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등장하는 “김정숙” 호칭의 의미구조 분석

        김석향,박민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3

        North Korean society places special meaning on the name Kim Jong-suk, who is Kim Jong-il’s birth mother.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Kim Jong-suk’ was simply an average Korean girl’s name. Afterward, however, in North Korea the name became one that holds special meaning and symbolizes much more than the average female name. What was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placing such meaning behind a name? What message were they trying to send, and to whom were they directing said message? This article seeks answers to such questions. Through a study of numerous articles that mention Kim Jong-suk’s name in North Korea’s Joseon Nyeoseong [The Women of Korea] magazine between the years 1956 and 2016, I analyze and uncover the impact and implications that Kim Jong-suk had on North Korean society. First, the gradual change in her status since 1956 holds great significance as it reveals much about the role of power within the regime. Second, when Kim Jong-il held power, he attempted to give honorary male status to his mother. Third, analysis show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changed the story and meaning of Kim Jong-suk from that of a communist fighter to an anti-Japanese hero during that time. Presently, under the supreme leadership of Kim Jong-un, the government appears concerned with reevaluating how to portray her role in North Korean history. Their reexamination has become particularly more acute since 2017, as it marks the 100-year anniversary of Kim Jong-suk’s birth. 오늘날 북한사회에서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친할머니 김정숙의 이름은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때 한반도 어디서나 평범한 여성 이름이던 김정숙이라는 호칭이 분단 이후 북녘 땅에서 유독 특별한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북한당국은 어떤 의도로 누구에게 무슨 메시지를 전하려 했던 것인가? 이 의문을 해소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연구자는 1956년 이후 2017년까지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김정숙 이름이 나오는 사례를 수집 가능한 범위에서 전수 조사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찾았다. 첫째, 김정숙 호칭과 수식어가 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되짚어보면 북한 최고 권력자 현황이 그대로 드러난다. 둘째, 북한당국은 김정일 집권 기간 김정숙에게 명예남성 지위를 부여하려 했다. 셋째, 김정숙표상을 통해 북한당국이 선전한 시대적 여성상은 공산주의 투사에서 항일의 영웅으로 변화해왔다. 넷째, 북한당국은 필요에 따라 김정숙 표상을활용하여 여성을 설득하고 통제하고자 했다. 다섯째,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 지위에 오른 2012년 이후 김정숙 출생 100주년인 2017년까지 북한당국이 김정숙의 위치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북한군 상비병력 추정치에 관한 재평가 제안

        장철운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8 현대북한연구 Vol.21 No.3

        한국 국방부는 1988년부터 약 2년 주기로 『국방백서』를 통해 북한의 총병력과 군종별 병력, 주요 장비 및 부대 현황 추정치를 제시하고 있다. IISS 역시 매년 The Military Balance 를 통해 유사한 내용을 발표하고있다. 그러나 『국방백서』와 The Military Balance 에서는 불과 1~2년사이에 북한의 총병력이 적게는 수만 명, 많게는 1십만 명 이상 증가했다고 주장하면서도 같은 기간 북한의 주요 부대 및 장비 현황은 거의 변화하지 않은 몇몇 구간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지난 50년 동안『국방백서』와 The Military Balance 에서 발견할 수 있는 7개 구간의 극심한 북한군 상비병력 추정치 변화는 북한이 공표한 군사비 변화 맥락과도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단기간 내에 북한군 상비병력 추정치가 급증하는 변화는 한미연합군사령부(CFC) 창설 이후 더욱 두드러지게나타난다. 한·미 군 당국은 앞으로 보다 설득력과 신뢰성이 큰 북한군상비병력 추정치를 제시해야 할 것이며, 여기에는 북한이 유엔인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실시하는 인구조사 결과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Since 1988,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f R.O.K has been providing the estimates of the total military force, major equipment and subsidiary status of North Korea through the National Defense White Paper about every two years. IISS also announces similar contents through The Military Balance every year. However, the Defense White Paper and The Military Balance have argued that within a year or two, the total number of troops in North Korea has increased by at least tens of thousands and more than 100,000. Over the past 50 years, the extreme changes in the estimates of the North Korean armistice forces in the seven sectors that can be found in the Defense White Paper and The Military Balance are often unfavorable to the context of the military expenditure changes announced by North Korea. Such rapid changes in the estimates of the North Korean total troops in the short term are more promin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OK-US CFC. The ROK and US military authorities will need to present a more persuasive and reliable North Korean military force forecast, which will help the North Koreans with the support of the UNFPA.

