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정규 미술치료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연구 동향

        이수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한국에 미술치료가 도입 된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의 증가에 따라 미술치료 분야는 신 유망직종으로 떠올랐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동안 발전해온 한국의 미술치료 연구현황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미술치료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가 있긴 하였으나 제한적인 대상의 연구동향이며 다른 미술치료관련 연구 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미술치료의 발전현황과 향후 연구 분야의 필요성에 대해 알리고자 국내 개설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청구논문을 구조 분석함으로서 2001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발표된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각 대학원별 및 연도별 편수를 통계 처리하여 그 동안 미술치료연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논문제목에 나타나는 연구대상과 연구주제를 분류하여 그 다양성과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미술치료 연구의 편중되지 않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기초자료 수집은 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미술치료로 검색된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한을 두고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21개 대학원 중 아직 청구논문이 발표되지 않은 대학원 한 곳을 제외한 20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논문 108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미술치료 학계의 연구는 매년 그 수가 급상승 하였는데 2001년 12편의 발표를 시작으로 2002년 34편, 2003년 60편, 2004년 62편에서 2005년 119편의 논문이 발표되면서 상승선을 나타내었다. 2006년에서 2007년도에 잠시 감소되었으나 2008년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추가 신설로 다시 증가하여 2010년 17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한국 미술치료가 10여 년 동안 수직에 가까운 연구발전 하였음을 보여 준다. 둘째, 미술치료 대상자를 문제유형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을 때 일반문제 현상 대상이 172편으로 전체 16%, 비장애일반인 대상이 154편으로 전체 14%의 비율을 보이며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 보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가 더 많은 비율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 연구주제별 구분을 통해 분류하였을 때 정서를 연구주제로 다룬 연구가 총 293편, 전체 20%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다음으로 기타연구, 자아개념-자아존중감이 전체 비율 중 20%를 차지하여 정서부분의 주제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연구되었다. 이는 현대인의 정서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미술치료 또한 정서적인 부분을 많이 연구해왔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가 급성장해온 한국 미술치료학계의 향후 더 발전된 연구방향을 위한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en years after introduction in Korea, art therapy is now spotlighted as a newly emerging type of occupation accompanied with increasing concern and needs for it. At this point of time, it would be timely significant to have doubts about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for its studies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to the trend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the meantime, they were far more limited in scope and number than other studies related to art therap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future needs of art therapy studies in Korea with a view to contribute to their progress in a balanced wa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into the number of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pened by domestic graduate schools from 2001 to 2011. The number of theses by institution and year was counted statistically to see how th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hitherto progressed as well as the subjects and topics of the studies were also classified by category to find diversity of and changes in them. The basic data for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http://www.nanet.go.kr/)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kr/) for the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A total of 1083 theses were put to analysis that were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20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excluding one that did not post any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ses applied for.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has recorded a steep increase from 12 in 2001 to 34 in 2002, 60 in 2003, 62 in 2004, to 119 in 2005. After a little decrease in 2006 and 2007, the number started turning around on the upcurve after addition of regular courses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s in 2008, reaching eventually 177 in 2010, an obvious evidence for almost vertical upturn for the period. Second, divided by sort of problems facing the subjects, 172 theses or 16% of all handled the subjects with general problems of disability while 154 or 14% handled persons without disability, a certain evidence showing that mor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conducted to the non-disabled subjects than to the disabled ones. Third, classified by category of the study theme, the biggest number of 293 or 20% of the whole studies dealt with sentiment, and another 20% of studies handled miscellaneous themes and themes of self-concept or -esteem, featuring the aspects that attention was focused mostly on the issue of sentiment in art therapy in reflection of contemporary people's concern for emotional issues. Latly, it is the writer's wish that this paper may serve as a step stone for further progres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that has grown at a steep pace.

