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분수 지도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최민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분수지도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효과적인 분수 지도를 위해 더 나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분수 영역의 교수학습 전개 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분수 교수학습방법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7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학교 2~6학년의 교과서와 중국 인민교육출판사에서 2012년에 발행한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두 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분수영역의 내용 전개 및 서술방식을 분수의 다섯 가지 개념 소개와 도입 순서, 분수의 사칙연산 설명 방법을 바탕으로 비교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서 분수영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분수 지도의 기본 틀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과 중국의 교과서 모두 부분-전체의 등분할 분수를 분수 지도의 기본 틀로 사용하고 있는데 중국 교과서는 역사 발생적 원리를 도입하여 분수의 개념형성과 단위분수의 지도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또 중국은 분수의 개념 지도를 나눗셈과 밀접하게 연결시켜 진분수와 가분수, 대분수의 상호 변환 및 몫 분수, 비 분수의 지도를 지도하고 있다. 둘째, 분수 개념 및 분수 연산의 개념 제시 방법에 차이가 있다. 한국 교과서는 각 개념을 세분화해서 단계적으로 제시하데 중국 교과서는 서로 관련된 개념을 포괄적으로 제시한다. 한국 교과서는 교육과정 목표에 따라 원리의 이해와 계산 과정의 형식화를 목표로 하는데 중국 교과서는 개념에 대한 인지와 이해, 요해를 목표로 엄밀한 내용의 위계화 및 형식화보다는 분수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 및 기본 적인 원리 이해를 목표로 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문장제 유형의 활용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자연수의 사칙연산과 공통되는 유형을 사용하여 연산간의 유사성에 중점을 두는데 중국 교과서에서는 연산간의 유사성보다 분수가 가진 특성 자체에 강조점을 두고 효과적으로 분수 연산 표준 알고리즘을 지도할 수 있는 문장제 유형을 사용 한다. 또 중국 교과서에는 학습자의 실생활을 응용하여 분수의 연산을 수행하거나 직접 문제를 만들어보도록 하는 등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문장제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서 분수영역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분수 지도방안 세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분수 개념을 지도할 때 학생들이 다섯 가지 개념을 모두 균형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분수는 복합적인 개념의 집합체로 학습자가 분수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 만큼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내용을 보다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 우리 교과서에서도 분수의 개념 도입에서 분수의 역사 발생적 원리에 따른 교수학습활동 전개를 고려할 수 있다. 역사발생적 원리는 분수의 연산 과정에서도 응용하여 지도할 수 있고, 후에 비례적 사고와도 연결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효과적이다. 둘째, 분수 연산의 표준 알고리즘을 더 높은 차원에서 통합하여 보다 확실히 인식시킬 수 있는 교과서 구성을 제안한다. 현행 2007 개정 교과서는 차시별로 분수의 연산 알고리즘이 제시되어 학습자들이 연산 알고리즘을 분절적으로 이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분수 연산의 표준 알고리즘을 통합적이고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과서 구성을 제안한다. 셋째, 분수의 개념 제시 및 분수의 연산에 대한 문장제의 양을 늘리고 그 유형을 보다 다양화 하여 문장제의 내실을 다질 필요가 있다. 2007 개정 교과서에서는 문장제의 제시 비율은 단원별로 20% 안팎으로 단순 산술식을 제시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문장제는 분수의 사칙연산을 지도할 때 학습자들이 분수 연산 과정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교과서에 문장제의 양을 늘리고 문장제 유형을 고루 적용시켜 폭넓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해당 개념을 이해하고 통합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적절한 문장제 유형의 사용이 필요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at explor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bette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committed to effective analyses and guidance on fractional number areas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by analyzing the mathematics textbook materials used in Korean 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author established the research inquiries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teaching methods on fractional number areas found in mathematics textbook materials used in Korean 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shown amo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fractional numbers in Korean 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second to sixth grader students adopted in 2007 educational curricular scheme in Korea and those textbooks published by Chinese Renmin Educational Publisher in 2012, and undertook comparative studies on contents development and descriptions on fractional numbers and its five basic concepts as well as introductory flows and the explanations on four fundamental arithmetic calculations found in those textbooks considered. Upon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n Korean and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the author concluded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as below. First, the two countries adopted a different basic framework on teaching fractional numbers. That is, both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alike applied fraction of part and entirety as the basic framework of fractional numbers, whereas Chinese textbooks showed different concept formation and unit fraction teaching method on fractional numbers by adopt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al principles. In addition, Chinese textbooks relate the teaching on fraction and its concepts with division calculation, which led to such concepts as proper fraction and improper fraction, mixed number and its transformation as well as residual fraction, and ratio