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조은혜의 작품 연구 : 1.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Cord)> (2016), 2.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Cube)> (2016), 3.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Paradise)> (2017/2018), 4.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tata)> (2019)

        조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711

        This thesis is a study on four works from the graduation recital of Eunhye Cho, a graduate music composition stud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It is aimed to research and demonstrate the background, form, pitch structure,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following works: Cord for Flute Solo (2016), Cube for Clarinet and Piano (2016), Paradise for String Trio (2017/2018) and tata for 6 Players (2019). On October 22, 2019, these works were premiered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Cord for Flute Solo is influenced by Density 21.5, a work for solo flute by Edgard Varèse (1883-1965). This piece cited motive of Varése and used his compositional method-intervalic composition. This work consists of five sections and expresses various musical effects through repetition and change of two intervallic combinations: the minor second and the augmented fourth. This is expanded via octave displacement, and includes different timbre by extended technique of flute. Cube for Clarinet and Piano was inspired by Cubes, the basic form of a cuboid. The musical elements replaced the verbal and mathematical meanings contained in dice with musical elements, and based on these, the music revolve through same pitch, minor second, and the six chords. Six sides of the dice, which have the same shape but are different objects, are represented by musical tone changes using the clarinet's glissando, multi-phonics, smorzato, diverse vibrations and key clicks and piano’s pedaling techniques. The work consists of six sections. Paradise for String Trio is composed by as a result of an individual experience and its influence of composer. The work is a musical expression of the three words "None," "Conjoining" and "Apnea“. The work consists of five parts. The work use three string instruments-violin, viola, cello for intending to cut off the diversity of sound. In this work, the timbre change is an important development, and this piece was formatted following theses timbre changes. The extreme contrast between the dynamics and musical figures generate various sound changes. Tata for 6 Players is composed of appreciation from the two books the composer has read, Friedrich Wilhelm Nietzsche’s "The Human, All Too Human" and Kim Ae-ran's novel "The Outside is Summer." The work consists of four sections and uses musical gestures based on the theme. The repetitive figures on the piano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meter make the music tense. This work has sub themes- irritation, disappearance, and accumulation. Structure of this piece related on its sub themes. And meaningless lyrics was used in this work for concentration on sopranos voice. In conclusion, through study of these works,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ideas related to various experiences are expressed in music. By analyzing structures, harmonies and timbre of these four works, this thesis indicates that the composer choose various types of musical structures, timbre and diverse instrument techniques to express musically certain ideas. Especially focusing on music timbre and each sound of instruments, the composer shows her own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se compositional techniques.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작곡과 조은혜가 작곡한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Cord)>(2016),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Cube)>(2016),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Paradise)>(2017/2018),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tata)>(2019)에 관한 연구이다. 이 네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에서 연주된 작품으로 2019년 10월 22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관 국악연주홀에서 초연되었다.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은 석사학위과정 이수 중에 작곡한 <연습을 위한 작은 모형> 시리즈 중 첫 번째 곡으로 선으로부터 착안한 생각을 음악적으로 나타낸 작품이다.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선율 전개 방식에서 바레즈(Edgard Varés, 1883-1965)의 “Density 21.5”의 주제의 인용과 음정 작곡기법(Intervalic Composition)을 사용하였으며, 원형집합 (0 1 2)와 단2도 및 증4도 음정을 중심으로 곡을 전개한다.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는 <연습을 위한 작은 모형> 시리즈 중 두 번째 곡으로 입체모형의 기본 형태인 입방체(Cube)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였다.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입방체인 ‘주사위’에 내포된 언어적, 수학적 의미를 음악 요소로 치환하여 곡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곡은 동음과 단2도, 증4도 음정과 여섯 개의 화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동일한 모양을 가지나 다른 개체인, 주사위의 여섯 면은 클라리넷의 글리산도, 멀티포닉스, 스모르자토 등의 주법과 피아노의 페달링 주법을 통해 음색의 변화로 표현된다. 작품은 총 여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은 작곡가 개인이 겪은 한 사건과 이로부터 받은 정신적 영향을 소리로 구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음색 변이를 주요 음악 전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곡의 형식이 구분된다. 곡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며 현악기 주법, 악상, 음형, 음정 등의 극단적인 대비를 통해 곡의 주제인 ‘없음’, ‘결여’, ‘무호흡’을 표현하였다.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는 작곡가가 읽은 두 권의 책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84-1900)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I>과 김애란(1980-)의 소설 <바깥은 여름>에서 얻은 감상을 바탕으로 작곡된 곡이다. 곡은 소프라노, 플루트, 베이스 클라리넷, 비올라, 더블베이스, 피아노의 총 6인 편성이며 형식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작품은 주제에 대한 상징성, 정형성, 주기성을 성악의 가사와 악기의 특수 주법, 음향 구조와 같은 음악적 장치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자극-휘발-축적’의 주기를 음악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논문은 앞서 제시한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가 작품마다 설정한 명확한 주제와 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다채로운 음악 어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전공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조은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조리전공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 조리실기 선행학습이 현재 대학교의 조리전공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조리실기 선행학습 유·무에 따라 전공교육 몰입과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전문 조리인력 양성의 발전 방향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리실기 선행학습, 전공교육 몰입, 만족도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조리실기 선행학습이 전공교육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결과는 학습 집중력, 학습 통제 및 행동력, 지적 호기심, 학습 흥미 4가지 요인에서 모두 조리실기 선행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전공교육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조리실기 선행학습은 전공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셋째, 전공교육 몰입과 전공교육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전공교육 몰입 요인 중 학습 집중력, 학습 통제 및 행동력, 지적 호기심은 전공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학습 흥미 요인은 전공교육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가설 3~4는 기각되었다. 