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힐레벡스 신학에 나타난 신앙의 역사적 역동성에 관한 연구

        권영파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스힐레벡스 신학에 나타나는 신앙의 역사내적 역동성을 밝히기 위해 그의 작품 흐름을 분석하는 데서 출발한다. 스힐레벡스는 역사 안에서 드러나는 신앙의 역동성이라는 주제로 단일한 글이나 저서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신학 전체는 통일성과 일관성을 가지고 이 주제로 수렴된다. 본 연구는 그의 신학에 나타난 두 개의 역동성을 정리했다. 그 하나는 역사 내 인간의 자기이해로부터 암시적 신앙을 거쳐 명시적 신앙으로 나아가는 역동성이다. 여기서 초월론적 삶의 지평으로부터 향주적 지평의 삶에로 옮겨가는 역동성이 나타난다. 스힐레벡스 신학에 나타나는 또 다른 역동성은 신앙과 역사 사이에 작용하는 역동성이다. 이는 소위 신앙의 역사성과 더불어 교리와 실천을 통한 신앙의 표현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다. 이어지는 장에서 본 연구는 스힐레벡스 신학의 핵심 개념들인 대조경험과 비판적 부정성 및 윤리적 순교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론에 전제되는 하느님의 보편적인 구원의지와 2장에서 정리한 신앙의 역사 내적 역동성을 감안할 때 이 개념들이 지닌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싀뉘의 영향을 받은 스힐레벡스가 동시대인들에게 신앙의 역사내적 역동성이 윤리적 순교로 뿌리내리는 생생하고 납득 가능한 신앙을 제시하는 신학적 기획의 근간을 마련하였다고 주장한다. This dissertation offers an analysis of Edward Schillebeeckx's writing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a ‘dynamism of faith within history’ which has never been written nor presented by Schillebeeckx under the same title. Chapter One begins by trac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his work to stress the consistency and unity underlying his diverse themes. While identifying a stream of interests converging on the theme of actualizing faith in history, two streams of dynamism were revealed. The first is a dynamism transposes the transcendental horizon of our life into a theologal horizon. Based on the theory of the anonymous Christian, Schillebeeckx draws a line of dynamism of implicit faith functioning on aself-understanding moving toward explicit faith. The other stream of dynamism found in Schillebeeckx’s theology is a dynamism functioning between history and faith through the expresssion of faith-not only through an ortho-doxy but also through an ortho-praxis. In this dynamism, the so called historicity of faith and the influence of expressions of faith on the concrete history are examined. The following chapter explores the meaning of the theological concepts that lie in the core of Schillebeeckx’s theology: contrast experience, critical negativity and ethical martyrdom. By applying Schillebeeckx’s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saving will of God and the dynamism of faith reveal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deep and broad meaning of those concepts was identified. In conclusion, the dissertation argues that a dynamism of faith within history serves as the basis for developing Schillebeeckx’s personal theological project of the evangelisation of history, by a vivid and compelling faith rooted in a living, ethical martyrdom.

      • 초기 인간 생명의‘생명 담론’연구 : ‘낙태 담론'에 대한 인간학적, 신학적 성찰을 중심으로

        박태훈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그 동안 낙태 토론은 여성의 생식 권리(낙태 권리)에 대한 권리 담론과 초기 인간 생명 옹호 담론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낙태 담론의 좀 더 바람직한 진행을 위해, ‘프로 쵸이스’와 ‘프로 라이프’의 전략 행위 차원의 이원론적인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담론은 상호 소통 의지를 통해, 자기 담론의 입장을 진리 기반을 통해 주장하고, 논쟁을 통해 서로 애매함을 제거하면서 합의해나가는 과정과 기술을 말한다. 전략 행위적 언어는 자의적 언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진리에 근거한 담론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낙태 담론의 건설적인 진행을 위해서, 과학적(발생학적) 사실과 인문학적 존재론을 기반으로 인간 생명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공통의 언어사용이 필요하며, 진실한 상호 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담론은 꾸준히 진리 기반의 낙태 담론의 장을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담론은 어렵더라도 합의 정향적이어야 하며 모든 당사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규범들만이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으므로, 독단적 편향적 언어를 자제하고 가급적 합리적 언어 사용을 해야 하는데 과학적 언어와 존재론적 언어를 통해 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올바른 낙태 담론의 이행을 위해 필요한 것은 낙태의 대상이 누구인지 밝혀내야 하고 초기 인간에 대한 인격과 존엄성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해명해야 한다. 과학의 발견을 통해 이루어진 인간학적 담론을 통해, 초기 인간의 개체성에 대한 고찰과, 이를 통해 초기 인간의 인격에 대한 폭넓은 존재론적인 해명이 필요해졌다. 초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인간학적 성찰을 통해 낙태 담론을 올바로 전개하기 위하여 ‘생명 담론’을 제시한다. 그동안 낙태 논쟁이 여성의 권리 담론의 대상인 ‘초기 인간’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며, 생명 담론은 낙태 담론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생명 담론은 보편적인 인간 생명의 신성함을 지지함을 통해, 초기 인간의 인격을 지지하고 아울러 여성주의 여성 인권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초기 인간의 생물학적 탐구는 ‘수정이 인간의 시작이라는’ 선언을 발생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수정체의 개체성이 배아와 태아 단계에서 그리고 인간의 전 생애에서 연속성을 가지고 유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초기 인간에 대한 ‘존재 진술’들은 바로 ‘당위적 도덕 진술’이 될 수 없지만, 초기 인간의 인격에 대한 ‘부가 진술’은 도덕 명제로 이끌게 된다. 