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기 인간 생명의‘생명 담론’연구 : ‘낙태 담론'에 대한 인간학적, 신학적 성찰을 중심으로

        박태훈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그 동안 낙태 토론은 여성의 생식 권리(낙태 권리)에 대한 권리 담론과 초기 인간 생명 옹호 담론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낙태 담론의 좀 더 바람직한 진행을 위해, ‘프로 쵸이스’와 ‘프로 라이프’의 전략 행위 차원의 이원론적인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담론은 상호 소통 의지를 통해, 자기 담론의 입장을 진리 기반을 통해 주장하고, 논쟁을 통해 서로 애매함을 제거하면서 합의해나가는 과정과 기술을 말한다. 전략 행위적 언어는 자의적 언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진리에 근거한 담론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낙태 담론의 건설적인 진행을 위해서, 과학적(발생학적) 사실과 인문학적 존재론을 기반으로 인간 생명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공통의 언어사용이 필요하며, 진실한 상호 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담론은 꾸준히 진리 기반의 낙태 담론의 장을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담론은 어렵더라도 합의 정향적이어야 하며 모든 당사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규범들만이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으므로, 독단적 편향적 언어를 자제하고 가급적 합리적 언어 사용을 해야 하는데 과학적 언어와 존재론적 언어를 통해 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올바른 낙태 담론의 이행을 위해 필요한 것은 낙태의 대상이 누구인지 밝혀내야 하고 초기 인간에 대한 인격과 존엄성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해명해야 한다. 과학의 발견을 통해 이루어진 인간학적 담론을 통해, 초기 인간의 개체성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통해 초기 인간의 인격에 대한 폭넓은 존재론적인 해명이 필요해졌다. 초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인간학적 성찰을 통해 낙태 담론을 올바로 전개하기 위하여 ‘생명 담론’을 제시한다. 그동안 낙태 논쟁이 여성의 권리 담론의 대상인 ‘초기 인간’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며, 생명 담론은 낙태 담론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생명 담론은 보편적인 인간 생명의 신성함을 지지함을 통해, 초기 인간의 인격을 지지하고 아울러 여성주의 여성 인권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초기 인간의 생물학적 탐구는 ‘수정이 인간의 시작이라는’ 선언을 발생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수정체의 개체성이 배아와 태아 단계에서 그리고 인간의 전 생애에서 연속성을 가지고 유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초기 인간에 대한 ‘존재 진술’들은 바로 ‘당위적 도덕 진술’이 될 수 없지만, 초기 인간의 인격에 대한 ‘부가 진술’은 도덕 명제로 이끌게 된다. 이는 하이데거의 인간 존재의 3중적 의미를 통해 존재론적 지지를 하게 되며, 초기 인간을 비롯해 모든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기투성’을 통해 미래 시점의 의미를 선취하는 특성이 있다. 인간 존재의 타자를 통해 드러나는 초기 인간의 인격은 레비나스의 ‘타자성 이론’을 통해 미약한 타자로서 받아들여진다. 본질적인 측면에서 초기 인간의 개체성의 확립은 인격의 성립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본질은 인류의 공동체인 사회의 도덕성을 소환한다. 사회적 인격이란 인간의 타자적 관계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미약한 한사람의 인격을 받아들이는 것은 인격적 상호 사회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기 인간의 인격성에 대한 해명은 생명 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하여 향후 낙태 담론에 있어서 권리 담론에 대하여 초기 인간의 인격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초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존재론적, 인간학적 성찰을 통해, 우리는 ‘정신’을 가진 인간 존재가 현존재(da-sein)로서 다른 동물과는 다른 영적이며 초월적 존재임을 깨달을 수 있다. 낙태는 선이 아니다. 차선이 될 수도 없다. 낙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부분 사회적 불의 때문이고, 낙태를 통해 다시 사회적 불의가 확산 순환되는 것이다. 인류 공동체는 비 인도적 낙태를 줄여가기를 바라고, 중지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희망은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스도교가 초기 인간의 생명을 지키고 옹호하려는 것은 보편적인 인간 생명이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점이며, 이 초기 인간에게 하느님이 창조한 세상에서 ‘참 행복’이라는 좋은 삶이 허락되었고,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 육화를 통해 그리스도께서 직접 당신의 삶과 행적을 통해 인간이 살아가야 할 가장 좋은(윤리적) 길과 하느님 나라라는 최종 목적을 계시하고 가르쳐 주셨기 때문이다. 거룩한 교회는 낙태를 본질 악으로 선언하며 낙태를 막고 참된 대안을 제시하는 일에 참여한다. 교회가 세상을 돕는 방법은 무지로 이루어진 낙태와 불가항력으로 이루어진 낙태 당사자들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치유하고 회개한 사람들을 성사로서 치유하는 일이며, 세상과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꾸준히 세상에 더욱 가깝게 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가톨릭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드러난, 시노드(Synod)라는 매우 모범적인 ‘담론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일상의 교회 생활에서는 같은 원리인 ‘모든 사람이 함께 걸어가기’로 풀이되는, 공동합의성(sinodalitas) 라는 하느님 백성 모두가 참여하는 합의도출 방식을 가지고 있어 세상의 담론 형식에 모범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담론 형식을 교회가 낙태 담론을 참여할 때나, 교회의 백성들과 세상과의 대화와 좋은 담론 형성에 적극 사용할 수 있다. 산모의 임신을 통해 인간 본성 안에는 하느님께서 주신 사랑의 자연법이 드러나고 있다. 산모의 태는 이러한 산모-아기의 인격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본성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산모의 자궁의 태는 아기의 ‘영양막’과 산모의 ‘탈락막’ 등이 겹겹으로 섞이지 않으면서 긴밀하게 적층된 모습을 보여준다. 매우 긴밀하면서도 두 인격이 섞어지거나 동화되지 않고 완전히 일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하느님께서 개별 인격들을 사랑하는 초자연적인 사랑의 모습을 유비하는데, 이것은 H. V. Balthasar(1905~1988)이 말한 바로 ‘닮음의 신학’이다. 닮음의 신비를 통하여, 성모 마리아의 예수 그리스도의 잉태를 통해서, 하느님께서 모든 산모의 임신을 참으로 아름답게 축복하고 있다. Due to the decision on “Abortion Constitution Disagreement”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pril 11, 2019, in Korea, how to define abortion in the Criminal Code as the Social Recognition Law(Lex-Humanae) by the year 2020 has been becoming a huge concern. Therefore, there has been a more convinced necessity of a proper 'abortion discourse' in this societ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and support Early Humans personalities through the scientific basis of the view that it can be agreed upon by most biologists of this era that “the fertilization(Zygote) is the starting point of a human life” and through ontological researches of ‘Early Humans’. Hitherto, the abortion debate deals with the proclaiming women's reproductive rights(abortion rights) and advocacy for early human life. In this paper, to make the abortion discourse more desirable, this paper would like to try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al dichotomic debates that have been going on the level of strategic action between “Pro-Choice” and “Pro-Life” according to the factional logics of opposite two groups. The discourse explores the process and technique of arguing through the art of mutual communication, advocating the position of self-discourse on the base of truth, and mutually agreeing with each other through communicable words. Strategic use of behavioral words can be arbitrary languages, which, I believe, can interfere with the truth-based discourse. Therefore, for the constructive progression of the abortion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use a common language centering on the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human life based on scientific (embryological) facts and human ontology. The discourse must be consensus-oriented, and only the norms that are agreed by all parties can be considered to be valid. Therefore, arbitrary biased language should be refrained and discussed in a reasonable langu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abortion discourse, which has to possess deeply reflect and explain the personality and dignity of Early Humans who have been situated on the target of abortions. In order to properly develop the abortion discourse through scientific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 on it, so I propose ‘The Discourse of Life’ for for the desirable 'abortion discourse'. The declaration of “the fertilization is the beginning of humanity”, and the fact that individuality of the Zygote is maintained with continuity in the embryonic and fetal stages and throughout whole human life also. However, this 'Being description' about 'Early Humans' cannot be just the 'ought description', but the additional statements about Early Humans' personality can lead to the moral proposition. The argument about the personalities of 'Early Humans' is more strengthened through Heidegger's ontological reflection which is the three-fold meaning of human existence. All human beings, including 'Early Huma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preoccupying('Vorgriff') the meaning of the future, by the viewpoint of being projected('Antworfenheit'). And through Levinas's(1906~1995) 'the otherness theory', Early Humans should be accepted as weak and anonymous others. This clarification of Early