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도역사의 혼잡성 개선을 위한 공공서비스 공간디자인 연구

        황규연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Railway stations have been developed with complex functions depending on changes in use behaviors and demands. Commercial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introduced with multiple functions and bigger scal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ransportation means. Due to thoughtless development and disordered positioning of shops and advertising facilities, however, station environments have turned confusing recently. Such problems cause hindrances to human traffics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confusions due to excessive information and duplicated installations, and disorder in space use, which are absolutely correlated with the publicity and movement convenience, proper functions of a st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crowding and public service in a railway station for the smooth and convenient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contribution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comprehensive harmony with surroundings, improvement of awareness of existing railway stations, and recovery of proper func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rowding and public service in a railway station. The concept of crowding is established and its effect on space users is examined based on the documentary investigation of existing researches. In addition, space components in user traffics are extracted to analyze factors and causes related to crowding that affect public service negatively. Based on the findings, evaluation indexes are developed, and problems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are presented by comparatively analyzing 6 large railway stations home and abroad. The study result shows that crowding may be divided to 'density' or human crowding and 'environmental congestion' or physical and spatial aspects. In particular, the latter - environmental congestion - causes negative feelings among space users, which may lead to avoidance of that space. In addition, time oppression is a more negative element when combined with crowding. In a space for movement such as railway stations, crowding control directly affects public service. Public service elements that should be provided at a railway station inclu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 consistency for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at space, pleasantness for positive feelings among users, and safety through openness and connectivity. These factors are affected by the correlation among public space components of a railway station such as transport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safety/disaster preventive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and advertisement facil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by controlling crowding at a railway station, the locations, heights, and scales of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public information facilities need to be standardized for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and better usability through repeated recognition among users. Additionally, recognition quality of safety facilities and visual information for the public need to be enhanced with the top priority given to the public good. Thus, the scope and category of facilities need to be set depending on the weight with intuitive recognition enhanced and psychological confusion minimized. The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s also needs to be sought by integrating items according to the similar functions and elements and by minimizing the space of installation. For efficient directions of human traffics at each functional area, zoning and traffic planning are also necessary. With clear standards that can be utilized not only in the step of management and operation but also in the step of design and construction, it needs to be sought to recover proper functions and elevate the status of railway stations as a complex cultural space. 철도역사는 이용행태 및 수요변화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으로 진화되어왔다. 상업 및 문화시설의 도입, 타교통 수단과의 연계를 통한 다중적 기능 및 규모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준 없는 무분별한 개발 및 매장, 광고시설의 난립으로 혼잡한 역사 환경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공공교통시설에서 이동 동선 흐름방해, 정보과다 및 중복설치로 인한 혼란초래, 공간 이용 혼란 등 역사 내 순기능인 공공성 및 이동편의성에 절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철도역사내에서 혼잡성 및 공공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공공교통시설 이용과 종합적 조화를 고려한 환경개선에 기여, 철도역사의 인식제고 및 순기능회복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철도역사의 혼잡한 환경과 제공되어야 하는 공공서비스와의 상관성에 초점을 두고, 선행연구 조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혼잡성의 개념정립과 공간이용자에게 미치는 특성을 연구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한 철도역사의 개념정립과 제공되어야 할 공공서비스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고객동선상의 공간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이들 중 환경혼잡성 유발로 인한 공공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원인을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도출된 평가지표에 의하여 국내외 대형역사 8곳을 선정, 비교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철도역사내 혼잡성 조절방안을 위한 구성요소별 디자인 개발 방향 및 계획을 제안하고, 이를 고객 동선 공간인 대합실, 승강장, 환승통로에 적용하여 혼잡성 조절을 위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혼잡은 인적혼잡인 ‘밀도’와 물리적·공간적 측면인 ‘혼잡’으로 이원화 시켜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후자에 해당하는 환경혼잡성은 공간이용자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고 그 부정적 감정은 공간회피 행동으로 나타난다. 또한 시간압박은 혼잡에 대하여 더 강한 부정적 요소로 나타나는데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철도역사공간에서 혼잡의 조절은 공공서비스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철도역사에서 제공되어야할 공공서비스 요소는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 그 공간을 잘 이해하기 위한 일관성, 이용자의 긍정적 감정 유도를 위한 쾌적성, 개방 및 연계를 통한 안전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들은 철도역사 공공공간 구성요소인 교통이용시설, 정보안내시설, 안전·방재시설, 상업시설, 광고시설의 상호관계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철도역사에서 혼잡성 개선을 통한 공공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하여 상업시설, 광고시설, 공공정보시설별 설치위치 및 높이, 크기를 영역화, 규격화 하여 이용자에게 반복적 인식을 통한 효율적인 전달 및 이용성을 증진하여야 하며 공공의 목적을 우선시하여 안전시설 및 공공시각정보의 인지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결론으로는 중요도에 따라 범위 및 범주를 설정, 직각적 인지 및 심리적 혼란을 최소화 하여야 하고, 기능별, 요소별 통합 및 최소설치를 통한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야하며, 기능별 동선의 효율적 유도를 위한 조닝계획 및 동선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관리·운영단계에서의 고려가 아닌 설계, 건설, 관리·운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을 통하여 순기능 회복 뿐 아니라, 나아가 문화복합공간으로써 고품격화 된 공간으로 탈바꿈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인 황규연,이정교,[철도역사의 혼잡성이 역사 공공서비스공간에 미치 는 영향],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0, No.5,2015 논문을 기본으로 인용, 재구성 및 추가연구를 통해 진행되었다.

