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부 온열요법이 대장내시경 수검자의 복부통증과 복부팽만감에 미치는 효과

        최진아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장내시경 수검자를 대상으로 복부 온열요법을 적용하고 복부 온열요법이 대장내시경 수검자의 복부통증과 복부팽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근접 모집단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A 대학병원 소화기검사실 외래에서 대장내시경검사를 받는 대상자 중 2022년 1월 19일부터 2022년 2월 23일까지 내원한 환자 중 70명을 실험군 35명과 대조군 35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효과 측정 도구는 복부통증은 숫자 평정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복부팽만감은 객관적 복부팽만감은 복부둘레(abdomen circumference)를 측정하고, 주관적 복부팽만감은 숫자 평정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가설 ‘복부 온열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복부통증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t=4.68, p<.001). 제 2 가설 ‘복부 온열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복부팽만감이 감소할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t=4.47, p<.001, t=4.79, p<.001). 부가설 2-1 가설 ‘복부 온열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복부둘레가 감소할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t=4.47, p<.001). 부가설 2-2 가설 ‘복부 온열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주관적 복부팽만감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t=4.79, p<.001). 본 연구를 통하여 대장내시경 수검자에게 복부 온열요법을 적용함으로써 복부 온열요법의 복부통증과 복부팽만감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복부 온열요법은 대장내시경검사 후 복부통증 및 복부팽만감으로 불편감을 호소하는 수검자를 위해 임상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의 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뒷받침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dominal thermotherapy on abdominal pain and distention in patients after colonoscopy, and evaluate the usefulness of abdominal thermo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ose who had undergone colonoscopy. This study’s accessible population was those who were scheduled for colonoscopy at the GI endoscopic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 City, Gyeonggi-do, South Korea, and had visited the GI endoscopic clinic from January 19 to February 23, 2022. Among them, 35 subject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35 for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Abdominal pain was measur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Further, abdominal distention was measured in two ways, objective abdominal distention was measured by abdomen circumference, and subjective abdominal distention was measur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and an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WIN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abdominal thermotherapy will have a lower abdominal pai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ecau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anxiety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4.68, p<.001). Hypothesi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abdominal thermotherapy will have lower levels of abdominal dis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ecau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anxiety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4.47, p<.001, t=4.79, p<.001). Sub-hypothesis 2-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bdominal thermotherapy will have a lower abdomen circumferenc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ecau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anxiety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4.47, p<.001). Sub-hypothesis 2-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bdominal thermotherapy will have a lower subjective abdominal disten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ecau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anxiety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4.79, p<.001).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use of abdominal thermotherapy in patients after colonoscopy reduced abdominal pain and distention.

      • Witold Lutoslawski <피아노 소나타>에 관한 분석 연구

        최진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격변의 시대를 겪었던 폴란드 작곡가 루토슬라브스키(Witold Lutoslawski, 1913-1994)의 <피아노 소나타>(Piano Sonata, 1934)를 분석 및 연구함으로써 그의 후기 작품들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진 초기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를 재조명하고, 후기 작품에 쓰였던 작곡 기법들을 자세히 연구하여 초기 작품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루토슬라브스키가 가장 큰 영감을 받았던 존 케이지(John Cage, 1913-1992)의 ‘우연성’ 음악을 시작으로 20세기 우연성 음악에 대해 접근하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창작과 연구를 통해 만든 ‘제한된 우연성(Limited Aleatory)’을 본 논문에 다루고자 한다. 제한된 우연성은 후기 작품의 작곡 기법으로 세 가지 측면으로 분류되며, 그중 두 가지 측면은 초기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와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러시아 시기(1910-약1918)의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 1971)나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 영향으로 열린 형식(Open form)에 가까운 ‘불규칙 변화’로 완벽한 제한된 우연성이라 표현하기에는 아직 초기 단계였기에,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단위의 불규칙 변화로 명시하기로 했다. 루토슬라브스키는 12음을 재료로 하여 7개로 이루어진 독자적인 음정군을 만들었고, 초기에는 여러 개의 음정군을 사용하다 후기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제한된 음정군을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상 초기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에서도 제한된 음정군의 사용을 통해 통일성 있는 모습이 나타났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특히 루토슬라브스키의 <피아노 소나타>에서 E♭-B♭-F음은 완전5도 관계로 이루어진 가장 중심적인 음들로 이 음들을 축으로 전악장이 유기체처럼 이루어져 있었으며, 반음 확장된 E-B-F#음의 사용과 함께 다양하면서도 통일된 진행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E♭-B♭-F음의 진행을 음정군 세트A, E-B-F#음의 진행을 음정군 세트B라고 명명하였다. 