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해운기업의 고객경험관리에 관한 실증연구

        정연정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 물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Over the last two centuries, marketing trend has switched from production expansion era in 20th to customer emotion focused era in 21st. It is no longer an exaggeration to say that customers put more value and pay extra for the positive buying experience over the purchasing product itself.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CEM) is a mixture of different emotions occurred while a corporate offers physical practice and customers’ expectation. Various industries are competitively practicing CEM and in the shipping industry, numerous activities from cargo booking to delivery occur but shipping companies usually rely on sales representative rather than approaching it through systematic process. Most of the precedent study were focused on CEM analysis for general service industry. Thus, applying the analysis directly in shipping industry was unreasonable due to its complexity. Thus, this study derived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hipping industry and analyzed CEM cases in the corporate currently practicing customer experience. Factors affecting customer experience such as price, functional, personal, physical environment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to verify the impact of each factors in customer service. Result proved that freight (price), stability (special request) were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customers’ decision when selecting a shipping corporation. Customer satisfaction is an overall evaluation for the emotions that customers experience. Among the customer experience criteria, personal and price factors were proven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ther hand, immediacy and convenience, physical environment were dismissed which reflects that these factors needs to be enhanced in order to raise the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include reasons and means for positive customer experience regarding changes in marketing trend over the time. Additionally, it derived which factors are valuable and satisfying for the customers for the shipping corporations lacking CEM. Once shipping corporations can manage positive customer experience by developing and enhancing CEM process, competitiveness of each company will increase as well. Thus shipping companies should recognize that CEM is rather a core process rather a selection. Shipping corporations should take this opportunity to prepare and develop CEM process internally. 20세기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제품 확장의 시대였으나, 21세기는 고객이 중심이 되는 고객감성이 중요시되는 시대로 마케팅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 고객은 무엇을 사는가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좋은 경험을 가지게 되는 것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객경험관리(CEM: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란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한 물리적 실행력과 모든 접점에서 고객이 기대했던 것과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느끼면서 발생하는 감정의 혼합을 뜻한다. 다양한 산업 군에서 앞 다투어 고객경험 관리를 실천하고 있으나, 화물의 부킹에서 부터 고객에게 인도되기까지의 수많은 접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해운기업에서 고객경험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관리 보다는 영업담당자에게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선행연구들은 해운기업이 아닌 일반적인 서비스업의 고객경험 사례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대부분 이였다. 일반 서비스업 보다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산업군인 해운업에 이를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운산업의 특징 및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 고객경험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들의 고객경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고객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가격적요인, 기능적요인, 인적요인, 물리적 환경요인을 변수로 설정하여 각각의 독립변수들을 통해 느끼는 고객경험이 고객가치와, 고객만족에 주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해운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운임(가격), 안정감(특별요청사항 수행 등)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는 해운기업을 선택할 시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고객만족은 고객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써, 고객경험 중에 인적요인, 가격요인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편의성, 신속성, 물리적 환경 요인은 기각되었는데, 이는 향후 해운기업이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편의성, 신속성,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서비스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족스런 경험을 한 고객은 기업을 이용할 때 고객의 가치를 느끼며 이는 고객만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운임과 업무 편의성이 비슷하다고 가정하였을 때 인적요인이 고객의 경험과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파악하였다. 고객의 만족스런 경험은 곧 고객만족으로 이어지고 만족한 고객은 해운기업을 이용한 행위가 가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운기업들이 고객경험 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강화하여, 성공적인 고객경험을 관리한다면 고객들은 운임이 아닌 가치 있는 서비스를 구매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해운기업의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기업에서도 고객경험 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임을 인지하여 고객경험관리를 구체적으로 논의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 Y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연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는 1997년부터 시작된 국가지원의 시범사업 이후 현재 국가지원과 더불어 민간지원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확대단계에 있다. 그러나 현재 시범사업을 통한 효과성 평가는 많은 한계점을 노정하고 있으며, 이는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를 역설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 시점은 그동안의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적 접근보다는, 효과성 평가에 대한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검증을 통해 그 필요성이 강조될 단계라고 사료된다. 또한 궁극적으로 중·고등학교, 더 나아가 초등학교에까지 모든 학교에 학교사회복지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대원칙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나, 현실적으로 복지자원의 부족과 제약성 때문에 선별주의 원리가 보편주의 원리를 우선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적 문화 속에서 불평등한 교육적 환경이 재생산되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문제점을 통해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가 갖는 함의를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그 동안 충분히 평가되지 못한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를 위한 제도적 지원과, 실무자들을 위한 현장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적 현실에서 실업계 고등학교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학교사회복지 모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1997년 우리나라 교육기관에 의해 최초로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이 실시된 이래 2001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학교사회복지 활동이 축적된 유일한 실업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대표적 활동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5년 동안의 'Y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교사들과 학생들의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Y고등학교 교사들은 초창기에는 학교사회복지를 '교사의 고유영역에 대한 침범'이라 인식했으나, 이제는 '학교 내에서 교사들과 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학생지도를 위해 한 축을 이뤄야 하는 전문 영역'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내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학생복지를 위해 학생생활지도부, 진로상담부, 담임교사 등이 서로 협력하여 각자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학교사회복지 활동에 보다 내실을 기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한편, Y고등학교 학생들도 자신의 문제해결을 위해 학교사회복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특히 2001년도 학교사회복지 활동의 위기에 교사들과 학생들이 힘을 모아 해결했던 경험은,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며 그 효과성에 대한 반증인 것이다. 