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취업률 제고를 위한 컨설팅 방안을 중심으로
손상락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ployment rate of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siter high schools ; the purpose is to research how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students,parents-teachers counsel results influence the employment rate and also is to suggest consulting plan.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includ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nd the number of classes per teacher every week. The study model is designed to verify how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show the adjusting effects according to school type, school location(by regional groups, city size), school size, school form(private, national public). The source officially announced was collect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portal site : schoolinfo, hifive)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survey target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schools : 200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37 meister schools. The employment rate(dependent variable) data was obtained from graduates in February 2019.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and students,parents-teachers counsel performance(independent variables) data was taken from the 2018’s counsel performed when the graduates in February 2019 had been undergraduate in 2018. Especially,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to employment rate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at is analysis of actual proof) proves the hypothesis formulated through analysis of factors and structures. ‘SPSS’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erized below. First, the study shows that the fewer the figures o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here are, the more they affect employment increase.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fewer the figures o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meister high schools there are, the more they affect employment increase: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don’t affect employment increase.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fewer the figures o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in capital area there are, the more they affect employment increase: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in non-capital area don’t affect employment increase. Fourth, the study shows that the fewer the figures o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in large city there are, the more they affect employment increase: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in small medium-sized city don’t affect employment increase. Fifth, the study shows that the fewer the figures o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large size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here are, the more they affect employment increase: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small medium-sized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don’t affect employment increase. Sixth, the study shows that the fewer the figures o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national public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there are, the more they affect employment increase: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privat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don’t affect employment increase. Seventh,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parents-teachers counsel doesn’t affect employment increase. In summary,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employment rate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lso, it shows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employment rate if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of meister high schools, schools in capital area, large city, large sized schools(specialized, meister), national public schools are developed. On this study results, the consulting plan for increase of employment rate can be drawn below.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erve to implement strong polici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Second, every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hould develop an opertional model and fit their environmental improvement to the educational activity conditions. Lastly, there is need to be operating research school for developing leading model: specialized high schools; schools in non-capital area, small medium-sized city; small medium sized schools, private sch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consulting with objective data although advanced studies are not enough to determine influence factors of improvement in employment rate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활동 여건과 학생·학부모 상담실적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여 취업률 제고를 위한 컨설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번 연구에서 교육활동 여건은 학급당 학생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 교사 주당 수업 시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학교유형, 학교 소재지(지역별, 도시 규모별), 학교 규모, 학교 형태에 따라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학교알리미,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 하이파이브,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에 공시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위하여 재가공 하였다. 표집 대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로 237교(특성화고 200교, 마이스터고 37교)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기준일은 종속변인인 취업률의 경우 2019학년도 2월 졸업생을 기준으로 하였고, 독립변인인 교육활동 여건, 학생·학부모 상담 실적은 2019학년도 2월 졸업생이 재학하였던 2018학년도 실적을 기준으로 조사 하였다. 특히, 실증분석을 위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요소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재가공 하여 요인분석 및 구조분석을 통해 설정된 가설을 입증 하였다. 