fraction. Second, there are found differences in providing the concepts on fractional numbers and fractional calculations. That is, textbooks in Korea offers the concepts in detailed manner and gradually by steps, while textbooks in China tend to provide the relevant concepts comprehensively. In particular, Korean textbooks attempt to formulate the calculation processes as well as understanding on principles and concept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whereas Chinese textbooks tend to focus more upon instinctive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on fractional number concepts and ideas rather than the stratification and formulation of detailed contents as well a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n basic concept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n math word problems. Korean textbooks emphasize the similarity in calculations using the fundamental four calculation methods of natural numbers and common types found in those calculation processes, whereas Chinese textbooks focus more upon the characters of fractional number itself and utilize the math word problem sets to teach the standardized algorithm on fractional number calculations effectively rather than similarity in calculation. In addition, Chinese textbooks included such math word problems facilitating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apacity and communication skills while by applying everyday live experiences in its calculation of fractional numbers and self creating the problem sets. Based upon the inquiries, the author proposed the thre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n fractional numbers by comparing the fractional number chapters found in Korean and Chinese mathematics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it is required to enable students experience the five basic concepts on fractional numbers in balance when it comes to the teaching of fraction concepts in practice. Fractions are complex set of concepts, which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and thus require the strengthening of contents related to real life problems with clearer meaning comprehensions. In addition, Korean textbooks are needed to facilitate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upon historical developmental principles on fractional numbers in its introduction of fraction concepts. Historical developmental principles in this sense are deemed to be effective in that it leads to the applications of calculating the fractional numbers and encouraging students to train rational thinking. Second, the higher level of integration in standard algorithm on fraction calculation is a metho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found in construction of textbook materials. Current 2007 textbooks provide the calculation algorithm on fractions in each chapter, and thus have difficulties in connecting the concepts in calculation algorithm in a comprehensive manner. Hence the provision of standard algorithm on fraction calculation is expected to lead to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n fractional numbers in integrated and fundamental manner and its effective construction of textbooks considered. Third, it is required to substantiate the math word problems on fractional number concepts and its calculations by diversifying the types employed and increasing the quantity of math word problem sets in textbooks. In general, the 2007 reformed textbooks provide about 20 percent of math word problems in each chapter, and simple calculation problems account for major portion of the problems found, which demands the improvement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at. Math word problems have advantages in teaching the four fundamental calculation methods as well as understanding on fraction calculation processes, and thus increasing the math word problems in number in textbooks and diversifying the types applied, the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orough understanding on related concepts and ideas as well as strengthening integrated thinking through

      • 실생활 연계 수학 수업이 중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 : 방정식과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최민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실생활 연계 수학 수업이 중학교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실생활 연계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 부진아의 인지적 및 정의적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수학 부진아의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실생활 연계 수학 수업이 중학교 수학 부진아의 인지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나. 실생활 연계 수학 수업이 중학교 수학 부진아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수학 학습 부진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6차시에 걸쳐 중학교 1-2학년 수준의 방정식과 함수영역의 실생활 연계 수업을 진행하였고, 면담 및 관찰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연계 수학수업은 수학 부진학생들의 수학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의 잘못된 지식이나 불확실한 지식에 대해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이를 수정할 수 있었다. 