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양이 조절된 금 입자의 제조와 그들의 응용

        허진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용액상 합성법을 통해서 금 나노입자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는 연구를 하였다. 등방성 금 나노입자의 크기를 3.5 nm 크기부터 100 nm 크기까지 조절하였고, 두 가지 금속 (금 과 은) 이온을 이용해서 형성되는 나노입자의 조성을 조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서로 다른 금속 성분을 갖는 core/shell구조의 입자를 합성하였고 각각의 나노입자에 대해서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특히 core/shell 구조에서는 shell의 두께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나노입자의 크기와 조성만으로는 큰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없어서 나노입자의 모양을 조절하는 시도를 하였다. 비등방성 금 나노입자는 계면활성제 CTAB를 이용해서 용액상 합성법을 이용하였다. 모양의 조절은 판, 막대기, 팔면체, 육면체 형태로 합성하였다. 만들어진 나노입자는 UV-vis spectroscopy, NIR-UV-vis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X-ray diffraction (XR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금 나노팔면체를 이용해서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특성을 관찰했다. 구형의 금 나노입자를 대조 군으로 선택하여 나노팔면체 입자와 SERS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나노팔면체 입자가 더 큰 SERS 특성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SERS 증강 mechanism을 Local plasmon 관찰을 통해서 이해하였다.

      • 한국과 일본에 서식하는 갯강구(등각목, 갯강구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비교 분석

        허진화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Sea slaters show an amazing ecological diversity and morphological flexibility. They are common around the worldwide and their habitats range from waterfront. Ligia has an ecological important role for nutrient recycling in marine ecosystems. Thirty seven species of Ligia have been identified worldwide, and 12 species of Ligia has been recorded in East Asia. Ligia exotica and Ligia cinerascens has been recorded in Honshu, Shikoku and Kyushu in Japan, along the Korean peninsula and coastal China. The only one species, Ligia exotica Roux, has been recorded in South Korea. The mitochondrial genes and phylogeographical features of sea slaters from the genus Ligia were analysed from samples collected along coastal Korea and adjacent coastal Japan to assign the species and to obtain interpretations of their distributions. According to previous study, Ligia exotica populations of Korean peninsula and Japan were divided into three genetic types by mitochondrial genome and 16S rRNA, COI analysis. Currently, mitochondrial genom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genetic information and basal data for Species.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have been widely used in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due to relative lack of recombination and a higher rate of base substitution.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mitochondrial genom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Ligia exotica 3 type(A, B, C). Contiguous 13,395bp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Ligia exotica A type. The Ligia exotica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consists of 12 protein coding genes, 16 tRNA genes, and 1 rRNA gene. 7,557bp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Ligia exotica B type. The Ligia exotica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consists of 8 protein coding genes, 10 tRNA genes, and 1 rRNA gene. Contiguous 13,449bp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Ligia exotica C type. The Ligia exotica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consists of 12 protein coding genes, 16 tRNA genes, and 1 rRNA gene. It has high AT content, similarity and genetic distance of Ligia exotica A, C type.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phylogeography are described here. Although the two types of Ligia exotica (A, B type) were found in the same habitat, they showed significant genetic difference. It seems that a reproductive isolation exists between the two types of Ligia exotica. Our result means that Ligia exotica B type is not included in Ligia exotica. Ligia exotica B type is found in Ligia cinerascens. The two species, Ligia exotica and Ligia cinerascens, has been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from Ligia exotica was sequenced and characterized in detail. It was confirmed that sea slater was composed of three distinct genetic type. 갯강구는 절지동물문 (Arthropoda) 갑각아문(Crustacea) 연갑강(Malacostraca) 등각목(Isopoda) 갯강구과(Ligiidae)에 속하는 무척추동물이다. 생김새가 바퀴벌레와 유사하여 바다의 바퀴벌레라고도 불리며, 대략 5월에서 6월, 9월에서 10월 사이에 번식을 한다. 갯강구는 전세계 해안가 어디에서든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물 속에서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바위 밑이나 물기가 축축한 곳에 서식한다. 한국에는 단 한 종인 갯강구(Ligia exotica)만이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한국에서 발견되는 갯강구가 한 종이 아닌 여러 종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 되었으며, 또한 학명이 Ligia exotica가 아니라는 의견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에도 한국과 일본에서 채집된 갯강구를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분석과 갯강구의 지리적 특성 분석은 이루어진 적이 없다. 사전연구결과, 울릉도와 독도를 비롯한 동해안 지역과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지역, 대마도와 일본 본토(돗토리 일대) 등의 지역에서 총 489개체(서해안 : 남해안 : 동해안 : 일본 = 216 : 109 : 112 : 52)의 갯강구를 대상으로 하여 16S rRNA 유전자와 COI 유전자를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갯강구가 확연히 구분되는 세 개의 genetic type으로 나누어지며, 그 세 개의 집단을 A, B, C type으로 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 type(A, B, C) 갯강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갯강구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중에서 갯강구 A type이 13,395 bp의 염기서열이 결정되었고 갯강구 B type이 7,557 bp의 염기서열이 결정되었으며, 갯강구 C type의 연구 결과 13,449 bp의 염기서열이 결정되었다. 갯강구 A, B, C type의 AT contents와 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갯강구 A, C type이 서로 높은 유사도 값을 나타내었고 갯강구 B type과는 낮은 유사도 값을 보였다. 또한 갯강구 A, B, C type의 genetic distance를 분석한 결과, 갯강구 A, C type이 서로 높은 유사도 값을 나타낸 반면 갯강구 B type은 Ligia cinerascens와 높은 유사도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갯강구 B type은 Ligia exotica가 아니라 Ligia cinerascens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갯강구 3 type의 지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갯강구 A, B type이 같은 서식지를 공유하므로 생식의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하게 유전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것은 갯강구 A, B type간에 생식적인 격리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의 갯강구 A type과 일본의 갯강구 C type이 갯강구 B type에 비해 유사하지만 분명한 유전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갯강구 A, C type간 지리적 격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 서식하는 갯강구가 단 한 종이 아니라 Ligia exotica와 Ligia cinerascens 2 종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초 규명된 갯강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와 지리적 특성 분석은 새로운 한국미기록종의 기재와 향후 갯강구의 추가적인 연구에 대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치이즈를 첨가한 고추장의 성분특성 변화

