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정규 미술치료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연구 동향

        이수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한국에 미술치료가 도입 된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의 증가에 따라 미술치료 분야는 신 유망직종으로 떠올랐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동안 발전해온 한국의 미술치료 연구현황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미술치료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가 있긴 하였으나 제한적인 대상의 연구동향이며 다른 미술치료관련 연구 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미술치료의 발전현황과 향후 연구 분야의 필요성에 대해 알리고자 국내 개설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청구논문을 구조 분석함으로서 2001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발표된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각 대학원별 및 연도별 편수를 통계 처리하여 그 동안 미술치료연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논문제목에 나타나는 연구대상과 연구주제를 분류하여 그 다양성과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미술치료 연구의 편중되지 않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기초자료 수집은 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미술치료로 검색된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한을 두고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21개 대학원 중 아직 청구논문이 발표되지 않은 대학원 한 곳을 제외한 20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논문 108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미술치료 학계의 연구는 매년 그 수가 급상승 하였는데 2001년 12편의 발표를 시작으로 2002년 34편, 2003년 60편, 2004년 62편에서 2005년 119편의 논문이 발표되면서 상승선을 나타내었다. 2006년에서 2007년도에 잠시 감소되었으나 2008년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추가 신설로 다시 증가하여 2010년 17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한국 미술치료가 10여 년 동안 수직에 가까운 연구발전 하였음을 보여 준다. 둘째, 미술치료 대상자를 문제유형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을 때 일반문제 현상 대상이 172편으로 전체 16%, 비장애일반인 대상이 154편으로 전체 14%의 비율을 보이며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 보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가 더 많은 비율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 연구주제별 구분을 통해 분류하였을 때 정서를 연구주제로 다룬 연구가 총 293편, 전체 20%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다음으로 기타연구, 자아개념-자아존중감이 전체 비율 중 20%를 차지하여 정서부분의 주제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연구되었다. 이는 현대인의 정서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미술치료 또한 정서적인 부분을 많이 연구해왔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가 급성장해온 한국 미술치료학계의 향후 더 발전된 연구방향을 위한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en years after introduction in Korea, art therapy is now spotlighted as a newly emerging type of occupation accompanied with increasing concern and needs for it. At this point of time, it would be timely significant to have doubts about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for its studies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to the trend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the meantime, they were far more limited in scope and number than other studies related to art therap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future needs of art therapy studies in Korea with a view to contribute to their progress in a balanced wa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into the number of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pened by domestic graduate schools from 2001 to 2011. The number of theses by institution and year was counted statistically to see how th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hitherto progressed as well as the subjects and topics of the studies were also classified by category to find diversity of and changes in them. The basic data for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http://www.nanet.go.kr/)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kr/) for the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A total of 1083 theses were put to analysis that were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20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excluding one that did not post any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ses applied for.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has recorded a steep increase from 12 in 2001 to 34 in 2002, 60 in 2003, 62 in 2004, to 119 in 2005. After a little decrease in 2006 and 2007, the number started turning around on the upcurve after addition of regular courses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s in 2008, reaching eventually 177 in 2010, an obvious evidence for almost vertical upturn for the period. Second, divided by sort of problems facing the subjects, 172 theses or 16% of all handled the subjects with general problems of disability while 154 or 14% handled persons without disability, a certain evidence showing that mor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conducted to the non-disabled subjects than to the disabled ones. Third, classified by category of the study theme, the biggest number of 293 or 20% of the whole studies dealt with sentiment, and another 20% of studies handled miscellaneous themes and themes of self-concept or -esteem, featuring the aspects that attention was focused mostly on the issue of sentiment in art therapy in reflection of contemporary people's concern for emotional issues. Latly, it is the writer's wish that this paper may serve as a step stone for further progres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that has grown at a steep pace.