이는 현재 대학교 조리실습 교육과정은 심화단계의 커리큘럼이 아닌 단편적 반복실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학습자들의 학습 흥미가 전공교육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조리실기 선행학습 기간이 2년 이상일수록 전공교육 몰입 요인들의 평균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학습 통제 및 행동력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조리실기 선행학습 기간이 길수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전공교육 몰입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학년과 학습 흥미는 영향관계가 있으나 전공교육 몰입 요인들의 평균값을 보면 전반적으로 1-2학년에서는 증가하고, 3-4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흥미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전공교육 몰입 요인이 전공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대학교 조리전공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다른 선행연구와 달리 전공교육 몰입 요인 중에서 학습 흥미는 학년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다는 연구결과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로 조리실기 선행학습은 전공교육 몰입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전공교육 몰입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연계한 심화단계의 조리실습과 함께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advanced Cooking Practice of Culinary Arts Majored Student in University Joe, Eun-Hye Depart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Professor Lee, Bo-So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king training experience before enrolling in a college on the current cooking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culinary art,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experience on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studies in major,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for cultivating future professional cook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theories on the pre-cooking experience, the immersion of major studies, and the satisfaction of major studies are identified and hypotheses regarding this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ing, and satisfaction wit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pre-cooking experience on the immersion of major studies showed that pre-cooking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ll the four factors; learning concentration, learning control and action power, intellectual curiosity, and learning interest.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ook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showed that cooking traning experience c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Thir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ersion of studying major and satisfaction with major showed that among learning immersion factors, three factors such as the learning concentration, learning control and acting power, intellectual curiosity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The learning interest foctor. however, was not considered to ha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major, so Hypotheses 3 and 4 were rejected. It can be caused from the university cooking training curriculum, which is composed of repetitive training curriculum in the repetitive and fragmentary context, rather than gradually stepwise and intensified curriculum. It is agreed with the results of some researches that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which learner’s learning interest can lead to satisfaction with major, is needed. Fourth, as cooking training experience period was longer than two years, the mean values of immersion factors for learning major generally increased to higher, and particularly, this phenomenon became preminent in learning control and acting power. 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longer the cooking training experience period, the higher was the cooking major student’s leaning immersion. Fifth, it was shown that the college grade and learning interest might influence mutual relationship, but the mean value of immersion factors for learning major generally increased in the freshman and sophomore whereas decreased as school year became to junior and senior and this phenomenon was prominent particularly in learning interest. This research is to grasp whether learning immersion factors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is basic research to be applied to the university cooking majo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derived the results that learning interest factors, among other immersion factors, vary depending on school year. Meanwhile, whe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dvance learning theory, in-depth learning of now theories through advance learning was not performed in the cooking major curriculum and limitation of repetitive learning of advance learning was found through this research. Past researches related to advance learning revealed that classes through advance learning and textbook reoraniz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udents' academin achievement. So the enhancement of cooking 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that are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students of the senior classes and the textbook reorganization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cooking training experience has effects on the immersion of learning major and satisfaction with major,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egrams where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cultivation professional cook is connected with cook training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cooking major curriculum which maintains continuously the student' learning immersion and leads to satisfaction with major is considered necessary.

