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문화유산콘텐츠를 활용한 전통이미지 연출 연구 :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나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공 산업과 국제적 협력이 강화된 현재의 국제공항은 전 세계인과 소통하는 문화의 장소로 자리하고 있다. 다만, 현재 공항에서 보여 지는 한국을 상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공간이나 이미지가 부족한 현 공항의 장소적 특징을 기본으로 한국을 처음 접하는 공간으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필수적으로 나타나야 함을 재고한다. 인천국제공항은 신기술과 현대적인 요소로는 채워져 있지만 한국을 대표적으로 소개하는 공간으로서 한국 고유의 문화적 특성과 가치 있는 문화유산이 소개되는 공간은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인천국제공항은 이미 세계적인 공항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정교한 시설만으로 공항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공항의 상징적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인천국제공항만의 차별화된 장소적 가치 수립과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을 위한 종합적인 문화예술 개념을 도입하여 발전시켜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며, 한국 문화유산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현대적 시각으로 융합한 활용사례와 공간 활성화 방향을 알아보고 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하였다. 문화유산 요소를 활용하기에 앞서 일본의 하네다, 나리타 국제공항의 내부 리뉴얼과 관련하여 일본 국제공항에서의 문화유산 이미지 활용사례를 연구하며, 인천국제공항에 접목시킬 수 있는 활용방안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인천국제공항에 한국의 대표적 이미지를 창출을 위한 공간 연출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일본의 사례와 유사한 국내의 공공장소 특성을 가진 공간에서 활용되고 있는 문화유산사례를 예로 인천국제공항에 접목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인천국제공항에서 한국의 문화유산 대한 가치 인식을 재고하며 한국을 접하는 다양한 대상에게 문화유산을 통해 한국의 예술문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전형적인 박물관 혹은 미술관에서 벗어나 국제공항에 문화요소를 대입시켜 관람자들에게 기존의 예술 작품을 접하는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하게하는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여 더욱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유도할 있음을 시사했다. 한국의 예술과 현대적 면모, 전통적인 것들을 모두 공감하게 하며 문화적 차이와 다양성을 넘어 예술 본래의 깊은 의미를 되새기며 한국의 모습을 알게 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다시 말해 국제공항의 한국 문화요소들을 통하여 친근하게 문화적 체험을 경험하며 한국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의 상징적이고 특수한 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공항으로서 가치를 높이고 문화유산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개선 방향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할 수 있다. The rapid expansion of the aviation industry constitutes a valuable insight for the cultural space with the benefits of vitalizing communication tho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a space or image that could symbolize Korea at the airport. Based on the locational features of International airport, it is reconsidered that image representing Korea should appear as a place to encounter Korea for the first tim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ahead with high technologies and modern elements, but it lacks space to introduce Korea’s unique characteristic and valua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airport is recognized as a world-cla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iated place specific value that further highlight its symbolic meaning. In addition, it is vital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introducing a comprehensive concept of culture and arts for creating sustainable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ses and direction of space activation that combine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with different perspectives. This research began with questions on why the cultural airport can serve as an applicable model of interesting landmark, what potential contributions the Korea heritage image can make to transform a space of cultural harmony, how they can create a balance between traditional cultural value and operational benefit, and what improvement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currently considered in many quarters. This dissertation aims to traditional image production of image representing Korea is an essential precondition for the airport regarding someone’s first encounter area. The operativ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elements applied successively to production with long-term competitiveness exists in its potential to improve its value with a favourable impression in Korea. This study analyses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tional airport in Japan and its developed features through cultural events and management with heritage image.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Narita and Haneda international airport as a development strategy of the airport as a part of cultural led renova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practical use of traditional culture image, this dissertation will look at the various context, comparing international airports with other experiences. These cases closely link to cultural resourceful utilization which allows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ultural reproduction expansively through traditional-based experience and learning with high technolog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duce a more prosperous cultural life by providing cultural experiences that allow visitors to experience a new artistic experience with existing traditional art works. This study also emphasi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airport in Korea, the importance of a differentiated identity of the nationality, which results from promo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exhibition initiatives as well as the role of production and public interests.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tional airport cultural place on the basis of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 Sergei Rachmaninoff Piano Concerto No. 3, Op. 30 작품 분석 및 연주 방향 고찰 : 기능화성적 접근