주목할 점은 2001년도 올해의 Y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 활동은, 그동안의 '치료적 개입'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예방적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 사회복지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목표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평균 이하의 열악한 교육권보장으로 인해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가 우선적으로 선별해서 개입해야 할 학교현장인,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활성화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학교의 접근용이성을 위해 Y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의 서비스 방향은 불가피하게 초창기의 미국처럼 치료중점이었으나, 실업계 고등학교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보다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문제상황을 감소시켜주는 이상적인 형태의 '예방적 개입'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예방적 개입'을 통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는 Y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실천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생태체계적 관점에 기초한 '문화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태체계적 관점에 의한 문화적 접근은 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다양한 접근방식을 구사하는 개입으로, 이는 곧 학교사회복지의 차별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개입영역인 동시에 앞으로 충분히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C붙여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한국에서의 학교사회복지는 개척단계를 지나 확대단계로,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 및 학계에 보다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관심증대와 함께 제도화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제도화에 앞서 양질의 학교사회복지 전문인력 양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관련 인접학문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 학교사회복지 교육과정에 특별히 중점을 두어야 할 사회복지의 분야, 학교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실습커리큘럼에 대한 종합적인 모색이 요구된다. Since the first Korean school social work started as a government-supported pilot project in 1997, the school social work is now in the phase of expanding its activities with the support of private funds as well as government's. However, the evaluation of school social work so far did not prove its effectiveness and showed many limitations, therefore became another barrier for institutionalizing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Thus, it is more important to produce objective and reliable data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s in school, rather than taking a normative approach to argue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social work. Although maintaining the ultimate goal to implement school social work in all school settings including junior-high, high school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s, it would be more plausible to take a selective approach than a universal one, considering the lack and the limitations of social resources in the given situation. Moreover,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the unique problems of vocational high-school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school social work, especially in the Korean context where educational resources are not equally distributed. Therefore, this research, as a case study of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n a vocational high-school, will provide basic data for institutional supports and empirical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in aware of the situation that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ocial work has been underestimated so far. Especially,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situation of a vocational high school to further facilitat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n dealing with problems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settings. Thu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aking the main school social work programs in the Y high-school, where the first pilot program was initiated in 1997. Since then, the school has continued its social service implementations and solely accumulated its practices until now, the year 2001.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in Y high-school evaluated 'the school social work activities' for five years as very positive. The teachers of the school once thought the school social work as 'an interruption of the teacher's traditional area', however, they changed their attitudes recognizing the activity as 'a professional area that needs a firm institutionalization to guide the students in cooperation with teachers.' Such a change in school led to more effective social work activities and improved student services by enabling the cooperation and clarifying the roles among the Department of Students' Guidance, the Depart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the homeroom teachers. Moreover, the students in Y high-school could involve positively in terms of taking initiatives in using social work services to help themselv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resolving the crisis of school social work in 2001 by students and teachers themselves, reflects the strong need for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thereby assuring the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 It is worth recognizing that the social work activities in Y high-school during the year 2001 has become more ideal in terms of accomplishing social welfare goals in general. It has become more systematic and diverse with a comprehensive 'preventiv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treatment intervention' in the past. This experience can give us a meaningful implication in further facilitating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n vocational high school settings, where selective approaches should be taken considering the limited educational rights in these schools. Although th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Y high-school was inevitably treatment-centered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school to social services at first, as shown in the former U.S. experience, it has expanded its horizon to a more 'preventive approach' in order to decrease the problem-provoking situations, facilitating fundamental change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Examining the case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Y high-school, facilitation of school social work in vocational high-schools through 'preventive intervention' should actively incorporate a 'cultural approach' based on an ecological perspective. The cultural approach that maneuvers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can show the uniqueness of school social work, if further specialized. In addition to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chool social work in Korea has passed the phase of initiation and is now moving to the phase of expansion. The need for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attracting the attention of many relevant practitioners and academia. With the increasing attention, a strong move toward institutionalization appears. However, training qualified and competent school social work professionals should preced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effective institutionaliz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comprehensive measure to provid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pecialized courses for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nd systematic training curricula for those practitioners who plan to work in school settings.