Humans personalities will further enrich 'The Life Discourse' and will be the basis for supporting Early Humans persona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discourse of rights of reproductions in the future. Through scientific and ontolog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 on 'Early Humans', it can be realized that human beings are transcendental as present being(da-seins) who have ‘spirit’. However, since the abortion problems are related to the life and survival of mothers who are the main subject of pregnancies, it is necessary that the abortion discourse need to raise the human rights of women by increasing the dignity of the life of humans universally. However, regardless of that, the various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e pregnant mothers could be compassionate, abortion rights should be confined because she confronts the “human right to living” of “Early Humans”. Because, as the other, “Early Humans” is not her body but the subject of the right of life. Abortions are not good. and that can't be the lesser good. Abortions are ‘intrinsic evil’. The most of abortions originate from social injustices, and social injustices spread through abortions again. The human community would like to reduce and want to ultimately eliminate non-humanitarian and cruel abortions and that must not be considered impossible. Someday it will become true. The reason why the Christian Church's attempt to preserve and defend the life of early human beings is what universally human life was created in God's image and the truly good life was permitted in God's created world. And throug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as God, He has been revealing and teaching the ethical ways for all human beings to live and to reach the ultimate purpose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His Life and Deeds and ‘Because of The Cross’. the Holy Church always participates in preventing and restraining abortion. Along with this, some of the tasks that the Church helps the world are to heal the hurt of the abortions and those peoples who were doing with ignorance and which peoples doing the abortions forced by others, and She would like to help those who repent deeply, by Instruments of the Sacraments. Through the pregnancy of the mother, ‘Love’ in the natural law of God-given is revealing in human nature. The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does not mean that all human abilities are the same, but that all the personalities of every individual are universally dignified. The mother's womb shows the beauty of nature, which shows the mother-baby personal relationships. This analogies to God's supernatural Love of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are exactly what Balthasar(1905~1988) said. And through the ‘Theology of resemblance’, pregnancies of all mothers are beautifully blessed truly, through St. Mary’s conception of Holy Son, our Lord Jesus Christ.

      • 역사비평적 성서(신약) 연구 방법론의 실재와 해석학적 문제

        손혜숙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목적은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론의 실재와 해석학적 문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신약성서 신학의 과제는 신약성서의 신학적 내용을 파악하고 현대인들을 위해 그 복음을 풀이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신약성서 신학은 기본적으로 역사적-비판적 방법론을 이용한다. 이 방법론의 특징은 ‘역사적’이고 ‘비판적’이라는 한정사(限定詞)에서 잘 드러난다. 성서를 ‘역사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첫째, 성서의 각 문서 안에 보도된 역사적 사건들의 실상(實相, what happened really)이 어떠한지, 각 문서의 형성과 관련된 사항들, 예를 들어 저자, 집필 장소 및 시기, 수신인, 집필에 이용된 자료, 집필을 야기시킨 진정한 사정이 무엇인지, 각 문서의 여러 가지 외부 사정들 즉 각 문서가 속해 있는 시대상이 어떠한지를 밝히는 것을 의미한다. 성서를 ‘역사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둘째, 역사학적 방법론을 적용함을 뜻한다. 그것은 역사적 사실을 탐구하는 데 일반 역사학이 적용하는 법칙, 즉 유비의 법칙, 상관관계의 법칙, 통제 가능성의 법칙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서를 ‘비판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교회의 전통이나 교리에 의하여 확립되어 있는 사항을 지당한 것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이성의 합리성에 의거하여 비판한다는 입장을 뜻한다. 즉 ‘비판적인’ 성서 연구는 성서의 본문이 합리적으로 논증될 수 있는 진리를 말하고 있는가를 묻는 것이다. 역사 비평적 성서주석은 하나의 본문을 본문 본래의 단어, 본문의 문학구조, 문학양식, 개념, 모티브, 종교사적인 위치, 편집의도와 방향 그리고 본문의 신학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성서연구 방법론이다.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론에는 원문비평, 출전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이 있다.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론의 첫 번째 단계는 원문비평이다. 원문비평은, 일반적으로 역사주의적 문학비평이 그렇듯이, 성서 주석 작업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확실한 원문(Text)을 확정하는 작업이다. 신약성서의 책들 중에서 원문이 보전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신약성서의 원문이 손상되기 쉬운 파피루스에 씌어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 사실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 전해지는 파피루스 필사본은 단편들뿐이다. 필사본들은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는데(이문, 異文), 원문비평은 이런 이문들을 구분하고 그들 중 어떤 이문이 원전에 가까운가를 밝혀내는 작업이다. 따라서 원문비평의 목적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온 수많은 성서사본들을 비교하여 원저자의 글, 즉 원문을 재구성하는 데 있다.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론의 두 번째 단계는 원문비평을 이용하여 얻은 본문의 문학적 특성과 출전을 묻는 문학비평이다. 전통적으로 문학비평은 무엇보다도 상이한 출전을 밝혀내는 작업이고 그래서 출전비평이라고 한다. 출전비평을 통해서 마태오와 루가 복음의 출전은 마르코 복음과 주의 말씀 모음집인 이른바 ‘어록’(Q)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즉 출전비평에서 주로 연구되는 문제는 ‘마르코 복음의 우선성’과 ‘이출전설’이다. 결국 출전비평의 목적은 성서저자가 각 문서를 쓸 때 기존에 있던 기록들을 참조하였음을 전제하고, 그 출전이 된 문서가 무엇이었는가를 찾아내는 데 있다. 그리고 출전비평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역사적 예수의 문제’가 새롭게 부각된다.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론의 세 번째 단계는 양식비평이다. 양식비평의 과제는 문헌의 출전 뒤에 있는 전승의 양식과 그 ‘삶의 자리’(Sitz im Leben)를 탐구하는 것이다. 양식비평은 문학양식이 형성된 삶의 자리와 전해져 내려온 과정을 연구하기 때문에 전승의 역사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비평의 목적은 성서에 실려 있는 각 전승 단위들이 어떤 상황에서 형성되었는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양식비평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의 문제’가 새롭게 대두된다.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론의 네 번째 단계는 편집비평이다. 편집비평은 각 신약성서 편집자가 전승 자료를 어떻게 수정했으며, 그 자료들을 전체 구도 속에서 어떻게 배열했는지를 분석하면서 편집자의 역할과 편집과정 그리고 그의 독특한 신학적 사상을 탐구한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본 논문은 제1장에서 역사비평 방법의 정신사적ㆍ신학적 배경을 간략하게 개관하고, 제2장에서는 이 방법론에 속하는 하위 방법론들(원문비평, 출전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의 정의, 역사, 실재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출전비평과 양식비평의 실재를 알아본 다음 역사적 예수 연구를 고찰한다. 네 가지 방법을 알아 본 후에 실제로 어떻게 비평이 이루어지는지 한 가지 비유(마태 21,33-46)를 선택하여 실례를 보여준다. 제3장에서는 역사비평 방법과 신학적 문제 및 해석학적 문제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역사비평의 신학적 의의와 공헌 그리고 한계와 문제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본 논문을 마무리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reality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nd the hermeneutical problem. The purpose of the New Testament theology is to explore New Testament in its theological context and in a manner that promotes understanding by the general public. In carrying out this purpose the New Testament theology adopts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of analysis as a means to explanation. The main features of the Historical- Critical Method are its deterministic outcomes. This 'historical' study of biblical text will employ two main points of view. First, how are the historical facts (what happened really) reported in each biblical text. Points to be considered will be the writing place and period, recipient, and writers influences, intentions, and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means by which we find historical situations belonging to each biblical text. The 'critical' study of the Bible means that rejection to the contents which were established by church tradition and dogma and it criticizes based on the rationality. Namely 'critical' study asks if a bible text tells the truth that can be demonstrated rationally. The Historical-Critical bible commentary is one of the bible study methods that understand and analyze the original words from the text, literary structure, literary formation, concepts, motivation, position of the religion history, intention of edition and direction, theological contents of the text.