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 영어 읽기 내용교수지식(PCK) 교수요목 개발

        정희진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a classroom course centered on interaction-centered teaching methods with language materials to train four functions and intensive curriculum aimed at fostering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As a result, students are showing limitations in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In the EFL context, English education focused on this naturalistic approach shows the difficulty of anticipating the effects of learning. English education in the classroom should be accompanied by a communication-oriented activity and a foreign language learning with a cognitive framework.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urriculum based on the structure of core knowledge and teaching methods. Therefore,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reading education, which are emphasized in elementary English, prior study of contents teaching method (PCK) and its implications, the need for integrated teaching method in elementary English was very insufficient.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contents of the PCK English reading in elementary school and to design specific syllabus based on it. In this study, the revised curriculum for 2015 was first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and established as the basis for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of syllabus. Next, the preliminary demand survey the teacher and students on English reading education and PCK was conducted and there were various opinions on phonetic, text, and vocabulary, which were reflected in the goals and content setting of the design of the syllabus. The format of the syllabus was set to spell, vocabulary, sentences and text for each school year group and presented the goals and details accordingly. Each detail was organized by 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English background studies based on the content of curriculum and preliminary demand survey analysis, and presented teaching methods that fit the content. The designed syllabus was fin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of experts and pilot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yllabus was presented based on the core structure and knowledge of reading for teachers, rather than on existing materials, vocabulary, communication skills, and language materials for improving English reading skills. Second, the teacher became the main body of the study, identifying problems on the site and analyzing the needs and conducting research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revised curriculum. Third, it laid the basis for forming and developing the entire English teaching system.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or the study of English PCK in elementary school. First, based on this study, PCK based syllabus in areas such as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grammar will be developed and the overall English teaching system will be established. Second, the PCK based syllabus in English reading must be along with the text materials of the textbook to be applied effectively.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field teachers' interest in and conduct research on the English PCK and to actively apply and implement PCK in the field. 초등영어교육은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통한 의사소통능력을 기른다는 목표아래 기능에 치중한 교육과정과 네 가지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한 언어재료를 중심으로 한 상호작용중심 교수법중심의 교실수업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학생들의 언어능력 향상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EFL상황에서 이러한 자연주의적 접근법에 치중된 영어교육은 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영어교육은 의사소통중심 활동과 인지적 틀을 갖춘 외국어 학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교과핵심 지식의 구조와 그에 맞는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교과내용중심 교육과정을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초등영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읽기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 내용교수지식 관련 선행연구와 시사점을 고찰한 결과 초등영어 관련 내용교수지식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변화된 교육과정의 바탕위에 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를 통합적으로 적용한 교수요목의 개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어 읽기 내용교수지식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2015 개정교육과정을 이전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교수요목 설계의 기본방향의 근거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와 학생 대상으로 영어읽기교육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사전 요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음철법, 글(Text), 어휘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있었으며 이를 교수요목 설계시의 목표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교수요목의 형식은 학년군별로 핵심개념을 철자, 어휘, 문장, 글(text)로 정하고 그에 따른 목표와 세부내용을 제시하였다. 각 세부내용은 교육과정 분석내용과 사전요구조사 내용을 근거로 영어 배경학문의 지식의 구조를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내용에 맞는 교수법을 함께 제시하였다. 