      •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과 국어사적 연구

        정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ing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nd studying the Hangeul versions of various different e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All existing different editions of 『Iryunhaengsildo』 are collected and analysis on bibliography and content was done to establish the system of different editions. The translation difference of various different edition Hangeul versions are summarized by their types and the variations in writing, phoneme, vocabulary and form in the different edi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study the language variation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nd learn the flow of them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the different editions archived by institutes and individuals at home and abroad were collected. In addition, the ‘friend’ section and the ‘sibling’ section of 『Iryunhaengsildo』 were included in the study scop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by the author, 62 books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The 62 kinds are; first edition, Gyoseogwan edition intermediate version, Gyoseogwan edition third version, Giyeong edition, Wonyeong edition, Haeyeong edition, Yeongyeong edition and period unknown edition. Among these different editions, the books in good state were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book of each edition. The variation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was studied and the style of translation was compared by the representative book of each edition. In Chapter 2 bibliographic study,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is established by studying the bibliography of different editions. As the result of bibliographic study,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can be classfied into; first edition main stream, Gyoseogwan edition intermediate version main stream, Gyoseogwan edition third version main stream, Gamyeong edition fourth version main stream, Mugangi main stream and 『Iryunhaengsildo』 stream. The system of 『Iryunhaengsildo』 by the style of engraving, such as whether the book has illustration or not, the difference in minuteness and the figure of lamb in the story of ‘lamb sharing(卜式分畜)’, consists of 3 kinds: first edition kind, intermediate edition kind (Gyoseogwan editions and Gamyeong editions) and 『Iryunhaengsildo』 kind. In Chapter 3, variations in writing, phoneme, vocabulary and form in the Hangeul version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re studied. 3.1. Regarding writing variation, the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for ending of word, middle of word, beginning of word and lateral writing. Regarding the end of word writing, the writing of consonant at the end of stem, the writing variation of end sound ‘ㄷ’ and ‘ㅅ’, and, the writing of consonant group at the end of stem were compared. Regarding the writing of fortis in the middle of word, the writing of fortis in the middle of word, the writing of aspirate sound in the middle of word and the writing of middle of word ‘ㄹ-ㄴ’ were compared. In 3.2 phoneme variation, the representative phoneme variation of recent age national language was studied such as the ‘ㆍ’ becoming non-phoneme, the variation process of ‘ㅿ’, palatalization and vowel rounding, becoming a fortis and becoming an aspirated sound. First, the sound value of ‘ㆍ’ was unstable from the beginning. The first step variation of ‘ㆍ’ went on inside morpheme and it was expanded to morpheme boundary and dark location in the Gyoseogwan edition. The second step variation of ‘ㆍ’ is ‘ㆍ’ becoming ‘ㅏ’ like the ‘가마니’ example in first edition. ‘ㅿ’ was substantially used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it was changed to ‘ㅅ’ or ‘ㅇ’ in Hakbongjongtaek edition. Regarding palatalization, the ‘ㄷ’ palatalization and ‘ㄴ’ palatalization examples are seen; however, there is no ‘ㅎ’ palatalization example. The only example is ‘심ᄡᅧ’ in ‘오륜ᄒᆡᆼ실’. Vowel rounding is not seen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there are some examples in Gyoseogwan edition and Giyeong edition. There is some becoming-fortis at the middle of word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it is limited in some part. However, becoming-fortis in the middle of word is active in Gyoseogwan edition. The only examples of becoming an aspirated sound are ‘칼’ in the beginning of word and ‘맛티-’ in the middle of word. However, becoming an aspirated sound, when it is combined and abbreviated at the boundary of morpheme, is seen in the first edition and it continues in later age editions. In 3.3 form change, the variation of postposition and the ending of word were studied. The variation of postposi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flow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When an edition of a book is published multiple times, the book uses conservative expression under the influence of original edition. The 『Iryunhaengsildo』 also shows this trend. The word ending variation was studied by classifying it into ‘word ending appearing at the ending of previous word’, ‘word ending at stem linking the word to next word’ and ‘word ending which finishes a sentence’. The variation of word ending is also well reflected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characteristic at time of publishing. For instance, the ‘-오-’, which is a word ending appearing at the ending of previous word, was used in first edition without exception; however, it was selectively used in the Gyoseogwan edition. Later in Giyeong edition, there are