실증분석에 활용된 통계 패키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 수치가 적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 수치가 적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성화고의 교육활동 여건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도권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 수치가 적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수도권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도시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 수치가 적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소도시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규모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 수치가 적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소규모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국공립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 수치가 적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립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교육활동 여건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생·학부모 상담 실적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취업률 제고를 위해서는 교육활동 여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마이스터고일수록, 수도권일수록, 대도시일수록, 대규모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일수록, 국공립일수록 교육활동 여건을 개선해야 취업률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취업률 제고를 위한 컨설팅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특성화·마이스터고 취업률 제고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교육활동 여건 개선을 위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단위학교 차원에서 각 학교의 환경적 요소(학교 유형, 학교 소재지, 학교 규모, 학교형태 등)를 고려한 교육활동 여건을 개선 할 수 있는 운영 모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성화고, 비수도권, 중소도시, 중소규모 학교, 사립학교에 해당 하는 학교에 졸업생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선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연구학교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의 영향 요인을 선행연구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구명하고 취업률 제고를 위한 컨설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피치컨설팅이 성인의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 컨설팅 진행방식에 따른 통계적 검증과 분석
김주완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9 국내석사
이 연구는 스피치컨설팅이 20대부터 50대까지 성인의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어떠한 컨설팅 진행 방식이 가장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군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스피치컨설팅을 찾아내어 스피치에 대한 고민이 있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 스피치컨설팅 가이드라인을 연구하고자 했다. A반(8회 15분), B반(4회 15분), C반(4회 5분), D반(8회 15분) 총 42명을 4개 반으로 나눠서 진행되었으며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 발표불안증과 Big 5 성격유형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 발표불안증이 4개 반 모두 감소되었으며 실제 발표를 해보는 횟수와 시간이 충분했던 A반(8회 15분)이 가장 발표불안증 감소효과가 컸으며 실제 발표를 해보는 횟수와 시간이 가장 부족했던 C반(4회 5분)이 발표불안증 감소효과가 가장 낮았다. Big 5 성격유형에 대한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의 효과 차이는 친화성실성과 개방성 성격유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군별로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대한 연구에는 효과 차이가 없다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speech consulting on the anxiety symptoms and personality types of adults from the 20s to the 50s. The most effective speech consulting is found by looking at what kind of consulting method is most effective for announcement anxiety and personality type, and how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group,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group. I have studied adult speech consulting guidelines. A total of 4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lass A (8 times 15 minutes), Class B (4 times 15 minutes), Class C (4 times 5 minutes) and Class D (8 times 15 minutes) Anxiety and Big 5 personality types. As a result, all four anxiety anxiety before and after speech consulting decreased, and the number of times and time to perform actual presentation was sufficient, and the A (8 times 15 minutes) was the most effective to reduce announcement anxiety. (4 times 5 minutes) showed the lowest effect of reducing anxiety.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speech consulting on Big 5 personality types showed that it is effective only on Agreeableness-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personality typ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gender, age, education, and occupational group.
이지훈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7 국내석사
사회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현재, 국내 산업은 경쟁력 상실로 인해, 새로운 신성장 산업의 부재로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장기적 경제침체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정부는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 가운데 창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창업 후 생존률은 OECD회원국 중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기술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출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로서 선행연구자료를 통해 기술창업요인을 창업자요인, 창업환경요인, 창업자원요인구성하고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조절효과로서 컨설팅경험의 연구자료를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는 가설을 통해 도출된 설문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항목을 제외한 창업자요인, 창업환경요인, 창업자원요인, 재무적성과, 기술적성과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도출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2016년 10월 3일부터 11월 4일까지 자료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광주, 대구, 경북, 경남 지역의 창업 후 7년 이내의 기업을 선정하여 직접방문 및 e-mil을 통해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자료정리 후 선정된 설문지 140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먼저 내적일관성 평가방법으로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해 척도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으로 각 요인별 수준을 알아보았다. 각 요인간의 상관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창업자요인과 창업환경요인, 창업자원요인, 경영성과 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업자요인과 창업환경요인, 창업자원요인이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컨설팅을 받은 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첫째, 창업자요인은 창의적역량, 리더십역량, 관리역량을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는데, 하위요인 중 리더십은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창의적역량은 기술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창업환경요인은 산업성성장률과 복잡성을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는데, 하위요인 중 산업성장률만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창업자원요인은 제품자원, 인적자원, 무형자원을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하위요인 중 인적자원과 무형자원이 재무적성과와 기술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조절변수로써 컨설팅경험을 살펴보았다. 창업자요인과 창업자원요인이 기술적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컨설팅을 받은 경험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기술창업기업의 생존율 향상과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수립과 역량강화에 활용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황원만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Single PPM을 추진 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TQM 성공요인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TQM 성공요인을 경영자의 리더십을 품질동인(원인변수)로 하여 품질프로세스, 종업원관리, 고객관리가 고객만족 및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관하여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품질경영기법을 지원해주는 Single PPM 을 추진 중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들의 TQM 성공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TQM 성공요인 변수를 망라하여, 품질프로세스, 고객관리, 종업원관리 등 선행연구에서 TQM으로 주목한 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 중소기업의 품질경영 향상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한 TQM 성공요인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TQM 활동요인이 고객만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TQM 활동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재고시키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Recently many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Q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TQM(Total Quality Management) is a management philosophy for quality improve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QM is to improve quality and satisfy customers' dem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TQM activ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at TQM activities are composed of three factor (quality management factor, employee management factor, customer management factor) Al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EO leadership on customer satisfaction &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 of TQM activities on these relationship.