느님과 일치하고자 하는 그의 갈망은 그의 온 생애를 통한 공통된 주제였다. 머튼은 결코 하느님을 추구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그는 진정으로 하느님을 아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의 이해를 계속 새롭게 하였다. 여기에서 필자는 그의 관상이해가 수도 생활을 해 나감에 따라 관상에 대한 그의 관점과 강조점이 변화 되지는 않았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머튼의 관상이해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머튼이 수도원 초기 생활 중에 저술한 「명상이란 무엇인가?」(What is Contemplation?, 1948), 「명상의 씨」(Seed of Contemplation, 1949) 그리고 「진리의 산길」(The Ascent to Truth, 1951)을 통해 머튼 자신이 ‘하느님과 온전히 일치’ 하기 위해 매일의 삶에서 고독을 원하고, 세상에 대한 분리와 포기를 열망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수도원 중기의 머튼의 관상 이해의 특징은 지난 십 년간 자신의 관상이해가 편중되고 일방적인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음을 고백한 것이다. 수도원 밖의 신자들뿐만 아니라 비신자들에게서도 이들의 마음에 하느님을 찾는 영적 목마름과 간절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들의 삶에도 하느님의 사랑의 현존이 온전히 실현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전의 관념적인 관상이해의 틀에서 벗어나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개념을 도입하여 좀 더 구체적이고 실존적인 관상이해를 선보였다. 그리고 동양 종교, 특히 선(禪) 사상과 그리스도교 관상을 연구함으로서 관상이 인간의 삶을 전체로 통합시키는 길임을 밝혔다. 머튼의 수도원 후기의 관상이해는 그의 작품을 통해 볼 때, 가톨릭 전통에 대한 절대적 어조가 완화되고, 동양 사상의 선(禪)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는 기도를 통해 나와 이웃, 나와 우주가 ‘하나인 세계’에 살았으며, 그 하나의 세계에서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평화로이 만나도록 노력하였다. 머튼은 ‘성화(聖化)’하기 위해 관상기도가 가장 좋은 기도라고 역설하였다. 그리고 믿는 이라면 누구나 침묵 속으로 들어가 관상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머튼의 생애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관상기도를 통해 하느님의 사람으로 변화되었다. 그의 초기의 관상이해는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에 머물러 세상에서 벗어나는 것이 ‘온전한 관상’의 조건으로 보았었다. 하지만 오랜 수도원 생활을 통해 자신 안에 계시는 하느님을 보았고, 하느님 안에서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도를 통해 하느님과 그리고 자신의 이웃들과의 관계 안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이해하게 되었다. 그에게 삶이란 관상과 활동, 수도원과 세상의 문제가 아니라 이 모두를 결합하여 일치시키는 일임을 의미했다. 머튼은 일상의 소소함에서 느껴지는 하느님의 ‘현존’이 바로 관상이라고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하느님을 찾는 그리스도인 모두에게 관상은 이미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머튼이 자신의 전(全) 수도생활에 걸쳐 주장한 것이 ‘모든 존재의 본질과 우리 영혼의 심연에 기꺼이 거처하시는 생명과 사랑으로 일치하는 것’이었다는 사실을 통해 우리를 성화와 완덕의 길로 이끄는 관상의 참의미를 깨닫게 될 것이다. Thomas Merton finished his story in his self-explanatory novel, 'The Seven Storey Mountain(1948)' like this. "Sit finis libri, non finis quaerendi."(The book is over, but the study is not over.) Indeed, since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his thirst for God had been repeated constantly on the subject of Contemplation in his books. His desire for spiritual union with God was a common theme throughout his whole life. Merton never stopped pursuing God. He continually renewed his understanding of what it is to truly know God. Here I was wondering whether his views and emphases on contemplation had changed as he lived as a monk for a long tim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nges in Merton's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as time goes by. Through his books, 「What is Contemplation?(1948)」, 「Seed of Contemplation(1949)」 and 「The Ascent to Truth(1951)」 written in his early monastic life, Merton revealed that he wanted solitude in everyday life and desired separation and abandonment from the world in order to fully arrive at union with God. The characteristic of the Merton's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in the middle of his monastic life is that he confessed that it was biased and unilateral over the last decade. He found that non-believers as well as believers outside the monastery had spiritual thirst and earnestness in seeking God. And he recognized that the presence of God's love could be fully realized in their lives. In addition, departing from the previous ideological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the concept of 'internal self' and 'external self' were introduced to show more concrete and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And he revealed that contemplation was the way of integrating human life as a whole by studying oriental religion, especially Zen Buddhism and contemplation of Christianity. In the latter years of his monastic life, the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clearly shows that the absolute tone of Catholic tradition is alleviated and influenced by Zen Buddhism in Oriental thought through his writing. Through prayer he lived in the world where he, his neighbors and the universe are one together and tried to have Christianity meet peacefully Buddhism in the world. Merton argued that the contemplative prayer is the best prayer to be sanctified. And he said, “Whoever believes in God should go into the silence and pray for the contemplative prayer.” As Merton's life shows, he had been transformed into a person of God through a contemplative prayer. In his early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he thought that a condition of 'perfect contemplation' was to escape from the worl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eaching of the Church. But through his long monastic life, he met God in himself and found himself in God. And through prayer, he understood who he was in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neighbors. To him, life meant to unite all of them, not a matter of contemplation, activities, monasteries and the problems of the world. Merton said that 'The Presence of God' that we felt in the smallness of everyday life was the contemplative prayer. In this sense, this prayer has already been realized to all Christians who seek God in daily life. We could see that what Merton had argued throughout his monastic life was that the essence of all beings and life which is willing to abide in the abyss of our souls became one with love. And through his enlightenment, we will find the true meaning of the contemplative prayer that leads us to the path of sanctification and spiritual perfection. keywords: Thomas Merton, contemplation, contemplative prayer, understanding of contemplation, spiritual union with God, sanctification, spiritual perfection