        한나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말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Vasilyevich Rachmaninoff, 1873-1943)는 작곡가, 피아니스트 그리고 지휘자로 활동하였고, 수많은 피아노 독주곡과 4개의 피아노 협주곡뿐만 아니라, 성악곡, 기악곡, 관현악곡,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남겼다. 이 논문은 그의 작품 중 《피아노 협주곡 3번 d단조, Op. 30(Piano Concerto No. 3 in d minor, Op. 30)》을 기능화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연주 방향을 논한 것이다. 작품연구는 크게 네 가지 관점으로 나누었다. 첫째, 본 논문에서 다룰 화성이론 중 기능화성법과 그의 표기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둘째, 각 악장의 구조를 살펴보고, 전통적인 형식을 따르는 방식과 그의 반대로 일탈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능화성적 분석을 통하여 후기 낭만적 화성기법과 반음계적 기법들이 어떤 방식으로 쓰였는지 연구하였다. 이러한 화성적 기법들을 바탕으로 라흐마니노프의 화성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넷째, 악장마다 특징적인 부분에서 기능화성과 음도이론 분석의 비교를 하고, 연주자의 관점에서 그 비교를 통하여 어떻게 해석하는 것인지 설명하였다. 즉, 본 논문은 각 악장의 구조에 의해 만들어지는 연주의 방향과, 음도이론으로 분석할 수 있지만, 기능화성으로 분석했을 때 연주자가 더 설득력 있게 해석을 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이것에 의한 연주 방향을 다루었다. 라흐마니노프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넘어가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민족주의라는 노선을 따르지 않고 반대편 서구사회주의자 즉, 세계주의를 추구하던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작품을 분석하면서, 라흐마니노프가 고전 양식과 후기 낭만음악의 어법안에서 자신만의 기법 및 색채를 결합하여 작곡했음을 알 수 있었다. As a musician, Sergei Vasilyevich Rachmaninoff(1873-1943) was a composer, pianist, and conductor in the Romantic Period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left many piano solos and 4 piano concertos along with various genres of works including vocal music, instrumental and orchestral pieces, operas and so on. This paper discussed the performance direction of the Piano Concerto No. 3 in d minor, Op. 30, one of his works, based on its functional harmony analysis. The research on this piece was conducted from 4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functional harmony and its notation in the realm of harmony theory, which is to be dealt with in this study, were explained. Second, the harmonic structure of each movement was examined, and the way of following the traditional form and harmony that escapes from it were analyzed. Third, it explored how techniques of the late Romantic harmony and chromatic techniques were used through functional harmony analysis. Then, Rachmaninoff’s harmonic features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harmonic techniques. Fourth, functional harmony and tonal theory were used for comparison analysis on differentiated parts of each movement, from which how to interpret this comparative analysis was explained from the performer’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this paper analyzed the piece through the performance direc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each movement and it focused on functional harmony analysis through which I could convincingly interpret the performance direction. Rachmaninoff is known as a composer who pursued the socialist in the West, and did not follow the trend of nationalism in the changing perio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In other word, he was a composer who pursued cosmopolitanism. Th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Rachmaninoff composed his works by combining his own techniques and musical colors in the classical and late romantic music style.

      • 한국의 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연구 :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을 바탕으로

        한나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문화재 주변의 공간을 함께 보존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은 유네스코 등 국제기구에서 공표하는 국제규범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왔다. 이 정책이 한국 문화재 보존정책에 도입된 이래, 문화재청은 문화재 보존이라는 공적 당위성과 국민의 사유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상반된 목적을 달성해야하는 복잡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또한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도입으로 인해 보존의 범주가 점 단위에서 공간 단위로 변화함에 따라 규제의 대상이 더욱 확장되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행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은 「문화재보호법」에 근거하여 문화재별 행위기준(허용기준)이 적용되는‘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제도’ 와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의 고도 보존제도가 있으며, 두 제도의 핵심적인 내용은 현상변경허가제도이다. 본 논문은 다음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국민의 재산권의 침해가 심화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은 왜 도입되어야만 했으며, 도입을 촉진시킨 요인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둘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이 점 단위의 지정문화재 중심으로 설계된 기존의 문화재 보존정책과 어떤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지, 그리고 해당 정책이 공간 단위 문화재를 보호하는 데 적합한 정책인지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연구의 이론적 접근방법으로,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을 적극 활용하였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부터 현재까지 한국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단계별 도입배경 및 변화과정은 세 가지 제도적 동형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물론 각 단계는 한 가지 동형화 기제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 기제가 혼합하여 영향을 주고 있으나, 단계별로 가장 강력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동형화 기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보존정책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문화재 보호제도 수립기(1962~1999)로, 국외 제도를 모델링하는 모방적 동형화 과정이다. 이 시기에는 건축법에 프랑스의 문화재 주변 건축행위 허가제도가 도입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문화재 보존 영향검토 시행기(2000~2009)로, 규범적 동형화 과정이다. 