이는 하이데거의 인간 존재의 3중적 의미를 통해 존재론적 지지를 하게 되며, 초기 인간을 비롯해 모든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기투성’을 통해 미래 시점의 의미를 선취하는 특성이 있다. 인간 존재의 타자를 통해 드러나는 초기 인간의 인격은 레비나스의 ‘타자성 이론’을 통해 미약한 타자로서 받아들여진다. 본질적인 측면에서 초기 인간의 개체성의 확립은 인격의 성립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본질은 인류의 공동체인 사회의 도덕성을 소환한다. 사회적 인격이란 인간의 타자적 관계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미약한 한사람의 인격을 받아들이는 것은 인격적 상호 사회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기 인간의 인격성에 대한 해명은 생명 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하여 향후 낙태 담론에 있어서 권리 담론에 대하여 초기 인간의 인격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초기 인간에 대한 과학적, 존재론적, 인간학적 성찰을 통해, 우리는 ‘정신’을 가진 인간 존재가 현존재(da-sein)로서 다른 동물과는 다른 영적이며 초월적 존재임을 깨달을 수 있다. 낙태는 선이 아니다. 차선이 될 수도 없다. 낙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부분 사회적 불의 때문이고, 낙태를 통해 다시 사회적 불의가 확산 순환되는 것이다. 인류 공동체는 비 인도적 낙태를 줄여가기를 바라고, 중지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희망은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스도교가 초기 인간의 생명을 지키고 옹호하려는 것은 보편적인 인간 생명이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점이며, 이 초기 인간에게 하느님이 창조한 세상에서 ‘참 행복’이라는 좋은 삶이 허락되었고,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 육화를 통해 그리스도께서 직접 당신의 삶과 행적을 통해 인간이 살아가야 할 가장 좋은(윤리적) 길과 하느님 나라라는 최종 목적을 계시하고 가르쳐 주셨기 때문이다. 거룩한 교회는 낙태를 본질 악으로 선언하며 낙태를 막고 참된 대안을 제시하는 일에 참여한다. 교회가 세상을 돕는 방법은 무지로 이루어진 낙태와 불가항력으로 이루어진 낙태 당사자들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치유하고 회개한 사람들을 성사로서 치유하는 일이며, 세상과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꾸준히 세상에 더욱 가깝게 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가톨릭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드러난, 시노드(Synod)라는 매우 모범적인 ‘담론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일상의 교회 생활에서는 같은 원리인 ‘모든 사람이 함께 걸어가기’로 풀이되는, 공동합의성(sinodalitas) 라는 하느님 백성 모두가 참여하는 합의도출 방식을 가지고 있어 세상의 담론 형식에 모범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담론 형식을 교회가 낙태 담론을 참여할 때나, 교회의 백성들과 세상과의 대화와 좋은 담론 형성에 적극 사용할 수 있다. 산모의 임신을 통해 인간 본성 안에는 하느님께서 주신 사랑의 자연법이 드러나고 있다. 산모의 태는 이러한 산모-아기의 인격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본성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산모의 자궁의 태는 아기의 ‘영양막’과 산모의 ‘탈락막’ 등이 겹겹으로 섞이지 않으면서 긴밀하게 적층된 모습을 보여준다. 매우 긴밀하면서도 두 인격이 섞어지거나 동화되지 않고 완전히 일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하느님께서 개별 인격들을 사랑하는 초자연적인 사랑의 모습을 유비하는데, 이것은 H. V. Balthasar(1905~1988)이 말한 바로 ‘닮음의 신학’이다. 닮음의 신비를 통하여, 성모 마리아의 예수 그리스도의 잉태를 통해서, 하느님께서 모든 산모의 임신을 참으로 아름답게 축복하고 있다. Due to the decision on “Abortion Constitution Disagreement”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pril 11, 2019, in Korea, how to define abortion in the Criminal Code as the Social Recognition Law(Lex-Humanae) by the year 2020 has been becoming a huge concern. Therefore, there has been a more convinced necessity of a proper 'abortion discourse' in this societ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and support Early Humans personalities through the scientific basis of the view that it can be agreed upon by most biologists of this era that “the fertilization(Zygote) is the starting point of a human life” and through ontological researches of ‘Early Humans’. Hitherto, the abortion debate deals with the proclaiming women's reproductive rights(abortion rights) and advocacy for early human life. In this paper, to make the abortion discourse more desirable, this paper would like to try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al dichotomic debates that have been going on the level of strategic action between “Pro-Choice” and “Pro-Life” according to the factional logics of opposite two groups. The discourse explores the process and technique of arguing through the art of mutual communication, advocating the position of self-discourse on the base of truth, and mutually agreeing with each other through communicable words. Strategic use of behavioral words can be arbitrary languages, which, I believe, can interfere with the truth-based discourse. Therefore, for the constructive progression of the abortion discourse, it is necessary to use a common language centering on the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human life based on scientific (embryological) facts and human ontology. The discourse must be consensus-oriented, and