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방문 외국인관광객을 위한 유니버설 사인시스템 평가 -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

        정원준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availability, convenience, and usability from foreign tourist’s perspectiv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in Busan, based on universal design. This village has a group of residential houses formed like a staircase on mountainsides at the foot of a mountain in a picturesque way. This target location has great preservative value both historically and culturally, is voted the topmost place foreign tourists want to visit, and is currently going to over-tourism and gent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ign design problems occurring due to the language barrier and cultural difference that the universal design ideology aims for according to the visual sign system evaluation in a situation where foreign tourists are increasing.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tudy, the range of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as reinterpreted in terms of signs, and a field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6 items, including directional signs and restriction signs. As a result, most of the signs installed in the target area was found to have no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and were unsafe. There were especially many signs without a foreign language as well as cases with unclear and directions. Moreover, the varying materials were hard to be distinguished, hence decreasing the effectiveness, and the signs among the store signs were installed in a complicated manner without flexibility. Overall,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foreigners. Therefore, a policy to fix these problems is in great need, and we will conduct a follow-up study on sign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

        코로나19 위험・위기정보 공유・확산 네트워크 연구: 질병관리청 유튜브 계정 내 소통 활동을 중점으로

        정원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광고연구 Vol.- No.135

        본 연구는 전 세계적 팬데믹(pandemic)을 유발한 코로나19 위험・위기 상황에서 많은 공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습득할 뿐만 아니라 공유・확산의 주체가 될 것이라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기반으로,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주무 조직인 질병관리청이 개설한 ‘아프지마TV’ 유튜브 채널 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공유・확산 네트워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위험・위기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국내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점부터, 2~3차 유행, 그리고 현 진행 상황인 사회적 거리두기 완전 해제까지 네 가지 대응 주기로 분류하고, 정부의 대응 추이에 맞게 시계열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총 156건 유튜브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보 공유 정도를 평가하는 근접 중심 성과 확산 정도를 탐색하는 매개 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주기별 네트워크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각 시기별 네트워크상 공유・확산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게 유사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네트워크 밀도와 크기는 점차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하여 질병관리청과 다른 주체(예: 기타 공공기관, 일반인 유튜버 등) 간 협력적이며 공동체적 커뮤니케이션이 미약했음에 기인했다. 코로나19 이슈는 완전히 소멸된 위험이슈가 아닌 지금도 진행형이며, 향후에도 신종 전염병의 도래가 반복될 수 있기에, 위험・위기관리 측면에서 정부의 효율적이며 전략적인 양방향 위험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AI 커버곡 사례를 통해 본 생성형 AI의 법률 문제

