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척추 유합술에서 자가 이식골과 동종 이식골의 비교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정필현,김태훈,채동주,문상호,박윤근,배호균,이재학 東國大學校 1999 東國論叢 Vol.38 No.-
척추 유합술에 있어서 자가 골 이식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술 시간과 실혈량이 늘어나고 공여부의 통증 및 감염의 위험등 단점으로 동종 골 이식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동종 이식골의 효용성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어온 것은 사실이나 여러 변수들, 즉 나이, 성별, 흡연력, 수술의 종류등에 따른 영향을 완전히 배제시키지 못하여 순전히 동종 이식골과 자가 이식골간의 비교가 어려웠다. 저자들은 척추관 협착증으로 후방 감압술 및 후방 기기 고정술, 후외방 골 이식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우측은 자가 이식골, 좌측은 동종이식골로 골 이식을 시행한 후 4년 추시에서 자가 골 이식한 부위는 견고한 골유합 소견을 보였으나 동종골 이식 부위는 이식 골이 모두 흡수되는 소견을 체험하여 같은 조건하에서 자가 이식골이 동종 이식골보다 골유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더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Posterior decompression, spinal instrumentation and bone grafting are the standard operative treatment method of spinal stenosis and other low back disorders. Although autograft bone is considered the standard in performing fusion of the bone, allografts are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bone graft agent becaue of the lack of complications at the donor site such as infection, increased blood loss and prolonged operative time Autografts have the other limitations because of inadequate quality and quantity. Many investigators have compared autografts and allografts in posterior spinal fusion, and there are proponents as well as opponents of allograft use. Numerous factors are thought to affect fusion, including age, sex, nutritional status, associated disease, type of fusion, length of fusion, types of instrumentation and smoking status. The validity of comparison studies between allografts and autografts is questionable when these variables are not controlled. We describe a man who had a spinal stenosis at the level of L4-5 and L5-S1. He was operated with posterior decompression, spinal instrumentation and underwent a posterolateral bone graft, comparing autografts and allografts in the same patient. At 4-year follow up, autografts have a solid union but allografts are resorbed completely.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 후의 탈구율
정필현,김종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목적 :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결과와 술후 탈구율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2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100례, 84명을 대상으로 후방 관절낭 봉합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으로 분류하였다. 임상 결과는 Harris hip score를 이용하였다. 결과 :임상 결과는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한 군이 조금 양호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탈구율은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이 7.8%(38예 중 3예)인 반면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한 군이 1.4%(62예 중 1예)로 상당한 탈구율의 감소를 보였다(p<0.05). 결론 : 저자들의 연구에서 후방 관절낭 봉합술을 시행한 고관절 전치환술은 술후 즉각적인 안정성에 기여하며 탈구율을 낮추는 방법으로 판단하였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nd prevalence of disloc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posterior capsular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84 patients, 100 cases of total hip arthroplasty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1991 to December 2000. Cas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osterior capsular repaired group and unrepaired group.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ing system and prevale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in the posterior capsular repaired group were slightly better than those of the unrepaired group,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The prevalence of dislocation was 7.8% (3 out of 38 cases) in the unrepaired group, whereas it was 1.4% (1 out of 62 cases) in repaired group; this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ate of dislocation (p<0.05). Conclusion: Our research showed that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posterior capsular repair can reduce the prevalence of postoperative dislocation and give more immediate postoperative stability.
정필현,강석,황정수,김종필,김영성,김정란,안광욱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호산구육아종은 원발성 골종양의 약 1%를 차지하며 주로 소아나 청소년에서 호발하는 종양이다. 두개골, 늑골, 척추 등에서 호발하며 장골(long bone)을 침범한 경우 대개 골간이나 골간단에 발생하며 예후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골반골의 비구 주위부를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다. 방사선학적으로 호산성 육아종은 유잉 육종, 골육종, 전이암, 골수염 등과 감별이 어려워 조직 검사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9세 여아의 비구 상연에 단독으로 발생한 골 용해성 병변에서 조직 검사상 호산구육아종으로 진단되고 소파술 후 4년간의 추적관찰중 재발의 소견을 보이지 않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osinophilic granuloma accounts for 1% of primary bone tumor. It characteristically occur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It usually involves the skull, ribs, spine or long bones. It is very rare to occur at supra-acetabular area on ilium. Biopsy is necessary for differential diagnosis because the roentgenographic finding of the lesion may be indistinguishable from other bony lesions, such as Ewing's sarcoma, osteosarcoma, metastatic tumor or osteomyelitis. We report a case of 9 year old girl with solitary eosinophilic granuloma in the right supra-acetabular area, successively treated with curettage. During 4 years follow up, there was no evidence of clinical recurrence.
