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정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Professionals who respond to social needs should be trained by a systematic training. Tea qualification test aims at cultivating tea specialist of the future based on more methodical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has potential function to induce idealistic education system improvement for tea leaders and development of related study fields. This study examines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analyzes education status of tea education,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for tea qualification system.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is that signing up for registration management agency to identify an administrator of the group who is charge in a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Listed series of administrative acts including code symbol and gra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naging organization, date of registration or decision become effective by acquiring requirements for managing ope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and state-authorized application. From 1997's Qualifications Basic Law, Korea started the 1st private national qualification accreditation in 2000 and has been continued it to the 13th of the day with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outh Korea as its mission agency. 2,987 items of 935 institutions under 12 ministr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s at present. General entities are accounted for the most largest proportion as registered managing operation; legal entities and individuals are following in order. As legal entities, 3 foundation corporations and 22 incorporated associations have been operated tea education curriculum. 13 of those legal entit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9 kinds of qualifications are remarkably registered and operated. Traditional tea etiquette occupies most part of registry. Especially in the field of private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Inter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 manages 7 curriculum of traditional tea etiquette, Japanese tea ceremony, Black tea, Chinese tea ceremony, Tea psychological counseling, Tea evaluation, and Tea manufacture, progresses most diverse training courses as private qualification 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3 colleges and 2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so far. 7 masters degrees are set up and run while doctoral program for tea culture majors is just on its starts with 3 universities. Keimyung University, Mokpo National University, Wonkwang University manage Master in parallel with PhD courses, but all of 11 universities and colleges where run tea related departments, undergraduates, and colleges course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graduate schools'. Most of all, possibility of entering masters or PhD from undergraduate is lack in connectiv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future directions to settle tea culture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as below. First, it is required to register tea qualification to country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is will induce growth of private sector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ctivation in private qualification system by giving credibility,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tate, civil, and private qualification. Currently registered operating management agencies are 52 with 87 national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ere is no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but 9 related qualifications are registered to private accreditation which should be prepared for a priority so that they can be promoted to national level as soon as possible. Second, it is need to take advantage of the credit bank system. Taking credit from acquir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btains equivalent effect with college units by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the specific identification to national qualifications, or the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16th credit eligibility standard', total of 581 qualifications including 356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141 of other national qualification by the specific identification, 84 of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are given credit for official units. For developing and popularizing Korea's tea culture to academical level, it will be suggested to have accreditation for credits by acquiring tea related qualification through vocational schools or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under current system. Future tea culture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to answer the purpose of both academic theory and practice to have a competitiveness. Academic formulation through the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s accompanied by national authorized private system for fulfilling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popularization, tea culture education will speed to put down the roots in Korea.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라 함은 그 분야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하여 양성하고 배출되어야 한다. 차(茶) 자격시험은 보다 체계적인 배출시스템을 기반으로 미래가 요구하는 전문적 차지도자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지도자 양성에 대한 이상적인 교육과정의 개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을 유도하는 잠재적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자격 등록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茶)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차(茶)자격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자격 등록제도는 민간자격관리자가 민간자격을 관리?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등록관리 기관에 등록하는 것으로서, 등록대장에 자격의 종목명 및 등급, 자격의 관리운영기관에 관한 사항, 등록의 신청일 및 등록결정일 등을 기재하는 일련의 행정행위의 총칭으로 등록에 따른 효력은 민간자격 관리운영과 국가공인 신청에 대한 요건을 획득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1997년 자격기본법 제정을 시작으로 업무 수행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통해 지난 2000년 제1차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를 시행하여 현재 13차에 이르고 있다. 민간자격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현재 12개 부처 935개 기관의 2,876개 종목이 민간자격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등록된 민간자격관리 운영기관으로는 일반 단체가 7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법인, 개인 순으로 나타났다. 법인단체의 차교육 현황으로는 3개의 재단법인과 22개의 사단법인에서 차문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민간자격에 13개 법인 단체가 등록되어 자격을 관리하고 있으며, 크게 9종류의 자격증이 등록?운영되고 있다. 등록 자격들 중 전통차예절 자격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차관련 민간자격 분야에서 국차재는 전통차예절, 일본다도, 홍차, 중국다예, 차심리상담, 차품평, 제다사 7가지 자격과정이 등록되어 민간자격과정 운영 법인 단체들 중 가장 다양한 차관련 교육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에서는 2012년 현재 전문대학은 3개 대학이고, 4년제 대학교 2곳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에는 먼저 석사과정으로는 7곳에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고, 박사과정으로는 3개 대학에서 차문화 관련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그 중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모두 운영 중인 대학은 계명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원광대학교가 있다. 그러나 현재 11개 대학에서 차관련 전공 학과가 개설돼 있으나 대학원 중심이며, 학부나 전문대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그리고 학부에서 석사, 박사로 이어지는 연계성이 부족하다. 차문화 교육을 정착하기 위해서 차(茶)자격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차(茶)자격을 민간자격 국가공인에 등록하는 것이다.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등록함으로써 시대변화에 빠르고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민간분야의 성장을 인정하고, 민간 자격에 대한 공신력을 부여함으로써 민간자격제도의 활성화를 가져오며, 국가와 민간 그리고 민간자격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받은 자격관리 운영기관은 52개이고, 국가공인 민간 자격수는 87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차관련 자격증이 국가공인을 받은 것은 없지만, 현재 9종류의 차관련 자격증이 민간자격에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국가공인에 등록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둘째, 학점은행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통한 학점인정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국가기술자격과 개별법에 의한 국가자격, 국가공인 민간자격 중 대학의 학점과 동등하게 인정될 수 있는 수준을 지닌 자격에 대하여 학점으로 인정하고 있다. 2012년 3월 29일자로 고시된 ‘제16차 자격 학점인정기준’에 따르면 총 581개(국가기술자격 356개, 개별법에 의한 기타 국가자격 141개, 국가공인 민간자격 84개) 자격이 학점으로 인정된다. 한국의 차문화를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현 제도를 활용하여 직업전문학교 설립 후 차관련 자격증을 통해 학점을 인정받거나, 국가공인 민간자격을 취득하여 학점인정을 받는 방법이 있다. 앞으로 차문화 교육은 학문적으로 이론과 실습을 겸해야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학문적 정립은 고등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부족한 실기 응용 분야 및 차교육 대중화는 국가공인된 민간자격 제도를 통해 학점을 인정받는다면, 한국의 차문화 교육은 빠르게 정착하게 될 것이다.