이 시기에는 국제기구 한국위원회가 설치되고 활동을 개시했을 뿐 아니라, 문화재청 내에도 전담부서가 신설되는 등 전문화 ․ 조직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전 단계에서 도입된 건축법의 건축행위 허가제도가 삭제되는 과정에서 야기된 문화재 훼손위기 사례를 통해, 역사문화환경 관련 보존정책 수립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확산됨으로써 문화재보호법에 문화재 주변 500m 공간을 설정하여 공간 내 행위규제가 도입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도입기(2010~현재)는 1단계의 국외 선진 정책사례 모방과 2단계의 조직화 ․ 전문화를 기반으로 국가 차원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 아래 역사문화환경 보존을 위한 강력한 제도를 구축하는 강압적 동형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역사문화환경의 개념이 법률적으로 정의되고, 국제규범에서 도출 가능한 역사문화환경 보존가치를 포함하는 제도와 정책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도입기’의 보존정책의 동형화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설명 가능하다. 첫 번째, 국제규범의 역사문화환경과 관련된 관념적 개념의 ‘역사문화환경 보존가치’와 비교할 때 ‘경관 가치’와 ‘생태적 가치’는 행위기준(허용기준) 마련 과정에 세부적인 지표가 반영되어 동형화가 이루어졌으나, ‘무형적 가치’는 ‘역사문화환경’ 개념에 반영되어 있지 않고 구체적인 제도화 단계도 아니다. 두 번째, 국외 역사문화환경 관련 정책과의 비교에서 공간을 설정 또는 지정하고 현상변경 행위를 규제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특성은 동일하다. 다만 구체적인 방법은 한국의 특성에 맞게 변형하였고, 그 결과 구축된 제도의 내용이 문화재별 행위기준(허용기준)을 고시하여 기준 밖의 행위만을 규제하는 것이다. 세 번째, 한국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은 국외 정책사례와 비교할 때 규제제도의 운영 주체와 규제의 범주, 두 가지 부분에서 차이가 확인된다. 아울러 선택적 동형화 및 동형화의 속도의 원인은 국가별 행정체계 및 한국의 문화재행정체계 특수성과 사회적 정당성의 확보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사회적 정당성 확보과정에는 문화재와는 차별화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가치’확립이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정당성 확보를 ‘인지적 과정’, ‘사회 인식에 따른 정책 대안’이라는 측면으로 볼 때, ‘역사문화환경 보존가치’의 확립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정당성 확보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충분하지 않은 사회적 정당성 확보는 동형화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고, 일부 선택적 동형화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제도화가 촉진되지 않은 원인이 된다. 그러나 3단계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도입기’의 동형화 특성을 국제규범 및 국외제도와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대체로 동형화의 속도는 늦으나 동형화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도입기’의 정책의 핵심은 문화재별 행위기준(허용기준)이 적용되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현상변경허가제도이며,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제도’ 또는 ‘문화재별 행위기준(허용기준)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제도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 점 단위 문화재 보존정책과 차별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공간 단위 문화재 보존정책으로서 적절성이 인정된다. 먼저 문화재별 행위기준(허용기준) 마련의 과정에는 도시계획상 용도지역, 문화재 입지유형 등의 공간 특성이 고려된다. 또한 문화재별로 행위기준(허용기준) 범주에 속하는 현상변경행위에 대해 원칙적 허용에 따른 예외적인 제한이라는 원칙을 적용한다. 이는 법령에서 전반적으로 정의하는 행위에 대해 원칙적으로 규제하는 국가지정문화재 및 고도 보존제도의 현상변경허가제도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아울러 ‘문화재별 행위기준(허용기준) 제도’는 문화재의 입지유형 등의 공간 요소 및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넓은 면적이 규제대상이 됨에 따라 확대되는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즉 공간 보존 목적과 확대된 재산권 침해 범주 최소화라는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두 가지 목적성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단위 문화재의 적절한 보존정책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2015년 이후에 조망성 등의 경관관리 5대 지표와 빛, 소음 등의 유해행위 관리지표를 추가한 정책은 국제규범의 ‘경관 가치’및‘생태적 가치’가 구체적인 제도운영에 도입된, 한국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특징이자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제도는 공간의 설정 기준이 점 단위 지정문화재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1단계에서 1978년 건축법의 문화재 주변 행위허가제 도입과 2단계인 2000년, 문화재보호법의 문화재 주변 영향검토 시행은 모두 점 단위 문화재 보호에서 출발하였다.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문화재 훼손 방지와 행위허가제(규제제도)가 삭제될 경우 발생하는 문화재 경관과 보존가치 훼손 방지가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이 도입된 원인이었으며, 주변의 공간 내 특정 행위를 규제해야만 점 단위 문화재도 보존된다는 인식이 있었다. 아울러 한국은 점 단위 문화재 지정체계 중심인 문화재보존체계이기 때문에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은 점 단위 지정문화재 단위로 관리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동형화 특성과 기존 점 단위 문화재 보존정책과의 차별성 검토에서 확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 여섯 가지 제도적 보완 및 발전방향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 사회적 정당성을 충분히 확보하고‘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불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술적, 정책적 고민을 통하여 역사문화환경 보존 당위성과, 보존의 방법론, 보존가치 등을 아우르는 ‘역사문화환경 보존개념’으로 재정비되어야 한다. 두 번째,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현상변경허가와 관련된 행위 기준의 불명확성을 개선하고 공간특성이 허용기준 및 허가절차에 반영되게 하기 위하여 「문화재보호법」제13조 ④항의 허가신청절차 규정 등에 대한 정비와 허가신청 유형을 고려한 허가신청절차의 개선, 문화재 입지유형을 고려한 허용기준 작성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세 번째, 국제규범으로부터 도출한 3대 ‘역사문화환경 보존가치’중 한국 관련 제도에서 보존조치가 미흡한 무형적 가치 활성화를 위하여 백제문화재 등 문화행사에 대한 현상변경허가신청절차를 간소화하여야 한다. 네 번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 도입으로 발생되는 개인 재산권 침해 범위 확대로 인한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구 규모를 고려한 의견수렴 절차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 역사문화환경의 효율적인 자료 관리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국가지정문화재 중심으로 정리되던 행정자료를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기준으로 재편하여야 하고, 여러 유형의 지정문화재가 포함된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공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공간 단위 문화재의 유형 분류가 필요하다. 여섯 번째, 역사문화환경 보존의 결과 및 효과 점검을 위한 보존평가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우수, 양호, 지원필요, 설정 재검토의 A~D 등급으로 분류하여 등급에 따라 예산 지원과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설정 해지 및 축소 등의 행정조치가 수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톨스토이의 도덕관과 사랑관에 기반한 발레 <안나 카레니나> 연구