      • 한국과 미국 정규 미술치료 석사교과과정 비교 연구

        노정석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a comparison of curricula for art therapy of 17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7 universities in the USA with a view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a as well as education for art therapy of both countries and, by thus, to help domestic institutions establish a future-oriented curriculum for art therapy. This study will also do much for the 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rt therapy as a major to find what is required of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for th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who are practicing art therapy upon finishing the graduate course to fill up their weakness that has come to forefront in their career. The graduate course for art therapy in Korea may b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mall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art therapy are set up at the graduate schools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and they are providing less than 30 credits in general, which makes it urgent to introduce new curricula in a move to enhance competence of art therapists and improve the related educational systems. More than 50 credits at least should be available to ensure better qualification of art therapists in reality.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stipulate the qualification for admittance to graduate schools to be furnished only to those who have completed and acquired basically more than 12-18 credits in the practice course of art and more than 12 credits in the course of psychology at college, as most universities and colleges do in the USA. Since, however, it is actually impossible to specify qualification for admittance in Korea as is done in the USA, it should be reques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redits at graduate schools for those who have to take courses in psychology and art practice which they can't take at college. The current level of around 30 credits must be far behind from the requirements for training high-quality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in the USA shall be regarded in fact as very superior to those of Korea who have to take courses in psychology as well as in practice at graduate schools in parallel with other subjects that are almost half in number of those in the USA. Although it is possible for thos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art practice at college to advance to graduate school to attend the class training art therapists in parallel with psychology, most students in Korea who have attained bachelor's degree at the colleg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 not at the fine arts college, take the master's degree program at graduate school to become art therapists. In other word, they become art therapists having just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for art therapists without understanding to fundamentals of fine arts, causing a vicious cycle eventually. The program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 may be considered to be systematically operated, to say the least, but the problem is that lots of people who have only been trained by the short-term courses at other than graduate schools and are therefore not qualified are actively engaged in practice in the name of art therapists. This, above all, should be rectified definitely and urgently by introduc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art therapists. It is encouraging to see that handicapped persons have come to greatly benefit from various policies including the activated boucher project that wa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ely, however, now is the time to take bold measures to straighten out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 in which unqualified art therapists are actively practicing art therap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voucher project. It is also suggested to revise the curricular for art therapy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 sinc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even those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mater's degree programs are far behind from being regarded as properly qualified for practicing art therapy in the field due to exceedingly short number of credits and clinical practice hours according to the curricula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In case of the USA, qualification for art therapy is imparted only to those who are awarded with mater's degree for art therapy from 27 universities that have been accredit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Art Therapy. Whereas, in Korea, there is no official organization yet recognized to provide qualification for art therapy but several academic socie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doing the job loosely. The data concerning the license for art therapy issued by 4 domestic academic societies and regulations of ATR qualification of the USA are enclosed in this study in an attempt to make them serve as basic data for comparison and review before introducing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art therapist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17개 대학원의 미술치료 교과과정과 미국 7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함으로서 양국 미술치료 교과과정 및 교육의 차이점을 간파하고 한국의 미술치료전공이 미래지향적인 교과과정을 개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치료분야를 수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이나 이미 졸업하고 예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 예술치료사들에게도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하여 어떠한 교과과정이 요구되는가를 간파함으로서 개인별로 부족한 부분의 지식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대학원 과정의 특성은 미술치료 관련과목이 미국에 비하여 적게 개설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30학점 미만을 운영하고 있어 미술치료사의 질적 향상에 새로운 교과과정과 교육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상태이다. 최소 50학점 이상의 교과과정을 운영하여야 현실적으로 미술치료사의 질적 향상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과 같이 기본적으로 미술실기과정을 12-18학점 이상 수강한 자와 12학점 이상의 심리학 과정을 학부에서 수강한 자로 입학자격을 규정지을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입학자격을 미국과 같이 규정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따르기 때문에 결국 대학원에 입학하여 심리학 과목과 미술실기 과목을 수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점수를 늘려야 할 것이다. 현행 30학점 정도로는 양질의 미술치료사를 양성하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대학원 과정이 학점도 미국의 대학원과정에 비하여 1/2 수준임에도 심리학이나 미술실기과정을 병행하여 수강하여야 하는 한국의 경우는 미술치료사의 자질이 많이 떨어져 있는 현실이다. 미술치료를 석사과정에서 수학하기 위하여 당연히 미술실기과정을 학부에서 수강한 자가 대학원에 입학하여 심리학과정을 병행하면서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을 수학할 수는 있지만 국내 대학원의 경우 미술대학 출신이 아닌 인문학 계열이나 사회복지 학사학위를 마치고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미술치료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미술의 기본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을 거쳐 미술치료사가 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그나마 대학원 과정에서의 수학과정은 체계적으로 진행한다고 볼 수 있지만 문제는 대학원외의 단기교육과정에서 양성되는 무자격자들이 미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부분은 절대적으로 시급하게 국가 공인자격증 제도의 도입으로 정리되어 지기를 희망한다.