        허진화 목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고추장의 품질향상과 세계화를 위하여 찹쌀의 일부를 치즈로 대체한 고추장을 제조하고 숙성중의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변화, 관능검사 등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치즈 첨가비율이 증가되면 총 당은 감소되고 총 질소는 증가되었다. 고추장의 pH는 숙성 12주에 저하가 심하였고, 치즈 첨가로 적정산도는 증가되었다. 고추장의 환원당은 숙성 6주 이후에 감소되었으며, 치즈 첨가로 환원당과 알코올의 생성은 감소되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6주 이후에 저하되었으나 치즈 첨가구에서 높았고, 암모니아태 질소는 숙성 8주 이후에 저하되었으며 숙성 후기에 치즈 첨가 영향은 적었다. 12주 숙성시킨 고추장의 관능평가는 치즈 1% 첨가구가 유의성은 없으나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고 4%와 6% 첨가구는 맛과 색,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판정을 받았다. 또한 쌈장을 이용한 소스의 관능평가에서도 맛과 색,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겨자를 첨가한 구가 제일 양호하였고 다음으로 치즈, 알코올 첨가구 순이었다. To improve the quality of kochujang and globalize the product, kochujang was manufactured whose glutinous rice was replaced with cheese its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ripening were examined, and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to check the quality check. As the amount of cheese increased, the total amount of sugar decreased but the total amount of nitrogen. The reducing sugar of kochujang decreased after six weeks of ripening and adding cheese resulted in decreased reducing sugar and alcohol. Amino nitrogen decreased after six weeks of ripening, but its amount was greater when cheese was added. Ammonia nitrogen decreased after eight weeks of ripening adding cheese had little effect. A sensory evaluation of kochujang that had ripened for 12 week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1% cheese did not have significance, but th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were good 4% and 6% cheese additions resulted in worse evaluations in terms of taste,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than the control sample. In addition, the sensory evaluation of sauce using soybean paste showed that mustard-added sample ha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taste,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followed by cheese addition and alcohol addition.

      • 표면구조가 다른 Si(100)기판 위에서의 화학적 산화막을 이용한 CoSi₂상형성에 관한 연구

        허진화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화학적 산화막을 이용한 Si(100) 기판의 표면 구조에 따른 Co-silicide성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기판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0.5。 미만의 miscut을 갖는 on-axis Si(100)기판과 4。의 miscut을 갖는 off-axis Si(100) 기판 위에서의 Co-silicide상 형성을 비교해 보았다. 모든 시편들은 과산화수소수(H2O2)에 10분간 처리하여 20 Å의 화학적 산화막을 형성시킨 후, 전자빔 증착기(electron-beam evaporation system)를 사용하여 Co 박막을 증착한 후 400 ℃~700 ℃에서 10분간 in-situ 열처리하였다. 실험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되었다. 첫째로는 off-axis 기판과 on-axis 기판위에 Co를 단일 증착하여 기판의 표면구조에 따른 상형성 차이를 연구하였으며, 둘째로는 off-axis 기판위에 Co와 Si 원소를 1 : 0.5과 1 : 1의 원자비로 동시 증착하여 증착비에 따른 상형성온도의 변화와 계면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때 형성된 silicide는 XRD, SEM, TEM, AES를 이용하여 상형성, 표면과 계면형상 및 조성분석을 하였다. Co 단일증착된 경우에는 Co2Si 상이 초기상이었으며, off-axis 기판에서는 CoSi2 성장이 600 ℃에서 on-axis 기판에서는 CoSi2의 성장이 700 ℃에서 형성되었다. 즉, on-axis 기판에서보다 off-axis 기판에서의 Co-silicide 형성이 보다 빠르게 일어남이 관찰되었다. 이는 step이 존재하는 off-axis 기판의 경우 표면확산을 위한 활성화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동일온도 동일시간에서의 표면확산이 보다 빠르게 일어나 상형성이 빠르게 일어난 것이다. 동시증착의 경우, 단일증착과는 다르게 CoSi상이 초기상이었다. Co와 Si를 1 : 0.5로 증착하였을 때 700 ℃에서 CoSi2가 형성되었으며, Co와 Si를 1 : 1로 증착하였을 시에는 600 ℃에서 CoSi2가 형성되었다. Co와 Si를 1 : 0.5의 원자비로 동시 증착하였을시 화학적 산화막은 600 ℃에서 부분적으로 깨지면서 기판의 Si가 결합을 끊고 화학적 산화막위로 확산을 하여 불균일한 상을 형성시켰다. 그러나, Co와 Si를 1 : 1의 원자비로 동시증착하였을 시에는 화학적 산화막 위에서 CoSi2의 균질한 silicide가 형성됨이 관찰되었다. Co-silicide의 형성 엔탈피가 음이기 때문에 증착된 Co원자는 Si 원자와 결합하려고 한다. 깁스 자유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증착된 Si과 더욱 결합하려고 하며 기판의 Si가 화학적 산화막위로 확산하여 Co-silicide를 형성한다. 즉, 단일증착의 경우에는 Co가 확산종으로 작용하였으나, 동시증착의 경우는 Si가 확산종으로 작용하였다.