      • 씨름 샅바 잡기유형별 상지의 근전도 분석

        황규연 중앙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민속씨름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샅바잡기 유형에 따른 최대 악력과 상지의 주동근 근육들의 근전도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상지의 주동근 근육들의 발휘근력, 근육의 사용정도 및 근전도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샅바잡기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각 개인별 최대값과 평균값을 구하여 표준화 작업을 시킨 후 개인별 차이 검증을 위해 1-way ANOVA(RM) 분석하여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모든 유의성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잡기유형별 최대 악력에서 A형이 가장 높은 악력이 측정되었으며, 1-way ANOVA(RM)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다중비교 실시 한 결과 A vs. C형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즉 잡기유형에서 손목관절에서 굴곡보다 신전상태에서 가장 높은 악력을 보였다. 상완이두근과 상완요골근에서 최대값과 평균값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척측수근굴근, 척측수근신근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교원성과급제 변화 분석

        황규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의 변화 속에서 나타난 복잡계의 특성과 행위자들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원성과급제의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즉, 기존의 양적 연구 중심의 정책분석 연구보다는 추론과 은유를 통해서 정책형성 과정, 정책형성을 위한 환경, 정책 변화를 위한 행위자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입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복잡계 이론을 활용하여 교원성과급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원성과급제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의 추론과 은유적 분석을 활용한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방법을 통해서 국내에 발표된 연구논문들과 교육부 정책발표자료, 언론의 보도자료 등을 중심으로 교원성과급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복잡계 이론을 토대로 교원성과급제의 정책과 현상을 다양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원성과급제의 변화 속에서 나타난 복잡계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교원성과급제의 도입 이후, 관련 행위자들 간의 어떠한 상호작용들로 인하여 교원성과급제가 변화되어왔는가? 셋째,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교원성과급제 변화 분석이 향후 교원성과급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얻어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 중 나비효과는 1997년 IMF 경제위기였고, 정치적으로 진보성향을 가진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권)의 등장은 끌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의 비선형성은 처음 도입될 때부터 지금까지 정책관련 집단들의 대립과 갈등이 시스템 내부의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시스템을 무질서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교원성과급제가 언제 어떻게 어떤 모습으로 시행될지 알 수 없었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둘째,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의 공명장은 2002년 교원성과급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로 외부적으로는 교원성과급제의 시행과 폐지에 대한 논의, 내부적으로는 성과에 대한 평가기준이나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 중 임계점은 교육부가 어느 정도 합의된 교원성과급제를 발표한 2002년 9월로 볼 수 있다. 그 임계점을 통과하면서 2005년까지 교육부를 비롯한 교원단체 등의 각 행위자들 간 팽팽한 논의의 과정을 거치면서 시스템은 점차 창발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셋째, 교원성과급제 변화과정의 비평형성은 2001년 성과급이 도입된 이래로 점차적으로 제도가 안정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1년 학교성과급의 도입으로 인해 또다시 정책 관련 행위자와 다양한 집단 간 긍정·부정의 되먹임이 혼재하고 있는 무질서의 상태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두드러지게 되었다. 