권기덕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이 논문은 갈홍의 抱朴子․內篇에 나타나는 道의 관념과 神仙思想에 어떤 연관성이 존재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도의 관념은 초기 신선도교의 형이상학적 본체론을 말한다. 이를 통해 갈홍이 그의 도 관념을 토대로 자신의 신선사상을 정당화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주지하다시피, 갈홍은 魏晋시기 神仙道敎의 체계를 세운 저명한 도교철학자이다. 그의 대표 저작이라 할 수 있는 抱朴子가운데 「內篇」은 신선도교의 기본 관점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갈홍은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玄” “道” “一”의 개념을 끌어들이고 있었던 것이다. 갈홍은 이 세 가지 개념을 천지만물의 본원본체, 즉 우주만물의 시초이자 천지만물의 근원으로 설정함으로써, 자연관 체계의 가장 근본이 되는 범주를 여겼을 뿐 아니라 포박자․내편체계의 이론적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 가운데 ‘현’과 ‘도’는 어느 정도 현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갈홍의 ‘도’는 인류사회에 대한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즉 인생과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자연계의 근원일 뿐 아니라 사회와 인륜의 총 규율로 자리 잡는다. 이와 달리, ‘일’은 신선방술적인 의미를 더하여 신선도교 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 세 가지 개념사이에는 어느 정도 이론적 차별성이 존재한다. 우선 자연의 시조이자 만물의 근원으로서의 ‘현’의 의미는 ‘도’에 충분히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도’에는 인륜 사회의 근원과 모든 학파의 종주로서의 의미까지 담고 있다. 이러한 두 개념의 함의를 ‘일’은 어느 정도 공유하지만, 신선도교의 체계를 온전히 세우기 위하여 갈홍의 ‘일’은 다분히 신비화 방술화의 과정을 거쳐 결국 하나의 전지전능한 정신실체이자 대우주를 주재하는 신의 단계로까지 비약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갈홍의 포박자와 神仙傳에 담긴 신선사상을 통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적 세계는 바로 선계이며 이를 지상에서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道의 관념을 제시하면서 그 구체적인 방법을 鍊丹術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갈홍의 도관념은 이후 많은 양생가들에게 이론과 수행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현재까지도 신선도교를 정초한 인물로 평가받는 것을 보았을 때 갈홍이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할 것이다.
김정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花潭(1489-1546)은 朱熹와 같은 시대에 태어나 전통적인 존경을 받으며, 주희와는 다른 그 자신만의 새롭고 독특한 氣一元論을 발전시켰다. 한국 기철학사에 있어서 그의 기일원론은 栗谷·鹿門·惠崙에 의해서 이어지게 되었다. 그의 철학적인 관심은 자연현상의 변화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하여 『대학』.『周易』.『中庸』으로부터 그 기반을 두었으며, 그는 북송의 철학자인 張載와 周敦□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서 그의 독특한 이론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그에 따르면 모든 창조물틀의 삶과 죽음은 기의 聚散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그는 이 기를 先天氣와 後天氣로 나누어 보고 있다. 같은 방식으로, 그는 형이상적 형이하적 세계를 구성하는 유일 존재로서의 기를 고려하였다, 화담의 철학은 성리학의 영역내에 있는 理氣論의 개념과 논리이지만 이것의 실재 의미는 도교의 사상과 근접한 것이다. 그의 理의 개념은 理氣 二元論으로서의 선험적인 섭리를 의미하지 않으며, 기 속에 내재하고 있는 원리인 動靜聚散의 원리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理는 氣밖에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의 기일원론은 그 자신의 사상인 物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의 기는 선천기와 후천기로 나뉘는데, 그의 物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것과 영원한 존재로서의 원리로 나뉘어 진다. 다시말하면 스피노자의 所産的 自然과 能産的 自然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철학은 새로운 철학의 문제와 철학적인 전망의 확대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그와 동시대인 주희 철학의 영향아래에서 커다란 기여를하였다. 그리고 이는 한국 성리학을 관통하는 퇴계와 율곡의 이론상의 구조의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녹문·혜강·수운에 이르기 까지 각각 형이상학, 과학, 종교적인 특성을 가진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마침내 이러한 장에서 기일원론의 성대한 발전을 양산하였던 것이다. Hwa-Dam(1489-1546), born in the age when chu hsi(朱熹)'s philosophy was regarded as orthodox, disagreed with chu hsi and developed his own new and unique theory of the Qi-Monism(氣一原論). As the beginning of the korean Qi-philosophy, his theory of Qi-Monism was handed down to Yul-gok栗谷), Nok-mun(鹿門) and Hye-gang (惠崗). His philosophical concern started from the wonder of changes of natural phenomena, and on the basis upon the books such as "Great Learning"(『大學』), "Book of Changes "(『周易』) and "Doctrine of Mean"(『中庸』), he critically accepted the thoughts of Northern Sung(北宋)'s philosophers like Chang Tasi(張載) and Chou Tun-yi(周敦□) so that he introduced his unique theory. According to him, the life and death of all the creations depends upon Qi's gathering and scattering (聚散). He divides this Qi into Qi of Heaven apriori(先天氣) and Qi of Heaven aposteriori(後天氣). In this manner, he does considered Qi as the only being of which products both the metaphysical and the physical world. Hwa-dam's philosophy, in its concept and logic, seems to be in the sphere of Li-Qi theory(理氣論) of the Neo-Confucianism, but its real meaning is close to the thought of taoism. His concept of Li(論) does not mean the transcendental providence as in the dualistic Li- Qi theory, but the principle immannent in the Qi, which moves and stays, gathers and scatters(動靜聚散) with that principle. Therefore his Li cannot exist without Qi. His Qi-Monism philosophy is made on the basis of his own contempaltion of Thingness(物). As his Qi is divided into Qi of Heaven apriori and Qi of Heaven aposteriori, so his Thingness is divided into the concrete and physical thing and the eternally existing thing as principle, namely Natura naturata and Natura naturans in Spinoza. His philosophy, by introducing new philosophical issues and widening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contributed greatly to his contemporary academ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Chou Hsi's philosophy. And it did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Neo- Confucianism by being peneterated into the theoretical system of Toe-gye(退溪) and Yul-gok(栗谷), but also influenced on the philosophy of Nok-mun(鹿門), Hye-gang (惠崗) and Su-wun(水雲) respectively in the metaphysical, scientific and religeous characters. Finally it had brought to flourishing of the Qi-Monism on this land.