only the norms that are agreed by all parties can be considered to be valid. Therefore, arbitrary biased language should be refrained and discussed in a reasonable langu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abortion discourse, which has to possess deeply reflect and explain the personality and dignity of Early Humans who have been situated on the target of abortions. In order to properly develop the abortion discourse through scientific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 on it, so I propose ‘The Discourse of Life’ for for the desirable 'abortion discourse'. The declaration of “the fertilization is the beginning of humanity”, and the fact that individuality of the Zygote is maintained with continuity in the embryonic and fetal stages and throughout whole human life also. However, this 'Being description' about 'Early Humans' cannot be just the 'ought description', but the additional statements about Early Humans' personality can lead to the moral proposition. The argument about the personalities of 'Early Humans' is more strengthened through Heidegger's ontological reflection which is the three-fold meaning of human existence. All human beings, including 'Early Huma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preoccupying('Vorgriff') the meaning of the future, by the viewpoint of being projected('Antworfenheit'). And through Levinas's(1906~1995) 'the otherness theory', Early Humans should be accepted as weak and anonymous others. This clarification of Early Humans personalities will further enrich 'The Life Discourse' and will be the basis for supporting Early Humans persona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discourse of rights of reproductions in the future. Through scientific and ontological and anthropological reflection on 'Early Humans', it can be realized that human beings are transcendental as present being(da-seins) who have ‘spirit’. However, since the abortion problems are related to the life and survival of mothers who are the main subject of pregnancies, it is necessary that the abortion discourse need to raise the human rights of women by increasing the dignity of the life of humans universally. However, regardless of that, the various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e pregnant mothers could be compassionate, abortion rights should be confined because she confronts the “human right to living” of “Early Humans”. Because, as the other, “Early Humans” is not her body but the subject of the right of life. Abortions are not good. and that can't be the lesser good. Abortions are ‘intrinsic evil’. The most of abortions originate from social injustices, and social injustices spread through abortions again. The human community would like to reduce and want to ultimately eliminate non-humanitarian and cruel abortions and that must not be considered impossible. Someday it will become true. The reason why the Christian Church's attempt to preserve and defend the life of early human beings is what universally human life was created in God's image and the truly good life was permitted in God's created world. And throug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as God, He has been revealing and teaching the ethical ways for all human beings to live and to reach the ultimate purpose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His Life and Deeds and ‘Because of The Cross’. the Holy Church always participates in preventing and restraining abortion. Along with this, some of the tasks that the Church helps the world are to heal the hurt of the abortions and those peoples who were doing with ignorance and which peoples doing the abortions forced by others, and She would like to help those who repent deeply, by Instruments of the Sacraments. Through the pregnancy of the mother, ‘Love’ in the natural law of God-given is revealing in human nature. The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does not mean that all human abilities are the same, but that all the personalities of every individual are universally dignified. The mother's womb shows the beauty of nature, which shows the mother-baby personal relationships. This analogies to God's supernatural Love of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are exactly what Balthasar(1905~1988) said. And through the ‘Theology of resemblance’, pregnancies of all mothers are beautifully blessed truly, through St. Mary’s conception of Holy Son, our Lord Jesus Christ.