      • 임상 간호사의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은혜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논문개요 임상 간호사의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조은혜 지도교수 : 하윤주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간호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간호역량 향상을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과 3개 종합병원을 의도 표집한 후,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동의하여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9년 8월 1일부터 2019년 8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26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로 혁신행동은 Kleyson & Street(2001)가 개발한 개인의 혁신행동척도(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를 김성진(201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창의성은 정은이(2002)가 개발한 대학생 및 성인을 위한 일상적 창의성 도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구, 간호역량은 장금성(2000)이 개발하고, 김순자(2009)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 간호사의 혁신행동 점수는 6점 만점에 3.97점, 창의성 점수는 5점 만점에 3.51점, 간호전문직관 점수는 5점 만점에 3.52점, 간호역량 점수는 4점 만점에 2.67점이었다. 2.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혁신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5.71, p<.001), 결혼상태(t=-3.25, p<.001), 총 임상근무경력(F=4.10, p=.003),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25.00, p<.001), 프리셉터 경험(t=-3.4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2.61, p=.036),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26.83, p<.001), 프리셉터 경험(t=-2.18,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63.42, p<.001), 프리셉터 경험(t=-2.80,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5.40, p<.001), 결혼상태(t=-2.90, p=.005), 최종학력(F=3.30, p=.038), 총 임상근무경력(F=5.52, p<.001),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36.66, p<.001), 프리셉터 경험(t=-4.3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간호역량과 예측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모든 변수들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간호역량은 혁신행동(r=.64, p<.001),창의성(r=.62, p<.001), 간호전문직관(r=.62, p<.001)순으로 각각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임상 간호사의 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혁신행동(β=.30, p<.001)이었고, 다음으로는 간호전문직관(β=.26, p<.001), 간호직에 대한 만족(β=.23, p<.001), 창의성(β=.22, p<.001), 총 임상경력 15년 이상(β=.11, p=.00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63.1%인 것으로 나타났다(F=74.19, p<.001). 이상의 결과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 간호사의 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과 관련된 전략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간호사들의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 임상경력을 고려한 단계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요어 : 간호사, 혁신행동, 창의성, 전문직관, 역량 Abstract The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Nursing Professionalism on Nursing Competence of Clinical Nurses Cho, Eun Hy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Directed by Prof. Ha, Yun 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nurses improve their nursing competenc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Nurses with one year or more clinical experienc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23,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from 267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scale (IIBS) developed by Kleyson and Street (2001) and translated by Kim (2014) was used to assess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The Common Creativ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adults developed by Jeong (2002) was used to assess the creativity of the participants. Nursing professionalism was assessed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Yoon et al. (2005), and nursing competency was assessed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Jang (2000) and revised by Kim (200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linical nurses' innovative behavior score was 3.97 out of 6, creativity score was 3.51 out of 5,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was 3.52 out of 5, and nursing competency score was 2.67 out of 4.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age(F=5.71, p<.001), marital status(t=-3.5, p<.001), clinical work experience(F=4.10, p=.003),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F=25.00,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3.44,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reativity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age(F=2.61, p=.036),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F=26.83,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2.18, p=.03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F=63.42,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2.80, p=.00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5.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nursing competency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age(F=5.40, p<.001), marital status(t=-2.90, p=.005), final level of education(F=3.30, p=.038), clinical work experience(F=5.52, p<.001),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s(F=36.66,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4.34,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6.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nursing competency and the predictors, al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Nursing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order of innovative behavior(r=.64, p<.001), creativity(r=.62,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r=.62, p<.001). 7. Factors affecting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were innovative behavior(β=.30, p<.001), nursing professionalism(β=.26, p<.001),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s(β=.23, p<.001), creativity(β=.22, p<.001), and having more than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β=.11, p=.004), in that ord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63.1%(F=74.19, p<.001). The results showed that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ffect nursing competency. Therefore, to improve the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related to nurses’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basic data to support the results.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measures to increase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 and develop a step-by-step program that considers clinical experience. Key words: Nurses, Behavior, Creativity, Professionalism, Competency

