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곡의 헝가리 민요집」중 벨라 바르톡의 독창민요 편곡가곡 연구: 바르톡의 헝가리 민요 분류법에 의한 바르톡의 민요편곡가곡과 그에 상응하는 원전민요 비교고찰

        조길자 ( Gil Ja Cho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9 이화음악논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바르톡의 음악적 소재의 원천이며 보고(寶庫)이었던 헝가리민요의 이해를 위하여 「20곡의 헝가리 민요집」가운데 바르톡의 민요편곡 일곱 곡들을 이에 상응하는 헝가리 원전민요들과 비교 고찰하였다. 비교 분석의 틀로는 바르톡의 저서 『헝가리민요』(A Magyar Nepdal)에 기술된 분류법을 사용하여 민요양식, 리듬꼴, 음계, 음역, 선율의 구조와 중간종지(caesura)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악곡분석의 결과는 악보와 도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모든 민요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헝가리 민요들도 선율과 가사가 비슷한 민요들이 여러 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바르톡의 민요편곡가곡들을 바르톡의 분류체계에 따라 상응하는 원전민요들과 비교고찰하여 볼 때 음악 양식상 완전히 일치하고 있었다. 가사의 경우 바르톡의 편곡민요가사와 이에 상응하는 원전민요 가사가 전혀 다른 경우도 있고, 동일한 가사를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다만 동일한 가사를 사용한 경우라도 바르톡이 음악적 표현력을 고려하여 시어를 조금씩 변형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우라도 바르톡은 원전민요의 선율, 혹은 리듬을 조금씩 변형하고 있는 것에 머물렀다. 흥미로운 점 하나를 부연하자면, 제3곡은 3절 뿐 이지만 이 곡에 상응하는 원전민요의 경우는 28절까지 있어 여러 명이 등장하는 한 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고, 제3곡과 비슷한 내용의 가사를 갖는 민요선율이 4곡이나 되었다. 그리고 제3곡은 실제로는 각기 다른 두곡의 원전민요를 바르톡이 한 노래로 연결시킨 것이다. 반면에 제4곡과 제5곡은 동일한 원전민요를 각기 다른 독립된 곡으로 편곡한 경우이다. 그러나 제4곡과 제5곡은 리듬은 완전히 같고 선율은 거의 같아 하나의 연결된 노래로 연주해도 무리가 없는 곡이다. This study is on the Hungarian folk songs, especially about 7 pieces of Bartok`s arranged folk song book, 20 Hungarian Folk Songs, which published in 1906 with Kodaly who had done field work for hungarian folk songs together. And this 7 pieces of Bartok`s arranged folk songs are weighed with the corresponding original hungarian song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book, Hungarian Folk Song by Bartok (A Magyar Nepdal), I exammed the tables for style, rhythm pattern, scale, range, structure of melody, caesu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similar patterns in the hungarian folk songs. Second, the most importantly, the musical elements are completely agreed except some variations in both of the arranged and corresponding original one us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case of the words, in some cases, absolutely different words used in the Bartok`s arranged song and the original one, and in another cases, the same words were used. But in the case of verse, some of them shares same verse and others used different one. When sharing same verse, Bartok changed some words for his musical expression, and in this case, he got only slight modification in the melody, and rhythm from the original song.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re are only three verses in the third piece. In contrast, original one includes twenty eight verses such as a fairy tale. The third piece is actually from two different original songs, but for the fourth and fifth are from each different original songs. In the case of fourth and fifth song, they are independent songs, but it is not unnatural singing continually the two songs because of their similar melody line and rhythmic pattern.