      •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강오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는 인본주의 이론에 토대를 두고 동물을 매개로 하여 대상자를 치료하는 아동중심동물매개치료 원리에 기초한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P시에 소재한 P지역아동센터 아동들 중에서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생 만 11세, 12세, 13세 아동 각 1명씩 총 3명의 남아로 구성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으로 2011년 1월 10일부터 3월 28일까지 12주 동안 주 1회 50분으로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치료견 3두, 동물매개치료사 1명, 관찰자(동물매개치료사) 2명이 함께 진행하였다. ADHD 아동의 과잉행동 감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판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하위척도인 공격성 척도, 코너스 교사용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평정척도(Conners' Teacher Rating Scale-28; CTRS-R)를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표적 행동에 대해 치료적 중재 현장에서 두 명의 관찰자(동물매개치료사)가 표적 행동을 관찰기록지에 기록하고, 과잉행동의 변화를 과잉행동관찰기록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적은 사례수의 한계로 인해 유의도를 검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질적 분석과 함께 제시하여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K-CBCL의 하위척도인 공격성 척도 사전검사에서 아동A 34점, 아동B 29점, 아동C 32점이고, 사후검사에서 아동A 21점, 아동B 15점, 아동C 17점으로 과잉행동이 감소하였으며, CTRS-R 사전검사에서 아동A 69점, 아동B 74점, 아동C 62점이고, 사후검사에서 아동A 50점, 아동B 59점, 아동C 41점으로 과잉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실시 전과 후를 비교해 볼 때 과잉행동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과잉행동관찰기록표를 분석해보면 치료초기에는 행동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중재가 시작되면서 행동빈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질적분석은 사전ㆍ사후 결과 및 과잉행동관찰기록표에서 보이는 과잉행동의 변화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본 연구 결과를 실천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여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자원요소들을 찾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s for the hyperactivity of children with ADHD.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hild-Centered Animal Assisted Therapy which is based on the humanistic theor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with 3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1, 12, and 13 years old male stud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by the ‘Children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n P city in Gyeonggi-do. For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The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with a total of 12 sessions from January 10, 2011 to March 28, 2011. The study had 3 therapy dogs, 1 animal-assisted therapist and 2 observers. To verify the decrease of hyperactivity in the pati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K-CBCL(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CTRS-R (Conners' Teacher Rating Scale-28) dur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hile the program was in session, two observers recorded the specific target behaviors and created a graph and chart showing the change in hyperactivity.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it might be hard to prov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researcher uesd qualitative data analysis to show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hildren who participate in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show a decrease in hyperactivity up to a significant level in turn decreasing their behavior problem accordingly. Using the Before-Aggression Scale, which is a subscale of K-CBC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scored 34 points (child A), 29 points(child B), and 32 points(child C) and on the After-Aggression Scale test scored 17 points(child A), 15 points(child B) and 17 points(child C).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test results, it shows that children's hyperactivity decreases. Also we can recognized that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shows the accordance from the Before and After test and the hyperactivity observation. The ADHD data shows that in the early part of the clinic hyperactivity's frequency is quite large but when the intervention is injected, it shows that their hyperactivity frequency is lowered. To make use of this result, various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find out the support factor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is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 중·고등학생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그림검사 비교연구 : 학교생활화, 동적가족화, 자화상 검사를 중심으로

        노강욱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63

