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연정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 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Over the last two centuries, marketing trend has switched from production expansion era in 20th to customer emotion focused era in 21st. It is no longer an exaggeration to say that customers put more value and pay extra for the positive buying experience over the purchasing product itself.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CEM) is a mixture of different emotions occurred while a corporate offers physical practice and customers’ expectation. Various industries are competitively practicing CEM and in the shipping industry, numerous activities from cargo booking to delivery occur but shipping companies usually rely on sales representative rather than approaching it through systematic process. Most of the precedent study were focused on CEM analysis for general service industry. Thus, applying the analysis directly in shipping industry was unreasonable due to its complexity. Thus, this study derived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hipping industry and analyzed CEM cases in the corporate currently practicing customer experience. Factors affecting customer experience such as price, functional, personal, physical environment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to verify the impact of each factors in customer service. Result proved that freight (price), stability (special request) were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customers’ decision when selecting a shipping corporation. Customer satisfaction is an overall evaluation for the emotions that customers experience. Among the customer experience criteria, personal and price factors were proven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ther hand, immediacy and convenience, physical environment were dismissed which reflects that these factors needs to be enhanced in order to raise the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include reasons and means for positive customer experience regarding changes in marketing trend over the time. Additionally, it derived which factors are valuable and satisfying for the customers for the shipping corporations lacking CEM. Once shipping corporations can manage positive customer experience by developing and enhancing CEM process, competitiveness of each company will increase as well. Thus shipping companies should recognize that CEM is rather a core process rather a selection. Shipping corporations should take this opportunity to prepare and develop CEM process internally. 20세기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제품 확장의 시대였으나, 21세기는 고객이 중심이 되는 고객감성이 중요시되는 시대로 마케팅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 고객은 무엇을 사는가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좋은 경험을 가지게 되는 것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객경험관리(CEM: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한 물리적 실행력과 모든 접점에서 고객이 기대했던 것과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느끼면서 발생하는 감정의 혼합을 뜻한다. 다양한 산업 군에서 앞 다투어 고객경험 관리를 실천하고 있으나, 화물의 부킹에서 부터 고객에게 인도되기까지의 수많은 접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해운기업에서 고객경험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관리 보다는 영업담당자에게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선행연구들은 해운기업이 아닌 일반적인 서비스업의 고객경험 사례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대부분 이였다. 일반 서비스업 보다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산업군인 해운업에 이를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운산업의 특징 및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 고객경험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들의 고객경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고객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격적요인, 기능적요인, 인적요인, 물리적 환경요인을 변수로 설정하여 각각의 독립변수들을 통해 느끼는 고객경험이 고객가치와, 고객만족에 주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해운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운임(가격), 안정감(특별요청사항 수행 등)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는 해운기업을 선택할 시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고객만족은 고객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써, 고객경험 중에 인적요인, 가격요인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편의성, 신속성, 물리적 환경 요인은 기각되었는데, 이는 향후 해운기업이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편의성, 신속성,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서비스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족스런 경험을 한 고객은 기업을 이용할 때 고객의 가치를 느끼며 이는 고객만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운임과 업무 편의성이 비슷하다고 가정하였을 때 인적요인이 고객의 경험과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파악하였다. 고객의 만족스런 경험은 곧 고객만족으로 이어지고 만족한 고객은 해운기업을 이용한 행위가 가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운기업들이 고객경험 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강화하여, 성공적인 고객경험을 관리한다면 고객들은 운임이 아닌 가치 있는 서비스를 구매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해운기업의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기업에서도 고객경험 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임을 인지하여 고객경험관리를 구체적으로 논의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win birth weight difference and adverse neonatal outcome Methods : We used the 1999 to 2005 matched multiple birth file for Dongguk university hospital twin births(n=91). Birth weight discordancy wa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difference in birth weight of the heavier from the lighter twin to that of the heavier twin and was categorized as <15%, 15-25% and ≥25%. We evaluated the risks of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within 28days after birth). Results : The prevalence of birth weight discordance ≥ 25% among twin pregnancies was 6.6 %. Birth weight discordance ≥ 25% was associated with higher neonatal mortality as compared to twins with lower birth weight discordance Conclusions : In twin gestations, the use of a 25% weight difference to define twin birth weight discordance seems to be clinically relavant in identify those infants at risk for adverse perinatal