      • KCI등재

        슈베르트의 괴테가곡『서동시집』(West-Ostlicher Divan) 중 4편의 시에 의한 가곡 연구

        조길자 ( Gil Ja Cho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7 이화음악논집 Vol.11 No.1

        괴테는 『서동시편』을 동양과 서양 지역과 시대를 초월하여 인간적인 감동을 느끼게 하는 서방시인에 의한 동양적인 시라고 하여 이와 같은 제목을 붙였다. 「줄라이카 Ⅰ,Ⅱ」는 원래 괴테의 연인이었던 마리안네 폰 빌레머에 의해 쓰여 졌으나 19세기 초에 괴테의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동시편』중「줄라이카Ⅰ,Ⅱ」, 「폭 빠짐」, 「비밀」등의 4곡을 다루어 보았으며 슈베르트의 고유의 작곡기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1. 시 분석, 2. 악곡 분석 등의 두 가지의 다른 접근법이 사용되었다. 시 분석의 결과로는 「줄라이카Ⅰ.Ⅱ」와 「비밀」은 강약격의 4음보격이며 「폭 빠짐」은 약강격과 약약강격이 교대로 나타나는 4음보격임을 알 수 있었다. 슈베르트가시의 내용이나 분위기를 노래에 잘 반영하기 위하여 종종 시의 행이나 연을 생략하거나 반복하는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음을 보여주었고 시의 강세와 노래의 강박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악곡 분석의 결과로는 세 가지의 슈베르트만의 고유한 화성 특징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의 미묘한 변화를 나타내는 장·단화음의 혼용 둘째, 나폴리 6화음의 사용, 셋째, 3도 관계로의 전조 등이다. 반주부가 노래 시작 전에 이미 곡의 분위기나 내용을 암시하거나 등의 음 회화적인 요소는 궁극적으로 피아노 파트가 성악파트와 대등할 정도로의 위치를 갖는 데에 공헌했다고 할 수 있으며 슈베르트의 동 시대의 다른 작곡가들과 구별되는 이런 작곡기법은 괴테의 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슈베르트의 이런 고유한 작곡기법은 사후의 많은 가곡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Goethe named these poems as a 『West-Ostlicher Divan』, because he meant this is an orientally influenced poem collection which is written by a western poet. 「Suleika Ⅰ, Ⅱ」are originally written by one of Goethe`s mistresses, Marienne von Willemer, but it was published under name of Goethe in early nineteenth century. In this study four songs from『West-Ostlicher Divan』were discussed including「Suleika Ⅰ,Ⅱ」,「Versunken」 and 「Geheimes」. In order to understand Schubert`s characteristics, the study was focused on two different approaches including poetic analysis and musical analysis. Schubert rearranged the original poems and repeated certain lines at times to deliver the poem`s meaning in his music effectively. The results of musical analysis revealed three unusual characteristics compare to his contemporaries including frequent use of modal mixture, the use of the Neapolitan 6th, and the 3rd below modulation. Schubert also fairly used the accompaniment and the voice part. Eventually the accompaniment part became as important as the voice part. The study showed Schubert`s unique compositional style is always related with the poem, for instance, the piano part could also help to imply the mood or the story of the poem, and often the modal mixture expresses subtle emotional changes. Although there was almost no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Schubert and Goethe, the combination of their work was remarkably valuable to people who love German Lied. Schubert`s characteristics influenced to later generations.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극화놀이에서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미자(Park Mi-ja),조길자(Cho Gil-ja),김동례(Kim Dong-ry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극화놀이에서 유아들에게 활동적 표상, 영상적 표상, 상징적 표상활동을 실험 처치한 후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동질 집단이라고 확인한 후 실험ㆍ비교집단 각 20명씩 만4ㆍ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사전ㆍ사후 검사 실험 설계 방법에 의해 총 8주간 처치가 이루어졌다. 공간능력은 홍혜경 (2001a)의 공간능력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활동을 경험한 실험 집단이 전체 공간 능력에서 비교집단 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공간 능력의 하위요인인 눈 운동 협응, 공간 지각에서 위치 알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공간적 추리, 형태 배경 구별,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during dramatic play on children's spatial abilities after doing an experiment on coactive representation, iconic representation, and symbolic re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ged 4-5. 20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for 8 week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for Testing Children's Spatial Abilities, developed by Hong(200la),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as for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such as spatial reasoning, the distinction between figure and background. and visual memory or recollection. There appeared no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sub-factors such as the eye motor coordination and position-in-space perception.