무엇보다 후기 작곡기법에 있어 가장 혁신적이었던 체인 기법은 글자 그대로 <체인 1,2,3>(Chain 1,2,3, 1983;1984-85;1986)이라는 작품이 존재 할 정도로 루토슬라브스키가 남다른 애정을 갖고 사용했던 기법으로 관현악곡이나 실내악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피아노 소나타>에도 이미 체인 기법의 초기 모습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본 논문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루토슬라브스키의 <피아노 소나타>는 총 3악장으로 이루어졌으며, 1악장과 3악장은 음정군 세트A와 세트B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시작음과 중심음, 그리고 종지음까지 모두 음정군 세트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제한된 음정군 2+5의 사용으로 간결하고 통일된 화성의 색채를 볼 수 있었다. 2악장은 3도 관계로 이루어진 4개의 음들을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이를 각각 음정군 세트C, 반음 확장된 음들을 음정군 세트D라고 표현하였다. 루토슬라브스키가 만든 10개의 화음 집합군을 통해 착안되었으며, 다양한 코드 분류 및 진행을 통해 색채감 있는 악장이 만들어졌다. 소나타의 특성상 동기나 부분의 반복이 많아 자칫 지루해지기 쉬우나 각각의 악장마다 우연성 기법의 초기 단계인 소규모 단위의 불규칙 변화를 사용해 열린 형식으로 흥미롭고 재치 있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후기의 대표적인 작곡 기법인 체인 기법은 곡이나 악구의 시작과 끝을 애매모호하게 하여 종지의 기능을 흐리는 기법으로 <피아노 소나타>에서는 악장을 거듭할수록 더욱 과감하고 체계화된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악장과 악장 간의 체인 기법을 통해 정점을 찍었다고 볼 수 있다. <피아노 소나타>가 초기 작품이지만 이미 후기 작곡 기법이 쓰였다는 점에서 옛것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가고 자신만의 독보적인 창작 세계를 구축한 루토슬라브스키의 진정한 예술적 면모를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reveals Lutoslawski's <Piano Sonata> which is comparatively underestimated its value. Polish composer, Witold Lutoslawski(1913-1994) experienced a period of upheaval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 techniques used in later works in detail to see how they are related with his early works. <Piano Sonata>(1934) is a relatively less known early work than his later work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eal with ‘Limited Aleatory’,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 research based on his creativity, beginning with the ‘aleatory’ music of John Cage (1913-1992) who made a great impact on Lutoslawski. The ‘Limited Aleatory’is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as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his later works. Two of which are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early work <Piano Sonata>. Since this was still in its infancy to be called as ‘Limited Aleatory’, I call it ‘Small-scale Irregularity’, as it is a kind of irregularity near to open form under the influence of Igor Stravinsky (1882-1971) or Sergei Prokofiev (1891-1920) of the Russian period 《1910-About1918》. It was known that Lutoslawski made his own 7 interval classes with 12 tones and he used selected two interval classes among them in his work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ove that even in the early work such as <Piano Sonata>, the limited aleatory was used. Especially in Lutoslawski's 〈Piano Sonata〉, the E♭-B♭-F tones are the most central tones in the perfect fifth, and the entire movement is composed around these tones like an organism. With the use of the semitone-extended E-B-F# tone, it showed diverse and unified progress. In this paper, the progress of E♭-B♭-F tone is named interval class set A, while the progress of E-B-F# tone was called interval class set B. Above all, the chain technique, which was the most innovative technique in his later days, was beloved by Lutoslawski and he left the note called <Chain 1.2.3>(1983, 1984-85, 1986) to show his affection on this technique. It was mainly used in orchestral music and chamber music. However, I would like to explain in this paper that the initial form of the chain technique was already used in <Piano Sonata>. <Piano Sonata> by Lutoslawski consists of 3 movements in total, and the 1st movement and the 3rd movement were progressed focusing on the interval class set A and set B.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rt tone, center tone, and end tone were all related to the interval class set.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concise and unified harmony with the use of limited interval class 2+5. The second movement is centered on 4 tones in the third, which are named as interval class set C. The semi-tone expanded keys are called interval class set D. They are inspired by a group of 10 chords created by Lutoslawski, and a colorful movement was created through various chord classifications and progressions. Due to the nature of the sonata, it is easy to get bored due to the many motives and repetitions. However, he made each movement interesting and witty using an open form through the use of small-scale irregularity, which is the initial stage of aleatory. Chain technique, a representative composition technique in the later period, is a technique that obscures the beginning and end of phrases, sections, or movements. It appeared as a more drastic and organized form with the progression of the movement. Above all, it can be seen that the peak was achieved through the chain technique between the movements. Although <Piano Sonata> is an early style, he used the technique that he would use in later times. We can see true artistic aspects Lutoslawski to find new things from the old and to build his own unique creative world based on it.