둘째, 식 세우기 등의 수학적 표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은 미지수가 두 개인 식을 세우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과일을 이용한 실생활의 소재를 통해 식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수학적 사고에 따라 문제해결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대응표를 작성하거나 함수식을 세우는 등에 대하여 능숙하지 못하였으나 실생활 사례들을 통하여 함수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스스로 대응표를 작성한 후, 함수의 식을 나타내고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등의 능숙하게 수학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및 표현이 가능해졌다. 넷째, 실생활 연계 수학 수업은 수학 학습 부진아들의 수학수업에 대한 흥미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학 학습 부진아로 학교수업에 부적응을 보였으나 실생활 연계 수업에서는 주변 상황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이끌 수 있었다. 그러나 단기간의 수업을 통하여 수학 자체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에는 부족함이 나타났다. 다섯째, 부정적인 자아 개념을 변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을 어렵다고 느끼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이 적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적었으나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게하여 자신감을 높여주었다. 여섯째, 수학 학습에의 동기를 심어줄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수학을 왜 배워야하는지에 대한 동기가 부족한 상태였다. 그러나 실생활과 연계된 수학 수업을 통하여 수학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 아파트 실내 붙박이 가구로부터 오염 진균의 동정

        최민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진균은 일반적으로 실모양의 균사를 가진 진핵생물로서 보통 포자로 번식한다. 자연 환경에서 진균은 대부분 부생균으로 생활하나 일부는 다른 생물과 공생하거나 기생하는 병원균으로 살아간다. 실내환경에서 진균은 인체에 감염하거나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독소를 형성분비 함으로서 인체에 유해를 줄 수 있다. 부후성 진균은 가구재와 건축자재에 변색, 악취 그리고 부식을 유발 할 수 있다. 국내에서 인체병원성 진균에 대한 연구는 많은 반면에 가구에 오염을 일으키는 진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입주 전 신축 아파트 실내에 설치된 붙박이 가구를 오염시킨 진균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종 동정과 특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오염이 발생한 부엌, 방 1, 옷방의 붙박이 가구로부터 각각 스웹법과 테잎법을 통해 시료를 채취하고 형태적 동정과 분자적 동정을 통해 총 3속 6종의 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된 진균은 Aspergillus creber, A. niger, A. pseudoglacus, A. ruber, Cladosporium perangustum, 그리고 Penicillium commune으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진균의 특성조사를 위하여, 4 종의 고체 영양 배지 (potato dextrose agar, Czapek dox yeast agar, malt extract agar, oat meal agar)에 25℃ 조건에서 14일간 배양한 후에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A. ruber를 제외하고는 다른 분리 종 모두 oat meal agar배지와 Czapek dox yeast agar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좋았다. A. ruber의 균사는 oat meal agar 배지에서 느리고 불규칙하게 생장하였다. 또한 진균이 목재성 가구로부터 분리 되었기 때문에 목재기질과 관련된 7가지 세포 외 효소 (β-glucosidase, avicelase, CM-cellulase, amylase, pectinase, xylanase, proteinase)의 활성 유무에 대해 색 반응 배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 commune, C. perangustum, A. niger, A. creber가 세포 외 효소 활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특히, C. perangustum는 CM-cellulase, pectinase를 제외한 5종류의 세포 외 효소 활성을 보였다. 세포 외 효소 활성을 보였던 4종의 P. commune, C. perangustum, A. niger, A. creber 균주에 대해 실질적으로 목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조사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4종의 나무칩 (라왕, 마디카, 소나무, MDF합판) 을 대상으로 접종실험을 진행하였다. MDF합판 칩에서 다른 종류의 나무칩에 비해 이들 진균 모두 균사생장이 빠르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C. perangustum과 A. niger는 녹색과 검은색으로 나무칩에 변색을 일으켰다. 실험에 사용되었던 4종 균주 모두 30%와 95% 습도조건 모두에서 균사로 생장하였다. 그러나 포자형성의 경우 4종 중 P. commune는 30% 습도조건에서 포자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A. creber는 인체 기회감염균으로서 국내 미기록 종으로 판정되었다. 이에 따라 pH, 온도, 광ᆞ암 조건에서 생육 특성 조사를 진행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균사와 포자의 미세구조 관찰을 하였다. 이 진균은 pH 4 – 10 에 이르기 까지 넓은 범위의 pH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였고 최적 생장온도는 20 - 25℃였다. 광ᆞ암 두 배양조건에서 모두 생장이 가능했지만 특이적으로 암조건에서 색소를 더 많이 생성 하였다. 본 균주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균사 두께는 약 5 ㎛, 포자의 크기는 약 2.5 ㎛ × 2 - 2.5 ㎛으로 측정되었고 포자 표면은 매끄럽지 않고 울퉁불퉁한 돌기 형태를 띄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실내 붙박이 가구에 피는 진균 종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가구에 피해를 줄 수 있는 특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인체 영향과 가구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붙박이 가구의 진균 오염을 관리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정치적 행동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과 경력정체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최민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finding out the effect of political behavior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Korean companies' workers. Secondly, this study aims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career plateau on both variables' rel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nd then variables are set as focused on an individual. And also,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relations by integrating each lower dimension. As a result, individual political behavior had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addition, individual social capit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political behavio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dividual career plateau also moderated between individual political behavior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means that when a political person recognizes high career plateau, he or she