more examples of not using ‘-오-’. This variation is same with the flow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In 3.4, vocabulary variation, the variations of noun, verb and adverb were studied. Regarding the vocabulary variation characteristic of 『Iryunhaengsildo』 editions, more Chinese character words were used in the later editions. In addition, there are some rare vocabularies, which are used in only in 『Iryunhaengsildo』 or, even they are used in other literature, the examples are very rare. The examples are ‘앗보치’, ‘ᄃᆞᆮ즈우리다’, ‘아니완ᄒᆞ다’, ‘봄놀다’, ‘삽지지다’, ‘측측다’ and ‘브듸이’. These are replaced with vocabularies with significant relation in Gyoseogwan edition and later editions. In section 4, the translation of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are studied by replacement, addition and deletion. The system of editions based on translation is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based on engraving style. The classification by engraving style is: first edition kind, intermediate edition kind and 『Iryunhaengsildo』 kind. The system by translation is classified into first edition kind, intermediate edition kind, transcription kind and 『Iryunhaengsildo』 kind. The reason of the similarity is that the roles of engraving and translation are same in transmitting the content of main text. The expression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case of being faithful to original content and the case of trying to have readers understand the content easie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system of national language history flow by 『Iryunhaengsildo』 only.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by organizing and comparing different editions of single literature.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Iryunhaengsildo』 different editions is useful in learning the variation process of national language from 16th century to 18th century. 본고는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세우고 여러 이본의 언해문을 국어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전하는 『이륜행실도』 이판본을 모두 수집하여 이들에 대한 서지 분석과 내용 분석을 수행하여 이판본들의 계통을 세울 것이다. 이어서 여러 이판본 언해문의 번역 차이를 유형별로 정리하며, 여러 판본 간 표기 변화, 음운 변화, 어휘 변화, 형태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수집한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목록을 작성하여 제시하고, 주요 판본 간 서지적 특성과 판화 양식을 비교하여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세웠다. 서지적 특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초간본류, 교서관판 중간본류, 교서관판 삼간본류, 감영판 사간본류, 무간기본류, 『오륜행실도』류 등으로 나누었다. 판화의 양식에 따른 계통 분류는 삽화의 삽입 유무, 세밀도의 차이, 복축분식(卜式分畜) 조항의 양 그림 등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기준들에 나타난 차이점을 근거로 『이륜행실도』 이판본의 계통을 검토한 결과, 초간본 계통, 중간본 계통, 『오륜행실도』 계통으로 나누어졌다. 중간본 계통에는 교서관판류와 감영판류가 속한다. 3장에서는 『이륜행실도』 이판본들의 언해문을 대상으로 표기, 음운, 형태, 어휘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3.1절, 표기 변화에서는 병서 표기를 어말, 어중, 어두 환경으로 나누어 초간본의 양상이 후대본에서 달라진 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어말 표기는 어간말자음의 표기, 종성 ‘ㄷ’과 ‘ㅅ’의 표기, 어간말자음군의 표기 등을 비교하였다. 어중 표기는 어중 경음 표기와 어중 유기음 표기, 어중 ‘ㄹ-ㄴ’ 표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초간본에서는 15세기 표기 경향이 강하게 남아 있었으나, 교서관판류에서는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과도기적인 특징이 반영되었음을 밝혔다. 감영판류는 보수적인 표기 경향이 일부 존재하지만 근대국어의 특징이 우세하게 반영되었다. 3.2절, 음운 변화에서는 ‘ㆍ’의 비음운화와 ‘ㅿ’의 변화 과정,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경음화, 격음화 등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변화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3.2절, 음운 변화에서는 ‘ㆍ’의 비음운화와 ‘ㅿ’의 변화 과정,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경음화, 격음화 등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변화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3.3절, 형태 변화에서는 조사와 어미로 나누어 이판본 간에 나타난 변화 양상을 기술하였다. 첫째, 조사의 경우, 격조사의 변화는 국어사 흐름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여러 차례 중간한 이판본의 경우 저본의 영향이 남아 보수적인 특징을 보이기 마련인데 『이륜행실도』에서도 이 같은 경향이 보인다. 둘째, 어미의 경우, 선어말어미와 연결어미, 종결어미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각 이판본마다 간행 시기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었다. 3.4절, 어휘 변화에서는 명사, 동사, 부사 등으로 나누어 어휘의 형태와 의미 변화를 논하였다.『이륜행실도』 이판본 간 어휘 변화에서 나타난 큰 특징은 후대본으로 갈수록 한자어로 교체되는 양상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4장에서는 『이륜행실도ㅍ 이판본의 번역 양상을 비교하여 이판본 간의 차이점과 영향 관계를 논하였다. 『이륜행실도』의 번역문[언해문]은 교화의 목적에 맞게 원문의 의미 전달에 초점을 두고 있다.

      • 한국시에 나타난 불교생태의식 연구

        정연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시에 나타난 불교생태의식 연구 오늘날 인간과 자연의 총체적 위기 앞에서 인류는 단순히 자연환경의 보호 차원이 아니라 정신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강력히 요구받고 있다. 이것은 인식과 실제생활을 포괄하는 총체적 관념을 새로운 세계관으로 수용하여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과 만물을 하나로 싸안는 진정한 통섭[conciliation]의 사유를 바탕으로 조화와 상생의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구의 생태ㆍ환경론자들은 1960년대 이후 새로운 세계관을 모색하기 위하여 생태학과 불교의 결합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모든 존재들이 상호연관성을 갖는다’는 생각은 생태학과 불교가 공유하는 사상의 핵심적 전제다. 불교사상이 생태철학으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생태학자들과 불교학자들은 1980년대 후반부터 생태위기의 문제들을 불교사상에 근거하여 극복하고자 진지한 탐구를 시작하였다. 불교와 생태학의 본질이나 지향성이 매우 유사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불교생태학’은 이론과 실천적인 측면에서 생태학의 큰 줄기를 형성하며 간학문적(間學問的) 통합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연기→상호의존성’의 통찰을 통해 ‘무자성→비실체성ㆍ공성’의 인식으로 이어져 나눔의 ‘자비행→상호존중성’으로 귀결되는 불교생태학은 자연과 우주의 포용을 그 핵심으로 한다. 한국시를 불교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 이 논문은 생태문제에 관한 문학적 대안, 불교생태시학의 시사적 위상과 의의 등에 관한 입체적 담론이다. 문학의 기능이나 효용이 교훈과 쾌락에 있다고 한다면, 불교생태시는 여느 장르들보다 가장 절묘하게 교훈과 쾌락이 조화를 이루는 통합적 구조체다. 이런 점에서 불교생태학적 상상력이 상당 기간 구현되어 온 개별 시작품들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ㆍ연구하는 일이야말로 매우 시의적절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불교생태시학의 관점에서 한국문학사는 세 단계로 구분된다. 