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피치컨설팅이 성인의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 컨설팅 진행방식에 따른 통계적 검증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4711

      • 저자
      • 발행사항

        구미 :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 컨설팅학과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96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차우창

      • UCI식별코드

        I804:47006-000000015349

      • 소장기관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스피치컨설팅이 20대부터 50대까지 성인의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어떠한 컨설팅 진행 방식이 가장 효과가 있는...

      이 연구는 스피치컨설팅이 20대부터 50대까지 성인의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어떠한 컨설팅 진행 방식이 가장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군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스피치컨설팅을 찾아내어 스피치에 대한 고민이 있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 스피치컨설팅 가이드라인을 연구하고자 했다. A반(8회 15분), B반(4회 15분), C반(4회 5분), D반(8회 15분) 총 42명을 4개 반으로 나눠서 진행되었으며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 발표불안증과 Big 5 성격유형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 발표불안증이 4개 반 모두 감소되었으며 실제 발표를 해보는 횟수와 시간이 충분했던 A반(8회 15분)이 가장 발표불안증 감소효과가 컸으며 실제 발표를 해보는 횟수와 시간이 가장 부족했던 C반(4회 5분)이 발표불안증 감소효과가 가장 낮았다. Big 5 성격유형에 대한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의 효과 차이는 친화성실성과 개방성 성격유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 연령대, 학력, 직업군별로 스피치컨설팅 전과 후 발표불안증과 성격유형에 대한 연구에는 효과 차이가 없다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speech consulting on the anxiety symptoms and personality types of adults from the 20s to the 50s. The most effective speech consulting is found by looking at what kind of consulting method is most effective for an...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speech consulting on the anxiety symptoms and personality types of adults from the 20s to the 50s. The most effective speech consulting is found by looking at what kind of consulting method is most effective for announcement anxiety and personality type, and how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group,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group. I have studied adult speech consulting guidelines. A total of 4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lass A (8 times 15 minutes), Class B (4 times 15 minutes), Class C (4 times 5 minutes) and Class D (8 times 15 minutes) Anxiety and Big 5 personality types. As a result, all four anxiety anxiety before and after speech consulting decreased, and the number of times and time to perform actual presentation was sufficient, and the A (8 times 15 minutes) was the most effective to reduce announcement anxiety. (4 times 5 minutes) showed the lowest effect of reducing anxiety.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speech consulting on Big 5 personality types showed that it is effective only on Agreeableness-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personality typ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gender, age, education, and occupational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그림 차례] i
      • [표 차례] ii
      • 목 차
      • [그림 차례] i
      • [표 차례] ii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1
      • 1.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
      • 1.2.1 연구의 방법 2
      • 1.2.2 연구의 구성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2.1 발표불안증 8
      • 2.1.1 발표불안증의 개념 8
      • 2.1.2 발표불안증의 요인 9
      • 2.2 성격유형 10
      • 2.2.1 성격유형의 개념 10
      • 2.2.2 성격유형의 구조 11
      • 제 3 장 연구 설계 13
      • 3.1 연구 모형 13
      •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가설 설정 13
      • 3.2.1 변수의 조작적 정의 14
      • 3.2.2 가설 설정 17
      • 3.3 조사설계 18
      • 3.3.1 설문지 구성 18
      • 3.3.2 조사 대상의 선정 및 분석방법 19
      • 제 4 장 연구결과 및 가설검증 21
      • 4.1 기초통계 분석 21
      • 4.1.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1
      • 4.1.2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22
      • 4.2 가설검증 27
      • 4.2.1 스피치컨설팅이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28
      • 4.2.2 스피치컨설팅 발표 횟수가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29
      • 4.2.3 스피치컨설팅 발표 시간이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31
      • 4.2.4 스피치컨설팅 발표 횟수와 시간이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32
      • 4.2.5 스피치컨설팅이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34
      • 4.2.6 스피치컨설팅 발표 횟수가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36
      • 4.2.7 스피치컨설팅 발표 시간이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41
      • 4.2.8 스피치컨설팅 발표 횟수와 시간이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46
      • 4.2.9 스피치컨설팅이 남녀 두 집단의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49
      • 4.2.10 스피치컨설팅이 연령대별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49
      • 4.2.11 스피치컨설팅이 학력별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50
      • 4.2.12 스피치컨설팅이 직업군별 발표불안증에 미치는 효과 51
      • 4.2.13 스피치컨설팅이 남녀 두 집단의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52
      • 4.2.14 스피치컨설팅이 연령대별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55
      • 4.2.15 스피치컨설팅이 학력별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57
      • 4.2.16 스피치컨설팅이 직업군별 성격유형에 미치는 효과 60
      • 제 5 장 결 론 65
      • 5.1 연구결과 65
      •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68
      • [참고 문헌]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