      •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은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최근 몇 년 간 우리 사회에는 수차례 심각한 아동 성폭력 범죄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비극적인 아동 성폭력 범죄가 되풀이 되어 발생하여 우리 사회에서는 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자 각종 제도의 수립과 다양한 아동 보호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효성은 사회적인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본 논문은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이고 실효적인 보호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동은 자신에 대한 방어능력이 부족하고 어른에게 의존의 정도가 강하기 때문에 범죄에 노출되기 쉽고 범죄 피해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후유증이 심각하다. 하지만 이에 비해 현재 아동 성폭력 피해자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지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아동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보호 및 지원 대책이 실현된 시기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몇 년 간 사회적 이슈가 된 사건을 통하여 단기적으로 만들어진 대책들이기 때문에 잠재적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의 효과에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아동 성폭력 범죄의 개념,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특징, 아동 범죄 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현실에 맞는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각국의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보호 제도와 기관을 통한 지원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실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조두순 사건’, ‘김수철 사건’, ‘광주 인화학교 사건’의 사례를 통해 아동 성폭력 범죄의 전반적인 특징과 시사점, 이후 사회적 파급효과를 통해 현재 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응하는 체계를 분석하였다. 현재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 및 지원 실태는 제도적 측면, 관련기관의 측면, 프로그램의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가해자에 대한 재범방지 측면의 제도가 대부분이고 범죄 발생 후 처벌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예방적 측면이 약하고 피해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관련기관의 측면에서는 수사·법률, 경제적, 의료, 상담까지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경찰과 검찰, 병원까지 피해자에게 관여하는 모든 기관과의 상호협력의 부족으로 피해자에게 제대로 된 지원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홍보와 관심의 부족, 지속적인 관리 및 감독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측면으로는 좀 더 실효적인 피해자 보호 방안을 도입할 것을 검토하였고 정신적, 신체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에 까지 다각도로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연구하였다. 관련기관의 측면에서는 정부와 지방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 각계 기관의 상호협력을 통해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들이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아동들이 프로그램을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스스로 쉽고 빠르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보완도 함께 필요 하다. 또한 꾸준한 관리를 통해 형식적인 프로그램이 아닌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Victims in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Eun - Hye Cho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ation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uk - Heon Chang In the last few years, a number of serious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have occurred in our society. On account of the tragic recurrence of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our society has established various systems and children protection programs to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for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but its effectiveness seems to fall short of expectations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ctive and effective protec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Children are prone to be exposed to crimes against them and have a serious physical and mental aftereffects because of their lack of self-defense capability and high degree of dependence on adults. In comparison,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supports have not been provided to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since currently there is not enough concrete studies on them. Furthermore, it is relatively recent when the protec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have been realized in our country. And there is a limit to the measures for protection of potential victims because they are come after several cases that become socially at issues on a short-term ba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for measures to protect and support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that match the reality by identifying the concept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characteristics of its victim, and necessity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m.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ffective and various measures that suit our country by examining the protection systems and support of agencies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in various countries.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our country,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confrontation system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and social ramifications of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by examining cases that greatly impacted our society such as 'Cho Doo-soon case', 'Kim Soo-chul case', and 'Gwanju Inhwa School case'. Real conditions on current protection and support for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s victim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aspects of systems, related agencies, and programs. As for the aspect of systems, problems lie in the lack of prevention, substantial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because most of the system are made to prevent second convictions and they are centered around the punishments after crimes occur. Regarding the related agencie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supports from police investigation, law, finance, medical care, and counselling, because of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manpower in those areas and of insufficient cooperation among related agencies which are involved in victims such as police, prosecutor's office, and hospitals, proper support has not been provided to victims. As for programs, there are lack of publicity and interest and failure in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ervision. To supplement those problems, for system aspect, this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the more effective protection measures for victims and reviewed the system that supports victims of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economically as well as mentally and physically. As for the related agencies, second victimization should be prevented by enhancing professionalism through active supports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rough mutual cooperations among various agencies. Regarding the programs, children can actively use the programs by means of active promotions and supplementation of the program to facilitate faster and easier use of children. And by providing continuous management, the program should be substantial not ceremonial.

