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atterning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by micromolding in capillary

        박민주,최원묵,박오옥 한국물리학회 2006 Current Applied Physics Vol.6 No.4

        Here we describe a method of patterning electroluminescent (EL) polymers using micromolding in capillary (MIMIC). MIMIC isthe one of the lithographic methods based on the microudics among the soft lithography using a patterned poly(dimethylsiloxane)(PDMS) elastomer. The patterned microstructures of poly(dioctyluorene) (PDOF), poly(p-phenylenevinylene) (PPV), and poly(2-methoxy-5-20-ethylhexyloxy)-p-phenylenevinylene) (MEH-PPV) were fabricated by MIMIC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PLEDs). In addition, the solution viscosity eect on MIMIC process was studied. Finally, a PLED device was fabricated usingthe patterned EL polymer microstructure and a patterned emission image was obtained.

      • KCI등재

        노만 맥라렌 실험 애니메이션의 아방가르드적 특성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필름 제작에 있어서의 기술적, 구성적 혁신으로 애니메이션사(史)와 현대 실험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가치로서의 위상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던 작가 노만 맥라렌(Norman McLaren)의 작품세계와 그것의 아방가르드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맥라렌은 존 그리어슨의 초청으로 캐나다 국립영화제작소(National Film Board of Canada)로 자신의 작품 제작의 무대를 옮겨갔던 1941년부터 1984년까지 43년 이라는 기간 동안 놀라운 속도와 끈기, 집념, 그리고 실험정신으로 필름 제작에만 몰두하였다. 그의 방대한 작품세계는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각 작품들마다의 다양한 내러티브 구성방식과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유연성으로 인해 혁명적 기법과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아방가르드 작가들과 비평가들에게서 외면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맥라렌이 고안해 내었던 새로운 필름 제작 기법과 그가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던 그의 예술에 대한 신념, 사회적 가치, 인간적 고뇌를 분석함으로써 평가 절하되어있는 한 예술가와 그의 작품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아방가르드작가 렌 라이(Len Lye)와 함께 추상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장을 열었던 Direct on Film 기법과, 애니메이션과 라이브 액션을 결합한 Pixillation 기법, 그리고 새로운 인체 동작의 표현을 가능하게 했던 Multi-Images 등 그가 고안하고 실험하였던 세 가지의 기법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본고는 이러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맥라렌의 작품세계의 아방가르드적 특성을 ‘첫째, 끊임없는 실험에 의한 혁신적 표현의 방법, 둘째, 모더니즘으로부터 시작되어 맥라렌에게로 이어지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계보, 셋째, 인체와 인간의 움직임에 대한 관심과 재해석’이라는 결론내리고 오늘날 독립적인 예술의 한 분야로 애니메이션의 위상을 끌어올리는데 혁혁한 공헌을 하였던 그의 작품세계의 가치를 입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art of well-known experimental animator Norman McLaren, and th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 in avant-garde art. McLaren began working on films seriously in 1941, when he was invited to the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by John Grieson. Over the the next four decades, he composed works at a startling pace, exhibiting a strong spirit for experimentation. However, his massive career in film has been widely neglected by avant-garde critics because of his various types of narrative structures and flexibility between abstract and representative images. In this paper I try to elucidate one artist whose work has been undervalued. I argue that his work was based on his conviction to art, appreciation of the social value of film, and adaptability as an artist.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three techniques: Direct on Film, Pixillation, and Multi-Images. These are techniques he invented and experimented with as he faced the artistic challenges of the new medium. This paper shows that while McLaren is clearly an avant-garde artist, there were numerous factors that led some critics to unjustly ignore his work. Also, this research revalues the film work of Norman McLaren and the way he enhanced the position of animation distinctly as an independent art form.

      • 당원병 제 Ia형 환아들의 임상적 고찰

        박민주,안희재,이정호,이동환,Park, Minju,Ahn, Hee Jae,Le, Jeongho,Lee, Dong Hwan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4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4 No.2

        Purpose: There are 15 types of Glycogen storage disease (GSD) that have been identified, and GSD type Ia is the most common type. There are several studies of Korean GSD type Ia patients' long-term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to find ou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of GSD type Ia patients. Methods: We performed clinical, biochemical and genetic analysis retrospectively on five patients diagnosed with GSD type Ia in a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02 to July 2014. Results: All patients had hepatomegaly at diagnosis, and they were all confirmed to have fatty liver at abdomen USG. They had no developmental delay, but two of them had growth retardation. Elevated blood lactate, triglyceride, and uric acid levels can find out all patients, but only one patient had hypoglycemia. They are diagnosed with GSD through gene analysis, and by gene analysis, they have c.648G>T (homozygote, splicing mutation), c.122G>A/c.648G>T, c.248G>A/c.648G>T mutations. Treatment with three times meals, three times snacks and four to six times use of uncooked constarch for all patients. Following the progress, one of them resulted in hypothyroidism, other one had renal stones. A patient diagnosed at 16 years old had liver cirrhosis and started having hemodialysis for ESRD. Conclusion: GSD type Ia patients had hepatomegaly, hyperlipidemia, hyperuricemia, and lactacidemia. Therefore patients who have such these symptoms are recommended gene analysis. A patient diagnosed at 16-years-old had liver cirrhosis and ESRD in progres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important for GSD type Ia patients.