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ill be created and the hypothesis will be proven through preceding studies. To test the hypothesi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small and medium company certificated Single PPM. Among 200 responses, 191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analyze the hypotheses the statistical method, SPSS 17.0, was used.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ty Key Driver CEO Leadership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 variables of TQM activities factor(quality management factor, employee management factor, customer management factor). CEO leadership affects employee participation, quality process,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ivity improvement. Second, nothing but quality process and customer-centered improvement affect the customer satisfaction among factors of TQM activity. Third, nothing but employee participation and customer-centered improvement affect the financial performance among factors of TQM activity.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 TQM activities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leadership and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TQM activities have no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leade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SNS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소상공인 SNS활용정도를 중심으로
전재용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SNS활용교육을 받고 SNS를 활용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SNS의 주요특성이 SNS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SNS활용이 경영성과인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으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 및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소상공인의 정의와 특성과 SNS의정의 및 특성, 그리고 경영성과에 대한 문헌연구 고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3장은 문헌연구를 통한 모형과 가설 설정, 제4장으로는 대구, 경북에 소재한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얻은 실증연구자료를, 통계 프로그램인 SAS 9.3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 하였다. 제5장은 연구의 결과 및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기술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NS 5가지 특성 중 정보제공성과 최신성에서만 SNS 활용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SNS활용은 경영성과인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 시사점은 최근 소상공인들의 SNS활용교육과 그에 따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즉, 생활에 밀접하게 접해 있는 소상공인들의 특성상 SNS활용은 소상공인들에게는 또 다른 기회가 되고 있고, 그러한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경영성과에 미치는 SNS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선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적용한 SNS특성요인을 선정하여 연구 하였으나 부분적인 가설만 채택이 되었다. 즉,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요인을 선별하고, 직업군도 다양하게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현실은 SNS의 성장속도 만큼 부작용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일부 연구대상자들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답변과 상호작용성에 대한 믿음도 적다는 답변이 있었다. 이는 SNS상에서 불필요한 정보나 스팸광고, 또는 상대방의 비방등 이용자의 믿음이나 신뢰를 잃게 만드는 요소도 분명히 존재 하고 있다. SNS의 종류나 유형이 Instagram처럼 새롭게 생성되고 사용하듯이 SNS의 발전은 계속되고 있다. 또한, SNS활용 강의를 하는 전문 강사의 출현과 그에 따른 홍보마케팅의 방법에 대한 강의 까지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SNS 특성의 다변화에 대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고, ROI같은 경영성과 측정지표 또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며, 열악한 소상공인들의 생존경쟁에서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이 되는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SNS to affect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to draw implications accordingly. It is aimed at small-sized business people who are using SNS education and utilizing SNS. This study is composed of 5 chapters in total. Chapter 1 cont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method and composition of the study. Chapter2 is composed of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owner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NS, and the literature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Chapter 3 sets up models and hypotheses through literature studies. In Chapter 4,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AS 9.3, for empirical research data obtained from small business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Chapter 5 describes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SNS only in the information provision and up-to-date. The use of SNS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Recently, small-sized businessmen use SNS education and its utilization is increasing. In other words, the use of SNS is another opportunity for small business owner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mall businessmen who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ir lives. To capture such opportun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NS on business performance should be identified and an effective method should be sough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selected by studying the SNS characteristics that were most applied in previous studies, but only a partial hypothesis was adopted.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select practical factors that fit reality and to study various types of occupational groups. In fact, there are side effects as much as the growth rate of SNS. In this study, some researchers answered that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is poor and that there is little belief in interactivity. There is also a certain element that causes loss of faith or trust of users such as unnecessary information, spam advertisements, or other slander on the SNS. As different types of SNS are created and used like Instagram, the development of SNS continues. In addition, professional lecturers who teach SNS use have appeared and lectures on how to promote marketing are being activated. Therefore, research on the diversification of SNS characteristics is required. Management performance metrics such as ROI also need to be developed. I would like to present a practical research direction that can help Small Business Owners survive against their competition.