        정원준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産業財産權 Vol.- No.76

        최근 부각되는 생성형 AI 기술은 예술적 감각이 뛰어나지 못한 일반인들 도 얼마든지 창작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음악의 영역에서 활용되는 AI 음성합성 서비스는 특정 사람의 음성을 추출하여 감성 정보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한 가수가 다른 가수의 노래를 실제 부르는 것 같은 커버곡을 만들거나, 이용자 개인의 목소리로 특정 가수의 창법과 음색을 모방하여 가창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합성음원 을 생성해준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타인의 음성과 음원에 대한 이용허락 없이 제작 한 AI 커버곡은 여러 권리 침해를 둘러싼 법률 쟁점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우리나라 저작권법은 가수의 목소리를 저작권의 보호 대상으 로 하고 있지 않아 목소리에 대한 무단 사용이 어떤 권리의 침해를 구성하는 지부터가 명확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제1호 타목 에서는 일정한 요건 하에 재산적 가치가 있는 인격적 표지에 대한 이익 침해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음성의 주인이 망인(亡人)이라면 권리의 상속 에 관한 또 다른 쟁점이 해결되어야 한다. 또 인간의 커버곡과 달리 확률 분포에 따른 계산적 연산을 통해 출력되는 AI 커버곡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 지의 문제는 아직까지 명확한 법이론적 원칙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AI 커버곡을 제작하고 이용하는 단계에서 문제되는 권리 침해 쟁점에 관하여 가상의 사례를 구성하여 쟁점별로 면밀 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또 민법 개정안에 포함된 인격표지영리권과 저작권 법 전면개정안의 초상등재산권 등 이미 입법론적으로 논의된 바 있는 규정 들이 실사례의 적용에 있어서 어떠한 한계요인이 있는지, 나아가 AI 커버곡 을 제작하는 단계와 산출된 생성물을 공개․이용하는 단계에서의 저작권 침 해 쟁점과 책임의 범주, 그리고 면책 가능성 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 였다. 다만 이 글의 이해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 누가 침해행위의 주체가 되는지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은 언제든 사안에 따라 달라질 여지가 있다는 점은 한계이다. 향후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혁신적 기술에 해당하는 생성형 AI 기술을 토대로 하는 다양한 신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침해적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최소한의 해석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Generative AI technology that has recently emerged opens up infinite possibilities for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an excellent artistic sense to carry out creative activities. Among them, the AI voice synthesis service, which is used in the field of music, creates various types of synthetic sound sources, such as making a cover song that one singer seems to be actually singing another singer's song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emotional information by extracting a specific person's voice, or imitating a specific singer's singing method and tone with the user's individual voice. The problem is that AI cover songs produced without permission to use other people's voices and sound sources may raise legal issues surrounding infringement of various rights. In particular, Korea's copyright law does not protect the voice of singers, so it is not clear what rights the unauthorized use of the voice constitutes. In this regard, Article 2, Subparagraph 1 (a)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prohibits infringement of interests on personal signs of property value under certain conditions, but if the owner of the voice is a deceased person, another issue regarding the inheritance of rights must be resolved. In addition, unlike human cover songs, a clear legal and theoretical principl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on how to handle AI cover songs output through computational operations according to probability distributio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a close review of each issue by constructing a hypothetical case on the issue of infringement of rights at the stage of producing and using AI cover songs. In addition, what limitations are there in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s that have already been legislatively discussed, such as personality mark profit rights included in the Civil Act amendment and portrait property rights in the full amendment to the Copyright Act, and furthermore, the scope of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and responsibilities at the stage of producing and using the produced product, and the possibility of immunity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However, in the understanding of this articl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is room for solving problems such as specifically providing services in what form and who is the subject of infringement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case.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inimum interpretation standard to assess the infringing situation in providing various new services based on Generative AI technologies corresponding to innovative technologies.

      • KCI등재

        인공지능(AI) 스피커의 사회적 가치 실현 가능성 예측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정원준,이정일,김병희 한국PR학회 2020 PR연구 Vol.24 No.5

        Objectiv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emerged as a major industry. Among a variety of AI-based products, AI speakers have gained attention for their utility and showed rapid growth in the consumer Internet of Things (IoT) market. This study applied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socially responsible values of AI speakers as a tool of social suppor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older generation. Methods: The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re applied into the analyses of the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ndom forest algorithm produced the most optimized prediction for improvements. In detail, the functional aspects hel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while the affective aspects influenced that of the weaker ones in the same way. Conclusion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insights were provided.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스피커가 고령화 시대에 노인층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지원 도구로서의 사회적 가치 실현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방법: 머신러닝 기법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LR), K-최근접 이웃 분류(KNN), 의사 결정 나무(DT), 서포트 벡터 머신(SVM) 그리고 랜덤 포레스트(R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회적 가치 구현 예측에 대한 최적화된 모형을도출하였다. 나아가, 그 최적화 모형에 따라 사회적 약자층과 일반 고령층으로 구분한 두 집단에서 삶의 질향상의 영향 요인 차이를 탐색하여, 공공재로서 AI 스피커의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에 필요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측력이 가장 높은 알고리즘은 랜덤 포레스트였으며, 사회적 약자층에서는 AI 스피커의 정서적인 지원 속성이, 일반 노령층에서는 기능적 지원 속성이 삶의 질 향상의 주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AI 스피커가 공공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서는, 첫째 사용의 용이성을 증대하는 등 제품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둘째 AI 스피커와 사회적 약자가 교감하는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