다도교육과 성인 정신건강의 상관관계 연구 :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유성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As people’s average life span has been longer, interests in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health have been increased. Moreover, the interest in health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importance of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mental health and stable lives, therefore there are increased demands on tea and a high interest in tea culture. Especially, the interest in our traditional tea culture has been widely spread in middle class women who consider that health through mental relaxation and a refined cultural life is important. The tea ceremony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fields, tea and courtesy, as we can infer the meaning from the words.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will be greater when tea and courtesy are brought together. In addition, by living with tea, which has moral culture, it helps people live with physical health and mental relaxation and encourages people to live with moral obligation. The tea ceremony education is important to all ages for lifelong education because its pursuit is achieving self-realization and improving life quality. The education is also necessary for adaptation into new jobs and living with dignity in one’s old age because our social issues such as aging society and early retirement are still around us. This study shows changing awareness of experts who have been educated tea culture and tea ceremon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tea ceremony education,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tea ceremony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tea masters and the distributing questionnaires had been done by the enrolled students and graduated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Management for tea culture at Wonkwang Digital University, Master and Ph.D students of the university, trainees taking programs at 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affliated education center, and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ea at other universities. This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March 5th to September 20th in 2011. Total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had been distributed, and then 299 copies(85%)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297 copies(96%) of the questionnaires, which did not include 12 copies containing unsuitable answers for the statistic process, were used as the analysis data. For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earching and encoding, and then produced statistic results by processing throug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C+, which is one of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influence the results, X² test was done. In addition, in order to know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tea ceremony education, it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 tes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ether educational levels influence the effectiveness. Finally, X²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the background variables influence adult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the tea ceremony education. The method for answering the questionnaire was giving scores at each question abou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except the questions about participants’ general information and awareness. As the interval scale of Likert-type, specific points were given at the answers, 5 points for strongly agree, 4 points for slightly agree, 3 points for agree, 2 points for slightly disagree, and 1 point for strongly disagree. According to the points at each question abou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scoring higher point means higher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study, most of the people trained the tea ceremony are women, there is high participation of elderly and married women in the education and of high salary people with higher than high school education. They are likely to choose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to learn the tea ceremony. There are various and positive effects from the tea ceremony education. The education plays significant roles in being relaxed, improving memories, growing patience, relieving stress, and growing creativity. In addition, the education helps people be strenuous and be in peace. Through the education, physical functions can be improved and the education encourages people to live frugally, put a value on nature, respect others, and live together. It also helps achieve self-realization and improve life qualit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lderly people is high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aspects, living with tea and behavioral aspect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e longer period (more than 10 years) of the education and the higher level of the education,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is. After the education, most of the people are likely to obtain certificates and answered that the tea ceremony education of their children from thei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years is necessary. They also answered that the emphasized factors during the education are the mental aspects of tea and the cultural education connecting tradition and today. In addition, they stressed that the continuous tea ceremony education is necessary. As the average life span has been longer, the interests in improving life quality and health have been getting higher. Therefore,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mental health and stable lives are required. Our ancients thought their health was with tea from a long time ago, enjoyed graceful lives, and grew respect by living with tea. According to the Korean social trend 2011 published by the Statistics Korea in 2012, the rate of the lifelong study of Korean adults is three tenths and 26.4% in 2008, and 30.5% in 2010. As a result, 4.1% had increased for years. In addition, one of sixths Korean adults has experienced mental health problems in an announcement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in 2012. Due to the lengthening life span, new life plans are necessary to prepare an aging society. The necessary and the importance of the tea ceremony education cannot be underestimated to assist elderly people, who retired early and facing the 100 years life span era, to have new jobs. Based on this study, the tea ceremon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people’s mental health and there is high awareness of necessary of the continuous tea ceremony education to their children. However, the reason that the tea ceremony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to elementary school years and youth could not be established like the elderly people’s tea ceremony education might be difficulties in reality such as the early education for getting accepted into a college and the classes focusing on study. In order to attract young people’s interests in the tea ceremony education, a social change, the education becomes one of the new trend jobs, is required. The program of the education should progress towards fitting into the changing society as a lifelong education.