        한나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allet movements in Christian Spuck's ballet Anna Karenina(2014) based on Tolstoy's viewpoint of love and moral sense inherent in the novel.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reviewed Tolstoy's life and creative world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and examined his viewpoint of love and moral sense in the novel Anna Karenina. Love of characters in the ballet Anna Karenina wa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olstoy's moral sense to estim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and examine their ballet move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the ballet Anna Karenina was based on the DVD of the performance by the National Ballet Company in November, 2017.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olstoy's viewpoint of love and moral sense inherent in the novel show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love in terms of nature. They are love in pursuit of desire, devoted love, and ideal love. Tolstoy placed the greatest value in "ideal love" to control desire and love oneself and further others. In the novel, the author tried to convey a message through Levin that one should lead a good and nice life while thinking of death all the time. In the ballet Anna Karenina, the choreographer Spuck combined classical ballet movements with modern ones according to the original story line and stroke harmony between dramatic music and splendid costumes, embodying a dramatic ballet. In the ballet, there are three types of love. The first one is aesthetic love. Undergoing rapid psychological changes, the heroine Anna expresses her inner world including joy, sadness, and despair in her dance in detail. When she dances with her husband Karenin, she expresses her cold heart with firm and controlled movements. When she dances with Vronsky, she expresses the feelings of love with light and pleasant movements as if she became a little girl again. In scenes where she is overwhelmed with jealousy and obsession and in pain, she expresses her confused state inside in a concentrated manner. The second type is Dolly's devoted love. She is in pain due to Stiva's affair and has constant conflicts with her husband. Her dance reflects her sad and lonely feelings, and his dance reflects his pretense and bravado. In the scene where she forgives him, her pain of sublimating her sadness is melted in her dance. The last type is ideal love between Kitty and Levin. As Tolstoy's alter ego, Levin is a moral character that seeks after life values. The writer's messages are found in scenes where he cuts grass, dances in the country, and marries Kitty. The dances of the two characters show harmony between modern and classical movements and reflect their free and innocent nature not bound by the formality. Tolstoy is a writer of great literature representing Russia. Of his numerous works, Anna Karenina is considered as one of his three masterpieces and contains his thoughts and contemplation as a reborn thinker. Based on this work, Spuck's ballet Anna Karenina has the moral values that the writer sought after inherent in it and depicts the personalitie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vividly, presenting a ballet that feels like a play. This study on "Moral Love in the Ballet Anna Karenina" investigates Spuck's ballet Anna Karenina based on Tolstoy's moral standards. It adopts a methodology of combining the ballet with Tolstoy's literary work, holding semantic values to present a new viewpoint for the analysis of the ballet and applicative value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ballet. 본 연구는 크리스티안 슈푹의 발레 작품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2014)를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에 내재된 톨스토이의 사랑관과 도덕적 관점에 기반하여 발레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변화 및 발레 동작과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근거로 하여 톨스토이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고찰하였고,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 담겨 있는 톨스토이의 사랑관과 도덕관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발레 <안나 카레니나>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사랑을 톨스토이의 도덕적 관점에 기준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캐릭터의 심리변화를 유추하고 발레 동작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발레 <안나 카레니나>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물은 2017년 11월 국립발레단에서 공연한 DVD 영상자료를 근거로 하였다.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 내재된 톨스토이의 사랑관과 도덕관에 따른 사랑의 성격은 욕망을 추구하는 사랑과 헌신하는 사랑, 그리고 이상적인 사랑으로 압축되었다. 이 중 톨스토이가 가장 가치를 두는 사랑은 욕망을 절제하고 자신과 나아가 다른 사람까지 사랑하는 ‘이상적인 사랑’이다. 또 소설에서 레빈을 통해 톨스토이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는 항상 죽음을 생각하며 착하고 선하게 살아가는 삶이었다. 발레 <안나 카레니나>에서 안무가 슈푹은 원작의 스토리 라인을 따라 발레 동작에서 클래식과 모던함을 접목시키고 극적인 음악과 화려한 의상을 조합하여 드라마틱한 발레를 구현하였다. 발레작품의 세 가지 유형의 사랑에서 첫 번째 유형은 ‘미(美)적인 사랑’이다. 발레에서 여주인공 안나는 급격한 심적 변화를 겪으며 춤에 기쁨, 슬픔, 절망 등의 내면세계를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남편 카레닌과 춤을 출 때 안나는 단호하고 절제된 동작으로 차가운 마음을 표현하고, 브론스키와 춤을 출 때는 마치 소녀로 돌아간 듯이 가볍고 경쾌한 동작으로 사랑의 감정을 표현한다. 안나가 질투와 집착에 휩싸여 고통 속에 있는 장면에서는 혼돈의 내면 상태를 밀도 있게 표현하고 있다. 두 번째 유형은 돌리의 ‘헌신적인 사랑’이다. 돌리는 스티바의 외도로 고통 속에 있으며 항상 남편과 갈등을 겪는다. 돌리의 춤에는 슬픔과 외로움의 감정이 있고, 스티바의 춤엔 가식과 허세가 있다. 돌리가 스티바를 용서하는 장면엔 슬픔을 승화시키는 돌리의 고통이 녹아있다. 마지막 유형은 키티와 레빈의 ‘이상적인 사랑’이다. 레빈은 톨스토이의 분신으로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도덕적인 인물이다. 레빈의 풀베기 장면과 시골에서의 춤 그리고 키티와의 결혼식 장면에는 톨스토이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모던하고 클래식한 동작이 어우러진 두 사람의 춤에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스러움과 순수함이 있다. 톨스토이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이다. 그의 수많은 저술 속에서 「안나 카레니나」는 3대 걸작에 속하며 사상가로 거듭나는 톨스토이의 생각과 고민이 고스란히 담긴 작품이다. 이러한 소설을 발레 작품으로 구현한 슈푹의 발레<안나 카레니나>에는 톨스토이가 지향하는 도덕적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고,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변화가 생생하게 묘사되어 연극 같은 발레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슈푹의 발레 <안나 카레니나>를 톨스토이의 도덕적 기준에 의거하여 탐색한 ‘발레 <안나 카레니나>에 나타난 도덕적 사랑’에 대한 연구는 톨스토이 문학 작품과 발레 작품을 접목시켜 탐색한 연구로서, 발레 작품 분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이론적 가치와 발레 작품의 이해를 높이는 응용적 가치를 지닐 것으로 사료된다.