      • 中國 現代 木版畵 運動에 관한 硏究

        김경주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oodcut movement in China, initiated by Rushin and Ibai So in the early 1930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irectly combined with revolutions. Though the similar cases are to be found in Russia and Latin America, it is unusual that the fine arts movement was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 of revolution. Second, through the experiences of civil wars and anti-Japanese fights in the modern history of China, the woodcut movement could not help being developed from the viewpoints of class and nationalism Furthermore, this fact provided them with the aesthetic groundworks for the socialistic realism. Third, the Chinese were awakened to the importance of a racial form through the spreading of the woodcut movement. And the woodcut genre was presented as a highly effective proposal to the co-owner- ship of art pieces. These facts became known as a result of pursuing the countermeasures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and the act of fine arts,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tradition and creative act of art and the right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the reception of fine arts. Of course, the true act of art can not be performed merely by the aesthetic groundwork or the groping of the methodology. It comes rather from the creative passion of a man and the desire for pursuing much better values. From the 1930s, the woodcut movenent in China has been repeated radically or gradually according to the literary programs in the new political systems, such as the Grand Bond and the Cultural Revolution It is also true that the woodcut movement has spread the domain of expression of the human beings' aesthetic desire originated from the creative energy for the true values. It is noteworthy that their choices of viewpoints of life and the outcomes of the woodcut movement which reflected their choices are very suggestive of the answer to the forms of expression, which reveal the realities of the day.

      • 방사선 손상 회복시 ATM(Ataxia Tealangiectasia, Mutated)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신호전달 유전자 연구