      • 한국과 미국 정규 미술치료 석사교과과정 비교 연구

        노정석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a comparison of curricula for art therapy of 17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7 universities in the USA with a view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a as well as education for art therapy of both countries and, by thus, to help domestic institutions establish a future-oriented curriculum for art therapy. This study will also do much for the 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rt therapy as a major to find what is required of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for th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who are practicing art therapy upon finishing the graduate course to fill up their weakness that has come to forefront in their career. The graduate course for art therapy in Korea may b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mall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art therapy are set up at the graduate schools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and they are providing less than 30 credits in general, which makes it urgent to introduce new curricula in a move to enhance competence of art therapists and improve the related educational systems. More than 50 credits at least should be available to ensure better qualification of art therapists in reality.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stipulate the qualification for admittance to graduate schools to be furnished only to those who have completed and acquired basically more than 12-18 credits in the practice course of art and more than 12 credits in the course of psychology at college, as most universities and colleges do in the USA. Since, however, it is actually impossible to specify qualification for admittance in Korea as is done in the USA, it should be reques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redits at graduate schools for those who have to take courses in psychology and art practice which they can't take at college. The current level of around 30 credits must be far behind from the requirements for training high-quality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in the USA shall be regarded in fact as very superior to those of Korea who have to take courses in psychology as well as in practice at graduate schools in parallel with other subjects that are almost half in number of those in the USA. Although it is possible for thos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art practice at college to advance to graduate school to attend the class training art therapists in parallel with psychology, most students in Korea who have attained bachelor's degree at the colleg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 not at the fine arts college, take the master's degree program at graduate school to become art therapists. In other word, they become art therapists having just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for art therapists without understanding to fundamentals of fine arts, causing a vicious cycle eventually. The program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 may be considered to be systematically operated, to say the least, but the problem is that lots of people who have only been trained by the short-term courses at other than graduate schools and are therefore not qualified are actively engaged in practice in the name of art therapists. This, above all, should be rectified definitely and urgently by introduc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art therapists. It is encouraging to see that handicapped persons have come to greatly benefit from various policies including the activated boucher project that wa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ely, however, now is the time to take bold measures to straighten out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 in which unqualified art therapists are actively practicing art therap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voucher project. It is also suggested to revise the curricular for art therapy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 sinc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even those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mater's degree programs are far behind from being regarded as properly qualified for practicing art therapy in the field due to exceedingly short number of credits and clinical practice hours according to the curricula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In case of the USA, qualification for art therapy is imparted only to those who are awarded with mater's degree for art therapy from 27 universities that have been accredit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Art Therapy. Whereas, in Korea, there is no official organization yet recognized to provide qualification for art therapy but several academic socie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doing the job loosely. The data concerning the license for art therapy issued by 4 domestic academic societies and regulations of ATR qualification of the USA are enclosed in this study in an attempt to make them serve as basic data for comparison and review before introducing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art therapist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17개 대학원의 미술치료 교과과정과 미국 7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함으로서 양국 미술치료 교과과정 및 교육의 차이점을 간파하고 한국의 미술치료전공이 미래지향적인 교과과정을 개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치료분야를 수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이나 이미 졸업하고 예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 예술치료사들에게도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하여 어떠한 교과과정이 요구되는가를 간파함으로서 개인별로 부족한 부분의 지식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대학원 과정의 특성은 미술치료 관련과목이 미국에 비하여 적게 개설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30학점 미만을 운영하고 있어 미술치료사의 질적 향상에 새로운 교과과정과 교육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상태이다. 최소 50학점 이상의 교과과정을 운영하여야 현실적으로 미술치료사의 질적 향상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과 같이 기본적으로 미술실기과정을 12-18학점 이상 수강한 자와 12학점 이상의 심리학 과정을 학부에서 수강한 자로 입학자격을 규정지을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입학자격을 미국과 같이 규정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따르기 때문에 결국 대학원에 입학하여 심리학 과목과 미술실기 과목을 수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점수를 늘려야 할 것이다. 현행 30학점 정도로는 양질의 미술치료사를 양성하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대학원 과정이 학점도 미국의 대학원과정에 비하여 1/2 수준임에도 심리학이나 미술실기과정을 병행하여 수강하여야 하는 한국의 경우는 미술치료사의 자질이 많이 떨어져 있는 현실이다. 미술치료를 석사과정에서 수학하기 위하여 당연히 미술실기과정을 학부에서 수강한 자가 대학원에 입학하여 심리학과정을 병행하면서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을 수학할 수는 있지만 국내 대학원의 경우 미술대학 출신이 아닌 인문학 계열이나 사회복지 학사학위를 마치고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미술치료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미술의 기본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을 거쳐 미술치료사가 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그나마 대학원 과정에서의 수학과정은 체계적으로 진행한다고 볼 수 있지만 문제는 대학원외의 단기교육과정에서 양성되는 무자격자들이 미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부분은 절대적으로 시급하게 국가 공인자격증 제도의 도입으로 정리되어 지기를 희망한다.