      •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나래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조리와 관련된 수업을 들어본 학생을 대상으로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실증적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증 연구를 실시 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의 조리교육기관의 수강생들에게 온라인설문을 실시하였고 총308부의 추출된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에 대하여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으로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단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1가지 가설 증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5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신뢰성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응답성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네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확신성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공감성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5개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5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첫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신뢰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응답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네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확신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 번째 가설은 ‘교육서비스품질의 공감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5개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교육만족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1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교육만족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통계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PZB의 SERVQUAL 5가지 유형으로 다양한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연구결과는 아직 미비한 상태임으로 학문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자의 증가와 동시에 조리교육으로 유입된 수강생들의 직종을 파악할 수 있으며 조리교육기관에서 수강 후 취업과 창업 그리고 이직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여 추후 수강생들에게 실무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과 개선에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 전국적으로 실업자가 증가하였음으로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조리교육기관의 영역과 지역의 제한을 두지 않아 표본의 모집단의 범위가 넓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조리교육기관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영국의 Arts & Business와 한국메세나협의회의 비교연구

        한나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일컬어지는 이 시점, 문화는 더 이상 이전의 문화가 아닌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국가 경쟁력이 되어가고 있다. 선진국들은 이미 문화의 힘과 무한한 가능성을 느끼고 문화를 키우기 위해 앞선 발걸음을 보이고 있다. 문화가 성장하기에 정부만큼 중요한 곳이 바로 기업이다. 기업은 문화에 투자할 수 있는 자본이 있으며, 문화투자로 인해 문화를 키우고 자신의 기업을 보다 좋은 이미지로 홍보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메세나는 이처럼 무한한 힘이 있으며, 기업과 예술을 보다 유연하게 이어주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한다. 이 역할은 성과가 당장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멀리 봤을 때, 매우 중요하다. 21세기 창조산업의 길을 가고 있는 영국의 A&B는 메세나 협회에 있어서 선구자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미 1970년대에 기업과 예술이 합쳐졌을 때의 무한한 가능성을 파악하고 가교의 역할을 시작해왔다. 무려 30년이 넘도록 앞서 나간만큼 보다 많은 사업과 전략과 창조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한국메세나협의회의 기업과 예술의 만남 사업 또한 영국 A&B의 모태이며, 영국 A&B는 세계 각국의 메세나협의회의 역할 모델이 되어 왔다. 이번 논문을 통해 영국 A&B의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함과 동시에 한국메세나협의회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알아보며 지속가능하게 앞으로 나아갈 길을 한국 실정에 맞게 재구성 하여 제시하였다. 기업과 예술, 같으면서도 다른 다르면서도 같은 이 두 분야는 함께 걸어왔으며, 지금도 서로 다른 점을 인정하고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면서 함께 같은 곳으로 나아가고 있다. 함께 나아감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거리를 좁혀주었고, 앞으로의 거리를 더욱 가까워지도록 해주는 것은 한국메세나협의회의 역할일 것이다. 기업과 예술의 만남과 순환으로 인해 모든 국민이 문화를 누리고 그 문화로 인해 더욱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기대해 본다. At this point of time that 21st century is referred to as the epoche of culture, culture becomes no longer conventional culture but new high value-added national competitiveness. Recognizing the power and potentiality of culture, advanced countries already makes advanced steps to foster their cultures. It is the very enterprise that is as important as government for the growth of culture. Enterprise has financial resources to make investment on culture and this investment can serve two ends of effect to fertilize culture and to give better company image to the public. Mecenat has unlimited power like this and takes a role of stepping-stone that links flexibly the enterprise and the arts. Although the outcome of this role is not visible immediately, it is very important in long-term. English Art&Business that makes its way to the creative industry of 21st century takes a role of pioneer for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It recognized the unlimited potentiality from the combination of enterprise and the arts, and has been already making its role of stepping-stone since 1970s. As it have advanced far ahead for more than 30years, it possesses so much of programs, strategies and creative ideas. English A&B is also a matrix of Korean Business Council of the Arts and it has been a role model for Mecenat councils around the world. Through this thesis, the cases of English A&B was analyzed in depth and, at the same time, looked into its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he way that it has to go forward on a sustainable basis was suggested.