outc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ancer’s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in depth and then look into the cases of dancer’s overcoming of it. For this, 4 typical dancers who were 20 ~ 35 years old and had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were purposefully sampled nationwide, and then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m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s, in-depth interview and descriptiv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n examined it through encoding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veracity and ethicality of research. The case study on dancer’s overcoming of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consisted of 2 parts: (1) my body for a dancer; and (2) overcoming of my bod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y body for a dancer’, a person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body when she was growing up as a dancer and occasionally comparing her body with an ideal dancer, thus perceiving her physical inferiority through competition and psychological anxiety. In a competitive society, a dancer could not satisfy with her physical reality, always compared herself with others, and then felt the limitation of her inferior body part. Since the perception of people around was focused on social images, a dancer experienced physical limitations, thus hurting her self-esteem. However, the influence of other’s evaluation on self-esteem seemed not to be great. She did not satisfy with her body, but she came to have a positive will to accept her physical reality and overcome it. Second, regarding the factor of ‘overcoming of my body’, the method of dancer’s overcoming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seemed to closely connect with circumstantial improvement. As a workplace attached importance to harmony and a dancer tried to become a dance educator whose body had no great effect, circumstances were improved. In addition, a dancer’s effort and will were essential in overcoming her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Through efforts and will in diverse areas, she could overcome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Through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a dancer had the time of self-reflection and then felt the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In addition, for a dancer to overcome her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it was necessary to reflect on herself, admit her inferior physical parts, and put endless efforts into improving them, thus coming to accept her inferior physical part and then embrace it. As a dancer overcame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her perception changed as well. After she had the time of self-reflection, she put every effort in overcoming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thus recovering self-confidence and achieving self-realization. In addition, after she overcame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she even provided diverse advice and guidance to others in order for them to settle down their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From this study, the author understood the fact that a dancer who overcame her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could discard the negative words of ‘inferiority complex’ and then achie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development. 본 연구는 무용수의 신체열등감과 신체극복에 대한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전국의 신체열등감 극복경험이 있는 20세-35세 이하의 무용수 4명을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을 한 후,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문서수집과 심층면담, 서술적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부호화와 항시비교법으로 분석하고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확인하였다. 신체열등감을 극복한 무용수의 사례 분석으로는 무용수에 대한 나의신체와 신체극복 2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무용수의 나의신체에서는 무용수로서 성장해가면서 신체에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되고 이상적인 무용수의 신체와 자신의 신체를 비교하기도 하면서 경쟁과 불안심리 속에서 신체적 열등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쟁사회 안에서 현실적인 자신의 모습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남과 비교하게 되며, 열등부위에 대한 한계를 느끼게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주변의 인식 또한 사회적 이미지에 맞춰져 있어 그 과정 안에서 무용수가 한계를 경험하게 되고 자존감에도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타인의 평가로 인해 자존감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의 신체에 만족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체를 받아들이고 극복하려는 긍정적 의지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신체극복 요인에서는 무용수들이 열등감을 극복한 방법에는 상황의 개선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장에서 화합을 중요시하였고, 신체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무용교육자의 꿈을 가지게 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노력과 의지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과 의지를 통해 신체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열등감을 통해 자기성찰의 시간을 갖게 되고, 신체와 정신의 조화를 느끼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을 되돌아보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인정하여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신체열등부위를 받아들이고 포용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열등감을 극복하게 되면서 무용수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자기성찰의 시간을 가진 뒤 모든 방면에서 노력하여 신체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되찾게 됐으며, 자아실현을 이루게 됐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열등감을 극복한 후 타인의 열등감을 해소해주기 위해서 다양한 조언과 지도를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신체열등감을 극복한 무용수들이 열등감이라는 부정적 단어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과 자기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합 교육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논술 교수 학습 방안