고려의 이규보와 조선의 김시습이 대표하는 한국전통생태학과 불교생태의식의 萌芽 단계, 한용운과 조지훈이 대표하는 불교생태의식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정착 단계, 오늘날의 김지하와 최승호가 대표하는 불교생태의식의 다각화와 심화단계 등이 그것들이다. 약 800년이라는 시간적 흐름 위에 놓여있는 이상의 여섯 시인들은 외견상 상호 공통성이나 유사성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로부터 발견하게 되는 것은 본격적으로 생태문제가 대두되기 훨씬 이전부터 우리 사회에 생태학적 사유가 면면히 맥을 이어왔다는 사실이다. 이들의 작품이 공유하고 있는 정신은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한 ‘상생적 생태관’이다. 이들은 불교사상과 생태학적 상상력을 미학적으로 수용ㆍ발전시켜 불교생태시학의 정신사적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왔다. 이들은 시대를 초월하여, 불교사상과 생태학적 상상력을 시적 자양분으로 삼아 유기체적 언어와 이미지들을 창조해 왔던 것이다. 이규보는 인간 본위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萬物一類의 관점에서 물마다 내재해 있는 생명력에 대한 외경으로 그의 시편들을 형상화했다. 그는 사물을 단순한 도구나 이용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인간과 내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존재라는 사고 아래 만물일류의식과 연기의 시학을 펼쳤다. 그가 보여 준 餘物意識, 생명에 대한 존중의 정신, 虛心 등을 발전시킨 만물일류사상은 붓다의 緣起論이나 慈悲心과 상통한다. 자연의 순환적 이법에 따라 인간과 만물이 존재하고 변해간다는 생각으로부터 김시습의 愛物意識과 無我의 시학은 출발되었다. 사물에 대한 상호존중의 자비심과 생태윤리의 실천, 농민의 노동 가치에 대한 높은 평가, 방외인적 삶을 통한 무명의 깨달음 등이 김시습이 자신의 시에서 구현한 불교생태학적 사고의 핵심이다. 사랑, 자유, 평등, 생명 등은 한용운의 시편에 관류하는 불교사상으로부터 발원된 사유들이다. 화자와 시적 대상인 님 사이에 ‘기룸’의 행위를 개입시킴으로써 인간의 자아 개념을 자연으로 무궁히 확대하여 인간과 우주의 합일을 상정한다. 여기에 한용운의 불교생태학적 세계관의 핵심이 자리한다. 그의 ‘기룸’은 자비의 심미적 관조를 미화함으로써 만물평등주의를 형상화한 것이다. 이것은 자연과 우주가 인간의 타자적 개념이 아니라, 곧 ‘나’와 다를 바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보살적 자비심의 實踐躬行이다. 자연과 인간을 萬物同根의 연기론으로 파악하여 생물과 무생물을 존중하는 마음에서 출발한 것이 조지훈이 이룩한 생명과 無自性의 시학이다. 그의 작품에서 모든 생물이나 무생물이 사실은 나와 다름없는 ‘일체’이기에 무자성을 강조했으며,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거부가 표출되기도 했다. 김지하의 생명시학은 ‘애린’과 ‘모심[侍]’이다. ‘엇’에서 ‘흰 그늘’이 형성되었고, 그것이 다시 ‘애린’이라는 다중적인 얼굴로 실체화되었다. 그런 전환들을 통해 인간의 욕망에 의해 변질된 비생명적 세계를 비판ㆍ고발하고 생명세계를 옹호한 것이다. ‘모심’의 윤리는 그런 시적 여정의 끝 ABSTRACT A Study on the Buddhist Ecological Consciousness in Korean Poetry In the face of structural crisis threatening human existence as well as the nature, men are asked to go through fundamental paradigm shift just beyond the simple gesture to protect nature. This implies that holistic conception influencing perception as well as everyday life should be embraced to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 in human life. In other words, harmonious and coexistent relationship should take root in every walk of life based on conciliation equally treating human beings and other living things in genuine sense. Since the 1960s, ecological environmentalists in Western world have looked for ways to connect ecology with Buddhism. The thought that ‘every existence in the world is interconnected’ commonly constitutes a core part of ecology and Buddhism. Since the late 1980s, the Buddhist ecologists, on realization that Buddhism may be the solution to the ecological crisis, have devoted themselves to developing ways of applying Buddhism. That is where “Buddhist ecology” comes. “Buddhist ecology” has become a big part of ecology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on a premise that both Buddhism and ecology intrinsically share the same nature and destination, prompting holistic approach to ecology. Specifically, the Buddhist ecology provides insight into “the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 interdependence” and “no self-nature → no substance, emptiness” to emphasize importance of “compassion → mutual respect”, inducing one to embrace both the nature and the universe as they are.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Korean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cology and thereby presents multi-faceted viewpoints regarding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ecology and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of Buddhist ecology. If it is true that important function and effectiveness of literature lie in giving lessons and increasing pleasure, it will surely be true that Buddhist ecological poem represents holistic entity embodying unrivaled harmony of lessons and pleasure. In this respect, now is the ripe time to study and analyze poems representing Buddhist ecological imagination from the holistic perspective. From the viewpoint of Buddhist ecological poetic theory, Korean literature may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encounter of traditional ecological perception represented by Lee, Kyu-bo during the Korea Dynasty and Kim, Si-seup during the Chosun Dynasty; modernism represented by Han, Yong-woon and Cho, Ji-hoon; and diversifica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t ecological conception represented by Kim, Ji-ha and Choi, Seung-ho. Apparently the six poets mentioned above have nothing in common with one another due to long intervals spanning about 800 years. Certainly, however, their presence suggests that ecological thought has weaved itself into our history of literature well before ecological issues came to surface. And their literatures commonly advocate “coexistent ecological ideas” based on Buddhism. By aesthetically embracing Buddhism and ecological imagination, they philosophically laid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Buddhist ecological poetic theory. The poets transcended immediate needs of the time to organically create language and poetic images by tapping into Buddhism and ecological imagination. Lee Kyu-bo brought life to his poems out of respect for life present in everything rather than from human-centered viewpoint. Instead of regarding things as simple tool or something useful, he believed that things are intrinsically interconnected with human beings, which led him to present his philosophy regarding caus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equal treatment of everything in the world. His emphasis on equal treatment of everything which led to deep respect