      • 온라인 한·일 국제교류 프로그램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동서대학, 규슈산업대학 국제교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동서대학, 규슈산업대학 국제교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타케우치 칸타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is a study of the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of three universities conducted in 2021.to the recent global epidemic of COVID-19, online design learning has been conducted all over the Globe by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prevent massive infections.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dopted by the leaders of the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2015.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select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ies that teach Design,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in the modern era to compare and analyze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academic structure, online education method, class satisfaction of both universities, and seek the future of design learning. Therefore, the research target universities continued exchanges for more than 20 years and Dongseo University and Kyushu Industrial University were selected, which are design-specialized universities. Next,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design education in Japan, the academic structure of both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are described. Since Dongseo University is a design-specialized university, conducting an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course with Ulsan University and its overseas affiliated institutions, including Kyushu Industrial University of Japan.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operating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through mutual visits every year during summer vacation. The program was converted to a new concept practical online class method.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4 to May7,2021, targeting a total of 106 students(78) and professors(28). The main content of the survey was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ducation methods in design universities, which mainly consists of practical classes. After identify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they were compar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sign education was presented. In Design educ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lasses are both important, although theoretical classes can to be conducted online, and practical classes need to be condu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such as how to conduct face-to-face classes, how to set the number of students in advance, or by time.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 survey of 12 questions from April 24 to May 7, 2021, related to online education and the main content was education method,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gap.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ntents (special lectures, workshops, interim and final presentations) of the subjects of the international online exchange project, and the satisfaction of 53 participants.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im announcement between October 15 and October 21, 2021. Third, it was conducted after the final presentation of the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course was completed. The period was held from December 07 to December 19, 2021. As a result,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students, difficulties in investing time, etc., but overall satisfaction was 80% or more positive. Online education platforms can converge through new technology, virtual campuses and virtual classrooms based on future of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subject directions, SNS(Instagram, Facebook, YouTube etc.) and virtual space(AR, VR, metaverse). Research is conducted to develop and expand exchange projects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he use of language and culture, reinforcement of prior learning such as language and culture, and communication methods. 본 연구는 2021년 진행했던 3개 대학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코로나-19 감염병(COVED-19)의 글로벌 유행으로 현대시대는 온라인 통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UN(United Nations)지정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인 4.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의 목표(Quality Education)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갈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시대의 디자인 교육 현황의 이해 및 파악을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대학교를 선택하고 양국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와 양 대학의 학사 구조, 온라인 교육 방식 및 수업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이들 양 대학의 교육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대상 대학교는 20년 이상 교류를 지속하고 디자인 특성화 대학인 동서대학교와 규슈산업대학교를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로써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다음, 한국의 디자인교육과 일본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 및 양 대학의 학사구조, 국제교류 프로젝트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디자인 특성화 대학인 한국 동서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해외 자매대학인 일본 규슈산업대학교와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을 2021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다. 3대학교는 매년 여름방학기간을 활용하여 상호방문을 통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이번 온라인을 통한 신개념 실질적 수업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전환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1차 설문조사는 양대학의 학생(78명), 교수(28명) 총106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4일~5월 7일에 진행하였다. 디자인대학내 온라인 교육 방식의 현황을 기술하였다. 주로 실습수업으로 이루지는 디자인교육에서는 온라인수업에서의 한계점이 있다. 또한, 수업 중에 카메라 활용 여부와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등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 후에 온라인수업과 대면 수업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교육은 실습수업이 중요하기에 이론수업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실습수업은 대면으로 진행하는 방식, 미리 수강인원을 정하거나 시간별로 진행할 방식 등 상황에 따라 실습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학생대상으로 온라인 교육 및 온라인콘텐츠 관련된 12문항과 교수대상으로 교육방법, 교육내용, 우수교수법, 학습격차 등 11문항으로 설문조사를 2021년 4월 24일 ~ 5월 7일 가간에 실시하였다. 둘째,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내용(특강, 워크숍, 중간 및 최종발표) 및 참여자(53명) 만족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15일~10월 21일 기간에 중간발표 종료 후에 진행하였다. 셋째, 온라인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최종발표 종료 후에 진행하였다. 기간은 2021년 12월 07일~12월 19일에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간의 언어 및 소통문제, 시간 투자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점 있었지만, 전체적인 만족도는 모두 80% 이상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향후 온라인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방향성과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 YouTube 등), 가상공간(AR, VR, 메타버스)을 기반으로 가상캠퍼스 및 가상강의실을 통한 새로운 기술융합을 통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활용, 언어 및 문화 등 사전학습의 강화, 커뮤니케이션의 방법 등 다양한 국가의 교류 프로젝트의 발전 및 확대되기 위해 연구를 한다.