설계된 교수요목은 전문가 타당도 평가와 파일럿팅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읽기 기능향상을 위한 기존의 소재, 어휘, 의사소통기능, 언어형식목록과 같은 언어재료 중심의 교수요목이 아닌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읽기의 핵심적인 구조, 내용지식을 바탕으로 한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가 주체가 되어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요구를 분석하여 개정되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응하는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이다. 셋째, 전체 영어교과의 내용교수지식을 형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영어 내용교수지식 관련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바탕으로 듣기, 말하기, 쓰기, 문법등의 영역에서의 내용교수지식 교수요목이 개발되어 전체적인 영어 내용교수지식 체계가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읽기 내용교수지식 교수요목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글(text) 자료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영어 내용교수지식는 교사들이 만들어가고 발전시켜야 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이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관심과 실행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개발되고 있는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현장 적용과 실천을 위한 교사연구회 활동, 교사양성기관에서의 적극적인 도입등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이 뇌성마비아동의 보행능력증진에 미치는 영향

        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뇌성마비 아동은 뇌의 손상과 결함으로 인하여 중추성 운동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지능장애, 언어장애, 경련, 감각장애, 지각장애, 그리고 정서장애와 같은 중복적인 장애를 수반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독립적인 생활과 자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운동영역의 재활과 치료가 절대적으로 우선되어야 한다. 즉, 이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추성 운동기능의 장애중 하나인 보행장애를 개선하고 그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재활치료적 접근과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한 방법인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을 실시하고, 이들의 보행능력 증진에 미치는 RAS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재활치료의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의 음악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의 보행능력증진을 그 목표로 하여, 7주간의 연구기간 중 치료전 평가와 치료후 평가를 제외한 5주 동안 신경학적 음악치료 방법 중의 하나인 RAS를 적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음악치료는 총 23회 실시되었으며, 각 세션은 30분간 개별치료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각 세션은 인사노래(2-3분)-준비운동(4-5분)-RAS 보행훈련(20분)-헤어짐의 노래(2-3분)의 순서로 구성되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자가훈련(self training)이 병행되었다. 치료전과 음악치료기간 중 매주 1회, 그리고 음악치료 종결후 1회의 측정을 통해 보행능력의 변화를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평가의 영역은 보행속도, 보행수, 보행폭, 보행주기, 그리고 보행균형율이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 보행측정기구인 Stride Analyzer를 사용하였고, Student's t-test와 Paired Comparison t-test를 통해서 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 음악치료 기간 중 모든 대상아동의 보행인자의 평균값이 점진적으로 증진되었으며, 보행속도와 보행수, 그리고 보행주기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전체대상아동의 평균 보행속도는 치료전 33.81 m/min에서 5주 후에는 57.75 m/min으로 증진되었고, 평균 보행수는 치료전 78.64 steps/min에서 5주 후 99.74 steps/min으로 증가되었다. 평균 보행폭은0.83 m에서 1.17 m로, 그리고 평균 보행균형율은 0.66에서 0.85으로 각각 증가되었다. 또한 보행주기는 치료전 1.63에서 5주 후에는 1.23으로 감소되었다. 추후평가에서는 5주간의 음악치료기간에 증진되었던 보행인자들의 기능이 모든 대상아동에게서 조금씩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치료 전 보다는 증진된 것이었다. 이는 지속적인 음악치료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음악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치료전과 추후평가시의 차이를 Paired Comparison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가지의 보행인자 중 보행속도와 보행수(p<.05), 그리고 보행주기(p<.1)는 각각 유의하게 증가 또는 감소되었으나, 보행폭과 보행균형율의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상아동의 표본수가 적고 단기간의 연구기간동안 이루어졌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나 5주간의 음악치료는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능력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통해 RAS가 뇌성마비아동의 운동중추인 대뇌피질과, 기저핵, 소뇌를 자극함으로서 이들의 보행능력의 증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RAS를 적용한 음악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을 비롯한 중추성 운동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의 재활을 위한 하나의 접근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uffer primarily from central motor disorder, developmental delay in cognitive, language skills and sensory-perception accompanied by emotional disorder. In order to lead an independent life, the children has to be exposed to active physical rehabilitation and therapy in different motor areas including gait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which is neurological music therapy approach can be used to enhance children's gait movement. Fiv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and received 23 sessions of music therapy for seven weeks. The music therapy session incorporated the RAS technique facilitating changes in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gait cycle and symmetry ratio. Stride analyzer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udent's t-test and Paired Comparison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the gait parameters increased as the sessions progressed. The data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velocity(p=0.0097), cadence(p=0.0028), and gait cycle(p=0.0736) when the 23rd session was compared to the baseline data. Data collected from the post evaluation session were rather reduced since the last music therapy session, however, the obtained data were still higher than the baseline. Although results of this study have difficulty to be generalized since the number