for life and compassion is consistent with Buddha’s caus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compassion. Meanwhile, Kim Si-seup developed poetic theory regarding love for everything and “no-self” nature on the thought that human beings and the nature change in accordance with cyclic law of nature. Mutual respect for things and ecological ethics, valuing farmers’ labor and realization of meaningless life on the path of outsider’s life constitutes a core part of the poet’s Buddhist ecological idea pervading his poems. The themes like love, freedom, equality and life, permeating Han Yong-woon’s poems, all stem from Buddhist thought. In his poem, the poet places “Girum” between narrator and poetic object “You.” In doing so, the poet indefinitely expands the concept of “self” to the nature and pursues holistic integration of the nature and human beings. That is where Han Yong-woon’s Buddhist ecological conception importantly comes to surface. His “Girum” is an embodiment of equalitarianism by introducing aesthetic reflection on compassion. This implies that the nature and the universe are not disparate but constitute “I,” leading one to act compassionately. In his “no-self” poetic theory, Jo Ji-hoon says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have the same origin, raising the need to equally treat animate and inanimate things. In his poems, he emphasizes that both animate and inanimate things are not disparate from “I” expressing repulsiveness against human centrism. Kim Ji-ha’s poetic philosophy may be summarized as “Aelin” and “Mosim[侍]”. In his poem, white shadow arises from ‘Eot (Alternative Mix)’. It again is materialized into Aelin or multi-faced reality, debunking callous reality of the world distorted and contaminated by human desire and advocating world filled with living things. His poetic journey finally ends with “Mosim,” an ethical code essentially pursued by the poet in his poetic journey. “Mosim” may be expressed as mutual respect or compassion that Buddhist ecology considers essential value. Deep respect for every

      • 건강기능성 양파추출농축액의 저장기간 중 향기성분 변화

        정연정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dentify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at 30 ℃ for 150 da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total of 23 compounds were detected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C/MSD, consisting mainly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9), carbonyl compounds (7), aromatic compounds (2), furan and alcohol compounds (2), and miscellaneous compounds (3). 2. A total 9 compounds were detected in sulfur-containing compounds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The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major compounds with ranges of 75.8~67.3% of total volatiles. Dimethyl trisulfide (cooked cabbage-like) having 50.1~42.1% of total amounts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was the highest in sulfur-containing compounds, and followed by dimethyl disulfide (green onion-like, 37.6 ~33.3%). 1,3-Dithiane, 2,4-dimethyl thiophene, methyl propyl disulfide, methyl thiofuroate, dipropyl disulfide, 3-methyl thiophene, dipropyl trisulfide were detected during storage.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3. A total 7 compounds were detected in carbonyl compounds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The carbonyl compounds were ranges of 16.9~15.5% of total volatiles. Furfural (sweet, almond, baked bread-like) having 55.2~43.7% of total amounts of carbonyl compounds, was the highest in carbonyl compounds, and followed by 5-Methyl-2-furfural (sweet, caramel-like, 17.5 ~ 14.5%).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dark chocolate-like), benzaldehyde (grainy, nutty-like), 1-(2-furanyl)-1-propanone, phenylacetaldehyde (floral, spicy, honeysuckle-like) were detected during storage. Carbonyl compounds were maintained during storage. 4. A total 2 compounds, naphthalene, 4-allylmethoxybenzene (spicy, cinamon, clove-like) were detected in aromatic compounds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Aromatic compounds were maintained during storage. 5. A total 2 compounds, 2-acetylfuran, furfuryl alcohol (cooked sugar taste-like) were detected in furan and alcohol compounds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Furan and alcohol compounds were maintained during storage. 6. A total 3 compounds, ethyl acetate, chloroform, dodecane were detected in miscellaneous compounds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during storage. Miscellaneous compound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During storage, volatile compounds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were maintained. Accordingly, it is estimated that sweet taste and aroma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Oniwell^(TM)) were maintained. 본 연구는 in vitro, 동물실험 및 인체실험을 통해 혈중지질과 동맥경화를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성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저장ㆍ유통과정 중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 되는지 알아보고자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저장기간 동안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을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법으로 추출하여 GC/MSD로 분석한 결과, 총 23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이는 함황 화합물류 9종, 카르보닐 화합물류 7종, 방향족 화합물류 2종, 퓨란 및 알콜류 2종, 및 기타 화합물류 3종으로 구성되었다. 2. 저장기간 중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 중 함황 화합물류는 9종이 검출되었다. 전체의 75.8~67.3%를 차지하여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주요한 향기성분으로 검증되었다. 이 중 dimethyl trisulfide(cooked cabbage-like)가 저장기간 동안 50.1~42.1% 범위로 함황 화합물류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dimethyl disulfide(green onion-like)가 37.6~33.3% 였다. 