      • 대학생 아파트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부산 D대학 캠퍼스 기숙사를 중심으로

        담치우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대학생 기숙사는 대학 캠퍼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대학생들이 학교에 있는 동안 공부와 생활을 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고 고등교육이 보편화되면서 대학생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학생 기숙사는 밀집되고 폐쇄적으로 변해 교류, 휴식, 활기가 부족한 공간이 되었다. 특히 정보화 시대인 오늘날 대학생의 생활 방식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기숙사 공간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대학생 기숙사는 단순한 거주 공간에서 벗어나 사교, 스터디, 운동, 놀이 등 여러 기능이 일체된 공간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디자인을 탈피해 현대적인 대학생 생활방식과 심리 요구에 맞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늘어나는 대학생 수, 밀집된 거주환경, 단일화된 학습, 생활방식 등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숙사의 개념과 대학생 아파트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선행 연구하고 대학생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간 유형과 심리 및 행위의 특징을 이해했다. 또한 대학생 기숙사 디자인의 변화와 추세를 분석해 대학생 기숙사 디자인의 요소를 찾아냈다. 즉 대학생 기숙사의 실내외 공간, 공공 공간, 거주 공간 이 3개 요소를 연구해 아름다운 실내외 공간, 다양한 교류 공간, 실용적인 거주 공간을 이루는 종합적 공간디자인은 제안한다. 또한 이후 대학생 기숙사의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키워드: 대학생 아파트 ,디자인, The university apartment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the university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for the universitystudents to carry on their study, social communication and daily lives during their university life. With the rapi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is growing fast. As a result, the present apar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s too intensive and confined, lack of communication, rest, activity space for the students. This is prompting a new space design form of the students’ apartments to establish, especially in the new era of network information when the lifestyle of university students has changed greatly. The apartment not just needs to provide a place to live, but should be a combination place assembling social communication, study, sport, entertainment and many other functions in one. It requires the improvement of traditional spatial design style to create a space which can meet the needs of moder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ly and materi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growing size of university students, their confined living space and simple pattern of study and daily lives. It starts from discussing the concept of apartment and the significant of the student’s apartment. Then, on the basis of researching university students’frequent using space during their study, social communication and daily lives, and after the analysis of the design changes and tendency of the university apartment, this thesisfinds out and analyzes the three elements of space design of university apartment, namely indoor-outdoor space, communication space and living space. On the above studyand analysis, this thesis proposes a diverse design solution of university apartment with beautiful indoor-outdoor space, multi-kind communication space and comfortable, practical living space and provides fundamental design materials for the future space design of university apartment. key word: University Apartment, Design

      • 이동성 저하 노인의 스트레스 경로 및 회복탄력성의 대응효과 : 스트레스 대처 적응 모델을 중심으로

        엄사랑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델(Stress-Coping-adaptation Model)을 바탕으로 노인의 이동성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 경로를 검증하는 하고, 스트레스 경로과정 중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고령친화특성화대학원에서 수집한 2017 노쇠이해능력 실태조사(Frailty Literacy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자로 403명이 선정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전 투입되는 변수들 중 상호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다음 이동성 저하노인의 스트레스 경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경험이 많은 노인일수록 이동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동성 수준이 낮아질수록 우울감을 높아졌다. 또한, 높은 수준의 우울감을 가지면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동성 저하로 따르는 스트레스 경로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우울감이 높더라도 회복탄력성의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노인의 이동성의 스트레스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함의와 더불어 노년기 이동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sed on the Lazarus and Folkman's Stress-Coping-adaptation theoretical framework (198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p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the stress process of older adult from Mobility. The study selected the 403 people from the data of the 2017 Survey of the Frailty Literacy in Ko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and AMOS 5.0 for conducting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all path coefficients of the study model were significant. The mobility of the elderly who had experienced falls was decreased, and the lower the level of mobility was the higher the depression. Also, high levels of depression was decreased life satisfaction.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stress path following mobility degradation,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moderate effect. Namely, even though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high,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controlled by the level of resilie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obilty in old age as well 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stress path of mobility of the elderly in Korea.