      •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 연구 : 과학과 신학의 비판적 실재론에 의한 접근

        이인석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환경문제는 일반적으로 전지구적인 생태위기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위기의 근원으로서 근(현)대성이 지목되고 있다. 이른바 탈근대적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즉, 탈근대적 대안으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이러한 위기 극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엽적인 환경문제로 국한하여 해결하려는 환경주의로부터 문화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심층생태주의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스펙트럼의 녹색 지향적 논의들은 각각의 사회적 혹은 철학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제시하는 대안들이 진정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지시하느냐 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인 것 같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가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그 토대가 될 수 있는 근본적인 준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과학으로서의 생태학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이런 과학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탈근대적 담론과 함께 과학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탈근대적 혁명'을 살펴봄으로써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불필요한 논쟁과 혼동에서 오는 혼돈을 덜어주고, 근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 사회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필자는 일리야 프리고진에 의해 빚어지는 새로운 과학 이성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로 지목하였다. 프리고진의 비평형열역학이 제시하는 진화론적 과학은 우리로 하여금 이제 탈근대적 담론을 과학으로부터 말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이다. 프리고진은 무산구조 이론을 통해서 '우연'이 지배하는 '됨'의 세계와 '필연'이 지배하는 '있음'의 세계가 상보적으로 드러나는 비판적 실재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근대의 주객분리의 대상화에 의한 무가치한 결정론적 세계를 지시하는 '엄격한' 실재론을 배격하며 동시에 해체적 혼돈에 의해 소멸되는 반실재론도 배격하는, 말하자면 둘 사이의 상보적 실재론을 지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비평형적 물리세계 속에 살고 있는 거시적 존재로서의 인간 조건을 가진다. 빛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으며, 무한한 정보를 가질 수도 없다. 따라서 관측자로서의 행위 또한 신의 입장에서의 완벽한 객관이 될 수 없다. 우리는 시간의 방향성 안에서 상호 교신하는 우주의 일부일 따름이다. 우리는 시간대칭이라는 우주의 공통된 뿌리에서 시작하여 갈라져 나왔으며 공통된 미래를 향해 가는 하나이다. 이제 우리는 다양한 수준의 시간 축척이 물질에 각인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질학적 시간 축척을 보이는 돌멩이 같은 것은 상대적으로 대상화하여 기술할 수 있지만, 복잡성이 높은 유기체에서의 빠르게 출현하는 새로움은 또 다른 수준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인간이 발견한 근대적 합리성은 실재의 '있음'이라는 고정된 특정 국면만을 외부에서 관찰하여 법칙화한 하나의 틀일 뿐이다.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으며 존재하게 된 이 세계는 확률적으로만 예측가능한 '됨'의 국면이 지배하는 비평형적 우주이다. 따라서 인간의 의식은 실재의 근사치만을 어림할 수 있을 뿐, 실재와의 보편적 필연성 관계에 놓여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근대적 이성의 자각과 함께 추방된 자연과 신성에 대한 감수성이 회복될 자리가 마련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 새로운 이성은 그 어느 것도 근본적이랄 수 없는 다수준적이고 다중적인 하나의 우주를 자각하게 된 것이다. 한편, 하나의 사회를 위해서는 그 토대로서의 과학과 신학이 요구된다. 마찬가지로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를 받쳐주는 과학과 함께 그를 반영하는 신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탈근대적 과학 이성의 통찰을 반영하는 신학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준거를 재확인코자 하였다. 프리고진이 제시하는 새로운 이성에 의하면, 인간은 이론적 모델 등의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실재에 접근할 수 있을 뿐이다. 이는 메타포어와 유비를 통해 실재에 접근하는 신학과 교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탈근대적 담론들과 생태지향적 논의들의 건전성을 위해 과학과 신학의 비판적 실재론이 지시하는 통찰들이 그 준거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Environmental problems these days are generally perceived as an ecological crisis on global dimension, and modernity is considered the main culprit. Thus, we have to overcome modernity. A new paradigm is required as an alternative to modernity. An ecological paradigm is noteworthy as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crisis. A variety of ecological discussion has been proposed so far, ranging from environmentalism to deep ecology, and each of them has proposed various alternative solutions based on their own philosophical background. However, we are not convinced whether they are really an ecological paradigm. We need to establish basic standard references to propose a real ecological paradigm. Ecology as science has developed rapidly. Ecological paradigm must reflect the scientific research faithfully. Therefor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standard references for an ecological paradigm by investigating postmodern discourses in the society and postmodern revolution emerging in science. I have paid attention to Ilya Prigogine's discussion in this thesis, and as a standard reference for an ecological paradigm I have pointed out a new scientific reasoning suggested by him. It was because evolutionary science that is related to Prigogine's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made it possible for us to discuss postmodern discourses in scientific terms and perspectives. Prigogine has proposed critical realism through 'dissipative structure theory' in which a fortuitous world (becoming world) and an inevitable necessary world (being world) are exposed complementarily. Critical realism refers to complementary realism between hard realism and anti-realism, while it rejects the both. We, human beings are macroscopic existence living in non-equilibrium physical world. Human beings can neither overtake the speed of light nor possess infinite information. Therefore a man, as an observer, cant be completely objective from God's point of view. Human beings are just a part of universe that communicat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ime. We originated from a common root of the universe, that is time symmetry, and go towards a common future. Describing an object like a stone and describing human beings are different matters, and we need a different kind of level to describe fast-emerging novelties in complicated organisms. The so-called modern rationality we have postulated is just a framework that has observed a fixed specific aspect of reality from outside and formulated it. The world we are actually living in is a non-equilibrium universe that can only be predictable by probability. Thus man's consciousness cant be explained in scientific accuracy and only partially predictable. This means that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human beings sensibility for the nature and God, which has been excluded since the awakeness of reasoning power in modern time. In other words, a new reason comes to realize a multi-dimensional and complicated universe in which there is nothing fundamental and unchangeable. Science and theology are important elements as a base to organize a society. Similarly, in order to organize a society based on an ecological paradigm, we need science as a base together with theology reflecting it. With this viewpoints, this thesis tried to re-ascertain standard references for an ecological paradigm by investigating theology in the light of postmodern scientific reasoning and reflection, too. According to new rationality Prigogine has proposed, human beings can only be accessible via an indirect way such as theoretical model. This means that theology can contribute to the investigation of human beings as theology access the existence through metaphor and analogy. This thesis has shown that insights provided from critical realism in science and theology can become standard references for ecological paradigm and postmodern discourses.