of case involved is rather small, the results certainly shows that the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triggers different responses in cerebral cortex, basal ganglia and the cerebellum which further brings improvement in gait movement. Therefore, structured use of rhythm in music therapy can be used to facilitate improvement in gait training and other motor fun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 the possibility of music as an approach for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ho has a central motor disorder lik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민둥뫼제비꽃군과 알록제비꽃군의 종내 변이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정희진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산 민둥뫼제비꽃군과 알록제비꽃군의 종내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종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민둥뫼제비꽃군 6개 집단과 알록제비꽃군 4개의 집단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연구 및 주성분 분석, 미세구조학적 연구,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민둥뫼제비꽃군 6개 집단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연구 결과, 자생지와 꽃의 색, 잎의 줄무늬 유무 등은 유형별로 구별이 가능한 형질이었으나 다른 형질은 거의 변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암술과 종자, 잎의 표피세포 등의 미세구조학적 연구에서도 6개의 유형이 모두 비슷한 형질을 보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 중 6개 유형의 공통적인 형질 14가지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 분산에 대하여 각각 36.73%, 20.97%, 9.76%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기여율이 높은 주성분 1과 2를 2차원에 도시한 결과, 6개 유형의 형질이 중첩되어 구분되지 않았다. 핵 DNA의 ITS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군외군으로부터 각각 Type 1, Type 2, Type 3에 속하는 분류군들이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나머지 Type 4, Type 5, Type 6에 속하는 분류군들과 병계원적으로 유집되었다. 따라서, 꽃 색과 자생지의 차이가 뚜렷한 분류군은 민둥뫼제비꽃의 흰색 품종으로 인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외부학적 형질이나 미세구조학적 형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한 개체에서 잎 윗면의 줄무늬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함께 관찰되고 자생지에서 함께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줄민둥뫼제비꽃은 민둥뫼제비꽃으로 통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알록제비꽃군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비교한 결과, 개방화기에는 잎 윗면의 줄무늬와 잎 아랫면의 자색이 뚜렷하게 구별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폐쇄화기에는 4개 유형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공통적인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도 각각의 유형으로 집단을 형성하지 못하여 구별이 불가능 하였다. 미세구조학적 연구에서는 4개 유형이 서로 유사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ITS 염기서열에 의한 자료를 바탕으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에서는 4개 유형의 분류군들이 병계원적으로 유집되었으며, 염기변이가 매우 낮아 정확한 계통유연관계를 밝힐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개방화기에는 잎 윗면의 줄무늬와 아랫면의 자색이 뚜렷이 구분되지만 지리적 분포나 생태적 요구량의 차이에 근거하는 고유한 변이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알록제비꽃의 근연 분류군(자주알록제비꽃, 청알록제비꽃)은 변종보다는 품종으로 격하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infraspecific relationships of Korean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complex and Viola variegata complex, taxonomic studies were conducted about 6 types of V. tokubuchiana var. takedana complex and 4 types of V. variegata complex. the studies were morphological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micro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etical analyses. The results on the morphological analysis about 6 types of V. tokubuchiana var. takedana complex were possible to distinguish their characters habitats, color of the flowers and striation on the adaxial leaf. but other different characters almost did not show any variation. In addition, in the micro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leaves, the pistil and the seeds, all six types of traits had very similar characters. As result of PCA by 14 morphological characters showed that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were related to the total variance by the propotions of PC1, PC2 and PC3 were 36.73%, 20.97% and 9.76% respectively. Plot of principal component 1, 2 based on 65 individuals of takedana were not distinguished with overlapping. The nrITS region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ype 1, 2, 3 of V. tokubuchiana var. takedana complex appeared as one major tree and Type 4, 5, 6 were paraphyletic. Therefore, the types which have difference of flower color and habitats should be judged to be recognized as V. tokubuchiana var. takedana for. albiflora. Also, the morphological or the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do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 the striation on the adaxial leaf from one species, grow in the same habitats, it is valid to integrate V. tokubuchiana var. takedana. As a result, compar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Viola vareigata complex, striation on the adaxial leaf and puple on the abaxial leaf were different at chasmogamous period. but, 4 typ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cleistogamous period. And PCA by morphological characters showed that each type of group formation, not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distinguish. In the micromorphological analysis, four types were observed very similar to one another. nrITS region analysis shows that 4 types of V. variegata complex were not formed monophyleric. Through these results, at chasmogamous period, it is distinguished the striation on the adaxial leaf and purple on the abaxial leaf. However, it does not represent a indigenous variation which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he ecological requirements. So, related taxa of the V. variegata complex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Viola variegata var. ircutiana) is valid to degrade.