can also recognize high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le advanced researches studied each factor which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researched those variables integrated. Relatively, there is a lack of integrated study so we need to research the integrated effect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individuals and influence factors which affect career success by their subjective judgment. However,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at advanced researches showed the effect of objective career success, the effect of career success caused by age appeared i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ch is new career success study. Therefore,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tegrated model of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웹스타일가이드 적용이 웹사이트 사용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민아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brings about the dramatic change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web sites perform a lot of useful functions beyond mere delivering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and its products. Although web sites are very useful,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web site usability. Whenever new web sites are developed, especially when latest technologies are applied to the web site, the objective evaluation of web sites usability is inevitable for spreading the web site. Through the user evaluation, web sites can be modified and developed. Thus, user-friendly web technologies and strategies that reflect the changing environment are urgently needed. web style guide is being cre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first of all, provided an overall outline of web style guides based on the analysis of selected examples around the world. Next, the concept of web site usability and methods of evaluation were examined. The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 the change of web site usability after the application of web style guide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d which factors of web usability showed the most conspicuous change. In the experiment, web style guide was applied to "ez-i" web site of LG Telecom and two groups (before and after) were compared using objective measurement. The effectiveness of web style guide was examined by improvement in web site usability scores. Questionnaire items for evaluating web site usability composed of Page Design, Consistency, Capability and Approximation, Language and Contents, Help and User Guide, Navigation, and Protection of Error, etc. Participants were 200 web experts including developers, planners, and designers from leading web-agencies.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application of web style guide improved the overall web site usability.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 in all 7 items of web site usability. This means that the application of web style guide had an effect on not only page design or consistency but also all aspects of web site usability. Seco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web site usability appeared in this order: Consistency > Help and User Guide > Navigation > Protection of Error > Language and Contents > Page Design > Capability and Approximation. In all, all the items of web site usability showed improvement after web style guide was applied, Consistency showed dramatic improvement more than twice. Among these factors, Consistency, Help and User Guide, and Navigation showed improvement more than average. On the other hand, Page Design, and Capability and Approximation showed below the average. Third, this web site usability showed no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as participants were expert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m. In other words, participants were homogeneous. Fourt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in order build successful web sits in the Internet era, it is desirable to apply web style guide from the early stage of planning, which will provide many benefits including saving expense and tim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repair, etc.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web style guide when developing the web site in the future by examining how much web style guide improved web site usability through objective measurement. It also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 web practitioners to develop web sites. 