      •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새로운 사태」의 영적·사회신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

        김현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목적은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새로운 사태」(Rerum Novarum)의 두 가지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하나는 영적인 의의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신학적인 의의이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필자는 논문의 본론을 네 개의 장(II-V)으로 구분한다. 본론 첫째 장은 「새로운 사태」의 교회내적인 배경을 살펴본다(II). 그 이후에 교회외적인 배경을 살펴본다(III). 「새로운 사태」의 교회외적인 배경인 19세기의 새로운 사태들에 대한 연구는 회칙 「새로운 사태」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19세기의 사회와 시대정신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필자는 「새로운 사태」의 사회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태」의 내용을 분석한다(IV). 그리고 마지막으로 필자는 회칙의 의의들을 고찰한다(V). 이 회칙의 영적인 의의는 사회의 반교회적인 시대정신에 맞서 교회의 신앙과 가르침을 수호하고 보존했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 회칙의 사회신학적 의의는 사회신학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데 있다. 레오 13세는 이 회칙에서 ‘사회 문제’에 대한 신학적인 고찰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 시도를 통해 사회신학의 씨앗을 뿌렸다고 할 수 있다. 사회신학은 사회의 역사와 시대정신에 대한 신학적인 연구이다. 이 연구는 사회의 시대정신과 그것의 긍정적인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게 해준다. 사회복음화를 위한 사회신학의 긍정적인 역할은 고유한 것이며, 사회복음화를 위한 사회 교리의 긍정적인 역할과 다르다. 그러므로 사회신학 분야가 형성되고 발전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wo meanings of Pope Leo XIII's Encyclical letter Rerum Novarum. One is spiritual meaning, and the other is social-theological meaning. For that aim, I divide the main body of the text into four chapters (II-V). In chapter II, I research the church’s internal background of Rerum Novarum (II). After that, I research the church’s external background of it (III). It is the social-historical study of new things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19th century.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not only Rerum Novarum, but also the society and the spirit of the 19th century. And I analyze the content of Rerum Novarum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social-historical background of Rerum Novarum (IV). At the conclusion, I consider the meanings of Rerum Novarum (V). The spiriual meaning of this Encyclical is that it defended and preserved the faith and teachings of the Church against the anti-ecclesiastical spirit of society. And the social-theological meaning of this Encyclical is that it opened the possibility of social theology. Leo XIII began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social problem’ in this Encyclical Letter. And he can be said to have sown the seeds of social theology through this attempt. Social theology is a theological study on the history of society and the spirit of the times. This study allows us to understand the spirit of society and its positive meaning and value. The positive role of social theology for evangelization in the modern world is unique and different from the positive role of Catholic Social Teaching. Therefore, the field of social theology needs to be formed and developed.

      • 인권에 관한 몰트만의 신학적 이해 :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최선경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It is the evangelical mission of the church to defend and develop the basic rights for human dignity and the salvation of souls, for which the Church is justified in, according to Gaudium et Spes [37], independently making ethical judgments about political order in order to proclaim faith with true freedom.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human rights and the Church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theological study of human dignity and fundamental rights refers to human dignity, basic rights, and inviolability based on Genesis (1, 26-27). Imago Dei is the basis for the human rights to life and to self-development, and the incarnation of Christ, the law of love of neighbor, and solidarity with the least of them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theological subjects of human rights. However, after the conflict of ideologies and Two World Wars, a serious gap is discovered between the Church's teaching on human rights and the practical problems. In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rights can only be asserted by the deduction by God, research on human rights from above has become difficult to anticipate the growth of human rights. Thus, the direction is shifted to the theological study from below, starting with human experience. After the Holocaust, the practical theology of human rights in the world has been examined by Johann Baptist Metz, Konrad Hilpert, Trutz Rendtorff, George Cateb, F. J. Wetz, and Hans Küng, in whic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about the practice of the Church's Mission in the indifferent, violent, and chaotic society of modern times has become seriou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Moltmann'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interpreted as the center of the interpenetration (perichoresis) relationship of the Trinity to resolve the indifference of modern society and practice human rights, which is the evangelical mission. First, he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uman rights as the Christian identity, based on his theology of the cross. The Cross of God’s passion is the criterion for identifying human activities and values, and it becomes an active response as a mature faith capable of facing and accepting the suffering of others through dialectical recognition. This will become soon the power to transform yourself and others. The idea of the interpenetrating relationship in Moltmann's theology of the social trinity re-examined his understanding of theology