      • KCI등재

        북한의 외화수급 및 외화보유액 추정과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시사점

        장형수,김석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1

        The historic Kim - Trump Summits in Singapore and Hanoi pave the road to the North Korea – US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The US will want to gain leverages by maintaining international sanctions on Nor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have exactly reversed incentives. This study first estimates North Korea’s balance of foreign exchanges (BFE) during the Kim Jong-Un Regime on top of the work of Zang (2013). Furthermore, the foreign exchange reserves (FXR) estimates of North Korea at end-2018 will be elicited with some discreet discussions. Based on the FXR estimates and some probable evolutions of 2019 BFE of North Korea, we project North Korea’s strategic moves along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 process. 미국은 북미 협상과정에서 최대한 대북제재를 유지함으로써 협상력을 높이려고 할 것이고 북한은 반대의 유인을 가지고 있다. 대북제재의 부정적인 효과가 초기부터 강하게 나타난다면 북한은 협상에서 상당히 어려운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제재의 경제적 효과를 결정할 핵심 요인 중 하나는 북한의 외화보유액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외화수급을 2012년에서 2017년까지의 6년간과 2018년의 두 단계로 나누어 추정한 다음, 김정은 집권 이전 외화수급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2018년 말 현재 북한의 외화보유액을 추정해 본다. 그리고 외화보유액 추정치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2019년 이후 북·미 협상과정에서 북한의 예상되는 대응을 전망해 본다. 북한은 대북제재의 악영향이 경제에심각하게 반영되기 전에 북미 협상을 타결하는 전략을 세웠다고 본다. 만약 북한이 어느 때부터 상품수입을 대폭 줄이기 시작하면 이는 버티기 전략으로 선회하였다는 신호일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대상 정착 목적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지역적응센터 초기집중교육 연계 방안

        조연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8 현대북한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nguistic accommodation education courses for North Korean Migrant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design practical syllabus. The two-sided feature of North Korean migrants’ language as a Korean for national people and a Korean for migrants has become a stepping stone and hindered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curriculum, rather than has achieved synergy effect between the two academic areas. Taking this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defines their language as ‘Korean for Settlement Purpose’ based on learner variables and learning purposes. An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the courses, this study designed five categories of education contents: culture, word and expressio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language manners and speech acts, activities and tasks. The study is limited by the fact that no practical teaching-learning was performed, and that only the early phase of settlement was covered. However, in the situation which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approach is lack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fines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ides a pedagogical and practical syllabus. It is hoped that it would give some usefu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언어적응교육 과정을 한국어 교육 관점에서 고찰하고, 요구분석과 상황분석을 통해 실천적인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 언어는 국어와 한국어의양면적 특성을 보이는데, 이것이 디딤돌이 되어 두 학제 간 상승효과를얻기보다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변인과 학습 목적을 근거로 북한이탈주민의 언어교육을 ‘이주자 대상 정착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 규정하고 실천 가능한 교수요목을설계하였다. 학습자 요구분석과 5개 기관 북한이탈주민 언어적응교육 과정 분석을 토대로 ‘문화, 단어와 표현, 발음과 억양, 언어 예절과 화법(화행), 활동 및 과제’의 5개 교육내용의 범주를 설정하고, 지역적응센터 초기집중교육과 연계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한 점과 정착의 초기 단계에만 초점을 맞춘 점은 본고의 한계로남는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적응실태에 관한 연구는 다소 있으나 교육적·실천적 접근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들의 언어교육을 학문의 한 분야로 구분하고 적용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함으로써후속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본다.

      • KCI등재

        한국인의 북한이미지

        최순미,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70여 년이 넘도록 분단된 채 살아가고 있는 남한 주민들의머릿속에 북한이라는 대상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북한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인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종속변수로 활용한 측정도구는 박명규와 이상신이 개발한 ‘북한이미지총화 척도’이며,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주관적 경제수준, 종교, 규칙적인 종교활동 여부, 정치적 성향 등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의 북한이미지는 세대, 경제수준, 종교, 정치성향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과 규칙적인 종교생활 유무에 따라서는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인의 북한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미지 총화 척도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정치성향’ 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대 변수는 종속국이미지에만 세대가높을수록 종속국이미지를 더욱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북한이미지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 북한이미지의 중층성에 대한 이해와 그 원인을파악하고 치유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국가적 차원에서 남북관계 관련 사안에 대한 초당적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 사회의 통합을 위한객관적 북한이미지 구축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North Korean image of South Koreans. It conducted a survey of 1,000 people to analyze the image of North Koreans. Dependent variable is ‘North Korean image scale’ that was developed by Park Myung-kyu and Lee Sang-shin.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age, subjective economic level, religion, regular religious activity and political orientation. This study found that South Koreans’ images of North Korea differ in generation, economic level, religious and political orient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x and regular religious lif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s image of South Koreans, “political orientation” affects all subcomponents of the North’s image. Generation variables affect the image of a subordinate country. The higher the generation, the stronger the perception of subordinate country image. The implications of South Koreans’ image of Nor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on a personal level, the process of healing the ambivalence of the Korean people’s North Korea image is necessary. Second, a bipartisan strategy is needed on issues related to inter-Korean re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Third, efforts are needed to build an objective image of North Korea for the integr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규범화된 조건적 환대와 도덕적 주체들의 부딪침