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생활의 질적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은 육체적 건강뿐 아니라 정신적 건강과 안정적인 삶까지 그 필요도가 높아져 차(茶)를 즐겨 마시는 수요가 늘어나고 차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 전통차 문화에 대한 관심은 정신적인 여유와 품위 있는 문화생활을 하면서 건강을 생각하는 중산층 이상의 여성층에서 크게 확대되어 왔다. 다도교육은 다도(茶道)라는 용어에서 유추 할 수 있듯이 차와 예(禮)의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차와 예가 결합될 때 교육의 의미가 배가 된다. 또한 차생활 속에 구현되는 정신문화로 차를 마시면서 육체와 정신을 맑게 하고 정신수련을 하게하며 인간의 도리를 추구하는 삶을 구현하게 한다. 다도교육은 자아실현과 삶의 질을 고양하고 현 사회문제인 고령화시대와 조기은퇴에 따른 새로운 직업군에 필요한 적응훈련 및 노년을 좀 더 품위 있게 살아가기 위해 전 연령층에 걸쳐 이루어져야하는 평생교육으로서 자아실현과 새로운 직업으로의 원활한 전이를 돕기 위해 꼭 필요한 교육이다. 본 연구는 차 문화의 전문교육을 받고 있고 다도교육을 받은 전문인들의 의식세계 변화와 교육적 효과가 어떻게 드러나며 다도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차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 배포는 원광디지털대학교 차문화경영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 원광대학교 석?박사 재학생 및 졸업생, (사)국제차문화교류협력재단 산하 교육원에서는 자격과정을 수강하는 교육생, 타 대학 차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1년3월 5일부터 9월 20일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총 35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99부(85%)가 회수되었다. 이중 응답이 부실하여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12부를 제외한 총287부(96%)의 설문지를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검색과 부호화 과정을 거쳐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Sts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C+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여 기본적인 통계 값을 산출하였고, 배경변인별(성별, 연력, 학력)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도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교육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도교육의 향후 발전방안을 위한 성인들의 인식을 배경변인별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응답 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현황 및 의식을 제외하고 교육적 효과 문항들에 대하여는 Likert-type의 등간 척도에 따라 ‘매우 그렇다’의 경우에 5점, ‘약간 그렇다’에 4점, ‘그렇다’에 3점, ‘약간 그렇지 않다’에 2점, ‘매우 그렇지 않다’에 1점을 주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로는 다도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여성이 월등히 많았고 중?장년층으로 기혼여성의 참여도가 높았다.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으로 월 소득이 높을수록 다도교육의 참여도가 높았다. 교육시설은 대부분 전문기관으로 잘 갖추어진 곳을 선택하였으며 다도교육이 ‘정서안정에 도움이 되었고, 기억력증진에 도움이 되었으며, 인내력이 향상되고, 스트레스가 해소 되었으며, 창의력이 향상과 마음에 여유가 생겼다. 노력하는 마음과 더불어 정서적으로 풍부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기능이 향상되고 검소한 생활을 유도하였으며,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로 공경하고 화합하는 마음이 생기고, 원만한 인간관계가 형성되었고, 자아실현과 삶의 질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신체 건강적 측면, 차생활?행동적 측면, 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성인 중?장년층의 효과는 매우 컸으며, 교육기간이 10년 이상 길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교육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다도교육을 받은 이후에는 대부분 자격증을 취득하기를 원하였으며, 자녀들의 다도교육의 필요성 역시 영유아기?초등학교 때부터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교육시 강조되어야 할 부분은 ‘차의 정신적인 면과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문화교육이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인 다도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생활의 질적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육체적 건강뿐 아니라 정신적 건강과 안정적인 삶을 필요로 한다. 선조들 역시 예로부터 차 생활을 통해 건강을 생각하였고 생활의 멋을 즐기며 공경의 정신을 길러 높은 수준의 차 생활로 승화 시켰다. 『한국의 사회동향 2011』에서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10명 중 3명으로 2008년에는 26.4%에서 2010년에는 30.5%로 4.1% 증가하였음을 2012년 통계청에서 발표한바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성인 6명중 1명이 정신건강문제 경험이 있다는 보도가 2012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바 있다. 인간의 수명은 날로 늘어나고 있고 그러므로 고령사회에 대비한 생애재설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없다. 다도교육이 100세 수명연장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중?장년층의 조기은퇴에 따른 새로운 직업군으로서 원활한 전이를 돕기 위해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다도교육이 중?장년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긍정적으로 드러났고 적절한 다도교육이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유아기부터 초등학교, 젊은 층의 다도교육이 중?장년층의 다도교육에 비해 크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점은 대학진학을 위한 조기교육과 공부 위주의 수업 방식, 직장생활에서 당면하게 되는 현실의 어려운 상황들 때문으로 사료된다. 다도교육이 젊은 층의 관심을 받기위해선 새로운 직업군이 될 수 있는 사회인식 변화가 이루어져야하며 평생교육으로서 다도교육 프로그램개발이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진행되어야 한다.
문정호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실학파의 음양오행은 우주의 생성원리 혹은 만물의 생성 원리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현상 내지 실생활에서 흔히 대하고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물질로 보았다. 따라서 실학파는 성리학파의 주된 관심이었던 사변적인 학문을 배척하고 이용, 후생할 수 있는 실용적인 학문에 힘씀으로서 그들의 사상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이익․홍대용․정약용․최한기와 같은 실학자들은 서구의 자연과학적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수용하려고 했던 사람들이다. 동시에 이들은 전통의 지반을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서구 문물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가장 멀리 나아가 있는 최한기까지도 기철학의 틀을 버리지 않았을 만큼 전통적인 사유의 틀은 견고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전통의 지반을 어디까지 유지하느냐 하는 것은 저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보였다. 이익은 畿湖南人으로서 이황을 사숙하는 학맥이다. 성리학과 禮學에서 이황의 학풍과 전통을 철저히 계승함으로써 일가를 이루고 있다. 그만큼 이익의 실학사상은 도학에 대한 비판태도가 아니라 도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다만 그는 성리학에 매몰되지 않고, 현실의 문제와 자연과학의 문제 등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 나감으로써, 성리학의 형이상학과 현실문제의 실학적 인식을 양면적으로 포용하고 있다. 정약용은 전통성리학자들의 음양과 오행론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음양의 이름은 햇빛의 비추어짐과 가리워짐에서 나왔는데, 햇빛의 명암에 불과한 이것을 가지고 만물을 구성하는 부모라 여기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하고, 오행에 대해서도 만물 가운데 다섯 가지의 物에 불과한 것이니, 이것으로서 천지 만물을 생하는 것으로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익에서 정약용에로 이어지는 성호학파에서는 특히 17세기부터 새롭게 전래해 왔던 서양과학 및 서양의 종교사상과 상당히 긴밀한 관계를 맞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른바 서학으로 일컬어지는 르네상스기의 서양과학과 서양종교로서의 천주교는 18세기 초에 이익에 의해 본격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서학사상은 이익과 성호학파의 실학사상과 관련하여 새로운 자연철학의 형성과 과학지식의 확산 및 사회사상의 변혁에 상당히 중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이익과 정약용은 서학의 영향에 의해 그들의 오행관념 또한 확고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홍대용은 성리학의 음양오행론을 비판하고 기를 중심으로 만물의 생성을 말하였다. 그러나 홍대용의 학설을 자세히 보면, 그는 여전히 理를 所以然者로 보고 天理를 긍정하는 등 성리학적 특성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쉬바수트라』 수행론에 대한 연구 : 제 3 장 아나바우파야를 중심으로