지능형 시내버스 안전 모니터링 및 고장 예측 서비스 개발
정재환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24 국내박사
최근 시민의 발인 시내버스 고장 및 화제 등 사고 증가로 인한 시민 불안확대되고 있다. 차량검사데이터(VIMS), 차량운행기록데이터(DTG), 버스정보시스템(BIS) 등 시내버스 상태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지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히 활용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장 및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판별 및 AI 예측 모델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고장 예측 서비스 개발을 소개한다. 안전 모니터링 및 고장 예측 서비스를 위해서는 시내버스에 데이터 수집단말기를 장착하여 운행 중 실시간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공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전송된 데이터를 그룹핑 후 주의, 경고 알람 기준을 설정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상치, 기준으로 분류하고, 전문가 자문과 문헌조사 등을 기반 모형(Symbolic approach)과 딥러닝 기반(Neural approach)을직렬로 결합한 탐지 모델 구성한다.AI 모델에 데이터 입력 전류계통, 시간, 온도, 강우량, 위치, 습도 등을 연계한 데이터를 AI 학습모델에 입력 후 시험에 통과 후 이상치, 분석을 위해대표적인 딥러닝 계열인 오토인코더(Autoencoder)를 이용하여 예측 대상의 정상 모형을 생성하여 비교 후 예측 대상과 정상 모형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산출하여 거리가 멀수록 이상치가 큰 것으로 정의하고 이상치를 기준으로 큰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도출 경보, 주의, 정상의 결과가 도출된다.
제조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개별구성원의 자발적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사 MZ세대를 대상으로
박재호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25 국내석사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국내 제조기업은 중국 기업의 급속한 성장과 조직 구성원의 세대 교체라는 대내외적인 불안요인으로 인해 VUCA(변동성, 불확실성, 복잡성, 모호성)라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동성에 대응 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은 내부구성원의 혁신활동을 가속화 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성공적인 기업들은 조직문화라는 고유의 DNA를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자율적 혁신행동을 촉진 시키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조직문화 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밝혀 냈지만, 조직문화는 MZ세대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특성에 맞춰 동태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Quinn& McGrath의 조직 문화 경쟁가치모형과 Allen&Meyer의 조직몰입 이론을 바탕으로, 조직 문화와 조직몰입이 집단 및 개인수준의 자발적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모든 잠재변인의 오차를 고려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 하였으며, 이를 위해 조직문화의 네 가지 유형(위계, 개발, 합리, 합의문화)과 조직몰입의 하위 유형 중 하나인 정서적 몰입을 독립변수로 설정 하였고, 개별 구성원들의 자발적 혁신행동을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으로 구분 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한 후 모델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 되었고,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역시 만족 수준임을 확인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발적 혁신행동은 조직문화 와 조직몰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발,합리,합의문화 와 더불어 조직몰입은 자발적 혁신행동의 집단수준과 개인수준 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반대로 위계문화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구성원의 주도적인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내 제조기업들의 현장혁신 전략수립에 있어, 유연하고 균형감 있는 조직문화 설계와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정책들이 혁신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 하고 있다.