        윤보영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2 현대북한연구 Vol.25 No.3

        Most of the discussions on North Korean refugees as beings connected to North Korea are based on the belief that their successful resettlement can contribute to mutual understanding and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olicy surrounding North Korean refugees is visible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experiences of South Koreans who support them and North Korean defectors who receive support. Through this, North Korean refugees are provid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unification resources and are expected to be productive contributors and good residents critical of North Korea, with overlapping views of colonialism, race, and gender contradictions. In addition, by assuming unification as an exceptional domain of belief, North Korean refugees (and fundamentally, human beings) are treated as a means or objects of a goal set by others, losing sight of them as beings who have the right to their own rights. The paper suggests the need to review our view of human rights accordingly. 북한과 연결된 존재로서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이들의성공적인 정착이 남북한 주민의 상호이해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둔다. 이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을 둘러싼 정부정책이 일상생활에서 어떤 방식으로 등장하는지, 지원하는 남한주민과 지원받는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에게 남한 정부가갖는 통일자원, 생산적 기여자, 착한 북한이탈주민에의 기대에는 북한과북한주민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식민주의적, 인종적, 젠더적 모순의시각이 겹쳐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통일을 예외적인 신념의 영역으로 상정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 나아가 근원적으로 인간이 타인이 정해놓은 목적의 수단이나 대상으로 취급되지않고 자기 권리를 살 권리가 있는 존재임을 놓치게 된다는 점에서 우리의인권관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과 유엔의 진화하는 협력 게임: 유엔의 대북 개발협력 유형의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이경희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2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beginning with the development cooperation carried out by the request of North Korea in 1995, through the Program in Institutional Analysis of Social-Ecological Systems (PIASES). Analyzed through game theory, the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is conceptualized as a donor-recipient negotiations game in which donors and recipient countries change strategies based on the degree of asymmetry of power. The outcome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trategies presented by the two participants becomes a type of development cooperation.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have shown a form of development cooperation that changes over time as a pair of weak recipient and a strong donor: short-term agreements in the first period (1995-2002), no agreements and short-term agreements in the transitional period (2002-2007), and short-term agreem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agreements strengthened in the second period (2008-2018). From a macro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short-term to long-term agreements is an evolution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volution observ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aspects of North Korea learning through failure and endeavoring for long-term interests modifies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in that it conforms to Ostrom’s extended rationality model. In addition, positive changes in North Korea are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nlightened’ United Nations, and it can be seen that cooperation evolves through efforts of actors who want to create better alternatives by trial and error.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y the North Korea-UN negotiations gam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magining futur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as ‘artisanship’ emerges in the evolution process. 본 연구는 1995년 시작된 개발협력을 매개로 작동한 북한과 유엔의물 협력이 진화하고 있음을 오스트롬의 PIASES 분석틀로 실증한다. 게임이론을 통해 분석한 북한과 유엔의 개발협력 유형은 ‘단기협정’에서 ‘장기 협정의 성격이 혼재된 단기 협정’으로 변화를 보여주었다. 지속가능한 개발협력을 담보한다는 점에서 장기 협정이 최적의 균형이라면, 거시적 수준에서 장기 협정으로 이행은 북한과유엔의 진화하는 협력을 대변한다. 이러한 변화는 주인의식을 제고하려는 북한의 노력과 강한 공여자에서 계몽된 공여자로 전환하려는 유엔의 노력이 맞물려 창출되었다는 점에서 관계의 ‘진화’이기도 하다. 특히이 과정에서 목도된 실패를 통해 배우고 장기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북한의 면모는 북한 다시 읽기를 요청 한다. 북한-유엔 협력 게임이 보여 주는 협력의 진화는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인정신(artisanship)의 발현과정이라는 점에서 미래의 협력을 상상하는 데도 유의미한 함의를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