정순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쉬바수트라』 수행론에 대한 연구 -제 3 장 아나바우파야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요가학과 요가학전공 정 순 규 카쉬미르 쉬바파 성전 중 하나로 알려진 ??쉬바수트라??는 9세기 바수굽타에게 계시된 문헌으로 알려진다. 쉬바교 문헌이 본격적으로 성립된 것은 성전론 외에도 진동설과 재인식론 등 독자적인 주석서들로 발전되었다. 그 후 11세기 카쉬미르 철학자이자 수행자였던 아비나와굽타에 의해 일원론적 쉬바파 요가 수행의 핵심이 요약된 형이상학과 수행방편이 나타난다. 본 논문은 아비나와굽타의 상수제자인 크세마라자는가 자신의 주석서인『쉬바수트라성찰??에서 3 장의 수행체계에 상응하는 세 가지 방편인 샴브하바우파야, 샥타우파야, 아나바우파야를 다루었다. 이를 토대로 자이데바 싱이 영역한『쉬바수트라??를 저본으로 수행방편을 고찰하였다. 세 가지 수행방편들은 쉬바 본래의 의식이 가진 무한한 힘을 회복하는데 있다. ??쉬바수트라??에서는 그 의식의 힘을 회복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수행방편을 제시한다. 이 세 가지 방편 중에서 신의 방편으로 해석되는 샴브하바우파야와 힘의 방편으로 해석되는 샥타우파야는 이미 수행이 진행된 수행자들에 적용되는 수행법이다. 그 가운데 아나바우파야는 개별적 존재의 방편으로 가장 많은 45게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쉬바의 본질에 합일하기 위한 수행의 방법으로 점진적인 수행방편을 제시한다. 특히 『말리니위자야??에서 나타난 5 가지 수행방편들은 일반적인 수행자들의 의식수준에 근거한 경험적인 자아를 넘어서는 수행 방편들이다. ??쉬바수트라??에서는 쉬바가 궁극적 실재로서 샥티의 에너지를 통해 세계를 36원리로 전개시켜 개별의식에 제한되어 속박되지만, 그러한 개별의식 또한 결국 본래의 쉬바임을 재인식함으로써 해탈은 쉬바브얍티에서 우주는 쉬바 그 자체 샥티의 장엄한 표현으로 나타난다. 반면 이원론인 상캬와 요가철학에서 해탈은 푸루샤가 프라크리티와의 분리된 존재의식 상태에서 지복이 존재하지 않는 자아(Self)이고 또한 불이일원론인 베단타철학에서 해탈은 덧씌워진 마야에서 회복된 브라흐만은 존재의식에서 지복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쉬바파 일원론의 성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원론 계시서인 ??쉬바수트라??에서는 궁극적 실재의 보편적 의식과 제한된 의식을 지닌 개인의 의식이 본래 다르지 않다는 의식의 관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A Study on the Theory of Practice in ?ivas?tra -focused on Chapter 3. ??avaup?ya- by Geoung sun kyu Major in Yoga Department of yoga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In this thesis, I have considered ?aiva Mon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of the means of practices describing in ?ivaS?tra(?S). ?S is the compilation of the theory of practice traced in the monistic thought of the tantric practitioners. However, it disseminated the monism only as the revelation while ?aiva Monism was embodied through Spandak?rik? and Pratyabhijn?h?dayam. ?S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Puru?a in S??khya philosophy and Brahman in Advaita Vedanta through the principle of 36 tattvas of revolving Universe. Here we will understand that the cause of pain which the phenomenal beings have consists in the limited conditions including M?y? that lose the natural power of the Self unlimited consciousness and then condense them into limited be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ree means of practices explained in ?S recover the unlimited power which the original consciousness has had after free from those limited conditions. ?S presents the different means of practi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vering the power of that consciousness. Of the three means, ?ambh?vaup?ya and ?aktaup?ya are applied to the advanced practitioner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 of ?aiva monism has been described in ?ambh?vaup?ya. ???vaup?ya, interpreted the means of individual beings in third chapter of ?S, is the means of practice that is free from ordinary, empirical self based 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general practitioners. M?lin?vijaya, one of the sacred text of Kashmir ?aivism, explains five means of practices about these up?yas in detail. Of the 5 up?yas, the first one is ucc?ra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pr??a practices and has particular peculiarity. The technique of ucc?ra is related to the pr??adh?ra?? focused on the various aspects of pr??as. By concentrating on the various pr??as, we can experience various ?nandas. The second up?ya is kara?a practice which integrates the gross body, subtle body and causal body. It consists of the assimilated practice into the every object that the sense organs perceive, all of these are assimilated into Cit, the highest consciousness and Cit is perfectly established. The third up?ya is dhy?na, the method of meditation integrated Knower, consciousness and object. The fourth up?ya is var?a practice related to the subtle and indistinct sound coming from the heart. The last up?ya is sth?nakalpan?, external process of ???vaup?ya. Here are three sth?nas that is places. These three places are stated pr??a vayu, body and exterior body. ???vaup?ya, the means for individual being, has to lead to ?aktaup?ya and ?aktaup?ya has to lead finally to ?ambh?vaup?ya. Therefore to realize ?ambh?vaup?ya is to be a purpose of each up?ya. Ultimately each up?ya does not separate but affects each other and it is relevant to the method of eight limbs practice in classical yoga. Three up?yas described in ?S are the means of practices to obtain the liberation free from the limited conditions that veil the our own pure natures. ?S explains that the liberation is to free from the bondage and then recognize the ?iva. Pratyabhijn? means our true nature. When we have the consciousness of the Self, we recognize that our true nature are ?iva. Thus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Mok?a is the awareness of our true nature. Key Words ?aiva Monism, theory of practices, ???vaup?ya, consciousness, up?yas, pr??a, Mok?a, pratyabhijn?, ?iva.
蕙園신윤복의 <미인도>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古色복원모사를 중심으로
권귀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고색복원모사를 중심으로 - 권귀민 회화문화재보존수복학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미인도>는 전통적인 동양회화에서는 인물화에 속하며 여성을 대상으로 한 회화로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복식이나 머리모양 등을 자세히 묘사하여 풍속화?시대화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특히 본고에서 다루어진 신윤복의 <미인도>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미인도>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을 수 있으며, 신윤복의 예술적 역량을 여실히 보여준다. <미인도>는 신윤복의 작품세계와 한국 회화사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인도”라는 장르를 발전시키고 부각시켜 준 작품이다. 또한 작품이 제작된 그 시기부터 현재까지도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인도>를 고색복원모사하여 본 작품에 사용된 신윤복의 인물표현기법을 알아보고, 인물화 이론을 조사하여, 미인도가 그려질 수 있었던 배경과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한?중?일의 대표적인 <미인도>를 조사하여, 그 특징을 정리함으로서 신윤복의 <미인도>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연구해보았다. <미인도>를 고색복원모사하여 재현해 낸 것은 회화문화재인 <미인도>의 보존?수복을 위해서도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번 모사 제작을 통해서 본 논문이 향후 <미인도>의 모사와 수리, 복원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그 특징적인 표현기법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 of Hye Won Sinyunbok’s <Miindo (the beauty)> - Patina Restoration of the Painting - by, Kwon Kwi Min Majoring in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ictorial Relics Department of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Miindo (Portrait of a Beauty> is a kind of figure painting in the traditional painting for women, which not only expresses the beauty of women, but also has characteristics of genre painting and period painting by detailed description of costume and hair style. In particular, <Miindo> of Shin Yoon Bok in this study is one of the best works in the later Joseon period demonstrating the artistic capacity of him. <Miindo> takes an important portion Shin Yoon Bok’s artistic world and in the Korean painting history, which embosses and develops “Miindo” as a genre. And, from the period of creation until today, it has influenced on numerous artists.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like to figure out the figure expression method of Shin Yoon Bok by restoration and copy of <Miindo>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Miindo. And, the study examined and classified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Miindo> of Korea, China and Japan in order to study how they interacted with <Miindo> of Shin Yoon Bok. The restoration and copy of <Miindo> to its antique color are greatly meaningful in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iindo> as a painting cultural asset. And, this study sorted and suggested characteristic expression methods by means of copy so that it can be used copy, repair and restoration of <Miindo> usefully.