      • 강준일의 해금과 소리, 첼로,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소담(笑談)-우스개소리〉 분석 연구

        조은혜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금까지 해금과 판소리의 편성으로 작곡되어진 곡이 많지 않았음에 분석된 논문이 없었기에 강준일 작곡 〈소담(笑談)-우스개소리〉를 첫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먼저 작곡가 강준일의 음악세계와 그가 이 곡에서 인용한 시 ‘금중소(衾中笑: 이불 속에서 웃노라)’를 쓴 시인 이규보와 그 시에 대해 알아본 후 작품 분석을 하였다. 작품 분석과 함께 이 곡의 초연자인 해금 연주자 정수년이 어떠한 연주법을 사용하였는지 분석하여 해금과 판소리의 어법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해금과 판소리의 앙상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곡의 구조는 도입부,Ⅰ-Ⅴ악장, 종결부로 나뉘며, Ⅰ-Ⅴ악장 안에서 또 서주-본론-후주로 나뉜다. 종결부와 후주는 모두 소리 선율을 제외한 기악끼리의 연주로만 이루어져 있다. 다음 악곡을 분석하였을 때 이 곡에 나타난 가장 주요한 특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이 곡의 주요 음조직(Main Chord)은 B, F, G♭, C이다. B, F는 서로 감5도 관계이며, G♭, C은 증4도 관계이다(감5도와 증4도는 이명동음). 이 곡은 전체적으로 감5도와 증4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음조직으로 구성된 반음계 하행구조를 사용해 익살맞은 느낌을 주는 것도 특징이다. 둘째, 온음 음계(Whole-tone Scale)이다. 온음 음계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C로 시작하는 온음 음계와 C#에서 시작하는 온음 음계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하였다. 주요 음조직(Main Chord)과 함께 이 곡을 이루는 주된 특징 중 하나이다. 셋째, ‘자진모리장단’은 이 곡에 가장 많이 출현하는 주요 리듬이며, 자진모리장단을 모체삼은 변형 장단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자진모리장단의 사용으로 부점 리듬도 돋보인다. 이 세 가지는 강준일만의 색체가 돋보이는 특징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음 이 곡의 연주법에 나타난 주요 특징은 네 가지가 있다. 첫째, 소리 주자와 해금 연주자는 시의 가사가 갖는 의미에 맞추어 노래하고 연주하였으며, 또한 해금으로 소리의 어법과 유사하게 구현해냄으로써 해금과 소리가 서로 이질적이지 않으며 조화로운 앙상블을 이루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이끌어 냈다. 둘째, 악보에 구속 되어 제한된 연주가 아닌, 음정과 리듬을 곡의 분위기에 맞추어 변형시키거나 참작하여 작곡가의 의도에 맞게 유연한 연주법으로 재창작하였다. 셋째, 곡은 현대적 기법이 들어간 곡이지만, 작곡가의 의도대로 전통의 원형을 잃지 않고 가져가기 위해 전통적인 연주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김새와 농현 등 다양한 전통적인 연주기법을 적극 활용하였고 그에 맞는 운지법과 운궁법으로 전통의 질감과 색채를 돋보이게 하였다. 넷째, 포지션을 잡을 때 단순히 음정을 발현해내는 것에 치중되지 않고 포지션을 통한 음색과 음량 표현을 모두 고려하였다. 그리하여 발음했을 때 음정과 음색, 음량 모두를 곡과 가장 어우러지는 포지션으로 선택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시의 내용, 즉 소리의 사설 가사에 맞춘 작곡가의 작곡 의도와 곡을 분석함과 동시에 그 의도를 고려한 연주자의 연주 해석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악기 중 음조와 음계를 가장 자유롭게 넘나들을 수 있는 해금과 판소리가 서로 얼마만큼의 상호적인 앙상블이 가능한지 알아보며, 앙상블을 위해 해금이 어떠한 연주법을 사용했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해금과 판소리 편성의 곡들이 앞으로 음악적인 확장과 함께 많은 작곡가와 연주자들에게 활성화되어 활발하고 풍부한 시도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그 후 향후 후속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Jun-il Kang's 〈Sodam(笑談)-Joke〉 as its first subject because there are not many analyses of pieces composed of haegeum and pansori. First, I look into the composer Joon-il Kang's music world and the poet Gyu-bo Lee and his poem 'Geum-jung-so(衾中笑: Laughing Under the Sheets)' which was quoted in this piece.