급변기에 각 행위자들과 클러스터들은 활발한 긍정·부정의 되먹임을 통해서 서서히 새로운 질서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각 행위자들과 클러스터들은 자신들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시스템의 창발적 변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2005년 시스템이 임계점을 지나면서, 그리고 2011년 학교성과급제가 도입되면서 되먹임 작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시스템 변화의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교원성과급제 변화와 관련된 각 행위자들은 고유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행위자들끼리 선호적인 링크를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넷째, 교원성과급제는 급변기를 거치면서 긍·부정의 되먹임을 통해 프랙탈 구조를 형성하였고, 자기조직화를 위하여 교육부가 교원성과급제를 2016년 개인성과급으로 일원화하고, 2018년 차등지급비율을 50%로 낮추는 등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함과 동시에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모든 시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던 정부가 2017년 갑작스럽게 교체되면서 교원성과급제 또한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다음으로, 교원성과급제 변화 속에서 나타난 정책관련 행위자의 특성과 복잡계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과정 및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정기는 1995년 11월 중앙인사위원회에서 ‘성과급지급 지침’을 발표하면서부터 2001년 1월 공무원수당규정을 개정하기 전까지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정책결정 관련 주요 행위자는 교육부로서 교원성과급제의 실행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성과급과 관련하여 평가 기준과 방법 등이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함에 따라 평가결과에 대한 불복 및 조직원 간의 갈등문제 등 부작용을 우려하여 첫 시행에 앞서 성과급 지급대상을 확대하고 지급률 격차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했다. 교육부의 이러한 논의에 대해 학부모 및 언론사들은 긍정의 패턴을 보였지만, 현장 교원과 교원단체들은 반대의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혼돈기는 2001년 교원단체들의 반대로 지급이 유보되었던 것부터 2002년~2005년 교원성과급제의 초기시행 모델이 적용되기까지이다. 이 시기 각 행위자들은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교육부를 중심으로 하는 정부 클러스터, 학부모단체를 중심으로 하는 학부모 클러스터, 전교조와 한국교총을 중심으로 하는 교원단체 클러스터가 그것이다. 특히 교육부가 중심이 되는 정부 클러스터가 가장 강력한 정책실행 의지를 가진 클러스터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급변기는 2006년 7월 성과급의 차등지급비율이 10%에서 20%로 확대되는 것을 시작으로 차등지급비율이 2010년까지 50%로 확대되었으며, 2011년에는 학교성과급이 등장했다가 2015년을 마지막으로 사라진 시기까지이다. 이 시기 주요 행위자인 교육부는 교원단체의 지속적인 반발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의 차등지급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이면서 제도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부는 교직사회에 경쟁체제를 도입하여 교사들의 동기유발을 도모하고, 이를 통하여 공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정책적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어 교원성과급제의 취지와 목적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시기는 가장 많은 제도적인 시도와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신안정기는 2016년 교원성과급제 중 학교성과급을 폐지하고 개인성과급으로 일원화된 것부터 2019년 현재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차등지급비율이 점차 축소되거나 유지되는 형태로 바뀌고 있으며, 교육부에서 지고 있던 부담을 학교단위로 옮기고, 학교의 자율성을 확대하여 각 학교별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교원성과급제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 수많은 정책관련 행위자와 메타 행위자들이 새로운 질서를 창발하는 하나의 계로서 복잡계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안정기, 혼돈기, 급변기, 신안정기의 단계를 거치며 점차 안정화되는 시스템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교육현상에 대한 복잡계적 인식은 교육정책 관련 행위자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정책의 실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 교원성과급제를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책 관련 행위자들의 패턴을 이해하고 되먹임 작용을 통한 대화와 타협, 토론과 협의라는 민주적 과정을 통해 정책이 형성되고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은유하고 있다. ※ 이 논문은 2020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교육행정)학위 논문임.