      • 현장 교사들의 배움 실천에 관한 연구 : S여대 교육대학원 유아교수법 수업을 중심으로

        허진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재교육기관인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교수법 수업을 통해 배움과 실천의 연결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게 되는지와, 교육이 끝난 후 ‘배움-실천’이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재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지향해야 할 교육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들의 유아교수법 수업에서 ‘배움-실천’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현장 교사들의 ‘배움-실천’의 실천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2년 9월 5일부터 12월 19일까지 S여대 교육대학원 유아교수법 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교수법 수강자 중 연구자를 포함한 6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매 수업이 끝난 후 현장 교사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수집하였고 강의의 진행 단계에 따라 배움 실천에 대한 면담을 수행하여 전사본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제와 의미생성을 위한 코딩(Coding)을 수행하였고 주제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통해 유목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들의 ‘배움-실천’ 경험을 살펴보면, 배움의 첫 실천으로 자신을 돌아보기 시작한 교사들은 약간의 혼란스러움을 경험하면서 성찰일지 쓰기를 시작하였다. 교사들은 성찰일지 쓰기를 스트레스로 인식하였지만 한편으로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며 진정한 성찰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으며, 습관화된 관찰에서 벗어나 관찰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교실에서의 삶을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성찰과정을 통하여 반성적 사고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수업이 끝난 후 교사들은 현장에서 ‘배움-실천’의 실천을 시작하였는데 실천의 과정 중 근무 기관의 상황과 기존에 운영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계속해서 ‘배움-실천’의 실천을 해나가며 점점 변화되는 스스로의 모습을 인식하게 되었고 아이들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 현장의 교사들이 배움의 과정을 실천할 때 혼란스러움과 어려움도 있었지만 교사 스스로의 교수 행동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고 실천에 대한 이야기들을 함께 나누고 들어보며 함께 성장하는 시간이 되었다. 배움 실천의 경험을 통해 변화된 스스로의 모습을 느끼게 된 교사들은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으로 현장에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전문적인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현장실천과 배움의 공동체를 바탕으로 현장 교사들이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Year after year, a number of teachers are enter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be better teachers. However, what those teachers learn in the program, how they implement what they've learned, and how they connect what they've learned and what they should do in their classroom remain isolated. In this study, how their learning and praxis are implemented in their classrooms will be qualitatively studied to seek for ways to develop the graduate program. Two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to study them. First,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retrain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earn from their Instructional Methodology course, and what did they experienced. Second, how those teachers apply praxis with they've learne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a semester by studying students in Instructional Methodology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 Women's University. All of the six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searcher, are working as teachers as well as studying in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write reflection journals right after each class and individual interview is conducted and transcribed. Those materials are classified by thematic co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articipants got confused and thought it stressful when they began writing reflection journals. However, as time goes by, they had enough time to reflect their own classroom teaching experience away from their habitual inspection. Throughout this process, they learned how to think reflectively and critically. Second, as teachers, participants tried to implement what they've learned in class, which contains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crashing into the existing educational program. However, they recognized how they are transformed and developed and how their view on students changed.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retrain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rst began writing reflection journals and tried to implement learning and praxis as they've learned, they confronted difficulties and confusion. However, it gave them chances to deliberate on their class and practice. Teachers who experienced reflective period tried to perform their job more actively and passionate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graduate program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own attainment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이 체육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진화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인 담임교사와 체육전담교사가 체육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을 학급담임과 체육교과전담의 2유형으로 분류하여, 설문에서 체육수업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학생 109명의 설문지를 통하여 체육 수업의 교육적,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만족도를 전산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체육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만족도에 있어서 체육전담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교육적 만족도가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보다 높았다. 신체적 만족도에 있어서도 체육전담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체육수업의 사회적 만족도는 전담교사보다는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평균치 비교에서 심리적 만족도도 담임교사에게서 수업을 받은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