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rd grade students (a total of 28 students, including 27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1 student with a disability)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hwasong.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termine i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ould ha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room (including student with a disability). Several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for the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intervention using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tests. For the interven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 a total of 12 sessions by researcher. After the intervention, a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same measures as the pre-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and sub-variables(verbal commitment, actual commitment, general environment, water resources) of environmental attitudes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all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Second, the total score and sub-variables (positive interdependence, interpersonal skill) of the cooperative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operative ability of all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ffected the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s the class-wide universal supports for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최근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적으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인간이 사는 환경이 ‘개인 생활의 질’과 ‘인간의 행복’에 밀접한 관련이 있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환경문제를 해결할 역량과 태도를 갖춰야 한다는 점에서 장애학생 역시 환경교육에서 배제되어서는 안 되며, 이를 위한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미 국내외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 2012년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를 통해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국제적으로 강조되어 오고 있다. 이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도 1992년 중·고등학교에 환경 과목을 신설하였으며,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이 공포되어 환경교육에 대한 여러 제도가 시행되는 등 꾸준히 환경교육이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독립적인 환경 교과가 없고 범교과 학습주제 중 하나로 각 교과단원에 분산되어 있으며, 학교 재량에 따라 환경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 확산에 따라 일반학교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에도 통합학급 대상의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장애학생은 발달상에 지체로 인해 환경과 전반적인 상호작용 능력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고 통합학급에서 학업적·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무엇보다 장애학생이 학업성취와 사회성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통합학급 수업에서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어 다양한 활동이나 과제에 대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A초등학교 3학년 1개 통합학급이며 장애학생 1명과 비장애학생 27명, 총 2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자인 특수교사가 독립변인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주 1~2회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중재 후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협동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기 전과 후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총점과 하위영역 중 구두진술영역, 활동진술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하위주제 중 환경일반과 수자원 주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협동능력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협동능력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상호의존성과 소집단 및 대인관계 기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즉,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협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학교 3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장애학생을 비롯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통합학급 차원의 지원으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제중심학습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희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폐성 장애아동에게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이 감각처리능력의 감각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감각요소의 해석분류간의 변화를 봄으로써 자폐성 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이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만 4세~6세(평균 54.33개월)의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CARS 점수 30~36점(평균 32.80) 범주에 속한 경증자폐 범주아동 15명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이용하여 감각처리능력의 감각요소를 실험 전․후 검사하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과 일반적인 감각통합치료를 8주 동안 제공하였고, 감각통합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을 위해 2회의 부모교육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의 실험 전ㆍ후 자료측정 결과를 