      • 무의 소포자 유래 반수성 배수체의 주요 글로코시놀레이트 함량 비교

        한나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Glucosinolates (GSLs) are secondary metabolites commonly occurring in Brassica crops and more than 130 different GSLs have been reported in diverse plants.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isothiocyanate (ITC) derived from GSL by hydrolysis had a potential for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everal tumor cells on huma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lucoraphenin (GRE) and glucoraphasatin (GRH) were abundant and differently regulated in radish plants (Raphanus sativus L.), depending upon organs and developmental stages. Microspores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radish plant were cultured in vitro to obtain doubled haploid (DH) but homozygous lines in a short time period. Total 41 DH lines were selected based on flow cytometry analysis. The seeds, obtained by bud pollination from the DH lines, were planted and 3 weeks old young seedlings were used for the major aliphatic GSLs analysis. Amounts of GRH were highly variable from the DH lines ranging from 2.3 to 31.5 (mg•g-1 D.W.). The donor plant (DP) contained 18.4 mg•g-1 D.W. It was noticeable that there have been 6 fold differences in the amounts of GR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DH lines. Among 41 lines tested, 14 lines of DH lines of radish pla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mount of sum of GRH and GRE compared those of the donor plant(P = 0.95), whereas only three lines were increas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ill lend to select genotypes with low and high GSLs contents of radish plant. Additionally, those DH lines will aid to elucidate a biosynthetic pathway of the aliphatic GSLs in radish plants, which was remained unsolved mostly. 십자화과 채소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식물 2차 대사산물 중 하나인 glucosinolates (GSLs)는 다양한 식물에서 현재 130여 가지 이상 알려져 있다. GSLs의 가수분해 산물인 isothiocyanate (ITC)는 체내에서 몇 가지 암 세포에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무(Raphanus sativus L.)의 주요 GSLs는 glucoraphenin (GRE)과 glucoraphasatin (GRH)으로 알려져 있다. 소포자 유래 반수체와 이 반수체에서 얻어진 동형 접합체는 식물세포의 분화 기작을 연구하는 기초 연구 재료는 물론 식물 유전공학이나 육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소수의 식물 종을 제외하면 아직도 많은 식물에서 소포자 유래 반수체의 발생이 용이하지 않거나 그 발생 비율이 낮아 기초 연구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십자화과 채소 중에서도 무는 소포자 유래 반수체의 획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L의 함량이 높은 무 품종 개발을 위해 소포자배양을 실시하여 얻은 41개 계통 소포자유래 반수성 배수체의 주요 aliphatic GSLs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소포자유래 반수성 배수체의 뇌수분을 통해 얻은 종자를 파종하여 3주 차의 어린 잎의 지상부 전체를 GSLs 분석에 이용하였다. 41개 계통 소포자유래 반수성 배수체의 GRH의 함량은 소포자배양에 사용한 잡종 제1세대 (F1)식물체와 비교했을 때 2.6 - 31.5 (mg•g-1 D.W.) 으로 그 함유량이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GRE 함량 역시 41개 계통에서 다양하게 분리되었으며,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041301’ 계통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인 ‘042901’ 과 비교해 약 6 배 정도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현재 GSLs의 표준품이 많이 시판되고 있지 않고 있어 소포자배양을 통하여 목적 물질의 정확한 함량 차이를 보기 위해 HPLC, ion-exchange column, Prep-LC, UPLC-ESI-LC-MS-MS 그리고 1H-, 13C-NMR 방법을 이용하여 두 가지 주요 GSLs를 분리, 동정하였고 정량 및 정성확인 시스템을 확립했다. 본 연구에서 GSLs의 함량이 높은 계통과 낮은 계통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통해 GSLs의 함량이 높은 계통으로 기능성 무 육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포자 유래 반수성 배수체의 육성이 향후에 무의 주요 aliphatic GSL의 생합성 연구나 아직 알려지지 않은 특성 연구에 활용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학교 관련 특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나래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ll teachers' perception of ADHD be different as a function of whether or not they were currently teaching the student with ADHD? Second, will teachers' perception of ADHD be different as a function of a total of years in which they have taught? Third, will teachers' perception of ADHD be different as a function of grades of students that they are currently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240 teachers, kindergarten 80, elementary school 80, and middle school 80, respectively. The teachers in K-si in gyeonggi-do were selected. The teachers' percep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the research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3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n identification of the students with ADHD who have not taken their medicatio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DHD, and over- or under- representation ADH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were currently teaching a student with ADHD. Second, the teachers' perception related to the successful learning of students with ADHD was significantly as a function of the total year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ird, the teachers' perception on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ADHD who have not taken their medication, teachers' attitude on students with ADHD, relationship students with ADHD and their peers, and over- or under- representation of ADH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grades of students that they are currently teaching during their teaching career. 최근 들어 가정 및 학교 환경에서 대두되고 있는 문제로 과잉행동적이고, 충동적이며, 매우 산만한 행동이 많이 발생되는 아동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행동문제를 보이는 자녀 또는 학생들로 인해 많은 부모나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과잉행동의 가장 큰 원인은 주의집중력의 결함에 있다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며 과잉행동을 하나의 증후라고 보는데 이는 부주의, 충동성, 과잉행동이 흔히 함께 나타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증후군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라고 한다. ADHD의 주요 증상은 충동성, 과잉행동, 그리고 산만함이다. 