      • KCI등재

        지역 행사로 인한 교통영향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박민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1 관광레저연구 Vol.33 No.11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the Yeosu World Expo, as well as events and festivals held competitively by local governments, are held every year. Event planning and operation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se events, but efforts to minimize the accessibility of visitors and the inconvenience of local residents around the event are essential. In particular, in downtown areas where there are many events or assemblies, when road lanes are blocked, road capacity decreases and traffic patterns in the area change, resulting in extreme traffic congestion. In this study, to examine how much road control caused by events or assemblies in downtown areas affects surrounding roads by using data, we propose a method of setting the influence area using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If the sphere of influence for each event can be identified in advance, each local government will be able to preemptively establish countermeasures for traffic congestion.

      • KCI등재

        1950-60년대 워너브라더스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서 프로덕션 디자인 콘셉트에 관한 연구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2

        Concept making process for animation production is intellectual fundament which helps artists channel their thoughts and make the ideas solid. Production design makes an artificial world believable and lets things make sense in that world to audience. Founded in 1929, studio Warner Bros. created more cartoon stars than any other studios and produced the funniest cartoon episodes with reckless irreverence and crazy ideas. The richness of characters was created by genius of artists in Warner Bros. using strong concept of production design. The combination of their concept and Modernism produced the innovative design and color, and influenced not only to animation industry but also to other medias such as TV, live action film, and literature. This paper studies about the importance of design concept in animation production, the relationship to content, and the expansive direction of animation production design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of the design concept in Warner Bros. studio.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paper researches and studies about Warner's production design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udio to their concent making process such as gag, graphic narrative, and background based on the interviews of directors and producers, press, and artworks from the period.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서 프로덕션 디자인 콘셉트 작업은 프로젝트에 대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연결하여 하나의 견고하고 논리적인 계획으로 구체화시키는 지적(知的) 과정이다. 프로덕션 디자인은 허구의 세계를 ‘그럴듯하게(believable)', 그리고 ’말이 되게(making senses)' 만들며 관객들을 그 세계로 몰입하게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1929년에 설립되어 196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디즈니와 함께 미국 카툰 황금기의 중심에 서 있었던 워너브라더스 스튜디오는 그 어떤 스튜디오보다 많은 스타 캐릭터들을 창조하였다. 워너브라더스 캐릭터들의 풍부한 내면세계는 그들을 창조한 크리에이터들의 천부적 재능과 탄탄한 프로덕션 디자인 콘셉트에 기인한다. 그들의 콘셉트는 당시의 모더니즘적 성향과 맞물려 혁신적인 디자인과 컬러 스타일로 타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물론 현재의 영화와 TV, 그리고 다른 예술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워너브라더스의 프로덕션 디자인 콘셉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서 프로덕션 디자인 콘셉트의 중요성과 콘텐츠와의 관계, 그리고 국내 애니메이션 프로덕션 디자인의 발전적 방향을 재고(再考)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방법으로 본고는 당시 프로듀서와 감독들의 인터뷰, 기사, 아트워크 등을 근거로 하여 스튜디오 설립 배경에서부터 개그, 그래픽 내러티브 등 그들의 디자인을 만들어 낸 콘셉트 메이킹 프로세스, 그리고 현재 워너브라더스 프로덕션 디자인이 가지는 가차와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러시아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유리 놀스테인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이야기 속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4