수집하고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검정하였고, 신경학적 역치와 행동과의 관계를 기초로 한 Dunn의 감각처리 모델로 분류하여 불완전한 감각등록, 자극에 대한 민감성, 감각추구, 감각회피의 4영역에서 해석분류간의 변화를 서술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자폐성 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서 집단 내 감각요소의 실험 전ㆍ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감각추구, 감정적 반응, 낮은 지구력과 근긴장도, 구강 민감성, 부주의와 혼란, 불완전한 감각등록, 감각 민감성, 비활동성 습성, 소동작과 지각의 9가지 각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자폐성 장애 아동의 감각요소를 신경학적 역치와 행동과의 관계를 기초로 한 Dunn의 감각처리 모델로 분류하여 불완전한 감각등록, 자극에 대한 민감성, 감각추구, 감각회피의 4영역에서 해석분류간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완전한 감각등록 영역에서 아동 5와 13의 낮은 지구력과 근긴장도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문제가능성의 해석분류로, 불완전한 감각등록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정상반응으로 향상이 나타났다. 감각추구 영역에서 아동 12의 감각추구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문제가능성의 해석분류로 향상이 나타났다. 자극에 대한 민감성 영역에서 아동 10의 구강 민감성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문제가능성으로, 부주의와 혼란 요소는 문제가능성에서 정상반응으로 향상이 나타났고, 아동14의 구강 민감성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정상반응으로, 감각 민감성 요소는 문제가능성에서 정상반응으로 향상이 나타났다. 특히 아동 4의 구강 민감성과 감각 민감성 요소는 문제가능성에서 정상반응으로, 부주의와 혼란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문제가능성으로 3개의 요소에서 향상이 나타났다. 감각회피영역의 아동 3, 4, 9의 경우에서 감정적 반응 요소는 확실한 문제에서 문제가능성으로, 아동 5, 13, 14는 문제가능성에서 정상반응으로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아동 12의 확실한 문제에서 정상반응으로 해석분류간의 큰 변화를 나타냈다. 자폐성 장애 아동에게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에서 해석분류간의 변화와 실험 전ㆍ후의 변화되지 않은 요소들의 점수를 고려하여 볼 때 낮은 신경학적 역치와 수동적 행동반응 관계의 자극에 대한 민감성 영역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자폐성 장애아동에게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향상이 있었고, 각 요소의 해석분류간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자폐성 장애아동에게 부모교육을 통한 감각통합 가정프로그램은 감각요소를 향상시키고 치료실과 가정에서 반응을 일반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여대생의 사회불안, 분노억제와 우울 및 폭식행동의 관계

        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 분노억제, 우울이 폭식행동과 갖는 관계를 구조방정식 경로 검증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사회불안, 분노억제, 우울이 어떤 경로를 통해 폭식행동과 직, 간접적 효과를 갖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하는 여대생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불안, 분노억제, 우울,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폭식행동과 우울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이루었으며, 사회불안과 분노억제, 그리고 사회불안과 우울, 분노억제와 우울이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폭식행동과 사회불안, 폭식행동과 분노억제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연구 모형 검증 결과, 사회불안과 우울 사이를 분노억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폭식행동 사이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억제가 우울을 순차적으로 폭식행동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사회불안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사회불안은 높은 분노억제와 관련이 있고, 이러한 분노억제는 높은 우울과 관련되어 결과적으로 폭식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사회불안, 분노억제, 우울이 폭식행동과 어떠한 경로로 관계를 맺는지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감과 분노의 억제가 폭식행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지만 분노 억제의 경우 우울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간접적인 역할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폭식행동에 선행하는 부정적 정서들 사이의 관계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들에 대한 포괄적 관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폭식행동의 치료를 위한 상담적 접근에 있어서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ger suppression, anger suppress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in women college stud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ndirect effects of social anxiety,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on binge eating behavior. Previous studies were found that each relationships of social anxiety, anger suppression, depress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so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below. Social anxiety will be associated with binge eating. Also,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of social anxiety and binge eating behavio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204. They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 which measures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Bulimia Test-Revised(Bulit-R),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were used. The analyse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Bootstrapping method was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First,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es,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ger suppress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only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was showed the significance. The indirect path of anger suppression to binge eating behavior via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path of social anxiety and binge eating behavior via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wasn't. It suggests that social anxiety itself is not significantly affect to bulimic behavior, but high social anxiety can predict anger suppression and high depression which can predict binge eating behavior.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finally discussed.