        Birth rate drops in society as a whole, so each family has one or two school-age children. They enjoy more abundant and more uncontrolled lives than before. As the number of dual-income families increases, the education of children is getting more and more difficult realistically, and the education of personality and manners is becoming lax. And all the goals of education are geared towards going on to an advanced school. These are today's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Furthermore, children's inner growth doesn't keep up with their outer growth, so students try to solve conflicts and troubles in a violent way rather than in a right way. It causes serious school violence.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try to find escape in an extreme way. The problems of school violence are magnified into social problems. Thus, art psychotherapy accessible to anyone is thought to be needed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positively and effectively. This study finds out psychological traits of attackers and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rough drawing test (KSD, KFD, self-portrait),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finding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each drawing test helps to prevent students from being involved in school violence. If a student is observed to be involved in school violence, healing wounded heart through art psychotherapy can help the student to enjoy a normal school life. For this study, 30 attackers and 30 victim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Iksan City, Chollabukdo were selected with the recommendations of teachers in charg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12. The drawings of KSD, KFD, and self-portrait were collected from the subjects. The psychological traits of attackers and victims revealed through drawing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sychological traits in KSD, attackers in school violence tend to feel negative and ambivalent and have trouble in school because of a lack of emotional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And victims tend to feel timid, uneasy, negative, and ambivalent, and don't adapt to school life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interacting emotionally with the outside and forming relationships. Second, according to psychological traits in KFD, attackers tend to show anxiety, ambivalence, or negative feelings in the family, reveal conflicts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emotional weakness, and have no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victims tend to feel negative and ambivalent, and have difficulty in interacting emotionally with the outside and forming relationships. Third, according to psychological traits in self-portrait, attackers tend to lack emotional interactions with the outside, shrink psychologically, be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unstable, and feel internal conflicts, while victims tend to go through a lack of emotional interactions with the outside, the difficulty of forming relationship, psychological shrinkage, unstable mind, emotional uneasiness, and inner conflicts.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psychological traits shown in art therapy drawing test of attackers and victims, attackers have more negative traits than victims in the areas of relative size, balance for figure, emphasis, stroke, editing, encapsulation, and orientation. And they have psychological shrinkage, ambivalence, and trouble of family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victims have more negative traits than attackers in the areas of position, omission, and pencil pressure. And they show anxiety, timidity, and the trouble of form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ng with the outside. The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which can help students already exposed to school violence to enjoy safe and healthy school lives by finding out students' psychological traits through art therapy drawing tests,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troducing art therapy to school, utilizing psychotherapy constantly. Key words : Bullies, Victims, Middle and High Schools Violence, KSD, KFD, Self-Portrait drawing test 사회 전반적인 출산률 저하로 인해 가정마다 학령기의 자녀는 1~2명으로 과거에 비해 비교적 풍족한 생활을 영위하며 규제받지 않는 자유로운 삶과,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가정에서의 자녀교육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지고 인성과 예절교육은 점점 소홀해지며 상급학교 진학에만 교육의 목표가 맞춰지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교육의 현실이다. 더욱이 내면의 성장이 외형적 성장을 따라가지 못해 갈등이나 어렵고 곤란한 상황을 정당한 방법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폭력으로 해결하려하는 학생들의 증가로 인해 학교폭력이 심각해지고 그 피해를 입은 학생은 극단적인 방법으로 탈출구를 찾고 있어 학교폭력은 학교 내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누구에게나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미술심리치료가 필요하다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치료 그림검사(학교생활화, 동적가족화, 자화상)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 연구해 보았다. 