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contains Textual Criticism, Source Criticism, Form Criticism and Redaction Criticism. The first stag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is Textual Criticism. This work, like general Historical Literary Criticism, decides an accurate text should be essentially preceded for the commentary works. No New Testament texts preserve the original text copy. It's no wonder that the New Testament original was written in Papyrus which could be easily damaged. The Papyrus Manuscript has been inherited as fragments. Manuscripts have a variant reading. The Textual Criticism distinguish these manuscripts from the others and the find out which manuscript is similar to the original scrip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Textual Criticism is to compare many codices which have been kept now and to rearrange the original text of the bible writer. The second stag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is Literary Criticism which asks the origin of the text and literary feature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Traditionally, Literary Criticism find out a different source so, it is called Source Criticism, too. Through the Source Criticism the sources of Matthew and Luke indicate Mark and the 'Q'(Quelle = Saying source) which is believed as a serious of the Jesus' saying. That is to say, the issue is studied in the Source Criticism is that the Priority of Mark and the two Source Hypothesis. The purpose of the Source Criticism premises that the records used to be utilized as a reference and search what text was sourced. And thoughout the research outcome of the Source Criticism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comes out. The third stag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is Form Criticism. The issue of the Form Criticism pursues tradition from followed by the source and the setting in Life(Sitz im Leben). Because Form-Criticism studies the setting in life that the literary form was formed and the inherited process it is closely related to history.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e Form-Criticism searches in which situation the levels of each tradition recorded in the bible have been formed. Throughout the research outcome of the Form Criticism the 'Historical Jesus and believable Christ problem' comes to the front. The fourth stage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is Redaction Criticism. It analyzes how each bible editor revise the inherited data and arranges the materials in the whole context. Besides, it studies the editing process and editor's unique theological ideas. To the long story short,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surveys th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looks extensively that definition, history and reality of the sub-methods (Textual Criticism, Source Criticism, Form Criticism, Redaction Criticism) belong to the Method. After examining the reality of the Source Criticism and Form Criticism, the thesis considers the Historical Jesus. Next to the four Methods, the thesis shows an example how the Criticism is applied selecting one Parable(Mt.21,33~46). The third chapter looks at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 Theological problem and the Hermeneutical Problem. At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the thesis looks synthetically at the meaning and contribution and its limitation and problem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 연구 : 과학과 신학의 비판적 실재론에 의한 접근

        이인석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환경문제는 일반적으로 전지구적인 생태위기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위기의 근원으로서 근(현)대성이 지목되고 있다. 이른바 탈근대적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즉, 탈근대적 대안으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이러한 위기 극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엽적인 환경문제로 국한하여 해결하려는 환경주의로부터 문화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심층생태주의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스펙트럼의 녹색 지향적 논의들은 각각의 사회적 혹은 철학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제시하는 대안들이 진정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지시하느냐 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인 것 같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가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그 토대가 될 수 있는 근본적인 준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과학으로서의 생태학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이런 과학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탈근대적 담론과 함께 과학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탈근대적 혁명'을 살펴봄으로써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불필요한 논쟁과 혼동에서 오는 혼돈을 덜어주고, 근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 사회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필자는 일리야 프리고진에 의해 빚어지는 새로운 과학 이성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로 지목하였다. 프리고진의 비평형열역학이 제시하는 진화론적 과학은 우리로 하여금 이제 탈근대적 담론을 과학으로부터 말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이다. 프리고진은 무산구조 이론을 통해서 '우연'이 지배하는 '됨'의 세계와 '필연'이 지배하는 '있음'의 세계가 상보적으로 드러나는 비판적 실재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근대의 주객분리의 대상화에 의한 무가치한 결정론적 세계를 지시하는 '엄격한' 실재론을 배격하며 동시에 해체적 혼돈에 의해 소멸되는 반실재론도 배격하는, 말하자면 둘 사이의 상보적 실재론을 지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비평형적 물리세계 속에 살고 있는 거시적 존재로서의 인간 조건을 가진다. 빛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으며, 무한한 정보를 가질 수도 없다. 따라서 관측자로서의 행위 또한 신의 입장에서의 완벽한 객관이 될 수 없다. 우리는 시간의 방향성 안에서 상호 교신하는 우주의 일부일 따름이다. 우리는 시간대칭이라는 우주의 공통된 뿌리에서 시작하여 갈라져 나왔으며 공통된 미래를 향해 가는 하나이다. 이제 우리는 다양한 수준의 시간 축척이 물질에 각인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질학적 시간 축척을 보이는 돌멩이 같은 것은 상대적으로 대상화하여 기술할 수 있지만, 복잡성이 높은 유기체에서의 빠르게 출현하는 새로움은 또 다른 수준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인간이 발견한 근대적 합리성은 실재의 '있음'이라는 고정된 특정 국면만을 외부에서 관찰하여 법칙화한 하나의 틀일 뿐이다.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으며 존재하게 된 이 세계는 확률적으로만 예측가능한 '됨'의 국면이 지배하는 비평형적 우주이다. 따라서 인간의 의식은 실재의 근사치만을 어림할 수 있을 뿐, 실재와의 보편적 필연성 관계에 놓여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근대적 이성의 자각과 함께 추방된 자연과 신성에 대한 감수성이 회복될 자리가 마련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 새로운 이성은 그 어느 것도 근본적이랄 수 없는 다수준적이고 다중적인 하나의 우주를 자각하게 된 것이다. 한편, 하나의 사회를 위해서는 그 토대로서의 과학과 신학이 요구된다. 마찬가지로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를 받쳐주는 과학과 함께 그를 반영하는 신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탈근대적 과학 이성의 통찰을 반영하는 신학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를 재확인코자 하였다. 프리고진이 제시하는 새로운 이성에 의하면, 인간은 이론적 모델 등의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실재에 접근할 수 있을 뿐이다. 