and human rights. Based on the Trinitarian Crucifixion, the dynamism of mutual penetration demonstrates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ity and reciprocity, the relationship of mutually cooperative equality and participation, and the triune freedom. Human rights can be interpreted as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ersons who are devoted to each other. That understanding i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o the extent that it expresses the rights to the ecosystem and the rights of the next generation, and is intertwined with the universal responsibility of human rights. On top of that, in order to work for link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expressed in Moltmann's theology with the shift from the place of life to practice,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theology of Moltmann and Metz, and to seek a solidarity as a method of continuous human rights protection through internal work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discrimination. 인간의 인격적 존엄성과 영혼 구원을 위한 기본권을 옹호하고 성장시키는 일은 교회의 복음적 사명이며, 이를 위하여 교회는 참된 자유를 가지고 신앙을 선포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정치 질서에 대한 윤리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정당하다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37]에서 언급되어 있다. 이렇게 인권과 교회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인격적 존엄과 기본권에 대한 신학적 연구는 창세기(1, 26-27)에 근거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 및 불가침성을 언급하였다. 하느님 모상론(Imago Dei)은 인간의 생명에 대한 권리와 자기발전의 권리를 위한 근거가 되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육화와 이웃사랑의 법과 가장 보잘 것 없는 사람과의 연대성은 인권에 대한 신학적 주제로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근대 이데올로기와 세계대전을 겪은 후, 인권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과 현실적 문제 사이의 심각한 괴리가 발견된다. 인권을 하느님에 의한 연역으로만 주장할 수 있는 것인가란 질문에서 더 이상 위로부터의 신학적 인권에 대한 연구는 인권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인간의 경험에서 시작하는 아래로부터의 신학적 연구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아우슈비츠 사건 이후 요한 밥티스트 메츠나 콘라드 힐페르트, 투루츠 렌토르프, 조지 카텝, 베츠, 한스 큉, 등에 의해 세계 안에서의 인권에 대한 실천적 신학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런 연구에서 현대사회의 무관심과 폭력적이고 혼란스런 사회 속에서 교회 사명의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이 심각해졌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무관심을 해소하고 복음적 사명인 인권을 실천하기 위한 삼위일체의 상호침투(페리코레시스)적 관계성 중심으로 해석되어진 몰트만의 인권 이해를 분석하였다. 우선 그의 십자가 신학을 근거로 인권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으로 놓았다. 하느님의 열정에 의한 십자가는 인간의 활동 및 가치의 식별 기준이며, 변증법적 인식을 통해 타인의 고통에 직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성숙된 신앙으로서의 적극적 응답이 된다. 이는 곧 자기 자신과 타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이다.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 신학의 상호침투적 관계는 그의 신학 및 인권에 대한 이해를 재조명시켰다. 삼위일체적 십자가 사건을 기반으로 상호침투의 역동성은 개별성과 상호성이 상호공존하며, 상호협력적인 평등과 참여, 삼위일체적 자유의 관계가 어우러져 있다. 인권은 서로를 위해 헌신하며 존재하는 세 위격의 관계처럼 상생하는 관계로서의 해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 이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로 확장이 되어 생태계에 대한 권리와 다음 세대에 대한 권리까지 표명하며, 인권의 보편적 책임성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몰트만 신학에서 나타난 인권이해를 삶의 자리에서 실천으로 연계하기 위한 작업으로 몰트만과 메츠의 신학을 비교하여 인권감수성과 인권 식별력을 통한 내적 작업에 의한 지속적인 인권옹호의 방법으로서 연대를 모색해 보았다.

      •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에 근거한 생태신학

        강정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에서는 매튜 폭스가 비판하는 아우구스티노의 반생태학적 사유(思惟)를 살펴보면서, 폭스가 전개하는 창조 영성의 특징과 창조 영성에 근거한 생태 신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매튜 폭스는 오늘날의 특징을 생태계의 위기, 영성의 몰락과 전례의 황폐화로 규정한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교 영성과 현대 과학의 대화 및 조화를 모색하기 위하여 창조 신학과 영성을 토대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하고자 시도한다. 그는 현재의 서구적인 교육 모형에서는 생태학적 위기를 깊이 깨닫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종교에 대한 아우구스티노의 영향을 떨쳐버리고 교육에 대한 뉴턴과 데카르트의 영향을 떨쳐버릴 것을 요청하고 있다. 오늘날 생태학적 위기에 직면하여 교회가 타락·구속적 신학 전통에 집중함으로써 어떠한 결과를 빚어내고 있는지를 냉철하게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폭스는 창조 영성이 상호 의존적이고 생태적 정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변혁의 능력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러한 폭스의 신념은 예술가와 과학자와 세계 종교들로부터 지혜를 끌어낸 창조 영성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사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확신에 기인한다. 창조중심적 영성은 주어진 창조 세계 자체를 원축복이라고 믿기 때문에, 물성과 육체성에 대해 불신하고 경멸했던 교부신학의 금욕주의적 전통과는 구별된다. 창조 영성은 현실 세계를 하느님 손길이 닿아 있는 고양(高揚)된 존재의 세계로 직관하는 만유재신론적 신관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만물은 신성(神性)의 한 부분이며 상호 분리되어지지 않은 상호의존적인 유기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유기체적 우주관을 지니고 있으며 모든 피조물과 전 우주에 스며 있는 우주적 지혜로서의 우주적 그리스도론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폭스의 창조 영성적 사상은 서구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사고와 틀 및 방법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신학적 구성을 시도한다. 이는 우주에 대한 경외심, 우주 만물의 상호 연관성, 창조된 모든 것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정향되어 있다. 폭스의 예언적 통찰이 직면해 있는 생태 위기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생태학적 의식에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는 점에서 폭스의 신학적 진술의 과감성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획기적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ecotheology based on creation spirituality and the peculiarity of creation spirituality by Fox, looking into anti-ecological thought of Augustinus which is criticized by Matthew Fox. Matthew Fox prescribes the peculiarity of today as the crisis of an ecological system, the fall of spirituality and the ruin of a ritual. To get over these realistic problems and to search for conversation and harmony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modern science, it is tried to compose new paradigm based on creative theology and spirituality. He points out there is a limit to deeply realize ecological crisis