      • Effects of Tetramethylpyrazine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Morphological Activation of Microglia in the Mouse Brain

        김평수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07

        ABSTRACT Effects of Tetramethylpyrazine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Morphological Activation of Microglia in the Mouse Brain Pyungsoo Kim Department of Oriental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Nak-Won Sohn, O.M.D., Ph.D.) Neuroinflammation is characterized by microglial activation and excessive releasing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Tetramethylpyrazine (TMP) exhibits neuroprotective effects and attenuates microglial ac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MP on morphological changes in microglia under neuroinflammatory conditions in vivo. Mice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i.p.) with a single dose of lipopolysaccharide (LPS; 3 mg/kg). Two doses (15 or 30 mg/kg) of TMP were administered orally; the first was administered one hour prior to LPS with the second administered 24 h post-injection. TMP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Iba1 and improved morphological indicators of microglial activation. TMP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microglial cell-body size and Iba1 expression levels in the brain tissue. This was accompanied by significantly extended processes in, and an increased territory area of individual microglial cells, particularly in the hypothalamus. TMP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increase in TNF-α, IL-1β, COX-2, and iNOS expression in the brain tissue. In addition, TMP ameliorated the LPS-induced depressive-like effects. Using an in vivo animal model, the present study has shown that TMP attenuates the morphological activation of microglia in the brain. Tetramethylpyrazine이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생쥐 뇌조직의 형태학적 미세아교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김 평 수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과학과 한의과학전공 (지도교수 : 손 낙 원) 중추신경계 염증은 미세아교세포 활성화와 과도한 염증성 매개물질들의 분비를 특징으로 한다. Tetramethylpyrazine (TMP)은 신경손상 보호 작용이 있으며 미세아교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MP가 중추신경계 염증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형태학적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생쥐에 lipopolysaccharide (LPS, 3 mg/kg)를 1회 복강주사하였으며, TMP를 15 mg/kg 또는 30 mg/kg의 용량으로 LPS 주사 1시간 전과 24시간 후 2회 경구투여 하였다. TMP는 Iba1 발현을 억제하고, 미세아교세포 활성화의 형태학적 지표들을 유의하게 변화시켰다. TMP는 미세아교세포체의 크기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돌기들을 확장하여 개별 미세아교세포가 차지하는 영역을 유의하게 확장하였다. 이러한 형태학적 변화는 시상하부에서 특히 현저하였다. 또한 TMP는 LPS에 의해 증가된 뇌조직의 TNF-α, IL-1β, COX-2 및 iNOS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LPS에 의한 우울증 유사행동을 유의하게 개선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in vivo 동물실험에서 TMP가 미세아교세포의 형태학적 활성화를 약화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돌봄로봇 기술수용 유형 및 예측요인 분석 : - 이승보조로봇을 중심으로 -