이는 메타포어와 유비를 통해 실재에 접근하는 신학과 교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탈근대적 담론들과 생태지향적 논의들의 건전성을 위해 과학과 신학의 비판적 실재론이 지시하는 통찰들이 그 준거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Environmental problems these days are generally perceived as an ecological crisis on global dimension, and modernity is considered the main culprit. Thus, we have to overcome modernity. A new paradigm is required as an alternative to modernity. An ecological paradigm is noteworthy as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crisis. A variety of ecological discussion has been proposed so far, ranging from environmentalism to deep ecology, and each of them has proposed various alternative solutions based on their own philosophical background. However, we are not convinced whether they are really an ecological paradigm. We need to establish basic standard references to propose a real ecological paradigm. Ecology as science has developed rapidly. Ecological paradigm must reflect the scientific research faithfully. Therefor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standard references for an ecological paradigm by investigating postmodern discourses in the society and postmodern revolution emerging in science. I have paid attention to Ilya Prigogine's discussion in this thesis, and as a standard reference for an ecological paradigm I have pointed out a new scientific reasoning suggested by him. It was because evolutionary science that is related to Prigogine's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made it possible for us to discuss postmodern discourses in scientific terms and perspectives. Prigogine has proposed critical realism through 'dissipative structure theory' in which a fortuitous world (becoming world) and an inevitable necessary world (being world) are exposed complementarily. Critical realism refers to complementary realism between hard realism and anti-realism, while it rejects the both. We, human beings are macroscopic existence living in non-equilibrium physical world. Human beings can neither overtake the speed of light nor possess infinite information. Therefore a man, as an observer, cant be completely objective from God's point of view. Human beings are just a part of universe that communicat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ime. We originated from a common root of the universe, that is time symmetry, and go towards a common future. Describing an object like a stone and describing human beings are different matters, and we need a different kind of level to describe fast-emerging novelties in complicated organisms. The so-called modern rationality we have postulated is just a framework that has observed a fixed specific aspect of reality from outside and formulated it. The world we are actually living in is a non-equilibrium universe that can only be predictable by probability. Thus man's consciousness cant be explained in scientific accuracy and only partially predictable. This means that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human beings sensibility for the nature and God, which has been excluded since the awakeness of reasoning power in modern time. In other words, a new reason comes to realize a multi-dimensional and complicated universe in which there is nothing fundamental and unchangeable. Science and theology are important elements as a base to organize a society. Similarly, in order to organize a society based on an ecological paradigm, we need science as a base together with theology reflecting it. With this viewpoints, this thesis tried to re-ascertain standard references for an ecological paradigm by investigating theology in the light of postmodern scientific reasoning and reflection, too. According to new rationality Prigogine has proposed, human beings can only be accessible via an indirect way such as theoretical model. This means that theology can contribute to the investigation of human beings as theology access the existence through metaphor and analogy. This thesis has shown that insights provided from critical realism in science and theology can become standard references for ecological paradigm and postmodern discourses.

      •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에 근거한 생태신학

        강정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에서는 매튜 폭스가 비판하는 아우구스티노의 반생태학적 사유(思惟)를 살펴보면서, 폭스가 전개하는 창조 영성의 특징과 창조 영성에 근거한 생태 신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매튜 폭스는 오늘날의 특징을 생태계의 위기, 영성의 몰락과 전례의 황폐화로 규정한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교 영성과 현대 과학의 대화 및 조화를 모색하기 위하여 창조 신학과 영성을 토대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하고자 시도한다. 그는 현재의 서구적인 교육 모형에서는 생태학적 위기를 깊이 깨닫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종교에 대한 아우구스티노의 영향을 떨쳐버리고 교육에 대한 뉴턴과 데카르트의 영향을 떨쳐버릴 것을 요청하고 있다. 오늘날 생태학적 위기에 직면하여 교회가 타락·구속적 신학 전통에 집중함으로써 어떠한 결과를 빚어내고 있는지를 냉철하게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폭스는 창조 영성이 상호 의존적이고 생태적 정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변혁의 능력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러한 폭스의 신념은 예술가와 과학자와 세계 종교들로부터 지혜를 끌어낸 창조 영성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사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확신에 기인한다. 창조중심적 영성은 주어진 창조 세계 자체를 원축복이라고 믿기 때문에, 물성과 육체성에 대해 불신하고 경멸했던 교부신학의 금욕주의적 전통과는 구별된다. 창조 영성은 현실 세계를 하느님 손길이 닿아 있는 고양(高揚)된 존재의 세계로 직관하는 만유재신론적 신관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만물은 신성(神性)의 한 부분이며 상호 분리되어지지 않은 상호의존적인 유기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유기체적 우주관을 지니고 있으며 모든 피조물과 전 우주에 스며 있는 우주적 지혜로서의 우주적 그리스도론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폭스의 창조 영성적 사상은 서구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사고와 틀 및 방법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신학적 구성을 시도한다. 이는 우주에 대한 경외심, 우주 만물의 상호 연관성, 창조된 모든 것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정향되어 있다. 폭스의 예언적 통찰이 직면해 있는 생태 위기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생태학적 의식에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는 점에서 폭스의 신학적 진술의 과감성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획기적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ecotheology based on creation spirituality and the peculiarity of creation spirituality by Fox, looking into anti-ecological thought of Augustinus which is criticized by Matthew Fox. Matthew Fox prescribes the peculiarity of today as the crisis of an ecological system, the fall of spirituality and the ruin of a ritual. To get over these realistic problems and to search for conversation and harmony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modern science, it is tried to compose new paradigm based on creative theology and spirituality. He points out there is a limit to deeply realize ecological crisis in the current Western educational model. He is making a demand for leaving Augustino's influence for religion and for leaving Newton and Decart's influence for education. These days it i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ith a cool head what results are made by concentrating on the fall·redemption tradition of church in the face of ecological crisis. Fox believes firmly that creation spirituality will present renovative capacity to promote interdependent and ecological righteous. Fox's this faith is caused by confidence that the wisdom of creation spirituality which comes from artists, scientists and world religions is an alternative idea to basically provide new way of thinking. The spirituality centering around creation believes that the creative world itself is an original bless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 of asceticism of patristic theology that disbelieved and despised physical property and the flesh. Creation spirituality has the outlook on Panentheism which perceive intuitively the world of the enhanced existence touched by God's outstretched hand about realistic world simultaneously and has the organic vision of the universe which has interdependent and organic structure without separation as all creation is a part of divine nature, and it heads for Cosmic Christian theory as universal wisdom that exists in all creatures and the whole universe. Therefore, Fox's creation spirituality tries new theological construction, getting out of the theological thought of the Western Christianity, shape and methodology. It is fixed to reverence for the universe, mutual relevance of all universal creation and God's love for all creation.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try conversion into ecological consciousness to Christians who can not feel the sense of questions about ecological crisis faced with prophetic insight of Fox. From this point of view, Fox's theory could be appraised a great epoch attempt in spite of theological determination.