그 외에 1,3-dithiane(5.0~1.5%), 2,4-dimethyl thiophene(3.7~2.7%), methyl propyl disulfide(9.0~3.3%), methyl thiofuroate(5.9~2.0%), dipropyl disulfide(2.2~1.7%), 3-methyl thiophene(1.2~0.7%), dipropyl trisulfide(8.4~0%)도 동정되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총 함황 화합물류의 함량을 살펴보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 함황 화합물류의 함량도 증가하였는데, 특히 신선한 양파향의 dimethyl disulfide와 마늘향의 methyl propyl disulfid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저장기간 동안 신선한 양파향이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카르보닐 화합물에서 알데히드류가 6종, 케톤류가 1종으로 총 7종이 검출되었다. 함량면에서는 16.9~15.5% 범위로 함황 화합물류 다음으로 많았다. 이중에서 furfural(sweet, almond, baked bread-like)의 함량이 카아보닐 화합물 전체함량의 55.2~43.7% 범위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5-methyl-2-furfural(sweet, caramel-like)이 17.5~14.5% 범위였다. 그 외 2-methylbutanal(6.8~4.7%), 3-methylbutanal(dark chocolate-like)(8.2~5.3%), benzaldehyde(grainy, nutty-like)(9.4~7.5%), 1-(2-furanyl)-1-propanone(9.0~0.9%), phenylacetaldehyde(floral, spicy, honeysuckle-like)(8.3~5.4%)도 동정되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전체 함량은 증가한 경향을 보였고, 특히 달콤한 향의 furfural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진한 초콜렛향을 내는 3-methylbutanal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방향족 화합물은 2종이 검출되었다. 방향족 화합물은 전체 3.5~2.5%를 차지하고 있었고, naphthalene이 방향족 화합물의 74.8~52.2% 범위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나머지가 생양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4-allylmethoxybenzene(spicy, cinamon, clove-like)이 47.8~25.2% 범위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naphthalene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4-allylmethoxybenze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퓨란 및 알콜류는 2종 검출되었다. 방향족 화합물은 전체 4.3~3.3% 로 미량 차지하고 있었고, 퓨란류는 2-acetylfuran(33.8~31.3%) 1종이, 알콜류는 furfuryl alcohol(cooked sugar taste-like)(68.7~66.2%) 1종이 각각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당 분해산물인 furfural류가 본 연구에서는 카보닐화합물류에서 furfural, 5-methyl-2-furfural, 1-(2-furanyl)-1-propanone 3종, 퓨란류에서 2-acetylfuran 1종, 알콜류에서 furfuryl alcohol 1종으로 총 5종이 동정되었고 저장기간에 따라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저장기간 중 달콤한 맛과 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기타화합물류는 3종 검출되었다. 기타화합물류는 전체 9.5~1.5%를 차지하고 있었다. 파인애플향을 내는 ethyl acetate(79.9~22.7%) 1종이 검출되었는데, 저장기간에 따라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hloroform이 기타화합물류의 72.9~0% 범위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다가 150일에는 검출되지 않았고, dodecane은 20.1~4.4% 범위로, 저장기간에 따라 일정한 함량을 유지하고 있었다. 7. 함황화합물 중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thiophene유도체 중3-Methyl thiophene과 2,4-Dimethyl thiophene이 동정되었는데, 저장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경향을 보여 휘발성 함황 화합물에서 기대될 수 있는 항산화력이 제품의 저장기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제품에서 존재하는 quercetin의 항산화력과 함께 본 실험에서 검출된 항산화 관련 함화합물이 (오니웰^(TM))이 항산화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저장 기간 중 함황화합물류는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한 익힌 양배추향의 dimethyl trisulfide가 일정한 함량을 유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많은 함량을 차지한 신선한 양파향 dimethyl disulfide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향을 보여 저장기간에 따라 양파향이 계속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장 기간 중 Maillard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달콤한 향의 furfural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5-methyl-2-furfural, furfurylalcohol, 2-acetylfuran 및 1-(2-furanyl)-1-propanone의 화합물 또한 일정한 함량을 유지하고 있어, 저장기간에 따라 제품의 관능적인 부분인 맛과 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나, 대조군으로 일반 시중 양파추출액의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실시하지 못하여 관능적으로 맛과 향의 우수한 효과를 충분히 논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분명히 있다. 다만, 저장기간별 양파추출농축액(오니웰^(TM))의 달콤한 맛과 향에 관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향을 보여 제품의 관능적 품질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일반 시중의 여러 양파추출액과의 비교를 통한 저장기간별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실험을 통하여 좀 더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아로마 발 마사지가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연정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 본 연구는 아로마 발 마사지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뇌파 변화이다. 연구대상은 9명의 건강한 성인 남, 녀 각각 3, 6명이다. 아로마 발 마사지 전 후의 뇌파 변화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채널별 MEF 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일 집단 채널별 아로마 발 마사지 실시 전과 실시 10분 후 비교에서는 8개의 각 채널의 MEF 값과 8개 전 채널의 MEF 평균값은 아로마 발 마사지 실시 전보다 약간 상승하였으나, 그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동일 집단 채널별 아로마 발 마사지 실시 전과 실시 25분 후 비교에서는 채널 1, 2, 4, 5, 6, 7의 MEF 값과 8개 전 채널의 MEF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채널 3의 MEF 값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로마 발 마사지 실시 전, 10분 후, 25분 후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는 채널 1, 2, 4, 5, 6, 8의 MEF 값과 8개 전 채널의 MEF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채널 3, 7의 MEF 값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결과 아로마 발 마사지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속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영문초록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roma foot massage on the EEG variation. The subjects were 3 healthy adult males and 6 healthy adult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variation of EEG after aroma foot massage by sex did not show any statiscal differences from channel 1 to channel 8 and even in the mean comparison of total 8 channels. From channel 6 to channel 7 showed that male's EEG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In the rest of other channels (channel 1, 2, 3, 4, 5, 8) showed that female's EEG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s. Thus,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s in Sex on EEG variation after aroma foot massage. The comparison between standard and after 10 minutes on same group which characterized by the electrode attaching points did not show any statiscal differences. The measuring results after 10 minutes of aroma foot massage showed a minor increases of MEF in general. In channel 5 and 6, the results showed a minor decrease but it was not statiscally meaningful numbers. The comparison between standard and after 25 minutes on same group which characterized by the electrode attaching points showed signifiant differences in channel 1, 5, 6 and channel 2, 4, 7, 8. And also the mean comparison on total of 8 channels showed difference.