      •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시간 관리의 매개효과

        최진아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시간 관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6곳에 재학 중인 624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지 응답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변인의 기술 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용 동기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시간관리가 매개하는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후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시간 관리 변인의 각 하위요인을 스마트폰 중독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시간 관리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시간 관리 능력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에 스마트폰 중독은 감소하며 반대로 시간 관리 능력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보추구, 편익추구 동기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낮아지고, 오락추구, 관계추구, 시간보내기 동기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동기가 시간 관리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에 따라 시간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편익추구, 정보추구 동기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시간 관리 능력이 우수하며, 오락추구 동기가 높은 대학생일수록 시간관리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간 관리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 능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시간 관리의 하위요인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간관리 계획, 시간관리 수행, 시간관리 평가 능력이 우수한 대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주요어: 스마트폰 이용 동기, 시간관리,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ime management for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ho use the smart phone. 624 university students from 6 university at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survey.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lso Baron and Kenny(1986)’s mediating effect test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Lastly, the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on smart 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diating effect of time management in influence of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It means if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then students could show lower smart phone addiction, while if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and lower time management, then students could show higher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ime management. To examine the sub-factors of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benefit oriented type and information oriented typ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mart phone addiction. Thirds, time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mart phone addiction. To examine the sub-factors of time management plan, tim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ime management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mart phone addiction. Fourth,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mart phone addiction. To examine the sub-factors of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entertainment oriented type, relationship oriented type and time pass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mart phone addiction. Keyword: smart phone usage motivation, time management, smart phone addiction, university student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유아 대상의 그림책 감성교육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최진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case study, using illustration books, develops a sensibility training program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s well as reduce their problematic behavior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study conceptualizes children with ADHD and discusses the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intelligence educational programs, mainly dealt with are the group game play program and educational effects of illustration books on the children concerned. With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following preliminary studies have been led to come up with the target program: (1) a sensibility training program to educate handicapped children, and (2) programs incorporating illustration books and researches on sensibility trainings. Utilizing the above-mentioned programs,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 sensibility training program, thus carrying it out