이들은 산만하고, 학습에 몰두하기에는 너무 짧은 집중력을 가지고 있으며, 쉬지 않고 말하기, 생각한 말을 불쑥 내어버리는 등 과잉행동과 충동적인 행동을 보인다. ADHD 아동들의 문제는 대부분 공격성이나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 낮은 자아존중감 및 학업부진 등의 문제로 인해 이차적으로 비행 및 품행의 문제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교사 및 부모는 ADHD 아동들의 행동문제를 줄이고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사회적 관계를 맺고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노력이 조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ADHD 아동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 교사의 교직경력, 그리고 학교과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로서 경기도 K시에 위치한 유치원 43곳, 초등학교 3곳, 중학교 5곳의 교사 각 80명이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로서 연구 참여 교사들의 일반적인 배경과 ADHD아동에 대한 인식에 관한 내용으로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치를 구한 후, 지도학생 중 ADHD 학생의 유무에 따른 결과는 t검증으로, 교육경력, 현재 담당중인 학년에 따른 결과는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Tukey의 HSD를 사용하여 5% 수준에서 평균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ㆍ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ADHD 아동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와 약물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ADHD 아동의 확인, ADHD 아동의 언어특성, 그리고 실제 ADHD 아동과 진단을 받은 ADHD 아동의 수의 차이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의 인식에서는 ADHD 아동의 학습효과에 대해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1~5년 경력의 교사와 6~10년 경력의 교사 사이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과정에 따른 교사의 인식에서는 약물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ADHD 아동의 확인, 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 ADHD 아동의 또래학생과의 대인관계, 실제 ADHD 아동과 진단을 받은 ADHD 아동의 수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어떤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사후검증 결과 모두 유치원과 중학교,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이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교직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국한되어 있고,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이에 보다 다양한 연구대상을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ADHD 아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의 대상이 각 학교과정에 따라 80명으로 제한하였고 경기도 K시에 위치한 일부 학교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수를 확대하여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특성, 진단, 학습특성, 타 기관의 위탁에 대한 인식만을 조사하였으므로 ADHD 아동의 더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현재 ADHD 아동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과거의 경험이 ADHD 아동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므로 과거에 ADHD 아동을 지도하였거나 과거의 경험이 얼마나 되는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과거에 ADHD 아동을 지도하였거나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공연예술분야의 관계마케팅 연구 : 공연장을 중심으로

        한나래 숙명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ocial media,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appeared and is widely spread as a communication tool which changed the sociocultural paradigm based on Web 2.0 that contains the value of "Involvement, sharing, openness, communication." Social media which has special effect of relation formation, is faster and functions more active in interactive communication compared to existing new media. Business which noticed these effects of social media adopted it as the tool for relation marketing of continuos and long-term formation of relation. These businesses are finding it very useful when it comes to not only for the purpose of inducing actual purchases but also for the improving the business image. The performance arts field who have been following the trend and recognized importance of the audience oriented marketing, have adopted the social media but the number of channels used is limited and the range of usage is very incomplete as well. In the community of performance arts, the desire and need of consumers can be understood and use it in audience oriented marketing through the relationship formed by social media. In the process of consuming, consumers gain many benefits and this will lead to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community and will ultimately result in virtuous cycle of favorable attitude benefitting the community. The effect of low-cost high-efficiency marketing, participation of audiences, development of audience, word of mouth activity and effect of brand image improvement are few examples. The number of social media users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and the social media is quite successful from the marketing aspect as well. Among many tools of social media used in performance arts field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marketing, this study, with Twitter at the center of this study, analyzes the element of beneficial relation when the relation is formed and measures the effect of relation outcome. And based on the analyses and measure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community of performance art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pecific plan. From May 25th, 2011 to May 29th, 2011, 171 set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Following’ any theaters before on Twitter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atus of utilization was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 of variables, and the main theme of this analysis - the effect of Relationship Performance on relation benefit - was analyzed throug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Followers of theaters were not satisfied with sociological benefit, which was lower than expected, and most of the questions about