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ce in channel 3.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the aroma foot massage was effective after 25 minutes by decreasing MEF level in general.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applying aroma foot massage can relax and decrease brain stress and was effectiv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many types of aroma massage on relieving modern city-life stress and relaxation for our better well-being life. Key Words: EEG; Aroma foot massage; Relaxation

      • 이묘산(二妙散)이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정연정 建國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s)를 이용하여 동량의 황백(Phellodendri Cortex; PC,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과 창출(Atractylodis Rhizoma; AR, Atractylodes lancea D.C)로 구성된 이묘산(二妙散, Er-Miao-San; EMS)의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묘산이 HDF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세포 생존율, 세포 증식률, 세포 배가시간, 세포 유주능을 측정하였다. 이묘산이 TNF-α로 유도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ting, qRT-PCR, NF-κB transactivation activity assay를 실시하였다. 이묘산 7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력을 보였고, 이묘산과 창출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이묘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배가 시간이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세포 유주능 관찰에서도 무처리군보다 세포가 빠르게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NF-α로 유도된 MMP-1의 발현은 이묘산 전처리 시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묘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묘산은 TNF-α에 의해 감소된 inhibitor of κB (IκB) 단백질 양을 회복시켜 NF-κB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HDFs에서 nuclear p65의 단백질 농도를 3배 이상 감소시켜 NF-κB의 핵 내로의 이동, IL-1ß와 IL-8의 발현 억제, NF-κB 전사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감소시켰다. 이묘산은 NF-κB inhibitor와의 비교에서 NF-κB inhibitor와 유사한 수준의 MMP-1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로 이묘산은 NF-κB pathway를 통하여 TNF-α로 유도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묘산의 세포 내 항염증 효과는 황백이 군(君, Monarch, Jun)약, 창출이 신(臣, Ministor, Chen)약이 되는 한방 처방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황백과 창출이 함께 배합되어 염증 억제 효과가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이묘산이 향후 피부 염증 관리 및 예방 천연물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r-Miao-San (EMS) on the expression of TNF-α-induced 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EMS is comprised of equal amounts of Phellodendri Cortex (PC,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and Atractylodis Rhizoma (AR, Atractylodes lancea D.C). The technique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S included western blotting, qRT-PCR, and NF-κB transactivation activity assay. Also studied were the effects of EMS on DPPH radical scavenging, cell viability, cytotoxicity, doubling time,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HDF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var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MS extraction, with the highest activity seen when EMS was extracted in 70% EtOH. Treatment with either EMS or AR increased cell viability of HDF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treatment with PC decreased cell viability at concentrations of 500 μg/mL or higher. The shortest time for cell-doubling, indicating active cell proliferation, occurred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500 μg/mL of EMS. Cell migration was faster in cells treated with the EMS extraction than in control cell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NF-α-induced MMP-1 expression was decreased in HDFs pre-treated with, and this decrease was more than double that in control cells treated with TNF-α alone. In cells pre-treated with 500 μg/mL EMS, the decrease was more than three times that in the control cells treated with only TNF-α.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S inhibits TNF-α-induced expression of MMP-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EMS restored the amount of IκB protein reduced by TNF-α, thus effectively inhibiting NF-κB. It also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nuclear p65 protein by more than one-third in HDFs, thus inhibiting the translocation of NF-κB into the nucleus and NF-κB transactivation and accordingly reduc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EMS effectively inhibited TNF-α-induced MMP-1 expression through the NF-κB pathwa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MS stem from the interactions of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that turns PC into Monarch (Jun) medicine and AR into Ministor (Chen) medicine. Mixing of PC and AR seems to enhanc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MS. EMS has the potential to be a novel material to prevent and manage skin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