      • KCI등재

        「20곡의 헝가리 민요집」 중 벨라 바르톡의 독창민요 편곡가곡 연구 : 바르톡의 헝가리 민요 분류법에 의한 바르톡의 민요편곡가곡과 그에 상응하는 원전민요 비교고찰

        조길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9 이화음악논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바르톡의 음악적 소재의 원천이며 보고(寶庫)이었던 헝가리민요의 이해를 위하여 「20곡의 헝가리 민요집」 가운데 바르톡의 민요편곡 일곱 곡들을 이에 상응하는 헝가리 원전민요들과 비교 고찰하였다. 비교 분석의 틀로는 바르톡의 저서 󰡔헝가리 민요󰡕(A Magyar Népdal)에 기술된 분류법을 사용하여 민요양식, 리듬꼴, 음계, 음역, 선율의 구조와 중간종지(caesura)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악곡분석의 결과는 악보와 도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모든 민요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헝가리 민요들도 선율과 가사가 비슷한 민요들이 여러 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바르톡의 민요편곡가곡들을 바르톡의 분류체계에 따라 상응하는 원전민요들과 비교고찰하여 볼 때 음악 양식상 완전히 일치하고 있었다. 가사의 경우 바르톡의 편곡민요 가사와 이에 상응하는 원전민요 가사가 전혀 다른 경우도 있고, 동일한 가사를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다만 동일한 가사를 사용한 경우라도 바르톡이 음악적 표현력을 고려하여 시어를 조금씩 변형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우라도 바르톡은 원전민요의 선율, 혹은 리듬을 조금씩 변형하고 있는 것에 머물렀다. 흥미로운 점 하나를 부연하자면, 제3곡은 3절 뿐이지만 이 곡에 상응하는 원전민요의 경우는 28절까지 있어 여러 명이 등장하는 한 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고, 제3곡과 비슷한 내용의 가사를 갖는 민요선율이 4곡이나 되었다. 그리고 제3곡은 실제로는 각기 다른 두곡의 원전민요를 바르톡이 한 노래로 연결시킨 것이다. 반면에 제4곡과 제5곡은 동일한 원전민요를 각기 다른 독립된 곡으로 편곡한 경우이다. 그러나 제4곡과 제5곡은 리듬은 완전히 같고 선율은 거의 같아 하나의 연결된 노래로 연주해도 무리가 없는 곡이다. This study is on the Hungarian folk songs, especially about 7 pieces of Bartók’s arranged folk song book, 20 Hungarian Folk Songs, which published in 1906 with Kodály who had done field work for hungarian folk songs together. And this 7 pieces of Bartók’s arranged folk songs are weighed with the corresponding original hungarian song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book, Hungarian Folk Song by Bartók (A Magyar Népdal), I exammed the tables for style, rhythm pattern, scale, range, structure of melody, caesu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similar patterns in the hungarian folk songs. Second, the most importantly, the musical elements are completely agreed except some variations in both of the arranged and corresponding original one us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case of the words, in some cases, absolutely different words used in the Bartók’s arranged song and the original one, and in another cases, the same words were used. But in the case of verse, some of them shares same verse and others used different one. When sharing same verse, Bartók changed some words for his musical expression, and in this case, he got only slight modification in the melody, and rhythm from the original song.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re are only three verses in the third piece. In contrast, original one includes twenty eight verses such as a fairy tale. The third piece is actually from two different original songs, but for the fourth and fifth are from each different original songs. In the case of fourth and fifth song, they are independent songs, but it is not unnatural singing continually the two songs because of their similar melody line and rhythmic pattern.