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piece, I also analyze the technique of the premier haegeum performer of this piece, Soo-nyeon Chung, to look at the expression of the haegeum and pansori. Through this, I aim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ensemble between the haegeum and pansori. The piece is composed of an Prolog , Movements Ⅰ-Ⅴ, and an Epilog, and Movements Ⅰ-Ⅴ each has a structure of Introduction-subject-conclusion. The epilog and the conclusion are all composed of only instrumental music, without any vocal melodies. An analysis of this piece has revealed the following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 the main chords of this piece are B, F, G♭, and C. B and F are diminished 5th, and G♭ and C are augmented 4th(diminished 5th and augmented 4th are enharmonic). Overall, this piece consists of diminished 5th and augmented 4th, and it gives off a humorous vibe using a descending chromatic structure composed of the main chords. Secondly, it uses whole-tone scales. Two whole-tone scales were used, one that begins with C, and one that begins with C#. This is a main characteristic of this piece, along with the main chords. Thirdly, ‘Jajinmori Rhythm’ is the most frequent rhythm of this piece, and a modified rhythm derived from the Jajinmori Rhythm was also used. This employment of the Jajinmori Rhythm accentuates the dotted rhythm. These three points are representative of Joon-il Kang's unique style. Next, there are four features to the performing technique of the piece. First, the vocal performer and the haegeum player sings and play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lyrics, and by rendering the haegeum similarly to the vocal expression,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harmonious ensemble of the haegeum and sori was drawn. Secondly, the performance was not confined and restricted by the musical score, but rather the tone and rhythm was modified and referenced according to the composer's intentions with flexible and reinventive expressions. Thirdly, the piece includes modern techniques, but it also follows the composer's intention of retaining the traditional forms by employing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In order to do this, it actively utilizes various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such as Sigimsae and Nonghyeon, and highlights the traditional texture and style through appropriate fingering and bowing. Fourth, when positioning,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simple revelation of the intervals, it also considers the expression of tone and volume. Thus, when performing, the optimal positioning was chosen so that the intervals, tone, and volume were all in harmony with the piece.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entions of the compos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of the poetry, which is the editorial lyrics of the sori, while at the same time analyz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erformers that considered these intentions. Also, it looks into how much mutual ensemble can be acheived between the haegeum, which can navigate the notes and scales most freely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nd pansori, and it analyzes which haegeum techniques were employed for the ensemble.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pieces composed of haegeum and pansori will vitalize the musical development of many composers and performers by encouraging more active and abundant attempts. I also look forward to active follow-up studies after this one.