최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정보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웹사이트는 단순히 그 기업의 소개만을 위하던 홈페이지에서 벗어나 웹사이트를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웹의 유용성(usefulness)에 비해 웹사이트의 사용성(usability)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중요한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신의 정보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웹사이트인 경우 웹사이트 전반에 걸친 사용자 입장에서의 객관적인 사용성에 대한 평가는 향후 해당 웹사이트의 이용 확산 및 발전을 통한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필수 불가결한 시급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시대적 환경을 바탕으로 사용자 환경까지 고려되는 사용하기 쉬운 전문적인 웹 기술과 전략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웹스타일가이드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웹스타일가이드에 대한 전체적인 개요와 업계에서 주목받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웹 유저빌리티의 개념과 평가 방법에 대해 알아본 후,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이 웹 유저빌리티 측면에서 웹사이트에 얼마만큼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연구하였으며, 사용성 평가 항목 중 어떤 항목이 가장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그룹 사전사후측정 순수실험설계를 통해 실험 대상인 LG텔레콤의 ez-i 웹사이트에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이라는 큰 변수를 두어 웹스타일가이드 적용 전과 적용 후에 대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를 객관적인 평가 측정 도구를 이용해 알아보고, 사용성 측면에서 얼마만큼의 향상을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본 연구의 효용을 검증하려 하였다. 사용성 평가 항목은 페이지 디자인, 일관성, 성능 및 접근성, 언어와 컨텐츠, 도움말과 사용자 안내, 네비게이션, 에러방지 등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여 그 영향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웹에이전시의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중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은 웹사이트에 대한 전체적인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사용성 평가의 7가지 모든 항목들에 대해 전체적인 향상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페이지 디자인이라던가 일관성과 같은 특정 사용성 분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성의 모든 항목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웹스타일가이드 적용으로 인한 사용성 향상 정도는 일관성 > 도움말과 사용자 안내 > 네비게이션 > 에러방지 > 언어와 컨텐트 > 페이지 디자인 > 성능 및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 일관성, 도움말과 사용자 안내, 네비게이션은 전체적인 평균 이상으로 많은 사용성 향상을 보였으며, 페이지 디자인과 성능 및 접근성은 평균 이하로 적은 사용성 향상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제 연구 결과 사용성 평가의 모든 항목들이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그 중 일관성은 다른 항목들이 영향을 받는 것의 배 이상으로 눈에 띄는 향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이러한 웹 사용성 평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일반인을 제외한 전문가 집단에서의 웹 사용성 평가는 성별, 연령, 직업, 경력 등의 특성에 대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비즈니스 시대에 성공할 수 있는 사용성 높은 웹사이트를 만들려면, 기획 단계에서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또한 비용과 시간, 유지보수의 편리함 등의 또 다른 부가적인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이 웹사이트 사용성 향상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이용해 알아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향후 웹사이트 개발시 웹스타일가이드의 적용에 대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디자이너가 웹 사용성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를 웹사이트 디자인 및 웹스타일가이드 기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실습에서의 음악치료 전공생의 음악 선곡 기준

        최민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전공생이 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실습에서 음악을 선곡할 때 고려하는 요인 및 선곡 기준에 대해 조사하고, 전공생이 지적장애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이 선곡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응답 자료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 연구 설계로 자료수집을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 4개 대학교 음악치료 학위 과정에 재학 중이며, 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실습을 1개월 이상 진행한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 전공생으로 연구 설명문을 읽고 자발적으로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 전공생 75명으로 진행되었다. 이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설문 문항에 모두 응답한 70부를 최종 분석 과정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를 위한 음악 선곡 시 전공생들은 지적장애인 대상 내담자의 생물학적 연령(3.9점)보다 인지발달연령(4.2점)을 고려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3.0점)보다 익숙한 음악(3.7점)을 반복적으로 선곡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곡 시 고려하는 요인과 관련하여서는 음악 내적 요인을 고려하는 경우나(41.1%) 음악 외적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우(5.5%)보다 대상자의 개인적 요인을 고려한다고 응답한 전공생들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3.4%). 전공생들이 실제로 지적장애인 대상 실습에서 선곡한 곡목을 분석하였을 때, 내담자의 연령에 따라 선곡된 음악의 발매 시기나 장르가 다른 경향이 나타난 반면, 동요의 장르나 오래된 대중가요가 연령을 중복하여 선곡되는 경우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곡된 곡목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였을 때, 청소년의 경우 음악의 요소가 복잡해지거나 다양해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반면, 아동과 성인의 경우 단순하거나 반복적인 음악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선곡된 음악의 공통적인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생의 실습기간에 따른 선곡 기준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즉, 음악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 대상자 요인)에 있어서는 실습기간과 관련성이 없었는데, 이에 반해 내담자의 인지발달 연령 혹은 생물학적 연령을 고려하는 정도에 있어서는 실습 기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기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1년 미만 전공생 그룹은 내담자의 인지발달 연령을 상당한 비중으로 고려하는 반면, 내담자의 생물학적 연령을 고려하는 수준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전공생들이 지적장애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인식이 선곡에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측면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음악 레퍼토리를 사용하는 부분을 제한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실습 기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임상 경험이 음악의 복합적 속성에 대한 이해와 대상자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에서의 음악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으며, 향후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음악 레퍼토리의 확장 및 적절한 치료적 음악 