      • 간호학생과 비 간호학생의 죽음의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조길자 中央醫學社 1977 中央醫學 Vol.33 No.6

        In an attempt to assist i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ing clinics and in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death of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was carried out. 262 nursing students and 200 general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Sept. 17, 1977 to Sept. 30, 1977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chneidman Questionnaire".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2 In general concepts of death, the first sighting of occurrence of death was experienced upon grandfather or great grand father. 40% of selective subj-ects had never discussed this dea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lieving influence of death by psychological fact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2. As to the attitudes toward death, the religion more influenced on the nur-sing students than on the general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ear of death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Most of them did not want to know the day of their own death to be occurred. 3. The frequency of thinking their own death was more in nursing students than in general students, and most of them wanted solemn and quiet death under assump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nting the inform-ation on their own incurable disease under assump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4. As to disposal of corpse under assumption that it had already occurred the selective subjects had the tendency for cremation system. There was significant in donation of their own organs for transplantation to anyone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5. On the life-after-death, about half of them were sure of i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attempt of suicide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KCI등재

        근대 민요편곡 문헌과 「오베르뉴의 노래」연구 : M.깡뜰루브의 독창민요 편곡을 중심으로

        조길자,조효임 민족음악학회 2001 음악과 민족 Vol.22 No.-

        Noch heute gilt Canteloube als bester Kenner der franzoesichen Volkslieder, die or lebenslang sammelte und verarbeitete. Unter anderen seinen franzoesichen Volksliedausgaben umfasst 『Anthologie des chants populaires francais』 4 Baende, wo die Volkslieder der verschiedenen Provinzen notiert mind. Der Heimatsort des Composers M. J. Canteloube, Auvergne ist solch eine Ausnahme, die wohl nur als wenige orte in Frankreich so isoliert war und deshalb die meisten Volkslieder der Auvergne gut erhalten bleiben konnten. In dieser Studie handelt es sich um die Solo-Volksliderbearbeitungen von Canteloube zu forschen, anhand der 「Chants d'Auvergne」, das seine Bearbeitungen der 30 Volkslider der Auvergne in 5 Baende umfasst. Unter den vielen seinen Volksliederbearbeitungen ist sein Meisterwerk「Chants d'Auvergne」, dart heute von den vielen beruehmten Saengern gesungen worden war, machte den Name als Bearbeiter der franzoesichen Volkslieder. Diese Studie gliedert sich in zwei Teilet, i.e, 「Eine Studie der Volksliederbearbeitungen fuer eine Singstimme und Klavier von M. J. Canteloube (I) und (II)」. Der II. Teil wire in der Band. 23 dieser Zeitschrift 『Music and Korea』 erfolgen. wo die Gattungen der Volkslieder der Auvergne und die Solo Volksliederbearbeitungen der Auvergne von Canteloube befassen werden. Der 1. Teil behandelt die modernen Volksliederbearbeitungen von B. Barto'k, Z. Koda'ly, A. Kopland, B. Britten und 「Chants d'Auvergne」 von M. J. Canteloube.

      • 고등학교 1학년과 3학년 학생들 사이의 스트레스사건의 비교

        이정숙,조길자 中央醫學社 1983 中央醫學 Vol.45 No.1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its, numbers, and the severity of stressful life change events experienced by the 10th and the 12th grade students who have been thought to have psychiatric problems most. The study was administered to 480 students of two senior high schools for boys- and girls in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in Kwangju from May 23, 1983 to May 24, 1983. The students were composed of 240 from the 10th grade and as many form the 12th grad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ALCEQ by Mendez and others. 38 events listed in the ALCEQ were amended, added or omitted, so that it consisted of 46 items.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stinctive difference in life change units between the 10th grade students and the 12th grade on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8 items (17.4%) out of 46, and hypothesis 1 was partially accepted.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stressful life chance events between two groups (p.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life change events bet-ween two groups (p.05).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wo categories, and hypothesis 3 was partially acce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