      • 발타살의 신학적 드라마에 나타난 정치 신학적 함의

        박서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발타살의 신학적 드라마에 나타난 정치 신학적 함의 이 논문은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의 신학적 드라마에 나타난 정치 신학적 함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오랜 기간 신학적 미학의 연구자로 평가받아온 발타살이 ‘영 광’을 추구하는 신학적 미학에서 신학적 드라마로 전환하기까지에 대한 이해는 불충 분하다. 따라서 발타살이 미학적 범주에서 극적(劇的) 범주로의 전환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왜 신학이 극적으로 되길 원했는지 본 논문은 주목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그의 신학에서 드라마틱한 전개를 통해 시대의 역사적 억압 · 고통 · 해방 의 장소를 탐구함으로써 신학적 비전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다음 내용을 다 룬다. 1. 미학은 하느님 계시를 드러내기에 불충분함으로 그리스도의 삶과 선교의 중 심적인 측면을 나타내고 인간 존재의 사회적 정치적 차원의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발 타살은 테오드라마를 의도했다. 2. 테오드라마는 관객 역시 행동의 참여자가 되어 자 신의 존재성을 밝힌다는 주장에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다. 3. 정치신학은 신학을 사적 영역으로 제한하려는 의도에서 벗어나 ‘신학의 탈사사화’를 목표로 한다. 그리스도 인은 개인적, 사회적, 정치적인 의미를 지니며, 구원의 드라마에서 어떤 역할을 한다 는 것은 이러한 여러 측면을 포괄한다. 4. 발타살의 신학은 고통과 억압에 맞선 테오 드라마적 투쟁이란 전망을 통해 현대 세계의 이념들을 비판하였다. 그는 그리스도교 탄생 이후 각 시대의 이념과 권력의 역할을 깊이 고찰하고 죄가 어떻게 진화론적 이 념을 초래했는지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념의 오남용은 ‘거룩함’의 추구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 테오드라마의 요지이다. 테오드라마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보편적 거룩함의 소명'이란 제2차 바티칸 공 의회의 핵심 가르침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전개하였다. 발타살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의 핵심 가르침인 성덕에 대한 보편적 소명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정치신학에 연결 시켰다. 공의회 이후의 신학은 이러한 도전을 충족시켜야 하며 이미 신학과 삶의 통 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정치신학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테오드라마는 신학 안에서 정치신학이 보다 중심적인 위치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가톨릭 신학 내에서 발타살 신학이 함의한 가치와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발타살의 정치신학은 정치적인 차원과 종말론적 차원, 이 두 차원 사이에서 극적인 긴장을 제공한다. 발타살은 테오드라마에서 구원론의 측면과 동시에 복음 실 천의 사회적 측면에서 드라마적 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발타살 신학은 그리스도를 따 르는 사람들에게 세상 속으로 들어가라고 요청하며 세상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제시 하고 있다. 그런데 세상을 변화시키도록 부름받은 그리스도인은 삶에 있어서 이러한 비전을 갖고 있는가? 이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그리스도인 삶의 정치신학적 요구는 무엇인지 묻고 있다. 정치신학이 세속화되어 하느님의 척도를 인간의 이데올로기적 척도로 대체하는 합리주의적 유혹에 따르게 된다면 삼위일체 거룩한 삶을 지향하는 드라마는 세속적 드라마로 대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 진보와 기술의 발전 은 더 나은 미래를 바라보며 더욱 세속화를 가속화시킨다. 발타살은 기술에 대한 무 분별한 신뢰와 인류가 미래를 창조할 수 있다는 프로메테우스적 비전이 하느님의 피 조물인 인간의 진리를 왜곡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의 자유와 복지를 희생시킨다고 경고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발타살은 종말론적 역사관을 채택하고 있다. 역사는 세상과 존엄 성이 짓밟히는 사람들을 대신하여 ‘선’을 위해 투쟁하는 극적인 행동의 무대이다. 종말론적 관점은 그리스도교 희망의 수직적 차원을 보존하는 동시에 하느님 나라의 충만함에 반대하는 세력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의 긴급한 행동을 촉구한다. 고통과 억 압에 대한 테오드라마적 투쟁의 비전 안에서 그의 신학은 현대 세계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세상 속으로 들어 가라고 요청하고 있다. 발타살의 주장대로 우리는 불의와 빈곤의 현실과 세상에서 ‘정의’를 추구하기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발타살이 테오드라마를 통해 말하려는 가장 근본적인 관심사는 일관되게 세상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행동’이라는 주제일 것이다. 그리스도인에게 끊임없이 제기 되는 소명은 종말론적 희망 속에서 ‘지금’, ‘여기’에서 하느님 나라를 이루고 세 상을 변화시키려는 일임을 제안하는 것이다. This paper sought to study the political theological implications of Hans Urs von Balthasar's theological drama. There 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how Baltasar, who has long been evaluated as a researcher of theological aesthetics, transitioned from theological aesthetics pursuing ‘glory’ to theological drama.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how Balthasar explains the transition from the aesthetic category to the dramatic category and why he wanted theology to become dramatic. This paper covers the following: 1. As aesthetics are insufficient to reveal the revelation of God, Balthasar intended theological drama to reveal the central aspects of Christ's life and mission and to realize justice on the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human existence. 2. Theodrama gives new meaning to the claim that the observer also becomes a participant in the action and illuminates existence. 3. Political theology aims at ‘de-socializing theology.’ Being a Christian has personal,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nd playing a role in the drama of salvation involves each of these dimensions. 4. Within the vision of a new dramatic struggle against suffering and oppression, his theology carried out a critique of the ideology of the modern world. He went into depth about the role of ideology and power in the post-Christian era and showed how sin gave rise to evolutionary ideology. This is why ‘holiness’ must be pursued as an overcoming of ideology. Theo-drama systematically developed the meaning of the core teaching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on the universal calling to divinity (holiness). It shows that Balthasar paid attention to the universal calling to holiness, a core teaching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connected it to political theology. Post-conciliar theology must meet this challenge, and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ase of political theology, which already recognizes the need for integration of theology and lif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ew Drama shows that political theology has become more central within theology. In that sense, the value and influence of Balthasar theology within Catholic theology today can be said to be great. Meanwhile, Balthasar's political theology provides a dramatic tension between the two dimensions, the political and the eschatological. In the Theodrama, Balthasar proposes a dramatic theory in terms of soteri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 social aspect of gospel practice. This paper seeks to propose a theological vision by exploring the places of historical oppression, suffering, and liberation of the era through dramatic developments in his theology. This paper asks what the political and theological demands of Christian life are in modern society. Balthasar theology asks followers of Christ to enter the world and presents a strong critique of the world. But do Christians who are called to change the world have this vision in their lives? If political theology becomes secular and follows the rationalist temptation of replacing God's measure with human's ideological measure, the drama that pursues the holy life of the Trinity may be replaced by a secular drama. Modern social progres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accelerate secularization with a view to a better future. Baltasar warns that reckless trust in technology and the Promethean vision that humanity can create the future distort the truth of humans as God's creatures and ultimately sacrifice human freedom and welfare. In contrast, Balthasar adopts an eschatological view of history. History is a stage of dramatic action to fight for ‘good’ on behalf of the world and those whose dignity is trampled upon.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preserves the vertical dimension of Christian hope while calling for urgent action in a world filled with forces opposed to the fullness of God's kingdom. Within the vision of a new dramatic struggle against suffering and oppression, his theology carries out a critique of the ideology of the modern world. And he is asking Christ's followers to go into the world. As Baltasar argues,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and make efforts to pursue ‘justice’ in the reality and world of injustice and poverty. In the end, the most fundamental concern that Baltasar tries to express through the theodrama is consistently the theme of Christian ‘action’ in the world. It is suggested that the calling constantly raised for Christians is to achieve the kingdom of God and change the world ‘here and now’ in eschatological hope.