창업지원제도와 창업의지가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시형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25 국내석사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대기업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시니어 의 경제적, 사회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은 202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시니어층의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을 위한 창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 화와 맞물려 대기업 시니어는 축적된 경력과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창업을 통 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 부의 창업 지원정책은 여전히 청년층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어, 시니어 창업자 의 특성에 맞는 지원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기업 시니어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자금력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는 창업 초기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된다. 하지만 창업 실행 과정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시니어 창업자들은 여러 한계 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지원제도의 세부 항목인 기술지원, 자금지원, 멘토링지 원, 창업교육, 네트워크지원이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창업의지가 창업 실행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탐구 하였다. 더불어 시니어의 기대수명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기대수명이 이들 요인과 창업 실행 가능성 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금지원과 네트워크지원은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초기 창업자본과 사업 확장에 필요한 네트워크 형성이 대기업 시니어의 창 업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기대수명이 길수록 자 금지원과 네트워크지원의 긍정적 효과가 더욱 강화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 다. 이는 장기적인 경제 자립을 목표로 하는 시니어층이 창업을 통해 지속적 인 수입원을 마련하고자 할 때 자금과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기술지원과 멘토링지원은 직접적인 영향에서는 유의미 하지 않았지만 기대수명과의 조절효과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적 보완과 멘토의 조언이 대기 업 시니어층의 창업 실행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시사한다. 반면, 창 업교육은 직접적 효과와 기대수명 조절효과 모두에서 유의미하지 않아 대기업 시니어층이 이미 경력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음을 보 여주고 있고 일반적인 창업교육보다는 실질적인 자원과 구체적 경영 지원이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넷째, 창업의지는 대기업 시니어층의 창 업 실행 가능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기대수명이 높을수록 그 효 과가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 시니어층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도전 정신을 통해 적극적으로 창업을 추진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경제 활동을 목표로 하는 기대수명이 창업의지의 영향을 강화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기업 시니어의 창업 실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여 시니어 창업 지원정책의 차별화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대수 명을 고려한 맞춤형 창업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서 대기 업 시니어의 경제적 자립과 창업 실행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략 방안 모 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시니어 창업이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과 고령화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지역 공공서비스정책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지역맞춤형 서비스디자인프레임워크
백수현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5 국내석사
과거의 공공 정책이란 공공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기관이 공식적으로 결정한 주요행동지침, 또는 기본 방침을 의미하며 이는 공공정책의 직접 수요자인 국민의 요구(needs)를 기반으로 기획되지 않는 설계 절차(process)의 한계로 공공정책이 지속적으로 유지‧발전되지 못하는 문제를 드러냈다. 정부3.0시대를 맞아 정책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국민을 ‘서비스 수요자’로 인식하고, 수요자중심 공공서비스 정책의 발굴과 실현을 통한 국민만족도 향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국민의 요구를 담아낼 수 있는 정책 기획의 절차와 방법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이러한 국민의 요구를 구체화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2014년 12월 서비스디자인이 디자인의 범위로 인정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산업디자인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 심의를 통과하면서 서비스디자인의 활용가치에 대해서 법률적 인정을 이루는 시점에 이르렀다.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공공서비스 정책 발굴이 가지는 핵심적인 가치는 정책 발굴 단계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공감(empathy)에 기반 한 심리적 합의 체계를 이루므로 정책을 실현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마지막 단계까지 지속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공급자와 수요자가 정책발굴의 절차를 함께하면서 공통의 경험(experience)으로 인한 공감을 토대로 정책이 발굴되므로 정책실현의 단계에서 그것이 지속적으로 유지‧발전될 수 있는 기반을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자체가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2014년, 중앙정부를 비롯한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수요자 중심 공공 서비스정책의 대표사례 발굴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다. 이러한 시도가 정책발굴을 위한 공식적인 절차로 안착하기 위해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함께할 수 있는 적절한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청에서 주최한 ‘디자인대구포럼2014’에서 발표된 ‘즐겁고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만들기’의 사례(case-study)를 통해 수요자를 중심으로 한 공공서비스 정책 방향성 발굴의 과정에 서비스디자인이 접목되는 방법을 살펴봄으로 수요자로부터 잠재된 요구를 이끌어내고 그것을 토대로 정책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정책의 방향성은 구체화된 단위사업으로 구현되어 수요자가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 실체가 될 수 있는데, 사례를 통해 지자체가 독립성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특징적인 구조와 인프라를 반영한 단위사업으로써 공공서비스를 구체화하고 지속적으로 유지‧운영되도록 하는 지역맞춤형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게 되었다. 이는 정책 발굴뿐만이 아니라 정책실현과 목표달성에 이르기까지 공급자와 수요자가 함께하는 프레임워크로서 정책의 지속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부3.0이 목표하는 공공 서비스의 고품질화를 이루는 방안으로서 유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