정연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eaching-learning method of essay writing that realizable in schooling. I suggest to practical use a text book and based on integrated education. Essay Writing is not only the active writing for revealing own opinion or self-assertion to other people, but also one of the ways of living. So, this course stimulates students' creative idea and makes them thought and behaved actively, and then, they will internalize right their values and faith. A school model of Essay Writing education conforms to the process of theory of constructivism. A interrupted subject model is evidence to be able to apply for a common education techniques in a Essay Writing aiming a pan-curriculum, but the blending subject model needs to correct itself by accepting a concept of learners and tools. A interrupted education was researched in the lights of integrated languages, a cooperating instruction, and unification of forms. They are full of suggestions in terms of using of Essay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difficulties to apply for a education field, they will be corrected gradually. This study research workable interrupted educations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and tries to the Essay Education model.
튜브표면에 버블부착을 이용한 입자 막힘 해소에 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튜브에 버블을 부착하여 마이크로 입자 막힘을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암세포가 모세혈관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이를 미세한 구입자를 주입하여 차단을 하는 치료법이 있다. 가늘고 긴 카테터를 통해 모세혈관에 미세한 구입자를 수송하는데, 그 과정에서 막힘이 발생해 시술하는데 방해가 된다. 막힘을 해소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여기서 나온다. 막힘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형상학적 막힘인 아칭이고, 또 다른 하나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부착이 되는 증착이다. 이러한 막힘을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몇몇 진행이 되었는데, 튜브에 화학적 코팅을 하거나 진동을 가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은 별도의 화학적 공정이나 장비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단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버블 플랜팅 기법을 제안한다. 캐비티를 형성시킨 채널에 유체를 흘려보내면 버블이 형성이 된다. 그리고 버블에는 슬립효과와 원심력효과가 있는데, 이 두가지 효과가 아칭과 증착을 줄여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칭과 증착에 대해 분석을 하고 버블의 슬립효과와 원심력 효과가 그들을 줄이는데 일조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실제로 캐드로 설계하고 MEMS 공정과 PDMS 몰딩을 통해 마이크로 채널을 제작하여 버블이 막힘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버블이 실제로 막힘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ing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nd studying the Hangeul versions of various different e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All existing different editions of 『Iryunhaengsildo』 are collected and analysis on bibliography and content was done to establish the system of different editions. The translation difference of various different edition Hangeul versions are summarized by their types and the variations in writing, phoneme, vocabulary and form in the different edi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study the language variation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nd learn the flow of them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the different editions archived by institutes and individuals at home and abroad were collected. In addition, the ‘friend’ section and the ‘sibling’ section of 『Iryunhaengsildo』 were included in the study scop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by the author, 62 books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The 62 kinds are; first edition, Gyoseogwan edition intermediate version, Gyoseogwan edition third version, Giyeong edition, Wonyeong edition, Haeyeong edition, Yeongyeong edition and period unknown edition. Among these different editions, the books in good state were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book of each edition. The variation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was studied and the style of translation was compared by the representative book of each edition. In Chapter 2 bibliographic study,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is established by studying the bibliography of different editions. As the result of bibliographic study,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can be classfied into; first edition main stream, Gyoseogwan edition intermediate version main stream, Gyoseogwan edition third version main stream, Gamyeong edition fourth version main stream, Mugangi main stream and 『Iryunhaengsildo』 stream.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by the style of engraving, such as whether the book has illustration or not, the difference in minuteness and the figure of lamb in the story of ‘lamb sharing(卜式分畜)’, consists of 3 kinds: first edition kind, intermediate edition kind (Gyoseogwan editions and Gamyeong editions) and 『Iryunhaengsildo』 kind. In Chapter 3, variations in writing, phoneme, vocabulary and form in the Hangeul version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re studied. 3.1. Regarding writing variation, the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for ending of word, middle of word, beginning of word and lateral writing. Regarding the end of word writing, the writing of consonant at the end of stem, the writing variation of end sound ‘ㄷ’ and ‘ㅅ’, and, the writing of consonant group at the end of stem were compared. Regarding the writing of fortis in the middle of word, the writing of fortis in the middle of word, the writing of aspirate sound in the middle of word and the writing of middle of word ‘ㄹ-ㄴ’ were compared. In 3.2 phoneme variation, the representative phoneme variation of recent age national language was studied such as the ‘ㆍ’ becoming non-phoneme, the variation process of ‘ㅿ’, palatalization and vowel rounding, becoming a fortis and becoming an aspirated sound. First, the sound value of ‘ㆍ’ was unstable from the beginning. The first step variation of ‘ㆍ’ went on inside morpheme and it was expanded to morpheme boundary and dark location in the Gyoseogwan edition. The second step variation of ‘ㆍ’ is ‘ㆍ’ becoming ‘ㅏ’ like the ‘가마니’ example in first edition. ‘ㅿ’ was substantially used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it was changed to ‘ㅅ’ or ‘ㅇ’ in Hakbongjongtaek edition. Regarding