      •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연구 : 오리게네스의 기도론과의 비교

        유은호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오리게네스와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비교 연구를 통하여 그리스도교 관상 기도의 신학적 원천을 밝히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의 대표적인 기도 책인 오리게네스의 「기도」(Περὶ Εὐχῆς)와 에바그리우스의 「기도」(Περὶ Προσεὐχῆς)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이 연구는 두 작품의 연속성, 비연속성, 그리고 특이성을 비교하는 방법론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두 작품을 위 디오니시우스의 영적 진보의 삼 단계 곧, 정화, 조명, 그리고 완전에 따라 분석한 공시적(共時的) 방법을 사용했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전승사비평을 통해 에바그리우스의 「기도」와 오리게네스의 「기도」,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그리고 동방 교부들의 작품과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밝히기 위해 통시적(通時的) 방법을 사용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달성했다. 첫째, 오리게네스 주의자로 알려진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는 오리게네스에게 영향을 받지 않은 독창적인 그리스도교 최초의 관상 기도라는 것을 밝혔다. 둘째,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를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그리고 동방 교부들의 작품들과 비교한 결과 에바그리우스의 「기도」가 유일하게 관상 기도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를 통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강조한 관상 기도에 대한 쇄신을 모색해 보고, 미래에 관상 기도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는 단순히 하느님과 합일을 추구하는 신비체험에 머물지 않고, ‘또 다른 천사’가 되어 이웃을 돕는 중보기도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다. 둘째,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는 관상 중의 활동을 지향한다. 마지막으로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의 핵심은 하느님과의 만남이며, 이웃과의 만남이다. 따라서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가 주는 교훈은 하느님을 만난 관상가는 반드시 이웃을 향해 사랑을 실천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 관상 기도의 원천을 다루었기 때문에 관상 기도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자원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 논문은 영성 신학에서 그리스도교 최초의 관상 기도의 성격을 규명했기 때문에 에바그리우스 이후에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에 나타난 관상 기도와 비교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이바지했다.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veal the theological origins of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ologies of prayer developed by Origenes(AD 185~254) and Evagrius(AD 345~399). It focuses on two texts, representative of the authors’ work on prayer, namely Origenes’ On Prayer (Περὶ Εὐχῆς) and Evagrius’ On Prayer (Περὶ Προσεὐχῆς). The study adopts a compar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compare the two core texts in terms of their continuity, discontinuity, and specificity. Taking a synchronic approach, it analyzes the texts according to Pseudo-Dionysius’ three stages of spiritual progress; that is,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In addition, the dissertation adopts a diachronic approach. More specifically, it applies tradio-historical criticism to elucid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n the one hand, the On Prayer of Evagrius, and on the other, the On Prayer of Origenes, the Enneades of Plotinus, and the works of the Eastern Fathers. The thesis reveals three key points. First of all, although Evagrius’ On Prayer has been labelled as Origenist, this was the original work on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and unaffected by Origenes. Secondly, a further comparison of Evagrius’ On Prayer with the Enneads of Plotinus and the works of the Eastern Fathers, indicates that only the Evagrius text deals with Contemplative Prayer. Thirdly, through Evagrius’s On Prayer, this dissertation sought renewal of the Contemplative Prayer which was emphasiz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on how this prayer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Evagrius’ Contem plative Prayer is not merely a mystery experience seeking unity with God, but also has the character of intercessory prayer for helping neighbors as ‘another angel’. Secondly,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directed toward the activity in contemplation. Finally, the heart of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meeting with God and meeting with neighbors. Therefore, the lesson of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that the contemplator who has met God must be an activist who practices love toward his neighbors. The dissertation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ose interested in Contemplative Prayer, because it deals with the source of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It reveals and elucidates the nature and spirit of the first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in spiritual theology and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basis for comparison with the Contemplative Prayer that appear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after Evagrius’ works.