      • End-to-end online speech recognition with recurrent neural networks

        황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s) have shown outstanding sequence to sequence modeling performance. Thanks to recent advances in end-to-end training approach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RNNs can learn direct mapping functions from the sequence of audio features to the sequence of output characters or words without any intermediate phoneme or lexicon layers. So far, majority of studies on end-to-end ASR have been focused on increasing the accuracy of speech recognition to the level of traditional state-of-the-art models. However, although the end-to-end ASR models have reached the accuracy of the traditional systems, their application has usually been limited to utterance-level speech recognition with pre-segmented audio instead of online speech recognition with continuous audio. This is because the RNNs cannot be easily generalized to very long streams of audio when they are trained with segmented audio. To address this problem, we propose an RNN training approach on training sequences with virtually infinite length. Specifically, we describe an efficient GPU-based RNN training framework for the truncated backpropagation through time (BPTT) algorithm, which is suitable for online (continuous) training. Then, we present an online version of the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CTC) loss computation algorithm, where the original CTC loss is estimated with partial sliding window. This modified CTC algorithm can be directly employed for truncated BPTT based RNN training. In addition, a fully RNN based end-to-end online ASR model is proposed. The model is composed of an acoustic RNN with CTC output and a character-level RNN language model that is augmented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Prefix-tree based beam search decoding is employed with a new beam pruning algorithm to prevent exponential growth of the tree. The model is free from phoneme or lexicon models, and can be used for decoding infinitely long audio sequences. Also, this model has very small memory footprint compared to the other end-to-end systems while showing the competitive accuracy. Furthermore, we propose an improved character-level RNN LM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This character-level RNN LM shows improved perplexity compared to the lightweight word-level RNN LM with a comparable size. When this RNN LM is applied to the proposed character-level online ASR, better speech recognition accuracy can be achieved with reduced amount of computation. 재귀형 인공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은 최근 시퀀스-투-시퀀스(sequence-to-sequence) 방식의 여러 모델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 왔다. 최근의 음성인식에서 사용하는 종단간(end-to-end) 훈련 방식의 발전으로 인해, RNN은 일련의 오디오 특징(feature)을 입력으로 하고 일련의 글자(character) 혹은 단어들을 출력으로 하는 단일한 함수를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함수는 중간에 음소 단위 혹은 발음 사전(lexicon) 단위의 변환을 거치지 않는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종단간 음성인식은 기존 방식으로 얻은 높은 정확도를 따라가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비록 종단간 음성인식 모델이 기존 음성인식 모델만큼의 정확도를 달성했음에도, 이 모델은 보통 미리 잘라진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하는 발화 단위의 음성인식에 사용되었고,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 사용하는 음성인식에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이것은 미리 잘라진 데이터로 학습한 RNN은 매우 긴 오디오 입력에 대해서도 잘 동작하도록 일반화(generalization)가 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한히 긴 시퀀스를 사용하는 RNN 훈련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이를 위한 효과적인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기반 RNN 훈련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설명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제한된 시간축 역전파(truncated backpropagation through time, truncated BPTT)를 사용해 훈련되며, 덕분에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훈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성 시계열 분류기(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CTC) 알고리즘의 손실(loss) 계산 방식을 변형한 실시간 CTC 학습 알고리즘을 선보인다. 새롭게 선보인 CTC 손실 계산 알고리즘은 truncated BPTT 기반의 RNN 훈련에 바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RNN만으로 구성된 종단간 실시간 음성인식 모델을 소개한다. 이 모델은 크게 CTC 출력을 사용하는 음향(acoustic) RNN과 글자 단위 RNN 언어 모델(language model)로 구성된다. 그리고, 접두사 트리(prefix-tree) 기반의 새로운 빔 탐색(beam search)이 사용되어 무한한 입력 오디오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디코딩 방식에는 새로운 빔 가지치기(beam pruning) 알고리즘이 도입되어 트리 구조의 크기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위 음성인식 모델에는 별도의 음소 모델이나 발음 사전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무한히 긴 일련의 오디오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위 모델은 또한 다른 종단간 모델에 비해 매우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면서도 비견될 만한 정확도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계층형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이용해 글자 단위 RNN 언어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특히, 이 글자 단위 RNN 모델은 비슷한 파라미터 수를 갖는 단어 단위 RNN 언어 모델보다 개선된 예측 복잡도(perplexity)를 달성하였다. 또한, 이 글자 단위 RNN 언어 모델을 앞서 설명한 글자 단위 실시간 음성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더욱 적은 연산을 사용하면서도 음성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피타고라스 세 쌍 행렬

        황규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ould like to discuss reparametrization for the Pythagorean triple matrices using the Sylvester's theorem and Diagonalization in linear algebra and Pythagoras theorem in number theory as the existence of inverse and commutative law of multiplication are not always valid in matrix. 본 논문에서는 행렬은 곱셈에 대한 교환법칙과 곱셈에서 역원의 존재가 항상 성립하는 것은 아니므로 정수론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해하고 선형대수학에서 행렬의 대각화 및 Sylvester의 정리를 이용하여 피타고라스 세 쌍 행렬에 대한 재매개변수화를 논하고자 한다.