palatalization, the ‘ㄷ’ palatalization and ‘ㄴ’ palatalization examples are seen; however, there is no ‘ㅎ’ palatalization example. The only example is ‘심ᄡᅧ’ in ‘오륜ᄒᆡᆼ실’. Vowel rounding is not seen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there are some examples in Gyoseogwan edition and Giyeong edition. There is some becoming-fortis at the middle of word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it is limited in some part. However, becoming-fortis in the middle of word is active in Gyoseogwan edition. The only examples of becoming an aspirated sound are ‘칼’ in the beginning of word and ‘맛티-’ in the middle of word. However, becoming an aspirated sound, when it is combined and abbreviated at the boundary of morpheme, is seen in the first edition and it continues in later age editions. In 3.3 form change, the variation of postposition and the ending of word were studied. The variation of postposi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flow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When an edition of a book is published multiple times, the book uses conservative expression under the influence of original edition. The 『Iryunhaengsildo』 also shows this trend. The word ending variation was studied by classifying it into ‘word ending appearing at the ending of previous word’, ‘word ending at stem linking the word to next word’ and ‘word ending which finishes a sentence’. The variation of word ending is also well reflected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characteristic at time of publishing. For instance, the ‘-오-’, which is a word ending appearing at the ending of previous word, was used in first edition without exception; however, it was selectively used in the Gyoseogwan edition. Later in Giyeong edition, there are more examples of not using ‘-오-’. This variation is same with the flow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In 3.4, vocabulary variation, the variations of noun, verb and adverb were studied. Regarding the vocabulary variation characteristic of 『Iryunhaengsildo』 editions, more Chinese character words were used in the later editions. In addition, there are some rare vocabularies, which are used in only in 『Iryunhaengsildo』 or, even they are used in other literature, the examples are very rare. The examples are ‘앗보치’, ‘ᄃᆞᆮ즈우리다’, ‘아니완ᄒᆞ다’, ‘봄놀다’, ‘삽지지다’, ‘측측다’ and ‘브듸이’. These are replaced with vocabularies with significant relation in Gyoseogwan edition and later editions. In section 4, the translation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re studied by replacement, addition and deletion. The system of editions based on translation is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based on engraving style. The classification by engraving style is: first edition kind, intermediate edition kind and 『Iryunhaengsildo』 kind. The system by translation is classified into first edition kind, intermediate edition kind, transcription kind and 『Iryunhaengsildo』 kind. The reason of the similarity is that the roles of engraving and translation are same in transmitting the content of main text. The expression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case of being faithful to original content and the case of trying to have readers understand the content easie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system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flow by 『Iryunhaengsildo』 only.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by organizing and comparing different editions of single literature.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is useful in learning the variation process of national language from 16th century to 18th century. 본고는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세우고 여러 이본의 언해문을 국어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전하는 『이륜행실도』 이판본을 모두 수집하여 이들에 대한 서지 분석과 내용 분석을 수행하여 이판본들의 계통을 세울 것이다. 이어서 여러 이판본 언해문의 번역 차이를 유형별로 정리하며, 여러 판본 간 표기 변화, 음운 변화, 어휘 변화, 형태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수집한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목록을 작성하여 제시하고, 주요 판본 간 서지적 특성과 판화 양식을 비교하여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세웠다. 서지적 특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초간본류, 교서관판 중간본류, 교서관판 삼간본류, 감영판 사간본류, 무간기본류, 『오륜행실도』류 등으로 나누었다. 판화의 양식에 따른 계통 분류는 삽화의 삽입 유무, 세밀도의 차이, 복축분식(卜式分畜) 조항의 양 그림 등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기준들에 나타난 차이점을 근거로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검토한 결과, 초간본 계통, 중간본 계통, 『오륜행실도』 계통으로 나누어졌다. 중간본 계통에는 교서관판류와 감영판류가 속한다. 3장에서는 『이륜행실도』 이판본들의 언해문을 대상으로 표기, 음운, 형태, 어휘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3.1절, 표기 변화에서는 병서 표기를 어말, 어중, 어두 환경으로 나누어 초간본의 양상이 후대본에서 달라진 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어말 표기는 어간말자음의 표기, 종성 ‘ㄷ’과 ‘ㅅ’의 표기, 어간말자음군의 표기 등을 비교하였다. 어중 표기는 어중 경음 표기와 어중 유기음 표기, 어중 ‘ㄹ-ㄴ’ 표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초간본에서는 15세기 표기 경향이 강하게 남아 있었으나, 교서관판류에서는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과도기적인 특징이 반영되었음을 밝혔다. 감영판류는 보수적인 표기 경향이 일부 존재하지만 근대국어의 특징이 우세하게 반영되었다. 3.2절, 음운 변화에서는 ‘ㆍ’의 비음운화와 ‘ㅿ’의 변화 과정,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경음화, 격음화 등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변화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3.2절, 음운 변화에서는 ‘ㆍ’의 비음운화와 ‘ㅿ’의 변화 과정,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경음화, 격음화 등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변화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3.3절, 형태 변화에서는 조사와 어미로 나누어 이판본 간에 나타난 변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첫째, 조사의 경우, 격조사의 변화는 국어사 흐름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여러 차례 중간한 이판본의 경우 저본의 영향이 남아 보수적인 특징을 보이기 마련인데 『이륜행실도』에서도 이 같은 경향이 보인다. 둘째, 어미의 경우, 선어말어미와 연결어미, 종결어미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각 이판본마다 간행 시기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었다. 3.4절, 어휘 변화에서는 명사, 동사, 부사 등으로 나누어 어휘의 형태와 의미 변화를 논하였다.『이륜행실도』 이판본 간 어휘 변화에서 나타난 큰 특징은 후대본으로 갈수록 한자어로 교체되는 양상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4장에서는 『이륜행실도ㅍ 이판본의 번역 양상을 비교하여 이판본 간의 차이점과 영향 관계를 논하였다. 