psychological benefit were positive. As for the economical benefit, the rate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Followers were found to be high, but the rate of acknowledgement of actual monetary benefit turned out to be low. Through the questionnaires about benefits of customization, it was found that the Twitter users have specific and rapid reaction, and it seemed that not only information related to concerts but also other various information are being delivered as well. As for the reaction of usage, it shows that the trust towards the community were developed through the formation of relation and although the benefits that were given does not affect the consumers directly but possibility of the potential customers becoming the actual customers was shown. Last of all, it was predicted that through relation formation, the active word of mouth could take place. About the effect of relational benefit on relation performance,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first, it was shown that, as the psychological benefit and social benefit gets higher, the actual spending increases and it affects in the order of psychology and social benefit. Second, when it comes to the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purchase increases as the psychological benefit and customer benefit increases and the psychological benefit has more effects than customer benefit. Third, it shows that all 4 elements of relational benefit effects the word of mouth activity to be more active and the order of most effect to least is as follows; customer benefit, sociology benefit, economic benefit and psychological benefit. The effectiveness and the key elements of the relation benefit and the relation performance that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expansion of social media usage in performance arts study and each community will be able to use this study in order to reach the goal they have set, effectively. Based on the limits that has been shown from this study, research which reflects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shall be conducted and follow-up study of various channels and research subjects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 based on the data of demography. 소셜미디어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참여, 공유, 개방, 소통’ 등의 가치를 지닌 웹2.0을 기반으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등장, 확산되었다. 기존의 뉴미디어에 비해 신속하고도 활발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관계형성의 특화된 기능을 지닌 소셜미디어의 효과에 주목한 기업은 고객과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관계마케팅의 도구로 도입하여 실제적인 구매유도 뿐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을 펼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관객지향주의적 마케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략을 펼쳐온 공연예술계 또한 소셜미디어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활용채널의 숫자가 제한적이고 활용범위가 미비한 실정이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관계형성을 통해 공연예술단체에서는 소비자의 욕구와 요구를 파악하여 관객지향적인 마케팅을 펼칠 수 있고 소비자는 소비과정에 있어 많은 혜택을 얻음으로써 단체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어 다시 단체에 이익이 되는 선순환적인 결과를 보이게 된다.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 효과와 관객들의 적극적인 참여, 관객개발, 그에 따른 구전활동 및 브랜드 제고효과 등이 그 예이다. 앞으로 소셜미디어의 사용자는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마케팅 측면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관계마케팅을 기반으로 한 공연예술분야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가운데 현재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트위터를 중심으로 관계형성시 주어지는 관계혜택의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관계성과의 효과를 측정하여 앞으로 공연예술단체가 이에 기반한 구체적인 방안을 통해 효과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트위터 상에서 공연장을 Following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을 설문대상으로 선정하여 2011년 5월 25일부터 5월 29일까지 트위터를 통해 총 171부의 설문이 수집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현황을 파악하고 SPSS12.0을 이용한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해 본연구의 중점인 관계혜택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현재 공연장을 Following 하고 있는 이용자들이 느끼는 사회적 혜택은 예상했던 것보다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심리적 혜택에 관해서는 모든 문항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되었다. 경제적 혜택의 경우 Follower들의 관심도와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파악됐으나 실제 금전적 혜택의 지각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고객화 혜택의 문항을 통해서는 현재 트위터 운영자들은 구체적이고 빠른 반응성을 지니고 있으며 공연관련정보 뿐 아니라 그 외의 정보들 또한 풍부하게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용에 대한 반응으로는 관계형성을 통해 단체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었고 주어지는 혜택들이 구매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잠재고객들이 실구매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관계형성을 통해 활발한 구전활동이 이루어질 것이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중점사안인 관계혜택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첫째, 장기적관계지향성에 관해서는 심리혜택, 사회혜택이 높아질수록 장기적관계지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혜택, 사회혜택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의도에 관해서는 심리혜택과 고객혜택이 높아질수록 구매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혜택, 고객혜택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전활동에 관해서는 관계혜택의 4가지 요인 모두가 구전활동이 높아지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혜택, 사회혜택, 경제혜택, 심리혜택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분석된 관계혜택과 관계성과의 요인과 영향도는 향후 공연예술분야의 소셜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각 단체가 목표한 사항에 대해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한계점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의 기술적환경을 반영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소셜미디어의 다양한 채널과 조사대상을 통한 세분화된 연구와 인구통계학적인 자료에 근거한 영향관계 파악이 후속연구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