        윤희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인구의 고령화로 돌봄이 필요한 인구가 증가했으며 노인돌봄인력의 부족이 사회적 이슈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인돌봄인력은 업무의 특성에 따라 근골격계질환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노인 및 와상환자의 이승 작업이 근골격계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돌봄인력의 이승작업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스마트 양팔 이승보조로봇’의 사용성평가를 수행하여 이승보조로봇의 돌봄부담 경감 효과성을 검증했다. 또한, 이승보조로봇 개발 단계에서 도입에 앞서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의 예측요인을 검증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양팔 이승보조로봇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이승보조로봇 도입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하고,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과 예측요인을 검증함으로써 맞춤형 도입 및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요양시설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노인돌봄인력 30명을 모집하여 개발된 이승보조로봇의 사용성평가를 수행했다. 노인돌봄인력은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승하는 동작에 대해 이승보조로봇 사용 방식과 수동 이승 방식으로 수행할 때의 운동자각도 및 작업부하를 t-test를 통해 비교했다. 연구 1의 분석은 STATA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연구대상자는 평균 56.1세, 성별은 모두 여성이었으며, 직종은 요양보호사 15명, 간병인 6명, 간호사 4명, 간호보조사원 4명, 간호조무사 1명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먼저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승하는 동작의 운동자각도(Borg RPE)는 수동 이승보다 로봇 활용 이승을 수행할 경우 13.90점에서 9.47점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4.761, p<.001), 작업부하(NASA-TLX)는 수동 이승보다 로봇 활용 이승을 수행할 경우 51.69점에서 43.42점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t=3.154, p<.01). 또한, NASA-TLX의 하위영역인 육체적 요구(t=5.646, p<.001)가 크게 감소했으나,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가에 대한 수행도(t=2.578, p<.05)는 다소 감소했다. 다음으로, 연구 2는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인학과에서 수행한 ‘2023년 이승보조로봇 수요조사’를 활용하여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구분했으며,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 예측요인을 개인적, 조직 및 직무적, 돌봄부담 특성으로 구분하여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검증했다. 연구 2의 분석은 SPSS 28과 Mplus 8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했다. 연구대상자는 총 303명이며 연령은 평균 52.75세(SD=9.141), 성별은 여성이 294명(97.0%)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은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이 전반적으로 높은 ‘적극적 기술수용형’,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이 보통수준이지만 불안수준이 높은 ‘기술불안수용형’,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이 전반적으로 낮은 ‘잠재적 기술수용형’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다음으로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의 예측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 성별, 교육수준, 월 평균 개인소득이, 조직 및 직무적 특성에서 근무기관 유형, 기관 내 입소자 수, 직종,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이, 돌봄부담 특성에서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가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에서는 여성일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과 ‘기술불안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 ‘적극적 기술수용형’보다 기술불안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고, 교육수준은 낮을수록 ‘기술불안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에, 월평균 개인소득은 낮을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보다 ‘기술불안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및 직무적 특성에서는 근무기관 유형에서 요양병원보다 요양시설에 근무할 경우 ‘적극적 기술수용형’보다 ‘기술불안수용형’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보다 요양시설에 근무할 경우 ‘적극적 기술수용형’과 ‘기술불안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고, 기관 내 입소자 수는 많을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보다 ‘기술불안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다. 직종에서는 간호사보다 요양보호사일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보다 ‘기술불안수용형’에, 간병인보다 간호사일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과 ‘기술불안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많을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과 ‘잠재적 기술수용형’보다 ‘기술불안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돌봄부담 특성에서는 직무소진은 하위영역인 개인적 성취가 높을수록 ‘기술불안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에, 직무스트레스는 관계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적극적 기술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과 ‘기술불안수용형’에, 시스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기술불안수용형’보다 ‘잠재적 기술수용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인 이승보조로봇 사용성평가 연구와 양적연구인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3단계 접근법을 활용한 예측요인 검증 연구를 함께 수행함으로써 이승보조로봇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였다는데 차별점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승보조로봇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이승보조로봇의 현장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노인돌봄인력의 이승보조로봇 기술수용 유형과 예측요인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 개입방안을 실천적·정책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Due to the aging population, the need for care has increased, and the shortage of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has become a social issue. Additionally,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frequently experience musculoskeletal disorder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work, and the transfer tasks of the older adults and patients with disabilities are identified as major cause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light of these challenges, this study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 'Smart Dual-Arm Transfer-Assistive Robot' developed to support the transfer tasks of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Also, this study identify the technology acceptance types of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and verify the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types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transfer-assist robot. The goal of the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transfer-assistive robot through effectiveness validation and to propose tailored introduction and educational strategies by verif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nd predictive factors of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Research 1 recruited 30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working in nursing facilities and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to perform a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veloped transfer-assistive robot. The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comparing the perceived exertion and task loads of the transfer motion from bed to wheelchair between using the robot and manually using a t-test. STATA 17.0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6.1 years, all female, and included various occupations such as 15 nursing caregivers, 6 caregivers, 4 nurses, 4 nursing assistant employee, and 1 nursing assistant. The perceived exertion (Borg RP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3.90 to 9.47 when using the robot for transfer compared to manual transfer, indicating a substantial reduction in the perceived exertion for the bed-to-wheelchair transfer motion (t=4.761, p<.001). Moreover, the task load (NASA-TLX) decreased from 51.69 to 43.42 when using the robot for transfer compared to manual transfer, indicating a reduction in task load (t=3.154, p<.01). The sub-domain of NASA-TLX related to physical demands (t=5.646, p<.001) significantly decreased, although the performance regarding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asks (t=2.578, p<.05) slightly decreased. Subsequently, Study 2 utilized the '2023 Transfer-Assistive Robot Demand Survey' conducted by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s Department of Gerontology. Initially, the study differentiated types of technology acceptance among care workers for older adults regarding transfer-assistive robot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The predictive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mong care workers for older adults were then categorized into personal, organization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 3-step approach was employed to validate these factors. SPSS 28 and Mplus 8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for the analysis.There were a total of 303 study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2.75 years (SD=9.141) and gender of 294 (97.0%) women.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technology acceptance types. Based o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s,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mong elderly care workers for transfer-assistive robo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characterized by an overall high level of acceptance,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characterized by moderate technology acceptance but with a high level of anxiety, and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characterized by an overall low level of technology acceptance. Furthermore, the outcomes of validating predictive factors for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mong care workers for older adults, specifically regarding transfer-assistive robots, indicat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individual income, along with organization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 occupation, and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as well as care burden characteristics such as job burnout and job-related stress,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mong care workers for older adul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revealed that wo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than both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and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Additionally, individuals with lower educational level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than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and those with lower monthly individual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than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In terms of organization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working in nursing facilities rather than nursing home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rather than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Similarly,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rather than integrated nursing and caregiving service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compared to both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and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Moreover, a higher number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compared to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Regarding occupations, being a nursing assistant rather than a nurs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rather than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Additionally, being a nurse rather than a caregiver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both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and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compared to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Longer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compared to both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and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In terms of care burden characteristics, higher levels of job burnout in the personal achievement subdomai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rather than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Higher levels of job-related stress in the relational stress subdomai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both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and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rather than the 'Prospe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Finally, higher levels of system stres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Technology Anxiety Acceptance Type' rather than the 'Proactive Technology Acceptance Type.‘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by concurrently conducting an experimental usability evaluation study on transfer-assistive robots and a quantitative research study involving latent profile analysis of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s well as the validation of predictive factors. By doing so, the research expands the scholarly discourse on transfer-assistive robots.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ransfer-assistive robots in the field of care by validating their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practical and policy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esenting tailored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approaches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types and predictive factors among care workers for the older adults.