        Yuri Norstein, Russian independent animator, created his own way to express his unique idea and sense of art with cut out animation which was animated with paper puppets and shot frame by frame. He contributed to enhance not only the techniques of cut out animation but also the value of independent animation field using the most direct figures and the simplest medium, and expressing the most complicate emotions. Norstein showed his careful insight about human beings based on Russian traditions that he was grown up and educated with. He has been evaluated as today's one of the most representable animators and independent animation direc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lluminate the direction independent animation field should proceed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elements that satirize in Norstein's animation piece caused by Russian political background of 1960 and 1970s. This paper shows the roles of independent animation and animator against totalitarianism in that period and their influences that effect to animations nowadays. By analyzing his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using non linear storytelling,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way to students who try to be an independent animator to overcome the limits of techniques and to develope new animation techniques that fit to their own ideas. 러시아 독립 애니메이션의 거장 유리 놀스테인은 배경위에 종이로 만들어진 인형들을 놓고 애니메이팅하며 한 프레임씩 촬영해가는 컷아웃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아이디어와 예술성을 표현한 작가이다. 가장 직접적인 형태로 가장 복잡한 감정을 가장 단순한 재료를 사용하여 표현했다는 점에서 놀스테인은 컷아웃 애니메이션 기법뿐만이 아니라 독립애니메이션의 예술성과 작가 정신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작품에서 그가 태어나고 교육받은 조국 러시아의 전통을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었으며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현대의 대표적인 애니메이터이자 감독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60년대와 70년대에 걸친 러시아의 시대와 정치적 배경으로 인해 유리 놀스테인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요소들이 풍자하고 있는 의미의 분석을 통하여 당시의 전체주의 이념에 저항했던 독립 애니메이션과 작가의 역할, 그리고 그것이 현대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주의에 끼친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지금의 독립 애니메이션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조명해 본다. 또한 그의 컷아웃 애니메이션 제작 방법과 넌리니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메시지 전달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실험 애니메이션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기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북한 “에네르기” 담론의 변천사

        박민주,김석향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noted a surge in "energy(enerugi)" expressions in the Discourse in North Korea since Kim Jong-un took power. To reveal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dealt with the "Enerugi" discourse over time, This paper analyzed an article in the "Rodong Shinmun" that featured the word "Enerugi" in its title from 1946 until 2018. First, while the North's overall "energy" discourse was not big until 2000, the North's authorities have been hiding and denying its nuclear development in the name of a nuclear power since the 1950s and publicly promoting its nuclear arsenal since 2010. Second, the type of discourse that deals with overseas energy development cases emerged shortly after the oil crisis, dealing with global energy dispute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and has since developed discussions i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spects since the late 2000s. It also began to expand its list of cases to the west. Third, the guideline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gives to its people regarding energy issues recommend saving in the late 1990s, but in the early 2010s, they change to emphasizing self-reliance and requiring donations after 2015. Since Kim Jong-un's inauguratio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emphasized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 but it appears to be asking its people to take over the business area during the period the authorities are responsible for. Summing up the finding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ppear to have not been deeply concerned about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energy shortage over the past seven decades. In the era of Kim Jong Un,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developing energy policies by increasing the burden of the people and dependence on overseas. 이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공적 영역에서 외래어 “에네르기” 표현이 급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시대별 의미의 변화를 밝히고자 했다. 해방 이후 2018년까지 『로동신문』 기사 제목에 “에네르기” 단어가 등장하는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당국은 2000년대 초반까지 석유파동, 해외의 원자력 개발사례 등 주로 국제적 동향을 보도할 때 간헐적으로 “에네르기”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핵실험 의혹에 핵에너지 개발이라는 명분으로 대응하면서 “에네르기” 담론도 급증한다. 2010년 이후 노골적으로 핵 보유를 선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에너지 관련 해외동향 담론은 2002년 “악의 축” 규정 이후 수량이 증가하였다. 담론 내용은 미국과 서방세계를 비난하는 반미반제 성격이 뚜렷해지는 한편 미국과 에너지 분쟁 중인 러시아와 중동의 에너지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언설이 등장한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자본주의 국가를 정치적으로 비난하는 분량을 줄이고 해당 국가의 대체에너지 개발 동향을 보도하는 방식으로 내용이 달라진다. 셋째, 김정은 집권 이후 “에네르기” 담론은 급증하였고 내용도 북한 외부보다 내부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주민에게 에너지 문제와 관련하여 던지는 지침도 달라진다. 주로 절약을 권하던 담론은 2010년대 초반부터 자립을 강조하고 2015년 이후 헌납을 요구하는 내용으로 변모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지난 70여 년 동안 북한당국이 에너지 부족의 해결방안을 근본적으로 모색하려 했던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김정은 집권 이후 마땅히 당국이 책임져야 할 기간 사업 영역까지 주민에게 떠맡으라고 강요하면서 민간의 부담과 해외 의존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흐름을 감안할 때 향후 북한 에너지 부문의 자립은 상당히 요원해 보인다고 하겠다.

      • KCI등재

        실험 애니메이션 교육의 실험적 실습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8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n experimental animation is to let students have vigorous imagination and overcome the limitation in terms of technical expression and concept making process. Moreover, it encourages students to perform the role of a creative film art director based on understanding the production process as they accomplish their independent project. The scholarly core meaning of experimental animation is not producing animation but creating it, and ‘Experiment’ means the process such as story, style, concept, and techniques for creating individually unique animation.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xperimental animation education is the system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ani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for letting students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express their creativitie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o aware the importance of finding a new practical methods that show students the way to find their creativity, and to suggest the model to develop the process. So first, this research redefines the meaning of experimental animation. Second, this study shows the teaching methods from the professors in animation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s the methods and their meaning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model of the practical methods to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experimental ani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