to six children aging 4-6 in a joint educational class at a day care facility in Ansan, Korea. The program, conducted a total of 25 times for a ten-week period from January to April, 2007, was administered for 40 minutes (4:30-5:10 p.m.) two to three times biweekly. For a reliable outcome, the following measurement tools have been employed: First, assessment of social maturity. This testing tool, with 117 measurement items categorized into 6 sections, measure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or adaptive behavior, and in particular it is composed of such variables as SH (Self-help), L (Locomotion), O (Occupation), C (Communication), and S (Socialization). Second, ACTeRS for ADHD teachers. This tool, developed by Rinak, Esther, and Robert at University of Illinois, has 24 testing items measuring children’s behavioral variations possibly appearing in class. This five point scale tool assesses children’s attention, hyperactivity, social skills, and deviant behaviors. Third, direct observation. As part of the field research, the researcher keenly observed an infant’s class for 14 weeks (October 1, 2006-January 30, 2007), thereafter observing a non-participatory infant involved in a 10 week sensibility training program, February 5, 2007-April 20, 2007. Fourth, measurement of sensibility intelligence. By tailoring "Effects of the sensibility training program on the learning behavior of low achieving children" (Imjeong Joo, 1998), an EQ testing sheet, using Daniel Goldman’s definitions and that developed by Yong rin Moon et 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used to measure slow learning kids.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e entire sections including the five low level variables have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those three children measured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the ability in self-control and self-synchronization has shown a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other areas, with the highest gain score in self-control. Besides, the program ha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problematic behaviors, the enhancement of social competence, and the improvement of learning behaviors.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sensibility training program using illustration books is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reby reducing inappropriate behaviors of the children concerned. This proposed program in addition may be meaningful in providing social workers with a practical approach to deal with the children in the facilities. 본 연구에 사용되는 그림책을 활용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은 Goleman의 체계에 따라 감성 지능을 구분하고 그림책을 접목한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림책을 이용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그림책의 활용과 감성교육프로그램의 결합으로 단순히 감성지능발달의 효과성을 이루는데 국한하지 않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유아의 문제행동의 감소와 정서적인 변화를 이끌고 이를 통해 하나의 사회복지실천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림책을 이용한 감성교육프로그램에서 그림책 선정을 위해 3,4세 각 연령별로 유아의 사회인지 능력의 증진을 위하여, 실행기능, 자신과 타인의 정신상태 이해가 반영된 이영자ㆍ이종숙ㆍ신은수(2004)가 선정한 그림책의 자료를 참고하여 선정하였으며 Goleman의 체계에 따른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그림책을 중심으로 자기인식, 자기조절, 자기동기화, 감정이입, 대인관계 기술능력을 습득하여 사람의 정서를 인식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등의 기회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유아의 행동변화와 감성지능발달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방법이다 연구대상은 6명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유아이며 주2~3회씩 격주로 실시하였고, 10주 과정으로 5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총 25회기 감성교육프로그램 활동이 이루어졌다. 그림책을 이용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된 측정도구로는 사회성숙도 검사, ADHD 교사용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개입전후로 측정하고 그 결과 얻어진 양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직접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연구대상자들의 변화를 면밀히 비교하였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유아의 감성지능발달 정도의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의 정도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본 프로그램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단계는 ‘라포 형성의 단계’로서 연구자와 유아 간에 그리고 새로운 또래집단 간에 서로 편안하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2단계는 ‘자기인식 및 조절능력 향상단계’로서 1회기부터 5회기까지의 관찰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실행단계에 접어들면서 감성요인에 근거하여 자신의 문제행동에 대해 스로 인식하고 반성을 통해 긍정적인 자신의 신체상을 확립하고 정서와 행동을 조절하는 경험을 제공하도록 계획하였다. 