      • 국내 대학생 진로 탐색 서비스를 위한 MF Play(My Future Picture Relay) 도구 개발

        차한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재학생의 진로 탐색을 지원하는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국내 대학은 학령인구 수의 감소, 디지털 기술의 발전, 코로나-19와 같은 이슈를 거치며 대학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수도권에 비해 선호도가 낮은 지방 소재 대학의 문제로 가시화되고 있으나 국내의 모든 대학의 문제로 정의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불가피한 문제 속에서 대학은 기존에 제공하던 전공 위주의 지식 전달이 아닌 개인의 미래와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역량 개발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재학생들에게 진로 탐색 역량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도구를 제안하고자 사용자 중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존 서비스에 대한 문제 분석과 디자인 방법론 활용을 목표로 사용자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서비스 도구의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최종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최종 서비스는 My Future Picture Relay의 축약어로 국내 재학생들이 입학부터 졸업까지의 과정 속에서 스스로의 미래를 그려나가는 것을 지원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결과로 제안하는 진로 탐색 서비스 MF Play를 통해 기존 대학의 역할을 전문지식에서 인적개발로 이동하는 시작점이 되길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tools to support career exploration of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Domestic universities are calling for a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issues such 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 populati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COVID-19. This is seen as a problem of universities in provincial areas with relatively low preference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but can be defined as a problem of all universities in Korea. Amid the inevitable problems mentioned above, universitie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capabilities to explore the future and career path of individuals, not the transfer of knowledge centered on the previous major. In this study, a user-centere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pose a service tool that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career search capabilities to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User workshops were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problems with existing services and using design methodologies, and prototypes of service tool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final service model was proposed by conducting a survey and interview with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final service is an abbreviation for My Future Picture Relay and aims to help domestic students portray their future in the process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areer search service proposed as a result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moving the role of existing universities from expertise to human development.

      • Salvianolic acid B가 흰쥐의 만성적 뇌혈류저하에 의한 학습과 기억장애에 미치는 영향

        강성한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Salvianolic acid B가 흰쥐의 만성적 뇌혈류저하에 의한 학습과 기억장애에 미치는 영향 강 성 한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과학과 한의과학전공 (지도교수 : 이 종 수) 목적 : 단삼은 알츠하이머병의 잠재적인 치료제로서 주목 받고 있으며 단삼의 주요 성분인 salvianolic acid B은 뇌허혈 손상에서 인지기능 장애를 개선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인 뇌혈류 저하로 유발되는 인지장애에 대한 SAB의 개선 효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수컷 흰쥐 36마리를 무작위로 배치하며 3개의 군으로 구분하였다. 만성적인 뇌혈류 저하 유발군(BCAO)은 흰 쥐의 양측 경동맥을 영구히 폐쇄(permanent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pBCAO)하였으며, Sham군은 피부절개 수술만 시행하였다. SAB 투여군(BCAO+SAB)은 pBCAO를 실시한 다음 SAB를 경구투여하였다. 이후 5일간 Morris water maze test를 실시하여 학습과 기억 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SAB는 도피대 찾기 학습훈련에서 도피대 회피시간을 유의하게 단축시켰다. 도피대 위치의 공간기억력 측정에서도 SAB는 도피대 위치에서의 수영 시간과 도피대가 위치했던 사분면에서의 수영시간 또한 유의하게 연장시켰다. 또한 도피대를 찾은 횟수가 늘어나고, 처음으로 도피대를 찾은 시간은 단축되었고, 그 결과 공간기억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SAB는 공간기억력 측정에서 총 수영거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본 실험은 SAB가 만성적인 뇌혈류 저하에 의해 유발된 학습과 기억 장애를 개선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SAB가 뇌혈류 저하에 의해 유발된 인지장애를 개선하는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TUI기반 도서관 시스템에서 ‘재미’(Fun)개념 적용에 관한 연구