in the current Western educational model. He is making a demand for leaving Augustino's influence for religion and for leaving Newton and Decart's influence for education. These days it i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ith a cool head what results are made by concentrating on the fall·redemption tradition of church in the face of ecological crisis. Fox believes firmly that creation spirituality will present renovative capacity to promote interdependent and ecological righteous. Fox's this faith is caused by confidence that the wisdom of creation spirituality which comes from artists, scientists and world religions is an alternative idea to basically provide new way of thinking. The spirituality centering around creation believes that the creative world itself is an original bless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 of asceticism of patristic theology that disbelieved and despised physical property and the flesh. Creation spirituality has the outlook on Panentheism which perceive intuitively the world of the enhanced existence touched by God's outstretched hand about realistic world simultaneously and has the organic vision of the universe which has interdependent and organic structure without separation as all creation is a part of divine nature, and it heads for Cosmic Christian theory as universal wisdom that exists in all creatures and the whole universe. Therefore, Fox's creation spirituality tries new theological construction, getting out of the theological thought of the Western Christianity, shape and methodology. It is fixed to reverence for the universe, mutual relevance of all universal creation and God's love for all creation.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try conversion into ecological consciousness to Christians who can not feel the sense of questions about ecological crisis faced with prophetic insight of Fox. From this point of view, Fox's theory could be appraised a great epoch attempt in spite of theological determination.

      • 송천성(C. S. Song)의 아시아 신학사상 연구

        유희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논문은 "아시아의 그리스도인들이 아시아의 문화, 종교, 역사 속에서 어떻게 자신의 신앙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서 송천성의 아시아 신학이 던져주는 의미를 다룬다. 이에 본 논문은 대만 신학자인 송천성(宋泉盛) 신학의 중심사상과 그가 이 중심사상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천성의 신학은 칼 바르트와 폴 틸리히의 계시 이해와 제3세계 신학의 방법론 그리고 아시아 신학의 주요경향 안에서 아시아로의 전위신학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신학의 기점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송천성의 신학은 아시아의 종교, 문화, 역사에 대한 이해들로부터 깊은 영감을 받고 있으며, '마음', '창조·구속·역사', '계시와 상황', '에큐메니칼'(Ecumenical)의 주요개념들을 중심으로 그의 신학의 기본 틀을 구성한다. 그의 신학은 종교문화신학, 정치신학, 에큐메니칼 신학이라는 주요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이 가운데 종교문화신학과 정치신학적 내용들을 에큐메니칼 신학이라는 하나의 체계 안으로 수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그리스도의 진리를 아시아의 삶 속에 육화시키기 위해서 아시아의 문화·종교적인 배경과 사회·정치적 상황 안에 그리스도의 메시지를 담아내야 하는 신학적 과제에 있어서, 송천성의 에큐메니칼 신학 안에서 드러나는 통전신학이 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송천성의 아시아 신학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드러난 하느님을 참 하느님으로 믿으며, 이 구체적이고 보편적 계시를 통해서 그리스도교나 타종교, 특히 아시아 안에서 구속적 의미를 발견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이에 타종교, 타문화 상황 등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하고 모든 종교가 지향하는 목적 안에서 일치점을 발견하는 송천성의 에큐메니칼 신학은 타종교, 타문화전통과의 대화의 문을 열어 준다고 평가한다. 더 나아가 그의 신학은 현대 신학이 직면한 과제들에 대하여 숙고하는 신학작업으로써, 연대와 일치를 통한 대화에 한 전환점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How should we, Asian Christian, express our faith in Asian Context?" This thesis aim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C. S. Song's Asian Theology on solving this probl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n, is to examine the main thought of C. S. Song, a contemporary Presbyterian Theologian of Taiwan, and the way he attempts to unfold his theology. Following Barth's and Tillich'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Song opens up the chance of theological transposition within the main tendency of Asian theology and attempts to embody it in the context of Asia, the world of diversified culture, religion, history and of socio-political situation. His theology, deeply inspired by asian religion, culture and history, constructs basis of theological structure by using several concepts like, 'Heart', 'Creation-Redemption-History', 'Revelation-Context' and 'Ecumenical' . Those three main themes dealted in his theology are 'theology of religion and culture', 'political theology' and 'Ecumenical theology', while the other two themes are converged into 'Ecumenical theology'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the holistic viewpoint manifested in his ecumenical theology presents the new theological paths to incarnate christian truth into pluralistic situation of Asia and that it also provides us the way through which asian theologian can accomplish their theological task of putting christian message into non-christian contex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though Song finds redemptive meanings not only in christian history but also in non-christian's, especially in Asia's, he does not separate Christianity from Christ. He insists both the concrete and universal revelation and the decisiveness of Jesus, which means "The God revealed in Jesus is the only true God". From this point of view, his theology inspires us to pursue the ways of solving contemporary theological tasks with solidarity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inter-relig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 for he presents valuable ideas to recognize the value of non-christian religion and culture and finds the common ground for cooperation on the ideal to which all religion of the world aims to reach.

