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광고의 사운드와 비주얼 모션과의 구조적 상관관계

        정원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3

        Sound essentially accompanies visual works such as TV and movies, but there is a tendency that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is. Especially in TV commercials, visual elements including motion as well as audio elements including narrations, special effects and BGM play important roles. With sound, meaning of image is delivered more clearly and visual works get more impressiv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ound is one element that vitalizes the imag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sound and visual motion expression technique that appear in TV commercials. First of all, general status of rhythm of sounds and visual balance of TV commercials were explored. By analyzing features of TV commercials produced within limited running time through actual cases of TV commercial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importance of sound design that takes important position in image further. As a result, sound was found to cause emotions of consumers and to be structurally correlated with visual motion. In addition, role of sound was found to be important appeal for production of ads in TV commercial, regardless of music genre. TV와 영화 등의 영상작품에서 음향은 필수적으로 동반되지만 일반적으로 의식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특히, TV광고는 시각적요소인 모션을 비롯해 청각적요소인 효과음과 음악, 내레이션과 조화를 이루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운드가 함께 함으로써 영상의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고 영상작품은 보다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사운드는 영상의 생명을 살리는 하나의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TV광고에서 나타난 비주얼 모션 표현기법과 사운드와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내용이다. TV광고에서 나타난 영상의 시각적요소인 모션과 청각적요소인 사운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장르별 광고의 시각적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시간적 요소와 함께 영상기법요소들을 분리하여, 음과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TV광고에서 나타난 사운드와 모션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결과, 사운드는 비주얼모션과의 구조적 조화 관계가 시각적인 인상과 청각적인 인상이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적 장르와 상관없이 TV광고에서 사운드는 광고제작의 중요한 소구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원자력 수용성에 관한 실험 연구: 원자력 정보원, 원자력 지식과 거주지역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정원준,목진휴,김병준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정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수용 태도에 대한 이해증진과 효율적인 소통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 정보제공자(또는 정보원)가 제공하는 원자력 메시지를 네 종류(① 사회과학자가 제공하는 부정적인 메시지, ② 자연과학자가 제공하는 부정적인 메시지, ③ 사회과학자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메시지 그리고 ④ 자연과학자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메시지)로 조작하고 각 각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각 원자력 지식 전달 메시지의 영향도는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전반에 대한 지식의 수준(높음 vs. 낮음) 그리고 거주지의 원자력 시설 근접정도(근거리 vs. 원거리)에 따라 조절(moderation)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4 X 2 X 2 모형형식(factorial design)의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y)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정보원 주체와 상관없이 부정적 메시지는 이해관계자의 원자력 수용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긍정적 메시지의 영향력은 미비하였다. 또한 같은 정보와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원자력 지식정도에 따라 그 영향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근접정도는 수용도에 주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메시지의 영향과 이원적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에, 수용성 증진을 위한 다차원적 대안과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mpliance of publics on nuclear energy policy by combining the 3-way interactive roles of different types of messages, nuclear energy knowledge and the proximity of living around a nuclear facility. For the end, this study used a quantitative approach by using 1,037 participants in a 4 (messages: a negative message of natural scientists, a negative message of social scientists, a positive message of natural scientists, or a positive message of social scientists,) × 2 (nuclear knowledge: high vs. low) × 2 (long vs. short distance of living)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message types, publics were less likely to accept the nuclear energy policy while they received negative messages while the nuclear knowledge has a main impact on the compliance. And,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of the messages and proximity on the complianc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정 수소 저장을 위한 고효율, 저탄소 배출 암모니아 합성기술 동향

        정원준,김진태,조강희 한국청정기술학회 2024 청정기술 Vol.30 No.2

        최근, 무탄소 에너지원(특히, 선박 및 혼소 발전), 고효율 청정 수소 저장 및 매개체로써 암모니아가 다시 각광받고 있다. 암모니아는 화학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인 Haber-Bosch 공정을 통해 합성할 수 있지만, 이 공정은 에너지 소비량이 높고 탄소 배출량 역시 높아, 기존 공정을 통해 암모니아를 합성할 시 탄소 저감 효과가 미미하다. 이러한 기존공정의 치명적인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높은 에너지 효율로 탄소 배출이 적게 암모니아를 합성할 수 있는 열화학적 합성 방법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소재측면에서는 기존 공정보다 완화된 공정 조건에서도 충분히 높은 암모니아 합성 성능을 보일 수 있는 고성능 촉매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공정측면에서는 매체 순환식(chemical- looping) 합성 방법, 플라즈마 합성방법, 기계화학적 합성 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번 총설에서는 최근 청정수소 저장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어떤 암모니아 합성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지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establishment of a hydrogen-based economy and the utilization of low-carbon energy sources, particularly for shipping and power generation, have been in high demand in order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In particular, ammonia is gaining renewed attention because it is capable of serving as a key facilitator for high-efficiency green hydrog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it is also capable of serving as a low-carbon energy source. Although ammonia can be synthesized through the Haber-Bosch process, the high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 associated with this process result in minimal carbon reduction. To address the critical drawbacks of the traditional Haber-Bosch process, various thermochemical synthesi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allowing for the synthesis of ammonia with lower carbon emissions and a higher energy efficiency. Research is also progressing in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catalyst materials that are capable of demonstrating sufficient ammonia synthesis performance under milder process condi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Additionally, a variety of different processes such as chemical-looping ammonia synthesis, plasma synthesis, and mechanochemical synthesis are being applied diversely. This review aims to provide a detailed overview of the emerging ammonia synthesis technologie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store green hydrogen for future applications.

      • KCI등재

        내성천 유역의 강우-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민감도 분석 및 매개변수 평가

        정원준,지운,Jeong, Won Jun,Ji, Un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2

        유사발생 잠재성 및 토양침식으로 인한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내성천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토양침식-유사이송으로 이어지는 유역단위의 분포형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유출과 유사농도 모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도계수 및 투수계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의결과, 내성천유역의 토지 피복이 숲인 지역의 조도계수를 0.4에서 0.45로 변경하여 지표수 유출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향석 지점에서의 유출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유출수문곡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유사농도 값과 유사농도의 범위에 있어서도 모의 결과가 근소하게 증가하나 유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수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투수계수 값을 저감 시킬수록 총 유출량 및 첨두 유출량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농도 모의의 경우에도 투수계수를 저감시킬수록 모든 지점에서 평균 유사농도 및 유량에 따른 유사농도 범위가 증가하였으며, 향석 지점의 경우 투수계수를 50% 저감하였을 때 유사 농도 모의 값이 유량-유사량 관계식에 의해 계산된 값과 가장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