        장효방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TUI인터페이스는 GUI인터페이스에 비해 새로운 조작의 인터페이스이다. TUI와 전통적인 GUI조작 인터페이스에 비교했을 경우, 조작 시스템은 보다 사실성 높고, 재미를 느끼게 하는 디자인을 할 수 있다. 공공 공간에서 TUI서비스가 점점 많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TUI는 공공 공간에서의 검색과 전시, 오락기능하고 있다. 도서관은 서적을 집중적으로 보관하고 열람할 수 있는 중요한 공공시설로, 신기술이 가져다주는 변화에 영향을 받아, 도서정보 검색 뿐 만 아니라, 전통적인 종이가 전자 파일로 전환되었으며, 서비스의 방법적 측면에서 크게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빌어 도서관의 서비스 시설과 양식을 개선시키는 목적은 서비스의 효율을 제고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의 도서관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고, 정보의 교류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최근 부각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공간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 이론이 세 개의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 도서관)에 설치된 TUI시설의 디자인 사용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재미’요소가 TUI디자인 사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일으키고 있는데, 디자인적인 면에서‘재미’의 요소는 메타포(alluring metaphors)측면, 콘텐츠(Compelling content)측면, 그래픽(Attractive graphics) 측면, 애니메이션(Appealing animations)측면, 사운드(Satisfying sound)측면 5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5가지 요소들로 인하여 TUI를 활용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통해 만족감을 가지게 된다. 도서관 TUI디자인에 있어서 메타포는 새로운 학습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작되었으며, 콘텐츠들은 단순 반복 동작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를 조작 할 수 있도록 정보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었으며, 그래픽 표현은 화려한 색상과 명확한 표현으로 정보 찾기 뿐 만 아니라 전시를 통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사용자 반응행위를 나타내는 피드백 효과 뿐 아니라 프로세스 과정을 움직임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막고, 기대하지 않았던 새롭고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으로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도록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서관이라는 특수성에 의해서 사운드 사용은 최소화되었는데, 사운드 역시 사용자 행위에 대한 피드백 측면이나 정신적 휴식을 위한 소리 등에 대한 응용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도서관TUI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궁극적 목표는 인터페이스 행위를 통하여 사용자들을 ‘재미’있는 상태에서 미세몰입(Micro‐flow)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TUI is a new generation of user interface relative to GUI interface, comparing with controversial GUI operating mold, TUI operating mold is more realistic operation and more interesting. Public places have increasing numbers of TUI equipments, the main functions of touch screens are search, display and entertainment etc. Libraries as significant storage and reading public places confront with the transformation of new technology. This charge is not only from traditional paper to electronic filling, but also is the transformation of service model. To use digital technology to library services, facilities and mode of change, aimed at improving efficiency in delivery, there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user, and the library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to receive and even to exchange information on the library system. In this day and age, a large number of libraries transform to the places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entertainment. A vast number of multimedia facilities promoted original functions. In this dissertation will analyses the design and use example which combines with interesting theory in three libraries (Yonsei University Library, SungKyunKwan university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teresting emotional elements in the design TUI has an important role. The characters of interesting have alluring metaphors, compelling content, attractive graphics, appealing animations and satisfying sound. These factors assist to TUI equipments more interesting which allowed people experiences the fun and involved in there. FLOW theory point out that the interesting of experience is depend on the interesting of interface design. Consequently, researching how to make interface more interest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ouching interface design. Key words: Tangible User Interface, Fun element, Flow theory, TUI for Library, Fun factors in Librar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