      • 갑오개혁기 교육개혁과 역사교육

        황규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abo Reform of 1894, it was the situation of social unrest and a crisis which was caused by the powers of West and interference of Japan. A civilization-Faction executed the reform to against an aggression of the west, to raise The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 though a possible of an independence if people are educated. This reserch, an object, character and an ideology of educational reform and in The Gabo Reform of 1894. First, It tried to observe the objective of educational reform form the quality of education of A civilization-Faction and new policys of instruction to make strenuous efforts of the people, administer Nation. Second, Study about an Education Founding Royal rescript's promulgated background as basis of educational reform‘s a practice thory. Analyze about the founding of a state by education and study modern education theory in The Gabo Reform of 1894. examine new education' realization through reformation. Even, almost of all ‘the founding of a state by education is quoted from educational massage-Japan, It is sure that Joseon' will to reflect Japan's successful modern reformation and the government with civilized person show. Third, like inspect closely character of the leading role in planning to nation's reformation for historical contents come to contents analysis of history textbook that the government compiled directly. By educated history education in our modern schools in common, for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and 'establishment national subjecthood', Be enhanced accommodation of the 'New culture' and the national spirit in development process to modern state, It was taken important situa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y. The government was manage the modern education system covering a10 years period until Gapo reformation of 1894 to Eulsa treaty of 1905. In spite of Japan's interference and education system of Chosun was imitate Japan's education system, Official regulations and rule enactment of our school by Chosun government. Stipulation of education system with ‘the founding of a state by education’ by Chosun government, education reformation of Gapo reformation period was foundation of chosun modernization,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education. 갑오개혁은 서양의 열강과 일본의 간섭으로 대외적으로 불안과 위기감이 팽배하고, 대내적으로는 잠재되어 있던 사회의 모순이 폭팔하여 아래로부터의 강한 개혁이 요구가 있던 상황에서, 정부와 개화파는 이를 조선의 위기로 인식하여 개혁을 주도한 것이다. 정부와 개화파는 기울어 가던 조선을 되살리고, 열강 사이에서 국가의 자주성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은 부국강병을 이루어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했고, 이는 교육을 받은 국민만이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내야만 가능한 것이라 여겼다. 이 시기의 교육개혁은 이러한 국가주도적 성격을 토대로, 갑오개혁 전반의 근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개혁의 성격을 토대로 하여 크게 ‘제 2장 갑오개혁기 교육개혁의 내용과 이념’과 ‘제 3장 갑오개혁기 역사교육과 교과서 편찬’을 통해 갑오개혁기의 교육개혁에 대해 살피고자 했다. 제 2장에서는 교육개혁이 국가에서 직접 주도하여 교육체제를 형성하게 된 근대적 교육성격을 개화파 관료들의 교육이념과 정부의 교육입국조서 내용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개화파 관료들의 교육이념에서는 신교육과 선진문물을 받아들여 근대국가 건설을 지향했던 박영효와 유길준의 교육사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교육이념이 갑오 교육개혁의 이념으로 발전된 배경을 볼 수 있다. 또한 정부의 교육입국조서의 반포 배경과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근대적 국가를 건설하고, 국가주의 교육사상을 국민들에게 교육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했던 정부의 의지를 볼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초기 근대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역사교육이 채택되고, 갑오개혁기에는 정부가 직접 역사교과서를 편찬한 사실을 통해, 역사교육을 통하여 국민에게 민족의 주체성을 성립하고자 한 국가의 교육목표를 확인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정책의 방편으로 각급 학교 교육과정에 필수 교육과정으로 들어있음을 확인하고,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내용의 측면에서도 근대화로의 지향과 함께 국가의 자주성도 높이고자 했던 이상과 노력을 살펴보았다. 갑오개혁기의 교육개혁은 지금도 긍정적ㆍ부정적 시각에서 많은 논란이 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시대가 요구했던 주요상황들을 중심으로 하여 정부와 개화파들이 직접 국민을 교육시켜 국가중심의 개혁이 시작되었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두며, 특히 역사교육을 주요과목으로 채택하여 근대국가로의 발전 과정에서 필요한 신문화의 수용과 함께 민족 정신을 기르고자 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는 현재 대외적으로 주변국과의 수많은 역사분쟁이 과열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역사교육의 중요성을 다시금 우리 내부에서 인식하고, 이러한 정신을 갑오 교육개혁에서 역사교육을 실시하고자 했던 이유과 그 성격을 우리 스스로도 이해하고 고취시켜 자국사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을 위한 임상진료부문 요구도 분석에 따른 모델개발