선곡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nd selection criteria that music therapy students consider when selecting music in music therapy practic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how the percep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ffects the selection. This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sponse data were analyzed as a technical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attended a music therapy degree course at a domestic university and had more than a month of music therapy practic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70 copies of the responses of music therapy major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when selecting music for music therapy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major students tended to consider the cognitive development age more than the biological age of their cl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repeatedly select familiar music than new styles. Regarding the factors considered when selecting songs,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major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considered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subject was high. In addition, when major students actually analyzed the songs selected in practic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e release timing and genre of the selected music tended to vary depending on the age of the client, but there were also cases where the genre of children's songs or old pop songs were selected at the same age. When analyz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ongs,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s of music tend to become complicated or diverse in adolescents, while simple or repetitive music elements are included in children and adults are common characteristics of selected music.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of major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nsideration of the client's cognitive development age or biological age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training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esent specific standards and guides for the use of music in music therapy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are meaningful in suggesting ways to expand the music repertoire and support appropriate therapeutic music selec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therapy students in the future.

      •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연교의 여드름에 대한 잠재적 치료 기전 연구

        최민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East Asia,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acne, medicines containing Forsythiae Fructus (FF) are widely used, and clinic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y are effective, however, the mechanism is not clear. We analyzed the specific pathway of FF related to the treatment of acne and suggested it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reatment by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standard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ctive compounds of FF, which are expected to work effectively in vivo, are selected through TCMSP and target proteins acting on genes related to acne were collected using the STITCH database and the Human Gene database. A network was constructed using Cytoscape for the investigated target proteins, and pathways and potential mechanisms of acne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Clusterprofiler. The identified potential therapeutic mechanisms of FF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tandard medicines. Molecular docking was performed using Autodock Vina to predict the affinity between compounds and key proteins. Results From FF, 9 compounds that satisfied Oral Bioavailability(OB) and Drug Likeness(DL) criteria and 65 target proteins with high confidence in 'homo sapiens' were selected. After finding 17 proteins that intersect with acne-related genes, a PPI(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was constructed to identify the main target proteins. The AGE-RAGE signaling pathway was the strongest pathway, and other major pathways were identified through KEGG pathway and GO analysis. Comparison between FF and standard drugs showed that they share several proteins related to inflammation, and the main proteins that FF exclusively possesses are JUN and SREBF. As a result of molecular docking between the active compound of FF and the main protein, the affinity was less than -6.3. Conclusion FF regulates inflammation through multiple interacting pathways and it is expected to treat by regulating pathways related to sebum secretion and hyperkeratinization and glucse metabolism that affect all stages. Compared to the standard medicin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chanism that only FF has is an important anti-inflammatory pathway and sebum control pathway. Therefore, FF ha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acne patients who resist or relapse to standard medic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