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애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o identify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26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at W University Hospital in I Cit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to measure pain,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 developed by Tack (1991) to measure fatigue, Perceived Stress Scale (PSS) developed by Cohen et al. (1983) to measure perceived stress, and Kim's (1994) 44 items adopted from Noh's (1988) 47 items to measure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SW 18.0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age group was 40-49 years (49, 38.9%) and the average age was 49.01 (±8.08) years, 60 (47.6%) graduated from high school, 78 (61.9%) had spouses, 108 (85.7%) had family and the average family size was 1.86 (±1.31) members, 117 (92.9%) had children and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1.87 (±0.88), 46 (36.5%) were Christians, 83 (65.9%) were housewives, and 60 (47.6%) earned less than 1 million won a month. In terms of disability, 28 (22.2%) had disabilities in daily life caused by the disease, 23 (18.3%) had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17 (13.5%) had pain, and 17 (13.5%) had disability in working. The most common period of sickness group was 5-10 years (45, 35.7%) and the average period was 95.33 months (±75.40). The most common period of treatment group was 1-5 years (96, 76.2%) and the average period was 35.93 months (±30.89). In terms of hours of sleep, 92 (73.0%) slept less than 6 hours, whereas 34 (27.0%) slept more than 6 hours, and the average was 274.29 minutes (±100.81).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ubject's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 average scores were 7.79 (±1.65), 39.81 (±8.53), 23.78 (±5.62), 122.77 (±14.80), respectively.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 (F=4.082, p=.008), occupation (F=4.584, p=.002), monthly income (F=4.337, p=.003), hours of sleep (t=2.704, p=.008) in pain and education (F=3.751, p=.013), marital status (t=-2.159, p=.033), occupation (F=3.423, p=.011), monthly income (F=2.531, p=.044), period of sickness (F=5.751, p=.004), and hours of sleep (t=4.231, p<.001) in fatigue, family status (t=-2.353, p=.020), monthly income (F=5.925, p<.001), period of sickness (F=3.272, p=.041), duration of treatment (F=7.029, p=.001), and hours of sleep (t=5.285, p<.001) in perceived stress, and marital status (t=5.009, p<.001 ), family status (t=4.003, p<.001), monthly income (F=10.741, p<.001), period of sickness (F=3.727, p=.027), and hours of sleep (t=-4.199, p<.001) in quality of life. 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fatigue (r=.616, p<.001), pain and perceived stress (r=.430, p<.001), and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r=.494, p<.001), wherea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quality of life (r=-.446, p<.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r=-.544, p<.001), and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r=-.653, p<.001). 5.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pain, fatigue, perceived str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life. 1) In model Ⅰ, pain (ß=-.342,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74, p=.005)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life (R²=.313). 2) In model Ⅱ, fatigue (ß=-.434,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305, p=.001)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373). 3) In model Ⅲ, perceived stress (ß=-.551, p<.001)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ß=.209, p=.016)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466). 4) In model Ⅳ, pain (ß=-.079, p=.356) was not significant whereas fatigue (ß=-.215, p=.016), perceived stress (ß=-.436, p<.001),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ß=.192, p=.022)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R²=.507). Among them, perceived str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patients with fibromyalgia had been experiencing moderate to severe pain, fatigue, and perceived stress. These symptoms that correlated with one another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duce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m,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life, nursing interventions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stress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목적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을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I시에 위치한 W대학병원에서 류마티스 내과 전문의에 의해 섬유근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여성 외래 환자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통증은 시각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고, 피로는 Tack(1991)이 개발한 다차원적인 피로척도(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MAF)를 이경숙과 이은옥(1998)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Cohen 등(1983)이 개발한 전체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는 노유자(1988)가 개발한 47개 문항의 도구를 김종임(1994)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44개 문항으로 수정한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40-49세가 49명(38.9%)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49.01세(±8.08)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78명(61.9%), 가족이 있는 경우 108명(85.7%)으로 평균 가족수는 1.86명(±1.31)이며, 자녀가 있는 경우 117명(92.9%)으로 평균 자녀수는 1.87명(±0.88)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46명(36.5%), 직업은 주부 83명(65.9%),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60명(47.6%)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으로 인한 불편감으로 일상생활 장애가 28명(22.2%)으로 가장 많았고, 신체활동 장애 23명(18.3%), 통증 17명(13.5%), 직장생활 장애 17명(13.5%)순 이었다. 투병기간은 5-10년 미만이 45명(3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투병기간은 95.33개월(±75.40)이었고, 치료기간은 1-5년 미만이 96명(76.2%)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치료기간은 35.93개월(±30.89)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시간은 6시간 미만이 92명(73.0%), 6시간 이상은 34명(27.0%)으로 평균 274.29분(±100.81)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평균 7.79점(±1.65), 피로는 평균 39.81점(±8.53), 지 각된 스트레스는 평균 23.78점(±5.62), 삶의 질은 평균 122.77점(±14.80)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증은 학력(F=4.082, p=.008), 직업(F=4.584, p=.002), 월수입(F=4.337, p=.003), 수면시간(t=2.704, p=.008)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피로는 학력(F=3.751, p=.013), 배우자 유무(t=-2.159, p=.033), 직업(F=3.423, p=.011), 월수입(F=2.531, p=.044), 투병기간(F=5.751, p=.004), 수면시간(t=4.231,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가족 유무(t=-2.353, p=.020), 월수입(F=5.925, p<.001), 투병기간(F=3.272, p=.041), 치료기간(F=7.029, p=.001), 수면시간(t=5.28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삶의 질은 배우자 유무(t=5.009, p<.001), 가족 유무(t=4.003, p<.001), 월수입(F=10.741, p<.001), 투병기간(F=3.727, p=.027), 수면시간(t=-4.199,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증과 피로(r=.616, p<.001), 통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증과 삶의 질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46, p<.001)가 있었다. 피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4, p<.001)가 있었고,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44, p<.001)가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5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 Ⅰ에서 통증과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342, p<.001) 과 가족수(ß=.274, p=.0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1.3% 설명하였다(R²=.313). 2) 모형 Ⅱ에서 피로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피로(ß=-.434, p<.001) 와 가족수(ß=.305, p=.001)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7.3% 설명하였다(R²=.373). 3) 모형 Ⅲ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지각된 스 트레스(ß=-.551, p<.001)와 가족수(ß=.209, p=.01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46.6% 설명하였다(R²=.466). 4) 모형 Ⅳ에서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을 검정한 결과 통증(ß=-.079, p=.356)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피로(ß=-.215, p=.016), 지각된 스트레스(ß=-.436, p<.001), 가족수(ß=.192, p=.022)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50.7% 설명하였으며(R²=.507),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결론 :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 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 지각된 스트레스, 피로, 가족수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이었다. 따라서 섬유근통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 스트레스 관리에 초점을 둔 간호중재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