비이원론적 베단따(Advaita Vedānta) 철학에서 지식의 주요 수단들 : 우빠데샤사하스리(Upadesasahasri)를 중심으로
박형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The major means of knowledge in Advaita Ved?nta philosophy - With reference to Upade?as?hasr? - Park Hyung Ja Major in Yoga Department of yoga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Like all major schools in Indian philosophies, Advaita Ved?nta(hereaft er AV) has the aim of providing practical means for the attainment of liberation which from suffering the bondage of sams?ra, the cycle of birth and rebirth. Liberation means the supreme values and the ultimate goal in life to the Indians. They have a quest for the achieving liberation during their lives. If liberation be the supreme ideal, what means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AV, the individual soul is actually none other than Brahman, the ultimate Reality, so we should know that we’re the accomplished. ?a?kara, a famous AV philosopher insists that knowledge alone yields liberation, so he denies Purvamim?nsakas’view, which they can obtain based on injunction to perform particular rituals. He emphasis the true knowledge of brahman and provides the three major knowledge means for accomplishing liberation through his work, Upade?as?hasr?. First of all, he required four pre-requisites or necessary qualifications for the right knowledge to his disciples before his learning of AV. It is stated that though he requested qualifications, but it can’t be the immediate knowledge for the liberation, it just produce preliminary for the right knowledge. And then he represents major means of knowledge that produce the identification between Brahman and individual soul. The first of three ones is the three fold process of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rava?a manana, nididhy?sana). It is traditionally acknowledged that the three means of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are central means which is set out for liberation in AV. In other words, if one listen to the teachings concerning about Brahman, liberation can occurred simultaneously without interruption. Even though in the later AV there aries a controversial which listening is not enough for liberation, so meditation-centered should be emphasized, but the three means can serve the superior accomplishing means for liberation in AV. And the second knowledge means is the method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anvayavyatireka). The method of it is employed to know the meaning of the word like tvam(you) in the mah?v?kya for understanding the whole sentence. Because the meaning of tat(that) is already revealed, Brahman. If the discontinuity exists between you and that, it have to eliminate and if the continuity exists between you and that, it should continue. Finally, the meaning of you and that is the same one, param?tman. The third of ones is the teaching method of guru. It is awkward that it can be the major means of knowledge, but it sufficiently can serve to produce the right knowledge. Because the role of the spiritual teacher gets rid of darkness of disciples inside and imparts knowledge for liberation through many kinds of teaching methods. Finally anubhava is a very significant fact for liberation in AV. Actually, Brahman, the Absolute Reality and non-duality is not within the purview of any Pram??as like perception, inference whatsoever. If it is used as the immediate perception about supersensible ?tman,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only means for the attainment of liberation. Because it can gain the knowledge about Brahman directly and instantly. Therefore it is only independent means of knowledge for liberation, even though every major means of knowledge are very important. So above mentioned knowledge means are necessary for liberation, and they are also a clue to the happiness from suffering the bondage of rebirth. 비이원론적 베단따 철학에서 지식의 주요 수단들 - 우빠데샤사하스리를 중심으로 - 박 형 자 요가학과 요가학 전공 원광대학교 동양학 대학원 대부분의 인도철학 학파들처럼 아드바이따 베단따(Advaita Ved?nta, 이하 ‘베단따’로 부름) 학파 역시 인간의 고통과 속박으로부터 해방하려는 해탈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해탈이란 인도인에게 주어진 인생 목표 중 가장 마지막이자 최고의 인생 가치로 여길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삶의 목표이다. 만약 해탈이 그렇게 중요하면서도 최고의 인생목표라면 해탈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어떤 성취수단들이 존재하는 것일까? 베단따 철학에서 주장하는 방법은 먼저 인간의 실존은 윤회로 인해 고통 받는 제한적이고 유한한 개별적 영혼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는 이미 해탈한 존재로서 우주의 궁극적 실재인 브라흐만과 동일한 아뜨만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이미 해탈한 존재로 인식하기만 하면 된다. 유명한 베단따 철학자인 상까라는 해탈은 오직 지식으로만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해탈을 행위의 결과로 보고 오직 의례의 실천으로 내세에서 행복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뿌루바 미망사 학파((P?rva M?m??s?)의 주장을 전면 부인한다. 상까라는 브라흐만을 아는 참된 지식만을 강조하며 자신의 저서인『우빠데샤사하스리』를 통하여 3가지 주요 지식수단들을 제시한다. 먼저 그는 베단따의 가르침을 설하기 전에 올바른 지식을 익히기 위해서는 제자의 자격요건이 필요함을 주장함으로써 예비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상까라가 주장하는 제자의 자격요건이 올바른 지식을 익히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지식의 직접수단이 될 수는 없다. 그 다음으로 상까라는 ‘듣고 숙고하고 명상하기’라는 3수단과 ‘연속과 불연속의 방법’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승의 가르침의 기법 등을 지식을 낳는 3가지 주요 성취수단들로 제시한다. 그 첫 번째는 베단따의 전통적인 성취수단인 ‘듣기 숙고하기 명상하기’이다. 듣기수행이란 브라흐만에 대해서 듣기만 해도 곧바로 직접적 지식이 발생한다. 그러나 후대 베단따에 이르러서는 듣기만으로는 부족하여 명상하기를 강조해야 한다는 논쟁점들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3수단은 베단따 철학의 고유한 수행체계로서 자신의 실존이(개아이지만) 아뜨만임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식수단으로 공헌한다. 두 번째의 방법은 ‘연속과 불연속’의 방법으로 베단따의 대문구의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 ‘너(tvam)’의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그것의 의미는 Brahman으로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것’과 ‘너’ 사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것은 연속시키고 공통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은 불연속시킴으로써 ‘그것’과 ‘너’의 의미는 동일하게 아뜨만이라는 것이 증명된다. 세 번째의 방법은 스승의 가르침의 기법들이다. 물론 이 방법을 지식의 성취수단으로 보는 것은 무리한 주장일 수 있다. 하지만 스승의 역할이 여러 가지 가르침의 기법들을 통하여 제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어둠을 제거하며 또한 해탈에 필요한 가르침들을 부여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스승이 가르치는 기법들이 올바른 지식을 낳는 지식수단으로 간주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해탈에 필요한 직접지식은 아누바와(anubhava)이다. 직접지각이나 추론같은 Pram??as(인식수단)로는 절대이며 비이원인 브라흐만을 지각할 수 없으므로 브라흐만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지식수단으로 상정될 수 있는 것은 직접지식뿐이다. 또한 직접지식은 초감각적인 대상인 아뜨만에 대한 직접적 지각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한, 브라흐만에 관한 직접지식을 얻기 때문에 해탈의 직접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지식수단이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직접지식(anubhava)만이 해탈의 직접수단이라는 것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제시한 주요 지식수단들이야말로 해탈에 꼭 필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인간이 윤회의 고통에서 해방되어 영원한 지복을 누릴 수 있는 해답임이 입증되는 것이다.