3단계는 ‘부정적 감정의 해소 단계’로서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부정적 감소를 해소하고 또래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학습과제를 완성하며 신뢰 관계의 경험을 통해 교정적인 경험을 하도록 계획하였으며, 6회기부터 10회기까지의 관찰기록을 진행하였다. 4단계는 ‘자기 동기화 및 정서활용 단계’로서 긍정적인 상황이 나타났을 경우에 상황에 효과적인 정서를 이용함으로써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삶의 목표를 위해 스스로 정서를 다스리는 경험을 하도록 계획하였고 11회기부터 15회기까지의 관찰기록을 진행하였다. 5단계는 ‘감정이입 및 대인관계 단계’로서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리고 공감할 줄 아는 포용력을 관찰하고 무엇보다도 그림책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서경험을 통해 상대방의 욕구나 필요를 잘 헤아리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경험하도록 계획하였으며, 16회기부터 20회기까지의 관찰기록을 진행하였다. 6단계는 말기 및 종료의 단계로서 그림책 감성교육을 통해 획득된 감성요소들이 지속될 수 있도록 돕는 ‘안정감 획득 및 수용단계’로 계획하였고, 21회기부터 25회기까지의 관찰기록을 진행하였으며, 총 25회기 모두 그림책 감성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감성지능의 발달을 이루고, 이를 통한 정서와 행동을 조절함으로써 문제행동이 감소되어 학습습관이 향상되는 경험을 제공하도록 계획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유아는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문제행동이 완화되었고 스스로 자기를 인식하며 정서조절 능력, 자기동기화 능력 및 대인관계의 형성을 통한 감성지능의 발달을 이루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또한 감성지능 프로그램 척도와 사회성숙도, ADHD 교사용 평정 척도와 직접관찰 기록(사건표집법)수준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 등 감성지능 사전사후평가를 통해 학습습관의 향상이나 주의집중 수준에서 변화를 발견하였다. 그림책을 통한 감성교육프로그램은 다음의 두 가지 차원에서 볼 때 사회복지 임상현장에서의 성공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첫째, 타인의 감정을 의도적으로 조절하고 변화시키려는 노력이나 능력을 감성적인 내용이 담긴 그림책을 지속적으로 읽고 탐구하도록 하면서 감성지능 수준을 이루고 실생활에서도 큰 역할을 하도록 재인식을 도울 수 있다. 둘째, 대상자가 갖는 감성을 통해 그림책을 보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자신의 내부에서 재 경험해보는 것을 통한 심리적 안정과 감성지능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프로그램 종결 이후에도 지역사회 내 또래집단이 함께 어울리는 활동공간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감성교육프로그램을 꾸준히 강화해 나간다면 한시적 개입이라는 사회복지실천상의 한계를 넘어 개인차원의 효과적인 원조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 음악사에 나타난 성악음악과 기악음악의 대립 및 해결에 관한 연구

        최진아 고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I envisioned a treatise at first, I tried to see which of the two-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were superior to in Western Music History by comparing Vocal Music with Instrumental Music and analyzing its Musical traits. But the perspective of my study was changed through Romantic Music. The Music started at Vocal Music. Vocal Music was the core for long periods through the Middle Age to Renaissance. Then Vocal Music have developed brilliantly and gained the top in Baroque. While Instrumental Music, settled separately in Baroque, was centered in Classic. And Vocal Music was obscure relatively. Thus the initiative of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has changed in Western Music History. So I viewed it as the respect of the antithesis. However History didn't cease there. In Romantic Music, accepting outer-music elements, History let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join equally. It was a quite different aspect. I considered it as a method to solve the antithesis. Being repeated of the times, the change of the style and the perspective have not come out unexpectedly. Instead it has appeared through mutual relation gradually. Early in Vocal Music, people depended on reciting lyrics(just as Recitative). So the harmonic concept has appeared. Therefore Instrumental Music was a necessary consequence. Then the value of Vocal Music got fade, Instrumental Music has been prior to Vocal Music in Classic. And because the outbreak of Instrumental Music was later than Vocal Music, it was trial and error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like a case of Vocal Music. In this way, Vocal Music has brought “to be Instrumental Music”. And then Instrumental Music has brought also “to be Vocal Music”. The result was Romantic Music. That I notioned as ‘the solution’ is Romantic Music. It means that the day of contrast and conflict passed and joined for the natural purpose of Music. In the process of the antithesis and the solution of mutual rel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what kind of Music have an initiative, but which the purpose of Music is ultimately. The performers understand Western Music History through the Works. They neglect the purpose of Music ever so much. But it is not only the composer's responsibility. All the more should both of them share it. the performers ought to understand Western Music History on the whole sight.