        황규연 부산가톨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정보 이용 증대에 따른 의료기관 내 임상진료부문 정보이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시스템 구축과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시 소재 일 종합전문요양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의사를 대상으로 2005년 4월1일부터 5월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임상진료 부문에 데이터웨어하우스 파일럿 시스템(Data Warehouse Pilot System)을 구현하였다. 설문 조사내용은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중요활용부문,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의 유용기간, 진료와 검사관련 정보의 중요도, 수입 및 환자통계부문의 중요도와 병원경영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내용으로 설문지 530부를 배부하여 56.6%의 회수율을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병원데이터웨어하우스의 중요활용부문으로는 환자진료부문, 연구지원부문, 일반통계지원 부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유용기간은 평균 3~5년이었다. 병원정보 이용의 중요도 부문에서는 진료와 검사에 관련 항목의 중요도 평균은 4.23이었고 병원경영 부문의 중요도 평균은 3.74 그리고 수입 및 환자 통계 부문의 중요도 평균은 3.72였다. 이들 조사 내용의 세부항목에서 의사의 성별, 연령별, 직종, 진료과목, 근무연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진료 및 연구지원 부분의 데이터웨어하우스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현재까지 쌓여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진료 및 연구지원에 필요한 시스템이 구현된다면 의료의 질 향상과 진료 및 연구에 많은 기대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hospital information users' degree of request in order to build up the basic data and to construct the appropriate information system, as the informational use of the clinical part in the hospitals increase. For this research, I conducted the survey in which doctors who work in the tertiary hospitals in Busan participa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1, 2005 to May 30, 2005.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the Data Warehouse Pilot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field of Clinical Part. The questionnaires of the survey included the important practice part of Data Warehouse, the length of necessary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reatment and relevant examination informatio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income and patient statistics,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f the hospital, A total of 53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6.6% of them were returned. The important practice part of the hospital data warehouse was the patient treatment part, the research support part, and the general statistics part by the order. An average of three to five years of period were taken for the necessary decision-making. In the field of degree of use of hospital information, treatment and examination was 4.23, while hospital management was 3.74, and income and patient statistics was 3.72. Doctor's sex, age, job classification, field, length of work were the deciding factors in the details of the investig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the study, the data warehouse pilot system on the treatment and research support part was constructed, and this syste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text date which has been accumulated so far. It is expected that quality medical treatment and better research will be available if the system this study embodied will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 협력적 다중 셀 네트워크에서 유틸리티 함수 기반의 스케줄링 기법

        황규연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다운링크 다중 셀 네트워크에서 동적으로 협력 전송(CoMP Transmissio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을 사용하는 유틸리티 함수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다중 셀 네트워크에서 협력적 통신 네트워크와 비 협력적 통신 네트워크의 신호 대 잡음 비를 계산하고 각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률을 계산한다. 종래에는 비 협력적 통신을 이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측정하거나 협력적 통신을 이용하여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안하는 유틸리티 함수 기반의 스케줄링 기법은 동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무선 환경에서 종래의 MR(Maximum Rate) 스케줄링과 PF(Proportional Fair) 스케줄링을 사용할 때 제안한 유틸리티 함수기반의 스케줄링 기법에 따라 성능을 평가하고 비교한다. 제안하는 유틸리티 함수 기반의 스케줄링 기법은 협력적 통신 네트워크와 비 협력적 통신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사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셀 경계 사용자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In this paper, the downlink multi-cell cooperation of the dynamic network transmission (Coordinated Multi-point) using derived a utility function and based on this the user scheduling algorithm is propo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 multi-cell networks,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communication network of a communication network to calculate the signal to noise ratio to calculate a data rate for each network. Conventionally, the non-cooperative communication, or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network by using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cell edge user the study was conducted. The proposed scheduling scheme based on a utility function using a network, each of the dynamic use. In a wireless environment conventional MR (Maximum Rate) scheduling and PF (Proportional Fair) scheduling, when using the scheduling scheme proposed by the util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based evaluation and compared. The proposed utility function allows collaborative and non-collaborative communication networks as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ynamic performance of the whole network,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cell edge user can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