      • 唯識學의 轉識成智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

        조은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唯識學의 轉識成智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에 관한 비교연구로서 자료해석학적 비교방법론에 의해 고찰된 것이다. Ⅰ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방법론에 관해 언급했으며, Ⅱ장에서는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의 사상적 배경을 검토하고 이 두 사상적 배경이 지닌 상통점과 특이점을 고찰했다. Ⅲ 장에서는 유식학과 분석심리학이 주장하는 마음의 구조에 관해 고찰했는데 유식학의 팔식설(八識說)인 전5식(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 제 6의식, 제 7말나식, 제 8아뢰야식이 분석심리학의 감각, 의식, 자아(Ego), 무의식(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과 대비되며 특히 제 8아뢰야식 속에 있는 불성(佛性)과 집단무의식을 이루는 자기원형(自己原型, Selbst Archetypus)이 상통함을 고찰했다. Ⅳ 장은 이 논문의 중심 주제인 유식학의 전식성지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에 관해 고찰한 것인데 이들이 지닌 상통점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모두 자기자신의 참 모습을 알아 실현하는 것이라고 하는 점이나 유식학의 본유무루종자(本有無漏種子)와 분석심리학의 자기원형(自己原型, Selbst Archetypus)에서 볼 때 모두 인간의 내면에 깨달음과 자기실현의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유식학에서 제 8식이 정화되어 완전히 지혜를 이룬 전식성지의 경지를 크고 둥그러운 거울 같은 지혜 대원경지(大圓鏡智)로 결론 맺어 원(圓)으로 상징한 점을 분석심리학에서 개성화로서의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자기원형(自己原型, Selbst Archetypus)의 상징으로 만달라상징(Mandalas Symble)의 원(圓)을 중시한 점 등의 상통점을 고찰했다. Ⅴ장은 결론적 고찰로서 유식학의 전식성지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가 지닌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유식학의 전식성지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가 심본위적(心本位的)입장에 바탕하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의 전식성지와 개성화로서의 자기실현은 작은 나인 자아(自我, Ego) 즉 제 7말나식(末那識)과 나(我, Ego)를 극복하여 큰 나이며 참다운 나인 불성(佛性)과 자기(自己, Self)를 실현함에 있다고 함으로써 현대가 지닌 유물론과 이기주의 등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탐색했다. 주제어: 唯識學, 轉識成智, 분석심리학, 개성화, 자기실현. My research was focu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Prāvṛttivijñānalabdhajñāna of Vijñaptimatratāvāda with the Individuation of Analyticalpsychology by the hermeneutical comparative methodology of the literature. In chapter Ⅰ, I considered the aim of this research and the method for this research. In chapter Ⅱ, my research was focused on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Vijñaptimatratāvāda and the Analyticalpsychology. In chapter Ⅲ, my research was focused on the mind - structure of Vijñaptimatratāvāda and the Analyticalpsychology. Also I knew that the symbol of prāvṛttiālayavijñānalabdhajñāna is the Great Round Mirror Wisdom(大圓鏡智)and the symbol of selfactualization is mandala(Magic Circle). Chapter Ⅳ is the main part of this research and is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rāvṛttivijñānalabdhajñāna of Vijñaptimatratāvāda with the individuation of Analyticalpsychology. I compared the pañcavijñāna, manovijñāna, manas, Ālayavijñāna of Vijñaptimatratāvāda with the sense, consciousness, ego, unconsciousness of Analyticalpsychology. Specially I knew a commonality of thought in Buddhatva of Ālayavijñāna and Selfarchetype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chapter Ⅴ, I conclusively inguire into the meanings of this research for the healing of the materialism and egoism of the human being today. That is, Prāvṛttivijñānalabdhajñāna and Individuation will throw some assistance to solve the modern problems of materialism and egoism with the subjugation of manas and ego by the actualization of Buddhatva and Selfarchetype in depth psychology. Key Words : Vijñaptimatratāvāda, Prāvṛttivijñānalabdhajñāna, Analyticalpsychology, Individuation, Selfactualization.