윤훈근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A Study on the Effect of Hab?Choong?Hyung?Hae?Pa on the Analysis of Saju Yun, Hun Geun Major in Oriental Philosophy 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Wonkwang University There are several methodologies including Gyukgook, Yongsin, Sinsal, Johu and 12unsung that analyze Saju Palja. No methodology deviates from Yinyang and the Five-elements. Both the 10 Celestial-stems and the 12 Earthly-branches were crea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Yinyang and the Five-elements. The 10 Celestial-stems and the 12 Earthly- branches result in Sangsaeng(compatibility)?Sangkeuk(in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Five-elements. The nature of Yinyang is added to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producing Hab?Choong. The mixture of Hab?Choong result in Hoi?Hyung?Hae?Pa. Accordingly, the functional nature between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and Hoi?Hab?Choong?Hyung?Hae?Pa cannot be ignored in analyzing Saju. Saeng?Keuk(compatibility?incompatibility) are the absolute function of the Five-elements, whereas Hoi?Hab?Choong?Hyung?Hae?Pa are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Coincidently, Hoi?Hab?Choong?Hyung?Hae?Pa serve the absolute function to analyze Saju Palja and at the same time serve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It means that the relative function of the Stems-branches can be established or cannot be in the aspect of function. It also mean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judge how much functional Hoi?Hab?Choong?Hyung?Hae?Pa are. Therefore, the function of Hoi?Hab?Choong?Hyung?Hae?Pa is occasionally ignored in analizing Saju. This thesis studies on the effect of Hoi?Hab?Choong?Hyung?Hae?Pa on the analysis of Saju. For this purpose, it studies on the natures of the Five-elements and the Stems-branches and understand the functional features of Hoi?Hab?Choong?Hyung?Hae?Pa by figuring out the function of Saeng?Keuk for the Five-elements and the Stems- branches. It examines each principle of Hoi?Hab?Choong?Hyung?Hae?Pa on the basis of the classical texts of Myungri. It investigates the conditions in which Hoi?Hab?Choong?Hyung?Hae?Pa can generate the functions. The function is related to Hoi?Hab?Choong?Hyung?Hae?Pa, though, it is not unconditionally generated. The condition for activation has to be set up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even though Hoi?Hab?Choong?Hyung?Hae?P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The condition for activation is called ‘motivation’. The ‘motivation’ has to begin in order to generate the function when Hoi?Hab?Choong?Hyung?Hae?Pa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t is not working without the ‘motiv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interrelation of Hoi?Hab?Choong?Hyung? Hae?Pa.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Hae is produced by the relation between Hoi?Hab?Choong?Hyung?Hae?Pa is given by the mixture of one Hap and another Hap, this thesis proves on the fundamental viewpoint that there is negative thing when Hoi?Hab?Choong?Hyung?Hae?Pa are mixed. This thesis recounts the existing Hyung?Hab theory and remote Hab?remote Choong ones from ‘motivation’ of Hoi?Hab?Choong?Hyung?Hae?Pa, a view of activation. This thesis finally verifies its main opinions with examples of Saju written in the classical texts of Myungri by proving it. keyword: Hoi, Hab, Choong, Hyung, Hae, Pa, Yinyang, the Five-elements. the Celestial-stems, the Earthly-branches. 合沖刑害破가 四柱分析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圓光大學校 東洋學大學院 東洋學科 東洋哲學專攻 尹 焄 根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방법론에는 格局이론 用神이론 神殺이론 調喉이론 十二運星이론 등이 있다. 어떠한 사주분석방법론을 취하더라도 벗어날 수 없는 것이 陰陽五行의 이치이다. 음양오행의 상관관계에서 十天干과 十二地支가 만들어졌다. 10天干?12地支는 오행의 성정에 따라 相生?相剋이라는 작용현상이 일어난다. 이 生剋작용에 음양의 속성이 가미되어 合?沖이라는 작용현상이 발생하고, 合?沖의 혼재로 인하여 會?刑?害?破라는 작용현상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사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生?剋과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적 속성을 무시할 수 없다. 生剋작용이 오행의 절대적 작용개념이라면 合?會?沖?刑?害?破는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다. 공교롭게도 合?會?沖?刑?害?破가 사주팔자를 분석하는데 절대적 분석요소임에도 불구하고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기도 하다. 干支의 상대적 작용개념이란 작용적 측면에서 성립될 수도 있고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고, 그만큼 合?會?沖?刑?害?破의 작용력을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까닭으로 合?會?沖?刑?害?破의 작용력이 사주분석에서 무시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이 사주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五行의 성정과 干支의 속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五行干支의 生剋작용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合?會?沖?刑?害?破의 작용적 속성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合?會?沖?刑?害?破 각각의 작용원리에 대하여 명리고서를 통하여 고찰한다. 그런 연후에 合?會?沖?刑?害?破가 그 작용력을 발동하는 조건에 대하여 알아본다. 비록 合?會?沖?刑?害?破가 그 작용관계에 놓여 있다하더라도 무조건 그 작용력이 發動하는 것이 아니다. 작용관계가 성립된 合?會?沖?刑?害?破라도 그 작용이 발동하기 위해서는 發動條件이 성립되어야 한다. 合?會?沖?刑?害?破가 발동하는 성립조건을 ‘動機附輿’라고 칭한다. 즉 작용관계가 성립된 合?會?沖?刑?害?破는 ‘동기부여’가 되었을 때 비로소 그 작용이 발동하고 ‘동기부여’가 없으면 발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새로이 밝혀보았다. 그리고 合?會?沖?刑?害?破 상호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령 合과 沖의 작용관계에서 害의 작용이 발생하고, 合과 合이 혼재하여 刑과 破의 작용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合?會?沖?刑?害?破가 서로 혼재할 경우에 좋지 않다는 것을 원리적 시각에서 증명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刑合이론과 遙合?遙沖이론을 合?會?沖?刑?害?破의 ‘동기부여’라는 발동조건적 측면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논증하는 방법으로 명리고서에 나오는 사주사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를 검증하였다.