『이륜행실도』의 번역문[언해문]은 교화의 목적에 맞게 원문의 의미 전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묘산(二妙散)이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s)를 이용하여 동량의 황백(Phellodendri Cortex; PC,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과 창출(Atractylodis Rhizoma; AR, Atractylodes lancea D.C)로 구성된 이묘산(二妙散, Er-Miao-San; EMS)의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묘산이 HDF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세포 생존율, 세포 증식률, 세포 배가시간, 세포 유주능을 측정하였다. 이묘산이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ting, qRT-PCR, NF-κB transactivation activity assay를 실시하였다. 이묘산 7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을 보였고, 이묘산과 창출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이묘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배가 시간이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세포 유주능 관찰에서도 무처리군보다 세포가 빠르게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NF-α로 유도된 MMP-1의 발현은 이묘산 전처리 시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묘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묘산은 TNF-α에 의해 감소된 inhibitor of κB (IκB) 단백질 양을 회복시켜 NF-κB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HDFs에서 nuclear p65의 단백질 농도를 3배 이상 감소시켜 NF-κB의 핵 내로의 이동, IL-1ß와 IL-8의 발현 억제, NF-κB 전사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감소시켰다. 이묘산은 NF-κB inhibitor와의 비교에서 NF-κB inhibitor와 유사한 수준의 MMP-1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로 이묘산은 NF-κB pathway를 통하여 TNF-α로 유도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묘산의 세포 내 항염증 효과는 황백이 군(君, Monarch, Jun)약, 창출이 신(臣, Ministor, Chen)약이 되는 한방 처방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황백과 창출이 함께 배합되어 염증 억제 효과가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이묘산이 향후 피부 염증 관리 및 예방 천연물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r-Miao-San (EMS) on the expression of TNF-α-induced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EMS is comprised of equal amounts of Phellodendri Cortex (PC,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and Atractylodis Rhizoma (AR, Atractylodes lancea D.C). The technique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S included western blotting, qRT-PCR, and NF-κB transactivation activity assay. Also studied were the effects of EMS on DPPH radical scavenging, cell viability, cytotoxicity, doubling time,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HDF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var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MS extraction, with the highest activity seen when EMS was extracted in 70% EtOH. Treatment with either EMS or AR increased cell viability of HDF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treatment with PC decreased cell viability at concentrations of 500 μg/mL or higher. The shortest time for cell-doubling, indicating active cell proliferation, occurr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500 μg/mL of EMS. Cell migration was faster in cells treated with the EMS extraction than in control cell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NF-α-induced MMP-1 expression was decreased in HDFs pre-treated with, and this decrease was more than double that in control cells treated with TNF-α alone. In cells pre-treated with 500 μg/mL EMS, the decrease was more than three times that in the control cells treated with only TNF-α.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S inhibits TNF-α-induced expression of MMP-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EMS restored the amount of IκB protein reduced by TNF-α, thus effectively inhibiting NF-κB. It also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nuclear p65 protein by more than one-third in HDFs, thus inhibiting the translocation of NF-κB into the nucleus and NF-κB transactivation and accordingly reduc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EMS effectively inhibited TNF-α-induced MMP-1 expression through the NF-κB pathwa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MS stem from the interactions of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that turns PC into Monarch (Jun) medicine and AR into Ministor (Chen) medicine. Mixing of PC and AR seems to enhanc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MS. EMS has the potential to be a novel material to prevent and manage skin inflammation.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 Y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연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2 국내석사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는 1997년부터 시작된 국가지원의 시범사업 이후 현재 국가지원과 더불어 민간지원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확대단계에 있다. 그러나 현재 시범사업을 통한 효과성 평가는 많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으며, 이는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를 역설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 시점은 그동안의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적 접근보다는, 효과성 평가에 대한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검증을 통해 그 필요성이 강조될 단계라고 사료된다. 또한 궁극적으로 중·고등학교, 더 나아가 초등학교에까지 모든 학교에 학교사회복지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대원칙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나, 현실적으로 복지자원의 부족과 제약성 때문에 선별주의 원리가 보편주의 원리를 우선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적 문화 속에서 불평등한 교육적 환경이 재생산되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문제점을 통해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가 갖는 함의를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그 동안 충분히 평가되지 못한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를 위한 제도적 지원과, 실무자들을 위한 현장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적 현실에서 실업계 고등학교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학교사회복지 모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1997년 우리나라 교육기관에 의해 최초로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이 실시된 이래 2001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학교사회복지 활동이 축적된 유일한 실업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대표적 활동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5년 동안의 'Y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교사들과 학생들의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Y고등학교 교사들은 초창기에는 학교사회복지를 '교사의 고유영역에 대한 침범'이라 인식했으나, 이제는 '학교 내에서 교사들과 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학생지도를 위해 한 축을 이뤄야 하는 전문 영역'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내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학생복지를 위해 학생생활지도부, 진로상담부, 담임교사 등이 서로 협력하여 각자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 활동에 보다 내실을 기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한편, Y고등학교 학생들도 자신의 문제해결을 위해 학교사회복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특히 2001년도 학교사회복지 활동의 위기에 교사들과 학생들이 힘을 모아 해결했던 경험은,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며 그 효과성에 대한 반증인 것이다. 