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등장하는 “김정숙” 호칭의 의미구조 분석

        김석향,박민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3

        North Korean society places special meaning on the name Kim Jong-suk, who is Kim Jong-il’s birth mother.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Kim Jong-suk’ was simply an average Korean girl’s name. Afterward, however, in North Korea the name became one that holds special meaning and symbolizes much more than the average female name. What was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placing such meaning behind a name? What message were they trying to send, and to whom were they directing said message? This article seeks answers to such questions. Through a study of numerous articles that mention Kim Jong-suk’s name in North Korea’s Joseon Nyeoseong [The Women of Korea] magazine between the years 1956 and 2016, I analyze and uncover the impact and implications that Kim Jong-suk had on North Korean society. First, the gradual change in her status since 1956 holds great significance as it reveals much about the role of power within the regime. Second, when Kim Jong-il held power, he attempted to give honorary male status to his mother. Third, analysis show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changed the story and meaning of Kim Jong-suk from that of a communist fighter to an anti-Japanese hero during that time. Presently, under the supreme leadership of Kim Jong-un, the government appears concerned with reevaluating how to portray her role in North Korean history. Their reexamination has become particularly more acute since 2017, as it marks the 100-year anniversary of Kim Jong-suk’s birth. 오늘날 북한사회에서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친할머니 김정숙의 이름은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때 한반도 어디서나 평범한 여성 이름이던 김정숙이라는 호칭이 분단 이후 북녘 땅에서 유독 특별한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북한당국은 어떤 의도로 누구에게 무슨 메시지를 전하려 했던 것인가? 이 의문을 해소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연구자는 1956년 이후 2017년까지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김정숙 이름이 나오는 사례를 수집 가능한 범위에서 전수 조사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찾았다. 첫째, 김정숙 호칭과 수식어가 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되짚어보면 북한 최고 권력자 현황이 그대로 드러난다. 둘째, 북한당국은 김정일 집권 기간 김정숙에게 명예남성 지위를 부여하려 했다. 셋째, 김정숙표상을 통해 북한당국이 선전한 시대적 여성상은 공산주의 투사에서 항일의 영웅으로 변화해왔다. 넷째, 북한당국은 필요에 따라 김정숙 표상을활용하여 여성을 설득하고 통제하고자 했다. 다섯째,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 지위에 오른 2012년 이후 김정숙 출생 100주년인 2017년까지 북한당국이 김정숙의 위치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여성의 삶을 역사화하기: 북한 여성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이 글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진 북한 여성사 연구 동향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성과와 한계, 앞으로의 과제를 밝혔다. 북한 여성사 연구는한국전쟁과 여성 경험, 여성의 노동과 직업 생활, 국가와 모성·재생산, 여성의 섹슈얼리티, 시대별 여성의 삶, 여성 교육과 조직 생활, 여성 지도자와 인물, 남북한 여성사 비교 등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여성의 구술사와 담론 분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 학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의 장에서 북한 여성사 연구 성과물이 나오고 있는 점은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 여성사 연구가 전체적인 편수도 적고주제 또한 다양하지 못한 점, 북한 여성사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이 빈약한점, 제약된 연구 자료를 가지고 북한 여성사 전체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 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북한 여성사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여성사 연구는 연구주제를 보다 확대하고 이론과 연구 방법을 더욱 정교화해야 하며,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사 연구가 한 분과로 안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북한 여성사 연구의 성장을 위한 시론적 논의로, 앞으로 북한 여성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대학 혁신 연구: 교수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엄현숙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대학 변화를 혁신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북한에서 대학 교육의 직접적 담당자인 교수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는매우 중요하며, 이에 국가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주의 전면적 발전론과연계되어 국가 주도의 고등교육 개혁이 추진되고 있다. 둘째,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방법으로 대학 혁신을 꾀하고 있다. 셋째, 세계적 수준의연구중심대학을 지향하나 교수의 전문성을 높이기에 어려움이 있다. 넷째, 학사-석사-박사로 연계되는 학위체계가 도입된 후에도 정작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기피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대학 혁신의현실적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고등교육 변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시스템 사고를 통한 북한 농촌 재생에너지 확산 경로 분석 및 함의