각각의 그림검사를 분석 연구해 봄으로써 학교폭력 관련자가 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견된 학생에 대해서는 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내면의 상처를 회복함으로써 올바른 학교생활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여 학교폭력 가해학생 30명과 피해학생 30명 총 60명을 담당교사의 추천을 받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2월부터 2012년 3월 까지 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부터 학교생활화(KSD), 동적가족화(KFD), 자화상(self-portrait)을 수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그림검사를 통해 드러난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화에 나타난 가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은 부정적이거나 양가감정을 내포하고 외부와의 정서적·감정적 교류 결핍 등으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피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은 소심하거나 불안감을 표현하고, 부정적이거나 양가감정을 보이며, 외부와의 정서적인 교류, 관계형성의 어려움 등으로 학교생활에 부적응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가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은 가정에서 불안감을 나타내고 가족 간 갈등관계이거나 정서적·감정적 결핍, 양가감정 혹은 부정적 감정을 드러냈으며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은 부정적이며 양가감정을 보이고 외부와의 정서적인 교류, 관계형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화상에 나타난 가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은 외부와의 정서적·감정적 교류 결핍, 심리적 위축, 불안정한 심상, 정서불안 및 내적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해학생의 심리적 특성은 외부와의 정서적인 교류, 관계형성의 어려움, 심리적 위축, 불안정한 심상, 정서불안 및 내적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미술치료 그림검사에 나타난 심리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가해학생은 피해학생보다 크기, 균형, 강조, 스트록, 수정, 포위, 방향 등의 영역에서 부정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 심리적 위축·양가감정, 가족관계 어려움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반면 피해학생은 가해학생보다 위치, 생략, 필압 등 영역에서 부정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 소심하고 불안감 표현, 외부와의 정서적 교류와 관계형성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그림검사를 통한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학교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고 미술치료를 학교현장에 도입, 지속적인 심리치료를 활용 이미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그림검사

      •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명사 및 동사 표현어휘력 비교

        윤지연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6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kills of normal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xpress verbs and noun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skills between two groups- normal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skills to express verbs and nouns between two groups,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skills to express verbs and nouns between two groups by age - 3, 4, and 5 year old- , were established as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the skill to express verbs and nouns by age between two groups. A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3, 4 and 5 year old normal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0 children each by age, were selected, and a test for expressive vocabulary skills for each child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To compare the skills to express verbs and nouns between to groups, statistics was processed and verified, using t-tes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kills to express verbs and nouns, normal student had higher skills and both groups used more nouns than verbs. Second, as for the skills to express verbs and nouns between two groups, normal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ge - 3, 4, and 5 year old-, 3, and 5 year old normal children had better skills for both verbs and nouns, and the children from both groups used more nouns than verbs. On the other hand, 4 year old normal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nouns at a similar level; normal children used more verbs; and both group students preferred nouns to verbs. Thus, both groups had better expressive skills for nouns with specific references than the verbs indicating action. Third, when comparing the development of the skills to express verbs and nouns between two groups, normal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hich indicated the use of vocabularies increased after 3. Thus, as for the language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ggesting verbs indicating action and state as well as nouns used to name objects or to speak specific concept is needed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ies for children. In addition, as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is delayed compare to normal children, teaching in compli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 the normal child's vocabulary development will help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normal children.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같은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명사 및 동사 표현어휘력을 알아보고 두 그룹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일반 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력을 단순 비교해보고, 언어연령 3, 4, 5세를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눠 명사 와 동사 표현어휘력을 각 연령별로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다. 