거대 세포종에 의한 대퇴골 전자간 병적골절에 대한 치료
정필현,황정수,강석,김종필,이호민,김정란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거대 세포종은 전체 골종양의 약 5% 내외의 분포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대부분 장골의 골단부 골간단에 발생하며 미세 골절이나 병적 골절이 드물게 동반되기도 한다. 거대 세포종에 의한 대퇴골 전자간 병적 골절의 경우에는 대퇴골 전자간 분쇄골절의 치료도 쉽지는 않은데 재발을 잘하는 거대 세포종에 의한 병적 골절의 경우 종양을 완치시키고 골절도 유합시키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대퇴골 전자간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에 의한 병적 골절을 소파술 및 동종골 이식술 후 압박 고 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iant cell tumor accounts for about 5% of all bone tumors occuring at epi-metaphysis. Giant cell tumors are rarely associated with micro-fractures or pathologic fractures. Communi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femur itself is difficult to obtain f m union, and in case of pathologic communi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femur due to highly recurrent giant cell tumor, it is arduous task to obtain fm union and treat the cancer at the same time. We hereby report a case of pathologic fracture of femoral intertrochanter due to giant cell tumor which was treated by compression hip screw fixation after curattage and allogenous bone graft.
정필현,황정수,강석,김종필,곽주영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드꾀르벵 병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지만 효과가 없을 때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이 때 요골의 배측 수근 인대에 의해 형성되는 골섬유 관의 제1 구획을 통과하는 장 무지 외전 건과 단 무지 신 건의 협착성 건막열을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 구획을 통과하는 장 무지 외전 건이 두 개인 기형 소견을 보인 드꾀르벵씨 병 환자를 건막 절제술로 치료하여 동통의 호전을 얻은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conservative treatment is usually done for de Quervain's disease, various pathologic factors that causes tenosynovitis in the abductor pollicis longus tendon and the extensor pollicis brevis tendon in the first extensor compartment are frequently encountered during the surgical treatment of de Quervain's disease. We treated a patient with de Quervain's disease who had a duplicated abductor pollicis longus tendon in the first extensor compartment. After the excision of fibrous thickened sheath, the pain was relieved.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정필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비구 골절은 해부학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수술적인 접근이 어려워서 골 견인 등의 비 수술적인 치료가 주로 사용되어 왔었으나 프랑스의 Judet와 그 제자인 Letournel에 의하여 체계적인 분류와 수술적치료법이 도입된 이후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서, 현재는 전위된 비구 골절에는 주로 수술적 치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좋은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저자는 비구 골절의 수술적인 치료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개관하였다. Non-operative treatment such as skeletal traction for the acetabular fractur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the acetabulum has a complex anatomy to approach. Since Judet and his student Letournel of France introduced systemic classification and surgical treatment of the acetabular fracture, most of the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s are now treated surgically with good results. I reviewed generally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acetabular fracture.