      • 부모의 정서조절곤란과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부모의 정서무효화의 역할

        조은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정서조절곤란과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무효화의 역할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 2학년 총 299명과 그들의 학부모인 아버지 213명,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척도와 정서무효화 척도를 측정하였다. 청소년은 본인의 정서조절곤란과 본인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무효화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부모는 본인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의 경우, 전체 집단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문제가 있는 집단을 선별하기위해, 상위 50%의 집단을 선별하여 총 아버지 108명, 어머니 101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부모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정서조절곤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충동통제곤란, 정서조절전략의 접근제한, 목표지향행동 수행의 어려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및 정서무효화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의 상관분석결과,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아버지의 정서무효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어머니의 정서무효화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정서무효화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정서조절곤란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정서무효화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정서무효화 경향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도 높아졌다. 다섯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무효화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이 딸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딸의 정서조절곤란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정서무효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아버지의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많을수록 아버지의 정서무효화 경향이 높아지고,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를 많이 경험한 딸의 정서조절도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과 딸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를 통해 정서조절곤란이 전이되는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녀지간의 정서사회화 과정의 중요성이 시사되며, 정서무효화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앞으로 아버지의 양육의 개입에 대한 방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조은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class is truly a platform where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country and culture gathe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 is what we cal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as culture shapes how people think and view the world, there are conflict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very conflict that occurs in Korean classes is a inhibitor to efficient teaching-learning experience. As a facilitator of efficient learning experience in a Korean Class, Korean Teachers need to mediate and coordinate the conflict that occurs in a classroom. When the teacher lacks understanding for intercultural conflicts, it worsens the situation. As such, a study on teachers’ awareness towards conflicts in intercultural is essential. Especially,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based on real cases and identifying the right educational guideline for each conflict type are expected to be necessary for potential Korean Teachers. As such,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eacher’s awareness on conflict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interviews, and categorize the real-life examples into groups.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guidelines for each conflict types for teachers to follow. Interviewing the teachers is the methodology for examining the conflict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an efficient way to establish educational guidelines that reflects the cases in classrooms. This study is divided into several chapters. Chapter I is the introduction that illustrates the purpose, necessity of the study, pilot study,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ology. Chapter II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related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qualifications and role of a Korean Teacher. Chapter III examines teacher’s awareness on this topic through interviews, and categorizes the examples into conflict types. Based on the cases, the types of conflict are categorized into Mental Culture that includes religious culture and historical culture; institutional culture including political and educational culture; and culture of life. Chapter IV attempted to establish educational guidelines for each conflict type that was derived in chapter III. Teachers need to reestablish their understanding towards culture and become awar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lassroom settings. Educational guidelines for each conflict types of religious culture, historical culture, political culture, educational culture and culture of lif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as it has a small sample size and is not a qualitative study that was conducted through long term observation.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ts attempt to examine the status quo of Korea Classes and research based on real cases of the conflict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한국어 교실은 다양한 국적과 문화권을 배경으로 하는 학습자가 모이는 다문화권 현장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문화 간 의사소통이라 할 때, 생활 방식뿐 아니라 가치관의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화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갈등이 발생한다. 한국어 교실에서 발생하는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한국어 교사는 교실을 운영하는 존재로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하며, 교실에서 발생하는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 또한 교사가 중재하고 조율해야 하는 대상이다. 교실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에 대한 교사의 인지 부족은 갈등은 심화시킨다. 따라서 교사 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실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현장에서의 경험이 없는 예비 한국어 교사에게는 실제 사례에 기반을 둔 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갈등 유형별 교육 지침의 모색이 필요하리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 사례를 유형화하여 분류하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갈등 유형별 교사 지침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과 대면하며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들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는 현재 한국어 교실에서 발생하는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을 알아보는 방법이며, 현장 상황을 반영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 및 지침을 세우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Ⅰ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연구 및 연구 문제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Ⅱ장에서는 문화와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역할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Ⅲ장은 교사 인터뷰를 통해 교사의 문화 간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갈등 사례를 기반으로 교실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 유형을 분류하였다. 사례를 통해 분류한 갈등 유형은 종교문화와 역사문화를 포함하는 정신문화, 정치문화와 교육문화를 포함하는 제도문화, 생활문화로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해낸 갈등 유형별 교사 지침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사의 문화 개념 재정립 및 교실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 인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역사문화, 정치문화와 교육문화, 생활문화의 갈등 유형별 교사 지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로 삼은 표본이 적고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 이루어진 질적 연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실의 현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의의를 지니며, 교사 교육 측면에서 교실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갈등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