또한 두 그룹의 언어연령 3, 4, 5세 발달에 따라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력 발달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그림어휘력검사를 통해 언어연령 3, 4, 5세를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을 각각 연령별로 10명씩 총 60명을 선정하였고,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여 정답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두 그룹 간의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두 그룹 간의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력은 명사와 동사 모두 일반아동이 지적장애아동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두 그룹아동 모두 명사를 동사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언어연령 3, 4, 5세 각 연령별로 비교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그룹 간의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력에서 3, 5세 일반아동이 지적장애아동보다 명사와 동사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두 그룹 아동 모두 명사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4세에서 명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동사는 일반아동이 지적장애아동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4세 두 그룹 아동 모두 명사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따라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은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보다 구체적인 참조물이 있는 명사 표현어휘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령의 발달에 따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그룹 간의 명사와 동사 표현어휘 발달을 비교해보면 두 그룹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명사와 동사의 정답률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3세 이후 아동의 어휘 사용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의 언어 중재 시에 어떤 사물을 명명하거나 구체적인 개념을 말할 수 있는 명사를 제시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작과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를 같이 제시하여 아동의 어휘발달을 촉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반아동에 비해 지적장애아동은 어휘발달이 지체가 되어 있으므로 일반아동의 표현어휘 습득 발달 단계에 준하여 지도를 한다면 아동의 어휘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울진단을 위한 DAS검사와 CDI검사의 연계성 연구

        조경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663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ink between a DAS(Draw-A-Story) and C야(Children's-Depression-Inventory) to diagnose depression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how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in diagnosing children depress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executing depression tests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6 city starting from May, 2010 to April, 2011. In terms of measuring tools, two types (A type, B type) of DAS and CDI. Considering the time duration of each test, it took 30 minutes, 10 minutes each, to execute the test. Using respective test tools, we have looked into the depression level of the subjects and sub-leveled depression such as self-portrait and self-report. We hav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the above method and proces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lower the sentiment score of DAS is, it is close to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total score of CDI is, it is close to depression. These two tes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this means the lower the DAS score is, the higher the CDI is. For the self-portrait and self-report that falls into the lower level of DAS and CDI, it shows negative correlation just as the depression score. Accordingly, these two tests have been found that it had high conformity in diagnosing depression and had correlation. Second, DAS and CDI has features of test and test. DAS shows the mental conflict that is projected from the picture of a child and from the information of pen pressure, special usage and emotions, you can figure out the level of energy spent in overcoming depression. CDI categorizes the level of depression in details and can show the depression score in various stages. That’s why it is self-complementary for diagnosing the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Due to the above research study, DAS and CDI which is used for diagnosing depression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s correlated and when they are self-complementary, it can be used as an efficient depression tool for diagnosing depression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울진단을 위하여 그림이야기검사(DAS:Draw-A-Story, 이하 DAS)와 아동우울검사(CDI:Children's-Depression -Inventory, 이하 CDI)의 연계성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아동우울 진단에 더욱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진행은 2010년 5월을 시작으로 2011년 4월까지 6개의 시에 각 초등학교를 무선표집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우울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DAS(A형, B형)와 CDI 이다. 각 검사의 시간은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약10분씩 총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각각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의 우울을 나타내는 우울정도, 우울에 대한 하위영역인 자기상과 자기보고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AS검사의 정서점수는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에 가깝다고 하였으며 CDI검사의 총 점수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에 가깝다고 하였다. 이 두 가지 검사는 서로 부적상관을 보이며 이는 DAS점수가 낮을수록 CDI점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DAS검사와 CDI검사의 하위요인 중 자기상과 자기보고에 대한 하위영역에서 우울점수와 마찬가지로 서로 부적상관을 보인다. 이로써 이 두 가지 검사는 서로 우울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매우 높은 일치성을 가지고 있어 상관관계로서의 연계성이 있다. 둘째, DAS검사와와 CDI검사는 각각 주관화검사와 객관화검사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DAS검사는 아동의 그림에서 투사되는 내적 갈등의 내용이 나타나고 필압이나 공간사용, 정서내용에 대한 정보를 알고 우울극복에 대한 에너지 정도를 알 수 있다. CDI검사는 우울의 주요요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알 수 있고 우울점수를 좀 더 여러 단계로 나누어 대상을 분류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울진단을 위하여 서로 상호보완적인 검사가 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초등학교 고학년의 우울진단을 위한 DAS검사와 CDI검사는 연계성이 있으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사용되어 질 때에 초등학교 고학년의 우울진단을 위한 효과적인 우울검사로서 쓰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