      • Antonio Gaudi의 작품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최진아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문초록 :With the improved standard of living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 consumption code of consumers is becoming much individualized, diversified and advanced. The field that can accommodate such a change in consumption code in the textile industry is textile design.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original, creative textile design is rising as it is highlighted in its importance as the core element that can regrow the recent stagnant textile industry. The field of design has attempted to collaborate with fine arts to develop original design or gain a new inspiration. Or it has given birth to the unanticipated famous design produc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designers engaged in several fields and artists and introduced them to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bine architectural design and textile desig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duce the textile design combined with architectural plastic beauty through study on the works of Antonio Gaudi, the Spanish architect making a free expression of artistry and creativity and provide the idea that could become a motive for textile design. This study found out through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at the building of Gaudi wa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he mosaic method of colored tiles and heterogeneous materials for the color or form of natural things to achieve the development and decoration of peculiar art nouveau using curved lines and curvatures by the free skeleton as well as the attainment of integrated harmony through the composition of colors using their contrast. An attempt was made to manufacture textile desig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al elements of Gaudi's works to it.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and p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could become the motive of textile by making the textile. Second, a new expressive technique could be represented by grafting the surface texture of material used in the building and its interior and exterior decoration on textile design. Third, the mosaic technique or handicraft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can be reborn as the high value-added design of new image preferred by contemporary consumers when they are applied to textile design. It could be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develop diverse expressive techniques and new motives by applying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 초등돌봄교실 자체평가지표 탐색

        최진아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B S T R A C T An Exploration of Self-evaluation indicators of elementary school care-room. by Choi, jin Ah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Song, Kwang-Yong,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force the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room as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care-room is increasing rapidly. The study aim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comprehensively assess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room, an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of evaluation method to utilize in the education field. The primary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how is the status quo of the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room? Second, how is the related parties’ recogni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Third, how can the evaluation sections and indicators be organiz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I have analyzed the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I also took a reference of program evaluation model and institution evaluation model that are theoretical basis of the study. Based on these reference research, I developed the draft of the self-evaluation indicators, and performed the questionnaire survey research for the validity verification. The survey was sent to the manage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signed to operate school care-room, and the professionals of school care, and finally able to develop the four (4) evaluation sections, ten (10) evaluation items, and twenty seven (27) self-evaluation indicators for elementary school care-room. Primar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the status research on the current evaluation of elementary care-room, I found that the assessment was mainly about the result of the program, such as the survey on demander, review of the operational plan, and etc. Second, in order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I divided the evaluation section into four: evaluation on situation, input, process, and result. For the situation evaluation, I organized the demand and target of elementary school care as the evaluation item. For the input evaluation, I organized four (4) evaluation items, such as budget, human resources, facilities, and supporting environment. For the process evaluation section, I considered program activity as the program assessment aspects. Lastly for the result evaluation, I considered level of satisfaction as the outcome of the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I have deriv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relevant