      • F. Liszt‘Praeludium und Fuge ueber B-A-C-H’에 나타난 19세기 독일 낭만파 오르간 음악의 특징 연구

        정희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스트는 독일 낭만 오르간 음악을 연주회용 오르간 음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독일 낭만 오르간 음악을 화려하게 변화시킨 인물이다. 피아노적인 테크닉을 오르간에 적용하여 Praeludium und Fuge über B-A-C-H를 작곡하였으며, 화성기법과 주제변형 방식을 사용하여 리스트만의 특색을 나타내었다. 그는 많은 수의 오르간 곡을 작곡하지는 않았지만 세 개의 큰 대곡을 작곡함으로써, 오르간 음악계에 그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본 논문은 Praeludium und Fuge über B-A-C-H가 나타내고 있는 독일 낭만파 오르간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며 분석에 있어서는 B-A-C-H 모티브가 어떻게 변형 발전되었는지 살펴본다. 18세기와는 달리 19세기 독일낭만 오르간은 어느 때 보다도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악기개량에 있어서도 눈부신 발전을 보였다. Rollschweller의 개발로 셈여림의 표현들이 가능해 졌으며, 스탑의 개발로 인하여 음색들이 오케스트라적인 웅장한 소리를 갖추게 되었다. Praeludium und Fuge über B-A-C-H는 이러한 오르간의 음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리스트는 리만(H. Riemann)의 프레이징을 참고하여 마디줄에 우선을 둔 강세법을 적용하였고, 이로 인하여 B-A-C-H 모티브가 더욱 강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Praeludium und Fuge über B-A-C-H는 자유로운 작곡방식으로서 주제변형의 기법을 사용하여 B-A-C-H 모티브가 곡 전체에 변화, 발전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리듬의 변화로 이 곡을 더욱 기교적이며 화려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또한 극단적 셈여림의 사용과 반음계의 사용, 화성진행 방식 등을 통하여 낭만시대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는 작품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Praeludium und Fuge über B-A-C-H는 리스트만의 자유스러움이 가장 잘 묻어나는 동시에 독일 낭만시대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곡으로서 낭만시대의 오르간 음악을 연주회용 오르간 음악으로 변화시킨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Franz Liszt developed the German romantic organ music into concert organ music magnificently. He composed Praeludium und Fuge uber B-A-C-H applying piano techniques to organ and reflected his own characteristics using the method of thematic transformation and his harmony. He didn't compose many pieces for organ but he wrote three masterpieces, which fortified his position in the field of organ music. This thesis examines the peculiarity of Praeludium und Fuge uber B-A-C-H which is written in the German romantic organ features and analyzes how B-A-C-H motive is transformed and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 18th-century, was advanced remarkably during the 19th-century German romantic period. Thanks to improvement of Rollschweller, it was possible to express dynamics. Owing to stop bettermen,t organ tones could have splendid orchestral sound. Liszt refered to Hugo Riemann's phrasing and applied to the emphasis which gave an accent to the second note after bar-line in composing Praeludium und Fuge uber B-A-C-H. And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get the effect to emphasize B-A-C-H motive. Praeludium und Fuge uber B-A-C-H used the method of thematic transformation as a free composition form. The B-A-C-H motive is embodied in the whole work and it is varied and developed through the work as well. The diverse alterations of rhythm made this work more technical and magnificent. Also extreme dynamic, chromatic scale and advanced harmonic usage are the features of romantic period, and these factors were mostly reflected in his work. In the conclusion, Praeludium und Fuge uber B-A-C-H reveals Liszt's originality greatly,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indicates German music's characteristics exceedingly. It is a representative artistic work which made organ music of the romantic era into concert orga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