주목할 점은 2001년도 올해의 Y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 활동은, 그동안의 '치료적 개입'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예방적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 사회복지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목표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평균 이하의 열악한 교육권보장으로 인해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가 우선적으로 선별해서 개입해야 할 학교현장인,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학교의 접근용이성을 위해 Y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의 서비스 방향은 불가피하게 초창기의 미국처럼 치료중점이었으나, 실업계 고등학교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보다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문제상황을 감소시켜주는 이상적인 형태의 '예방적 개입'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예방적 개입'을 통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는 Y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생태체계적 관점에 기초한 '문화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태체계적 관점에 의한 문화적 접근은 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다양한 접근방식을 구사하는 개입으로, 이는 곧 학교사회복지의 차별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개입영역인 동시에 앞으로 충분히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C붙여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한국에서의 학교사회복지는 개척단계를 지나 확대단계로,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 및 학계에 보다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관심증대와 함께 제도화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제도화에 앞서 양질의 학교사회복지 전문인력 양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관련 인접학문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 학교사회복지 교육과정에 특별히 중점을 두어야 할 사회복지의 분야, 학교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커리큘럼에 대한 종합적인 모색이 요구된다. Since the first Korean school social work started as a government-supported pilot project in 1997, the school social work is now in the phase of expanding its activities with the support of private funds as well as government's. However, the evaluation of school social work so far did not prove its effectiveness and showed many limitations, therefore became another barrier for institutionalizing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Thus, it is more important to produce objective and reliable data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s in school, rather than taking a normative approach to argue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social work. Although maintaining the ultimate goal to implement school social work in all school settings including junior-high, high school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s, it would be more plausible to take a selective approach than a universal one, considering the lack and the limitations of social resources in the given situation. Moreover,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the unique problems of vocational high-school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school social work, especially in the Korean context where educational resources are not equally distributed. Therefore, this research, as a case study of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n a vocational high-school, will provide basic data for institutional supports and empirical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in aware of the situation that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ocial work has been underestimated so far. Especially,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situation of a vocational high school to further facilitat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n dealing with problems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settings. Thu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aking the main school social work programs in the Y high-school, where the first pilot program was initiated in 1997. Since then, the school has continued its social service implementations and solely accumulated its practices until now, the year 2001.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in Y high-school evaluated 'the school social work activities' for five years as very positive. The teachers of the school once thought the school social work as 'an interruption of the teacher's traditional area', however, they changed their attitudes recognizing the activity as 'a professional area that needs a firm institutionalization to guide the students in cooperation with teachers.' Such a change in school led to more effective social work activities and improved student services by enabling the cooperation and clarifying the roles among the Department of Students' Guidance, the Depart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the homeroom teachers. Moreover, the students in Y high-school could involve positively in terms of taking initiatives in using social work services to help themselv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resolving the crisis of school social work in 2001 by students and teachers themselves, reflects the strong need for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thereby assuring the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 It is worth recognizing that the social work activities in Y high-school during the year 2001 has become more ideal in terms of accomplishing social welfare goals in general. It has become