강경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With no regard to oriental and western nations a curiosity about universal origins has been a human task since the ancient times To deal with the task modern science continues to study the universe and present many outcomes In addition to macroscopic fields body science and microscopic studies for cells or configurations are in progress and human beings live in the middle of these situations. Yet curiosity about every question has begun with the situations and continued from time to time and became a philosophy. A philosophy has largely influenced the current era from a view of the beginning point of thinking and will do the same in the future. The philosophy started from a human curiosity and had a name of science in the process to be proved. Philosophical thinking is a man's natural quality and has created civilization and culture with a name of science under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What was the first curiosity of human beings? It might be a natural weather having a direct impact on human beings. Under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nature human curiosity has extended the area of thinking and under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it has developed to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thinking is different just as a civilization or a culture is different from another continent. Yet it began with similar methods in the similar time with regard to basic issues. Natural weather is what it had the first direct impact on human beings and in order to know this no matter which nation was a man called an unknown object as the god and analogical interpretations by many thoughts have developed religion, philosophy, civilization and culture in terms of continents or periods. Among peculiar philosophies in the ancient Chinese dynastie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civilizations or cultures in the East Asia there have been growing philosophers and theories in order to address the curiosity. The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ies have directly influenced Korea and Japan among East Asian territories and the Chinese philosophies are never excluded in order to learn traditional oriental studies. A key point has to be found out in order to know the Chinese philosophies. The key point means appreciation of the Mother Nature including the universe and the earth. What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named as in the process that the philosophies are developed for personalization? How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birth of the earth described? How is the connection to human beings explained? This study introduces all the basic questions. This study discusses the theme for composition of the universe with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second is the composition of the sky and the earth and the third is the composition of the sphere and all things. This study summarizes how a man is connected to the universe and the process to prove the connection depends upon the three steps. The whole structure of the theme for composition is the effect of the spirit and the effect works by regular campaigns. From a human view of the regular campaigns the characteristics of steps that the elements consisting of the universe depend on Yin and Yang, whereas the regular campaigns of the moon, the sun, the sphere and all things depend on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he universe from a human view is as big as a man is, which means a human spirit and the regular campaigns are equal to a human bod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underlines the philosophy for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hrough 『Huainantzu(淮南子)』 in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and the life for the standard of human body and spirit. 동서양을 막론하고 우주 근원에 대한 궁금증은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인류의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풀기위해 현대 과학은 우주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성과들이 보고되는 추세다. 우주의 거시세계 뿐만 아니라 인체학 그리고 아주 작은 세포단위 및 구성물질에 대한 미시세계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인류는 이러한 세계적 움직임 속에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모든 문제의 궁금증은 인간의 사유체계 속에서 시작되었으며 시대의 흐름 속에 이어지고 이어지면서 점차 철학으로 자리를 잡아왔다. 또한 사유의 출발에 있어서 철학은 현시대 까지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철학은 인류의 궁금증으로 부터 출발하여 증명되어지는 과정 속에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명명(命名)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철학적 사유는 인간의 본래적인 속성이면서 지식의 축적에 의해 과학으로 불리면서 현 인류의 문명과 문화를 만들어 왔다. 그러면 인류 최초의 궁금증은 무엇이었을까? 아마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의 기후현상이었을 것이다. 인간이 자연을 이해해가는 과정 속에 점차 사유의 폭이 넓어지고 많은 지식들의 축적 속에 거대한 우주로의 이상향과 현실세계의 문제를 풀기위해 많은 이론들이 쏟아지면서 점차 철학으로서의 발전을 가져왔을 것이다. 이러한 철학적 사유(思惟)는 인류가 거주하는 대륙에 따라 문명과 문화가 다르듯이 철학 또한 다르게 성립되면서 발전해 왔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에 있어서 유사한 시기에 유사한 방법론으로 부터 출발하였다. 인간에게 처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자연적인 기후의 환경이며,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능력으로 알 수 없는 그 무엇의 대상을 신(神)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면서 많은 사고의 유추적 해석에 의해 종교가 발전하고, 철학이 발전하고, 문화와 문명이 그 지역과 그 시대에 맞게 발전해 왔다. 동아시아의 문화와 문명에 많은 영향을 끼친 고대 중국의 고유한 사상 속에서도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사상가(思想家)들과 이론(理論)들이 발전해 왔다. 중국 전통사상은 동아시아 중에서도 특히 한국과 일본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현재의 전통 동양학을 연구한다면 중국철학을 빼놓고는 연구를 한다고 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렇다면 중국 전통철학을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중심점을 찾아야 한다. 우주와 지구라는 천지대자연을 이해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상들의 발전은 인격화되어 가는 과정 중에 우주의 근원을 무엇으로 명명하였는가? 우주의 근원과 천지자연의 탄생과의 연결고리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또한 인간과의 관계성을 어떻게 규명하고 있는가? 이러한 기본적인 내용들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 내용이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우주의 구성 테마를 크게 3단계로 논하였다. 첫째 우주의 근원, 둘째 하늘(天)과 땅(地)의 구성, 셋째 성신(星辰)과 만물(萬物)의 구성 단계로 설명하였다. 본 논문의 요지(要旨)는 인간과 우주의 관계성을 어떻게 규명(糾明) 하는가에 있었으며, 그 규명 방법은 위와 같은 3단계의 구성체계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에 구성요소의 전체는 기(氣)의 작용이며, 기의 작용은 다시 규칙적 운동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또한 기(氣)의 규칙적인 작용을 인간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우주의 구성물질이 발전하는 단계의 속성은 음양(陰陽)에 의한 것이며, 구성되어진 일월성신(日月星辰)과 만물의 규칙적 운동은 시령(時令)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그 결과 인간의 입장에서 바라본 우주는 인간과 같은 속성을 지닌 거대한 우주이며 이것이 인간의 정신(精神)임을 밝혔으며, 일월성신과 만물의 일정한 운동성은 인간의 육체에 비유됨을 밝혔다. 그럼으로써 본 논문은 우주와 인간의 관계성 및 인간의 정신과 육체는 무엇을 기준한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에 관해 『회남자(淮南子)』를 통해 시령사상(時令思想)임을 깨닫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