information to aid proper decision making should be provided by systematically perform the four step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room evaluation: evaluation on situation, input, process, and result. With this, the quality of care-room can be enhanced. It is revealed that the evaluation has been somewhat result-oriented so far. The result-oriented assessment cannot provided specific implication for the problems or improv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upon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care-room. Second, the evaluation shall not be subject to the individual school, but the standard evaluation tool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education fields. At present, the local education office of each city and province is in charge of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room on its own, therefore it is hard to expect the systematic and sophisticated evolution in the status quo. To achieve quality enhancement of the care-room, this problem should definitely be improv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돌봄교실이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되는 상황에서 운영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해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돌봄교실 평가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돌봄교실 운영 평가지표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돌봄교실 평가영역과 지표는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고 이론적 배경이 되는 프로그램 평가모형, 기관평가 모형을 참고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초등돌봄교실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후 본 설문을 초등학교 관리자, 돌봄 업무담당교사, 돌봄 전담사에게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 평가영역, 10개 평가 항목, 317개의 초등돌봄교실 평가지표를 완성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초등돌봄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요자 만족도 조사, 돌봄교실 활동계획 작성과 검토 등 프로그램 운영 후 산출이나 결과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평가영역을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상황평가 영역은 초등돌봄 요구와 초등돌봄교실 목표 설정 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투입평가 영역에서는 예산, 인적자원, 시설과 지원환경, 프로그램 운영으로 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과정평가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출평가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성과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셋째, 각 평가영역별 평가지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황평가 영역의 초등돌봄교실 요구 항목에는 학교 및 지역사회 여건 및 실태 조사 실시, 전년도 초등돌봄교실 평가결과 분석 및 반영, 수요자의 희망 프로그램 조사, 업무담당교사의 프로그램 인식조사, 돌봄전담사의 돌봄교실 인식 조사 평가지표로 구성되며 초등도봄교실 목표 설정 항목에는 초등돌봄교실 목표의 설정, 초등돌봄교실 목표의 공유 지표가 들어간다. 투입평가 영역의 예산 항목에는 초등돌봄교실 예산 확보 및 배분, 프로그램 교육비 책정 및 지출, 급식/간식 비용 책정 및 지출 지표가 들어가며 인적자원 항목에는 업무담당교사의 업무 분장, 돌봄 전담사의 자격 기준, 돌봄 전담사의 보수 및 처우, 돌봄 전담사의 복무 규정 준수, 돌봄 전담사의 학생 관리, 돌봄 전담사의 전문성 신장 노력, 프로그램 강사의 학생 관리 지표가 들어간다. 시설 과 지원환경 항목에서는 초등돌봄교실에 필요한 시설, 시설의 유지 관리, 안전관리 계획 수립과 활용 지표가 들어가며 프로그램 운영 항목에서는 초등돌봄교실 운영계획의 수립과 활용, 생활지도 계획 수립과 활용 지표가 들어간다. 과정평가 영역의 프로그램 활동 항목은 프로그램 내용 및 수준, 학생의 기본생활 습관 지도, 학생의 출결 및 이동 관리 평가지표로 구성되며, 프로그램 평가 항목에서는 초등돌봄교실의 전반적인 평가 지표가 있다. 산출평가 영역의 프로그램 만족도 항목은 학생의 만족도, 학부모의 만족도, 돌봄 전담사의 만족도, 돌봄업무담당교사의 만족도 지표가 있으며, 프로그램 성과 항목은 초등돌봄교실 참여율 지표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초등돌봄교실의 평가가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돌봄교실 구성원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돌봄교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수요자 만족도 조사 등 초등돌봄교실 평가가 산출이나 결과 측면 위주로 시행되어 왔음이 밝혀졌다. 성과 중심의 평가는 돌봄교실 운영 과정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기 어렵다. 따라서 다른 평가모형에 비교해 특정 단계에 중점을 두지 않고 전반적인 단계에 걸쳐 평가하는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초등돌봄교실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돌봄교실의 평가를 단위학교에게 자체적으로 일임할 것이 아니라 평가도구 표준안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배포해야 할 것이다. 현재 각 시․도 교육청이 자율적으로 초등돌봄교실을 관리․감독하도록 되어 있어 통일된 평가 기준이나 체계가 없어 단위학교에서 체계적이고 정교화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돌봄교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개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기업지배구조펀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硏究

        최진아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7년 국내에 외환위기가 몰아닥친 이후 대한민국의 기업들은 정부주도 하에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하게 된다. 이 때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등장한 것이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이다. 외환위기의 틈바구니에서 많은 외국계 자본이 국내에 진출을 하였고 그 외국자본이 하나같이 소리높여 지적하였던 점이 국내 재벌기업위주의 기업지배구조의 문제였다. 이후 국내에서는 외환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또한 김대중 정권에서 출발한 재벌개혁 이슈가 현 노무현 정권에 그대로 계승이 되어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재벌의 개혁 및 길들이기를 추진하게 된다. 또한 노무현 정권하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는 것이 시민단체이다. 참여연대를 기점으로 한 여러가지의 시민단체가 재벌기업의 경영활동을 감시하고 소액주주의 입장을 대변한 활동을 활발히 벌이면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 졌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본격적인 기업지배구조펀드의 활동으로 이어진 것은2002년 SK Group과 Crest 증권을 앞세운 Soverign의 경영권 다툼에서 비롯되었다. Soverign은 Crest 증권의 이름으로 SK(주) 지분 최대주주로 등장한 이후 경영권 참여를 요구하며 공식 보도자료를 통하여 SK의 기업지배구조를 개혁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Soverign은 한국 경제에 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라는 이름을 최초로 알리게 되었다. 이후 한국에는 Hermes 및 Oppenheimer 등의 기업지배구조펀드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Elliott Advisors의 적극적인 활동이 뒤늣게 이어진다. 또한 한국 내의 토종 기업지배구조펀드가 2003년부터 설립을 준비해 올 2004년 여러 가지의 펀드들이 생겨나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