        김경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taxia-Telangiectasia (A)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질환으로 면역결핍과 신경퇴행, 성장장애를 보이는 유전질환이다. AT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ATM (Ataxia elangiectasia Mutated) 유전자에 변이를 보이고 이 유전자의 장애가 AT 환자의 방사선 민감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ATM을 통한 신호전달 경로를 규명하는 것은 방사선 조사 후 DNA 손상의 회복 기전을 밝히고, 나아가 종양 환자에서 방사선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중요하다. AT 세포의 방사선 민감도에 ATM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T 환자로부터 얻은 섬유모세포인 ASBHfA 세포에 AM 유전자를 Lipofectamine 형질전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입시켜 ATM 과발현 세포주 (AT/AM)를 만들었다. 또한 ATSBnrA 세포의 대조군 으로 정상 섬유모세포인 LM217 세포에도 A를M을 형질전환 시켜 AM 과말현 세포주LT/ATM)를 만들었다. 이러한 AT/AM과 ATSBIVA 세포, LM/ATM과 LM217 세포에 0, 4, 8 12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세포생존 (clonogenic survival)을 측정하였고, 12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시간별로 아포토시스 (apoptosis)를 비교하였다. 또한 방사선에 의한 신호전달에 중요한 전사 인자들로 알려진 API, SRE, NFkB, p53의 활성도를 luciferase 측정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ATSBIVA 세포에 AM을 형질전환 시킨 후 세포생존을 측정한 결과 방사선 민감도의 지표인 Do가 1.2 Gy에서 1.7 Gy로 증가하여 방사선 민감도가 Mw217의 1.6 Gy와 비슷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으로 아포토시스를 측 정한 겪과 AT/ATM 세포에서 ATSBRrA 세포보다 아포토시스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시간별로 보았을 때 48시간에서 가장 차이가 맡이 나서 13%까지 아포토시스가 감소하여 정상세포인 LM217과 비슷해졌음을 확인하였다. LM217세포와 LM/ATM 세포를 비교했을 때 도 아포토시스가 ATM 과랄현 세포주에서 12% 감소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전사인자들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API, SRE가 ATSBnrA 세포에서는 시간에 관계없이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나 ATI'ATM 세포에서는 1시간 후에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NFIfB는 AT/AM 세포 에서 늦게 발현되고 찰성도는 더 증가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953은 두 세포주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알았다. LM 217세포와 LM/A를M 세포를 비교하였을 때는 API, NRTB,SRE, 953의 활성도가 LM/ATM 세포에서 LM217 세포에 비해 방사선 조사 후 4시간에 모 두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ATM이 A 환자에 있어서 방사선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AM의 발현으로 API, SRE, NHrB, p53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Ataxia Telangiectasia (AT) is an autssomal recessive disorder that shows extreme radiosensitivity. It is characterifed by neurological abnormalities, immunodeficiency, and groTHh retardation. AT patients show mutation in Ataxia Telangiectasia Mutated (ATM) and defect in this gene is thought 13 be responsible for radiosensitivity in AT patients. However, signal transduction pathway via ATM, is not completely defined It is important te foe this pathway in order to discover the DNA repair mechanism and develope the method to increase radiosensitivity. To desne the role of ATM, we triusfected full lengt31 of ATM to ATSBnrA cells obtained from AT patient by Lipofectamine transfection system and established ATM over:expressed cell line (AT/ATM). Also for control group, we transfected ATM te LM217 cells (normal flbroblast) and established ATM overlexpressed cell line (LAHATM). Clonogenic survivals of cells were determined after exposure ts 0, 4, 8 and 12 Gy of ionizine radiation and apoptesis were detected after exposure to 12 Gy of ionizing radiation. Activities of radiation induced transcriptional factors such as API, SRE, NftB and 953 were measued by Uciferase assay. ATM transfected AT/ATM cells were less sensitive ts radiation than ATSBWA cells (DO=1.2 Gy and 1.7 Gy, respectiveBy). Apoptosis decreased in AT/ATM cells than ATSBIVA cells. At 48 hour, AT/ATM cells showed 13% more reduction of apoptssis than ATSBHrA cells. LDHATM cells showed also 12% more ileduction of apoptosis compared with IfH217 cells. Transcriptional factsrs, API and SRE were not activated in ATSBIVA cells, but they were activaeed in AT/ATM cells 1 hour after irradiation. NFkB was activated in both cell lines. However in AT/ATM cells, it activated late and showed an inneased activie than that of AIfBIVA cells. The activities of p53 were not different in both cell lines.0 LAHATM cells, API, SRE, NP]tB, and p53 showed increased activities when they wet;e compared with LM217 cells 4 hours after irradiation. In this experiments, we conflrrned that ATM is rlesponsible for radiosensitivity in AT patients and the transcriptional factors such as API, SRE, NFkB, and p53 arie activated through ATM.

      • 청소년 진로포부 영향 요인 구조 분석

        김경주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와 관련해서 현실적인 결정을 시작해야 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진로포부 형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그리고 그 요인들이 진로포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진로포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및 친구지지 등 환경적 요인과, 진로결정 자아효능감과 학업성취 등 심리적 요인 등이 영향 미치는 과정을 검증하였고, 일반청소년과 소외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진로포부에 영향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고등학교에서 표집한 1,26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9.2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와 측정도구의 신뢰성(Cronbach's alpha)과 타당성(factor analysis)을 분석하였으며, AMOS 18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환경적 요인 가운데 아버지 양육태도를 제외한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및 친구의 지지는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에, 부모의 교육수준, 교사의 지지, 진로결정자아효능감 등은 학업성취에, 그리고 부모의 교육수준, 친구의 지지, 진로결정 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취는 진로포부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가 하면, 친구의 지지는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은 그들의 진로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은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및 친구의 지지 등과 학업성취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내고 있으며, 아울러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및 친구의 지지 등과 진로포부 사이에서도 매개효과를 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 진로결정 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취 등의 독립요인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는 소외계층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부모의 양육태도, 그리고 교사의 지지나 친구의 지지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는 달리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에 한정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그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소외계층 청소년의 경우도 비행 청소년이나 중도 탈락자 청소년, 근로청소년 등과 같이 소외특성별로 구분하여 진로포부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들이 보다 더 높은 진로포부를 가질 수 있도록 진로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요인을 최소화하는 교육․문화적 노력과 함께, 학교에서 일반 교사들의 진로지도 및 상담 역량 강화를 통한 내실 있는 진로교육의 실천이 절실하다. 특히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진로지도 및 상담 역량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를 탐구․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은 진로포부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규명되었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경우 진로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했을 때, 진로포부에 다른 변수들 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자아효능감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일반청소년과 소외청소년 간의 진로포부발달의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해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학교계열, 성별, 지역별, 그리고 개인의 욕구성향 등을 고려하여 그들의 진로포부발달의 차이를 정밀하게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우리 주변에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신의 꿈을 가꾸고 실현하는 청소년들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청소년의 진로포부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욕구유형이나 정도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분석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기 진로포부발달 차이가 이후의 인생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도 필요하다. 대학생활을 하면서, 그리고 직장생활을 하면서 개인의 진로포부는 지속적으로 변화될 터인데, 이 경우 어떤 요인들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탐구, 이른바 진로포부 발달 과정에 대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