      • 인권에 관한 몰트만의 신학적 이해 :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최선경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It is the evangelical mission of the church to defend and develop the basic rights for human dignity and the salvation of souls, for which the Church is justified in, according to Gaudium et Spes [37], independently making ethical judgments about political order in order to proclaim faith with true freedom.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human rights and the Church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theological study of human dignity and fundamental rights refers to human dignity, basic rights, and inviolability based on Genesis (1, 26-27). Imago Dei is the basis for the human rights to life and to self-development, and the incarnation of Christ, the law of love of neighbor, and solidarity with the least of them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theological subjects of human rights. However, after the conflict of ideologies and Two World Wars, a serious gap is discovered between the Church's teaching on human rights and the practical problems. In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rights can only be asserted by the deduction by God, research on human rights from above has become difficult to anticipate the growth of human rights. Thus, the direction is shifted to the theological study from below, starting with human experience. After the Holocaust, the practical theology of human rights in the world has been examined by Johann Baptist Metz, Konrad Hilpert, Trutz Rendtorff, George Cateb, F. J. Wetz, and Hans Küng, in whic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about the practice of the Church's Mission in the indifferent, violent, and chaotic society of modern times has become seriou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Moltmann'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interpreted as the center of the interpenetration (perichoresis) relationship of the Trinity to resolve the indifference of modern society and practice human rights, which is the evangelical mission. First, he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uman rights as the Christian identity, based on his theology of the cross. The Cross of God’s passion is the criterion for identifying human activities and values, and it becomes an active response as a mature faith capable of facing and accepting the suffering of others through dialectical recognition. This will become soon the power to transform yourself and others. The idea of the interpenetrating relationship in Moltmann's theology of the social trinity re-examined his understanding of theology and human rights. Based on the Trinitarian Crucifixion, the dynamism of mutual penetration demonstrates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ity and reciprocity, the relationship of mutually cooperative equality and participation, and the triune freedom. Human rights can be interpreted as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ersons who are devoted to each other. That understanding i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o the extent that it expresses the rights to the ecosystem and the rights of the next generation, and is intertwined with the universal responsibility of human rights. On top of that, in order to work for link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expressed in Moltmann's theology with the shift from the place of life to practice,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theology of Moltmann and Metz, and to seek a solidarity as a method of continuous human rights protection through internal work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discrimination. 인간의 인격적 존엄성과 영혼 구원을 위한 기본권을 옹호하고 성장시키는 일은 교회의 복음적 사명이며, 이를 위하여 교회는 참된 자유를 가지고 신앙을 선포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정치 질서에 대한 윤리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정당하다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37]에서 언급되어 있다. 이렇게 인권과 교회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인격적 존엄과 기본권에 대한 신학적 연구는 창세기(1, 26-27)에 근거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 및 불가침성을 언급하였다. 하느님 모상론(Imago Dei)은 인간의 생명에 대한 권리와 자기발전의 권리를 위한 근거가 되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육화와 이웃사랑의 법과 가장 보잘 것 없는 사람과의 연대성은 인권에 대한 신학적 주제로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근대 이데올로기와 세계대전을 겪은 후, 인권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과 현실적 문제 사이의 심각한 괴리가 발견된다. 인권을 하느님에 의한 연역으로만 주장할 수 있는 것인가란 질문에서 더 이상 위로부터의 신학적 인권에 대한 연구는 인권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인간의 경험에서 시작하는 아래로부터의 신학적 연구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아우슈비츠 사건 이후 요한 밥티스트 메츠나 콘라드 힐페르트, 투루츠 렌토르프, 조지 카텝, 베츠, 한스 큉, 등에 의해 세계 안에서의 인권에 대한 실천적 신학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런 연구에서 현대사회의 무관심과 폭력적이고 혼란스런 사회 속에서 교회 사명의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이 심각해졌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무관심을 해소하고 복음적 사명인 인권을 실천하기 위한 삼위일체의 상호침투(페리코레시스)적 관계성 중심으로 해석되어진 몰트만의 인권 이해를 분석하였다. 우선 그의 십자가 신학을 근거로 인권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으로 놓았다. 하느님의 열정에 의한 십자가는 인간의 활동 및 가치의 식별 기준이며, 변증법적 인식을 통해 타인의 고통에 직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성숙된 신앙으로서의 적극적 응답이 된다. 이는 곧 자기 자신과 타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이다.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 신학의 상호침투적 관계는 그의 신학 및 인권에 대한 이해를 재조명시켰다. 삼위일체적 십자가 사건을 기반으로 상호침투의 역동성은 개별성과 상호성이 상호공존하며, 상호협력적인 평등과 참여, 삼위일체적 자유의 관계가 어우러져 있다. 인권은 서로를 위해 헌신하며 존재하는 세 위격의 관계처럼 상생하는 관계로서의 해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 이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로 확장이 되어 생태계에 대한 권리와 다음 세대에 대한 권리까지 표명하며, 인권의 보편적 책임성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몰트만 신학에서 나타난 인권이해를 삶의 자리에서 실천으로 연계하기 위한 작업으로 몰트만과 메츠의 신학을 비교하여 인권감수성과 인권 식별력을 통한 내적 작업에 의한 지속적인 인권옹호의 방법으로서 연대를 모색해 보았다.

      • 삼위일체론의 생태신학적 함의 : 칼 라너, 조셉 브락켄, 레오나르도 보프의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홍태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현대 사회의 생태 위기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단순한 환경보전주의 차원을 넘어 생태계 자체의 가치와 상호 연결적 관계에 집중하는 심층 생태론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에 응답하는 신학 또한 인간 중심적 관점, 생태 중심적 관점, 신 중심적 관점의 다양한 형태로 전개 되어 왔다. 본 논문은 생태신학의 접근 방식에 있어 그리스도교 신앙의 근본 경험인 삼위일체 교의가 담고 있는 생태적 관점에 주목하여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에 기반을 둔 생태신학의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 신학에서 현대 신학으로 넘어가는 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칼 라너, 자연과학과 신학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과정 신학자 조셉 브락켄, 역사적 맥락과 복음의 가난한 자들의 해방의 관점에서 신학을 전개하는 레오나르도 보프의 삼위일체론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칼 라너는 세계에 하느님의 자기-전달로서의 은총이 증여되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또한 모든 창조물이 그리스도에 의해 신성과 결합되어 신화의 종말론적 완성을 향하여 진화한다는 해석은 우주적 차원에서 세계 내 존재들의 내재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라너의 삼위일체론은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모든 창조물을 통하여 하느님을 살아계신 것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를 전해준다. 브락켄의 유기적 생태론은 존재에 관한 새로운 통찰인 과정 사상을 통하여 사회적 실체론을 하느님의 존재방식인 삼위일체로까지 확장하였다. 세 위격들은 세계를 포함하는 무한한 활동의 ‘장’에서 성부의 창조성과 성자의 구속사와 그것을 연결하는 성령으로서 하느님 실체를 형성한다. 이것은 창조가 발생하는 하느님 매트릭스 안에서 하느님과 세계, 인간과 자연이 관계적 구조로서 연결된 실체로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보프는 하느님 위격들의 친교적 공동체로 이루는 삼위일체를 강조하며 해방자 그리스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의 범주에 속하는 자연 생태계의 해방을 향한다. 사회적 차원에서의 신앙 실천을 강조하는 그가 제시하는 삼위일체론은 해방 활동의 최종적 목표의 원형으로 제시된다.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근본적 신앙 체험인 삼위일체를 고유의 관점에서 현대적 언어로 해석한 세 신학자의 삼위일체론에서 다음과 같은 생태신학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삼위일체적 존재방식을 갖는 하느님은 세계 내재성과 초월성을 동시에 갖는 하느님이다. 따라서 우리는 세계의 일상에서 거룩함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모든 창조물은 피조된 속성에서 동등하며 각자 고유한 가치를 갖는다. 그 안에서 인간은 세계의 정신으로서 고유한 역할과 가치를 갖는다. 셋째, 세계의 물질성은 성자의 육화를 통하여 신성과 결합하여 삼위일체적 일치의 완성을 향하여 우주적 전망을 갖고 신화하여 간다.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에 관한 세 신학자의 해석은 당면한 생태 위기를 인식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실천이 하느님을 향한 신앙의 실천과 같은 것임을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동시에 그것은 그리스도교가 반생태적이라는 오해에서 벗어나는 근거가 된다. 또한 삼위일체론에 기반한 생태신학은 인간이 역할을 축소하여 생태계의 평등성 안으로 환원되는 것을 거부하며 창조의 목적에 따라 유기적 세계의 전체성 안에서 정신으로서의 인간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것은 인간이 창조된 피조물로서 세계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고유의 역할을 긍정하는 관점을 갖는 것이다. 