정필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2
평균 수명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인구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노인들의 고관절부위 골절의 빈도가 급증하게 되어서 우리나라에서도 노인 고관절 골절이 선진국에서와 같이 중요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 고관절 골절은 발생 빈도가 높고 합병증과 사망률이 높은 것이 문제이며 치료하더라도 1년 이내에 사망할 확률이 15~20%나 된다. 그리고 치료가 되더라도 장해가 남는 경우가 많다. 발생된 고관절 골절에 대한 치료 원칙은 견고한 수술적 내고정을 통하여 환자를 조기보행하게 하여서, 침상에 누워만 있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폐렴, 욕창, 요로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1년간의 통산사망률이 15~20%로 높지만 수술 후 2주 이내에 보행이 가능한 환자는 수술 1년 후에도 대부분 생존해 있다. 노인 고관절 골절은 대퇴골 경부 골절과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대부분이며 두 가지가 비슷한 빈도로 발생한다. 저자는 노인 고관절 골절의 진단과 최근의 치료법에 대하여 개관하였다. Incidence of the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increased abruptly as the average life span was expanded, and it now becomes an important social issue in Korea as it was in the developed countries.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occur very commonly and have many complications and high mortality rate such as 15~20% one year mortality, and those survived got many disabilities. Treatment principle of the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is rigid internal fixation to do early ambulation which will prevent pneumonia, bed sore, urinary traction infections or others caused by bed ridden state. The ability to walk within 2 weeks after surgery is associated with living at home 1 year after surgery, although average one year mortality rate is 15~20%. Femoral neck fractures and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re two common hip fractures in old age with same incidence. The author reviewed the diagnosis and latest treatment of the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Isolation Enhancement of Internal MIMO Antenna
정필현,양운근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1
In this paper, we proposed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n internal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for multiband operations including LTE (Long Term Evolution) 700/2300/2500. And to enhance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a parasitic element is designed and applied. The proposed single antenna has a volume of 60 mm(W) x 38 mm(L), and the ground plane is 60 mm(W) x 100 mm(L). The parasitic element used for enhancing the isolation of the antenna was designed with a copper on FR4 sized 60 mm(W) x 20 mm(L) x 1.6 mm(H), and the pattern size is 60 mm(W) x 15 mm(L).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LTE 700/2300/2500, DCS (Digital Cellular Service: 1710-1880MHz), K-PCS (Korea-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1750-1870MHz), US-PCS (U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1850-1990MHz),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1920-2170MHz), Wibro (2300-2390MHz), Bluetooth (2400-2483MHz),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2400-2483.5MHz), US-WiMAX (US-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2400-2590MHz) frequency bands were covered with S11 values less than -6dB (VSWR < 3).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on S21 at 730MHz for the firstly designed MIMO antenna showed -5.50dB and -5.65dB, respectively. When with the parasitic element at the separated ground plane to enhance the isolation performance, -10.33dB and–12.90dB are obtained for the simulation and measurement, so the enhanced isolation performance at lower frequency band (617-867MHz) is confirmed.
비확공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폐쇄성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
정필현,황정수,채동주,문상호 東國大學校 1998 東國論叢 Vol.37 No.-
Most of closed fractures of the tibial shaft can be treated successfully with medullary nails. Reamed intramedullary nailing technique has become a good alternative method in treating the close tibial fracture. Unreamed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has been employed successfully in the treatment of open tibial fractur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esult of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without reaming in the treatment of closed fractures of the tibial shaft. From 1995 through 1998, fifty four cases of the closed, displace tibial fractures were treated by an unreamed intramedullary nailing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 year and 5 months(ranged from 12 months to 27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ifty four cases were treated with closed, unreamed nailing technique and the nail which has 1mm smaller diameter than isthmic width of unaffected tibia was choosen. 2. The average time to bony union was achieved at 17 weeks without abundant periosteal b callus formation. 3. Eight tibiae were required the additional procedure such as autogenous bone graft, skin graft or local skin flap. We also have observed the screw breakage of ten tibiae but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jamming or incarceration and no significant complicaton such as bending or breakage of the nail, shortening or non-union of the fractures. In conclusion, unreamed technique is an attractive method to treat the close, displaced fractures of the tibial shaft.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견고한 내 고정으로 조기 관절운동 및 체중 부하를 통해 골절 유합 및 기능 회복을 도모할 수 있는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골수강내 금속정술의 장점은 술 후 조기 관절운동과 체중 부하가 가능하여 이환율(morbidity)을 감소시키며 불유합의 발생률이 낮아는 것이다.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비확공성 금속정 고정술은 주로 심한 연부 조직 손상을 동반한 골절 및 개방성 골절의 치료에 적용되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폐쇄성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는 골수강 확공 후 골수강을 충만시키는 금속정을 삽입하는 확공정 금속정 고정술이 시행되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저자들은 폐쇄성 경골 간부 골절에 대해서 비확공성 금속정 고정술의 유용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치료했던 54례를 평균 1년 5개월 추시하여 골 유합 기간,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확공성 금속정 고정술시 골 유합 기간은 확공성 금속정 고정술시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확공을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jamming이나 가는 직경의 금속정을 선택함으로써 우려되는 금속정의 휨, 부러짐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폐쇄성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도 비확공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