more systematic and diverse with a comprehensive 'preventiv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treatment intervention' in the past. This experience can give us a meaningful implication in further facilitating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n vocational high school settings, where selective approaches should be taken considering the limited educational rights in these schools. Although th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Y high-school was inevitably treatment-centered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school to social services at first, as shown in the former U.S. experience, it has expanded its horizon to a more 'preventive approach' in order to decrease the problem-provoking situations, facilitating fundamental change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Examining the case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Y high-school, facilitation of school social work in vocational high-schools through 'preventive intervention' should actively incorporate a 'cultural approach' based on an ecological perspective. The cultural approach that maneuvers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can show the uniqueness of school social work, if further specialized. In addition to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chool social work in Korea has passed the phase of initiation and is now moving to the phase of expansion. The need for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many relevant practitioners and academia. With the increasing attention, a strong move toward institutionalization appears. However, training qualified and competent school social work professionals should preced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effective institutionaliz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comprehensive measure to provid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pecialized courses for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nd systematic training curricula for those practitioners who plan to work in school settings.
CCTV 설치에 대한 교사, 부모 인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연구
본 연구는 CCTV 설치에 대한 교사, 부모 인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연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TV 설치에 대한 교사, 부모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CCTV 설치와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P시, G시, U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250명과 P시, G시, U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학부모용 설문지 250부와 교사용 설문지 200부, 총 350부를 배부하여 학부모용 203부와 교사용 178부를 회수하여 총 2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서울형 어린이집 CCTV 및 IPTV 운영 실태 및 활용방안을 조사한 정현옥(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주제에 맞게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검토에 의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CCTV 설치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척도는 이정숙(2003)이 수정ㆍ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의 카이검정과 독립표본 t-test,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CCTV 설치에 대한 교사, 부모인식은 유아교육기관 CCTV 설치의 필요성과 설치에 대한 만족도는 교사와 학부모 유의한 인식차이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CCTV 설치가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연구 결과는 CCTV 설치 후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적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CCTV 설치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나 CCTV 설치가 안심보육과 관련하여 유아와 교사의 사생활과 인권침해가 어느 정도 용인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CCTV 설치로 교사와 부모가 서로 믿고 만족할 수 있는 유아기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의 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하여야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CTV installa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CTV installation? Second, what is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CTV installation? The study was made on 250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education institutions in Pohang, Gyeongju, and Ulsan as well as 200 children teachers who worked at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n Pohang, Gyeongju, and Ulsan; total 350 questionnaires of 250 questionnaires for parents and 200 questionnaires for teachers were distributed; and, total 286 questionnaires of 203 questionnaires for parents and 178 questionnaires for teachers were collected analysis. With respect to a too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used for the research of Jeong, Hyeon Ok (2011) who investigated operation status and utilization way of the Seoul-type nursery school CCTV and IPTV was used after revision by 3 exper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rsuant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SPSS WIN 21.0v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with respect to data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chi-test of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llowing is summary of the study; First, as for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CTV installation, necessity of satisfaction of CCTV instal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econd, as for result of research on teacher-child interaction of CCTV installation, it was found that their interaction was good after CCTV installation and that emotional interaction was the highest one. According to result of this study,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CCTV installation was positiv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rom the standpoint that privacy and human right infringement due to CCTV installation may be accepted to a certain degree in connection with secured child-care.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for child-care institutions to become reliable and satisfactory on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rough CCTV installation and then, to have an opportunity to rais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