      •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연구 : 오리게네스의 기도론과의 비교

        유은호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오리게네스와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비교 연구를 통하여 그리스도교 관상 기도의 신학적 원천을 밝히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의 대표적인 기도 책인 오리게네스의 「기도」(Περὶ Εὐχῆς)와 에바그리우스의 「기도」(Περὶ Προσεὐχῆς)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이 연구는 두 작품의 연속성, 비연속성, 그리고 특이성을 비교하는 방법론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두 작품을 위 디오니시우스의 영적 진보의 삼 단계 곧, 정화, 조명, 그리고 완전에 따라 분석한 공시적(共時的) 방법을 사용했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전승사비평을 통해 에바그리우스의 「기도」와 오리게네스의 「기도」,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그리고 동방 교부들의 작품과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밝히기 위해 통시적(通時的) 방법을 사용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달성했다. 첫째, 오리게네스 주의자로 알려진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는 오리게네스에게 영향을 받지 않은 독창적인 그리스도교 최초의 관상 기도라는 것을 밝혔다. 둘째,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를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그리고 동방 교부들의 작품들과 비교한 결과 에바그리우스의 「기도」가 유일하게 관상 기도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를 통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강조한 관상 기도에 대한 쇄신을 모색해 보고, 미래에 관상 기도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는 단순히 하느님과 합일을 추구하는 신비체험에 머물지 않고, ‘또 다른 천사’가 되어 이웃을 돕는 중보기도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다. 둘째,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는 관상 중의 활동을 지향한다. 마지막으로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의 핵심은 하느님과의 만남이며, 이웃과의 만남이다. 따라서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가 주는 교훈은 하느님을 만난 관상가는 반드시 이웃을 향해 사랑을 실천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 관상 기도의 원천을 다루었기 때문에 관상 기도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자원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 논문은 영성 신학에서 그리스도교 최초의 관상 기도의 성격을 규명했기 때문에 에바그리우스 이후에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에 나타난 관상 기도와 비교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이바지했다.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veal the theological origins of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ologies of prayer developed by Origenes(AD 185~254) and Evagrius(AD 345~399). It focuses on two texts, representative of the authors’ work on prayer, namely Origenes’ On Prayer (Περὶ Εὐχῆς) and Evagrius’ On Prayer (Περὶ Προσεὐχῆς). The study adopts a compar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compare the two core texts in terms of their continuity, discontinuity, and specificity. Taking a synchronic approach, it analyzes the texts according to Pseudo-Dionysius’ three stages of spiritual progress; that is,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In addition, the dissertation adopts a diachronic approach. More specifically, it applies tradio-historical criticism to elucid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n the one hand, the On Prayer of Evagrius, and on the other, the On Prayer of Origenes, the Enneades of Plotinus, and the works of the Eastern Fathers. The thesis reveals three key points. First of all, although Evagrius’ On Prayer has been labelled as Origenist, this was the original work on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and unaffected by Origenes. Secondly, a further comparison of Evagrius’ On Prayer with the Enneads of Plotinus and the works of the Eastern Fathers, indicates that only the Evagrius text deals with Contemplative Prayer. Thirdly, through Evagrius’s On Prayer, this dissertation sought renewal of the Contemplative Prayer which was emphasiz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on how this prayer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Evagrius’ Contem plative Prayer is not merely a mystery experience seeking unity with God, but also has the character of intercessory prayer for helping neighbors as ‘another angel’. Secondly,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directed toward the activity in contemplation. Finally, the heart of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meeting with God and meeting with neighbors. Therefore, the lesson of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that the contemplator who has met God must be an activist who practices love toward his neighbors. The dissertation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ose interested in Contemplative Prayer, because it deals with the source of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It reveals and elucidates the nature and spirit of the first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in spiritual theology and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basis for comparison with the Contemplative Prayer that appear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after Evagriu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