삼위일체론을 기반으로 하는 생태신학은 세계를 물질과 자연적 생명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지 않고, 세계를 통하여 창조주가 함께 하는 신성한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이것은 피조물인 인간의 한계를 되돌아보며 창조의 질서를 존중하도록 깨닫도록 이끈다. 하느님 삼위일체의 내재적 존재방식과 세계를 향한 경륜에 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생태신학은 다양한 신학적 방법론으로 전개하는 생태신학에 있어서 신앙의 근본 경험에 근거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human response to the ecological crisis in modern society has emerged as an deep ecology that focuses on the value of the ecosystem itself and its interconnected relations beyond a simple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ology that responds to this context has also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human-centered, ecological-focused, and god-focused. This paper starts by raising the quest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is situation and propose a ecotheological view rooted in trinitarian theology that contains the fundamental experience of Christian faith.   This study includes Karl Rahner who is considered the pioneer in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theology, Joseph Bracken who is a process theologian understanding the natural sciences and theology in an integrated way, and Leonardo Boff who has developed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tion of the poor.   Rahner interpreted the world as the bestowal of God's self-communication grace. It is also to discover the intrinsic value of beings in the world at the cosmic dimension that all creation is interpreted as evolving towards the eschatological completion of deification combined with divinity in Christ. Therefore, it offers a meaning that we can experience God's presence through all the creatures we meet in our daily lives.   Bracken's organic ecology expanded social substantialism to the Trinity through process thought, a new insight on existence. The three divine hypostases form the substance of God in the “field” of the infinite activity involving the world, with the Creativity of the Father and the Redeemer of the Son and the Holy Spirit connecting it. This explains that the God-world (human-nature) is connected as a relational structure in the God’s Matrix where creation continues to occur.   While emphasizing the Trinity as an intimate community of Divine hypostases, Boff seeks the liber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s which is identified as the poor and oppressed through Christ the Liberator. The Trinity become the prototype of the ultimate goal of liberation for the society and nature while Boff emphasizes the practice of faith at the social level. The ecotheological meaning of the trinitarian theology by three theologians in contemporary language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the Triune God is living in the world with creature and also transcend world. Therefore, we can find holiness in the daily life of the world. Second, all creatures are equal in their created attributes and each has its own value. Human beings have a unique role and value as the spirit in the world. Third, the materiality of the world is combined with divinity by the incarnation of the Son and become deification with a cosmic outlook toward the completion of the trinitarian unity.  The interpretations of the immanent and the economic Trinity provide a understanding that the recognizing and overcoming the present ecological crisis is the practice of faith toward God. At the same time, it forms the basis for escaping the misunderstanding that Christianity is anti-ecological. In addition, the ecotheology based on trinitarian theology refuses human beings to reduce their role and return to the equality of the ecosystem, and emphasizes the human role as a spirit within the totality of the organic worl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eation. It is for human beings to recognize their position in the world and affirms their role as a creature.   The ecotheology based on trinitarian theology makes us recognize that the world is not a place as being made up of material with naturalistic life alone but a sacred place where the Creator lives together. This leads us to look back the limitations of man and to respect the order of creation. Ecotheology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mmanent and economical Trinity can serve for ecological theologies developed through various methodologies as a guide to be rooted in the fundamental experience of faith.

      • 송천성(C. S. Song)의 아시아 신학사상 연구

        유희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논문은 "아시아의 그리스도인들이 아시아의 문화, 종교, 역사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신앙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서 송천성의 아시아 신학이 던져주는 의미를 다룬다. 이에 본 논문은 대만 신학자인 송천성(宋泉盛) 신학의 중심사상과 그가 이 중심사상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천성의 신학은 칼 바르트와 폴 틸리히의 계시 이해와 제3세계 신학의 방법론 그리고 아시아 신학의 주요경향 안에서 아시아로의 전위신학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신학의 기점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송천성의 신학은 아시아의 종교, 문화, 역사에 대한 이해들로부터 깊은 영감을 받고 있으며, '마음', '창조·구속·역사', '계시와 상황', '에큐메니칼'(Ecumenical)의 주요개념들을 중심으로 그의 신학의 기본 틀을 구성한다. 그의 신학은 종교문화신학, 정치신학, 에큐메니칼 신학이라는 주요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이 가운데 종교문화신학과 정치신학적 내용들을 에큐메니칼 신학이라는 하나의 체계 안으로 수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그리스도의 진리를 아시아의 삶 속에 육화시키기 위해서 아시아의 문화·종교적인 배경과 사회·정치적 상황 안에 그리스도의 메시지를 담아내야 하는 신학적 과제에 있어서, 송천성의 에큐메니칼 신학 안에서 드러나는 통전신학이 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송천성의 아시아 신학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드러난 하느님을 참 하느님으로 믿으며, 이 구체적이고 보편적 계시를 통해서 그리스도교나 타종교, 특히 아시아 안에서 구속적 의미를 발견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이에 타종교, 타문화 상황 등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하고 모든 종교가 지향하는 목적 안에서 일치점을 발견하는 송천성의 에큐메니칼 신학은 타종교, 타문화전통과의 대화의 문을 열어 준다고 평가한다. 더 나아가 그의 신학은 현대 신학이 직면한 과제들에 대하여 숙고하는 신학작업으로써, 연대와 일치를 통한 대화에 한 전환점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How should we, Asian Christian, express our faith in Asian Context?" This thesis aim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C. S. Song's Asian Theology on solving this probl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n, is to examine the main thought of C. S. Song, a contemporary Presbyterian Theologian of Taiwan, and the way he attempts to unfold his theology. Following Barth's and Tillich'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Song opens up the chance of theological transposition within the main tendency of Asian theology and attempts to embody it in the context of Asia, the world of diversified culture, religion, history and of socio-political situation. His theology, deeply inspired by asian religion, culture and history, constructs basis of theological structure by using several concepts like, 'Heart', 'Creation-Redemption-History', 'Revelation-Context' and 'Ecumenical' . Those three main themes dealted in his theology are 'theology of religion and culture', 'political theology' and 'Ecumenical theology', while the other two themes are converged into 'Ecumenical theology'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the holistic viewpoint manifested in his ecumenical theology presents the new theological paths to incarnate christian truth into pluralistic situation of Asia and that it also provides us the way through which asian theologian can accomplish their theological task of putting christian message into non-christian contex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though Song finds redemptive meanings not only in christian history but also in non-christian's, especially in Asia's, he does not separate Christianity from Christ. He insists both the concrete and universal revelation and the decisiveness of Jesus, which means "The God revealed in Jesus is the only true God". From this point of view, his theology inspires us to pursue the ways of solving contemporary theological tasks with solidarity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inter-relig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 for he presents valuable ideas to recognize the value of non-christian religion and culture and finds the common ground for cooperation on the ideal to which all religion of the world aims to re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