        김은진,고도연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를 통해 북한 농촌 재생에너지 보급 문제에관한 특수한 상황을 인과지도로 구성하고, 제언을 도출하였다. 우선, 가용한 자료를 포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제와 관련된 북한의 정치·경제적상황과 국제적 입장을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구성 요인을도출하고, 이들 상호 간에 논리적 구조를 검토하여 인과지도를 구성하였다. 시스템은 크게 내부와 외부로 범주화하였으며 내부 요인에는 북한의경제정책, 지역 간 격차 및 자력갱생 정책과 시장을 통한 재생에너지 보급경로 등을, 외부 요인에는 대북제재로 인한 무역과 개발협력 제한, 기후변화 대응 및 국제 논의 참여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을 통해 요인 간에 상호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순환 고리와 연결성이 높은 지렛점을 포착함으로써북한 농촌 재생에너지 보급의 지연 요인과 확대 요인 및 그들의 역학을파악하였다. 인과지도 분석 결과, 북한 개발협력의 지렛점으로 기후협력을포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자간의 기후협력 등 경로를 개진하고, 남북한 협력 주체들의 이점에 초점을 두고 그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utilizes systems thinking to organize the distinctive aspects surrounding rural renewable energy deployment in North Korea into a causal map from which actionable recommendations are derived. A thorough examination of available data was conducted to elucidate North Korea’s political, economic, and international stances related to the issue. System components were identified and their logical interconnections were scrutinized to construct the causal map. The system was broadly categoriz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encompass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regional disparities, self-reliance policies, and pathways for renewable energy deployment through markets. External factors include constraints on trade and development cooperation due to sanctions, responses to climate change, and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discussions. Numerous feedback loops and highly interconnected choke points were identified, unveiling factors that both impede and facilitate rural renewable energy deployment in North Korea. The causal map analysis underscored climate cooperation as a pivotal point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North Korea. As a recommendation, pathways for climate cooperation, including multilateral initiatives, should be revitalized with a focus on mutual benefits for cooperating ac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뉴델리의 접촉지대, 북한 유학생을 만나다: H 대학교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최영현,최선경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1

        This study defines ‘H’, a university in New Delhi, India, as a contact zone in which multinational students interacted with a North Korean student, ‘B’, and aims to examine the students’ changing perception toward North Koreans. An overseas campus is a social space that enables relatively equal status, unconfined interaction, an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rough an in-depth ethnographic interview, this study looks at the students’ everyday interac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perceptions. This unique case study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ree distinct aspects. First, it involves a North Korean, who ‘legally’ migrated abroad, and his interaction with other multinational peers including South Koreans. Second, it analyzes the ‘space factors’ within the context of a foreign campus. Third, it can serve future researches by illuminating a broader context of contact zone, namely the outside world. 이 연구는 인도 뉴델리에 소재한 H 대학교 캠퍼스를 북한 학생 B와 다양한국적의 학생들이 상호작용하는 ‘접촉지대’로 정의하고, 해당 학교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캠퍼스는일상에서 비교적 동등한 관계, 자유로운 상호작용, 그리고 친밀한 관계형성이 가능한 공간이다. 민족지적 심층면접에 기반을 둔 이 연구는 북한학생 B와 국제학생회 학생들의 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참여자들의인식 변화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첫째, 탈북민이 아닌 해외에서 유학 중인 북한국적자와 타 국적자 간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둘째, 북한 주민과 한국학생을 포함하는 국적이 다양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해외캠퍼스라는 공간적 효과에 주목했다. 셋째, 해외 대학이라는 접촉지대의사례는 외부 세계라는 보다 큰 접촉의 맥락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