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식일과 생명의 떡 연구 : 요한복음 5장과 6장을 중심으로

        정순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 요한은 1장에서 예수님이 한 사람의 인간이시지만 태초 이전부터 존재하시는 영원하신 하나님의 말씀이며 하나님 자신으로서의 존재이시며 영원한 말씀이 인간이 되어 세상에 오셔서 하나님을 온전히 계시하는 사역을 감당하셨으며 세상을 비추는 참 빛이 되심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예수님께서 2장에서 예수님이 가나 혼인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키는 기적을 행하심으로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2장에서 보여주시는 기적을 시작으로 5장과 6장도 2장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여 5장과 6장은 예수님으로 말미암은 새시대의 도래를 알리시는 표적이다. 5장에서 예수님께서 38년된 병자를 안식일에 치유하신 것은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38년된 병자, 곧 무능력하고 소망이 없는 옛시대가 가고 소망과 능력이 충만한 새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알리시는 표적으로 이해된다. 또한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심은 안식일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 완성하는 것으로 안식일의 의미를 성취하기 위해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신 것이다.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신 것으로 인해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핍박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유대인들에게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신 사건이 곧 예수님께서 창조의 권능으로 활동하시는 하나님의 대리자이시며 생명과 심판의 주로서 하나님과 동등한 관계이신 예수님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적인 것을 말씀하시며 예수님을 증거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심을 강조한다. 이것은 예수님이 오신 것은 바로 하나님의 오심으로 말미암아 창조(새창조)의 회복을 이루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6장에서는 예수님께서 유월절이 가까운 유대인의 명절에 오병이어의 기적을 행하신다. 예수님께서 오병이어의 기적을 베푸신 때가 유대인의 명절인 유월절에 가까웠다는 것은 사건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1장29, 36절에서 세례요한에 의해 예수님께서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으로 증거되므로서 예수님 자신이 유월절 어린양의 성취로서 소개되어 하나님의 어린양과 유월절의 개념이 연결된다. 오병이어 사건으로 예수님께서 드러내시고자 하는 의도는 16절 이후에서 예수님의 강화를 통해 예수님 자신의 몸을 생명의 떡으로 사람들에게 주시기 위해 세상에 오셨으며, 예수님께서 유월절의 희생양으로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예수님에게 주신 백성을 구하시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5장과 6장은 1장에서 말하는 예수님의 존재를 나타내는 2장과 같은 표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약의 성취인 기쁨과 소망으로 충만한 새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신다. 그러므로 사람들로 하여금 예수님을 믿음으로 하나님과 연합하여 영원한 생명을 누리도록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5장과 6장의 내용을 성도들이 정확하게 이해하여 성도들이 예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도록 하여 성도들의 삶에서 변화가 일어나도록 본문의 주해를 기초로 하여 본문에 충실한 성경 공부교재를 준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성도들의 믿음의 성숙을 위하여 개발된 성경 연구문제를 제시하여 더욱 심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운동선수의 부상과 그방지를 위한 체육정책에 대한 연구

        정순경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 current state of the injuries of sportsman,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it, and to suggest administative policy necessary to prevent the injuries of sportsman.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the survey instruments researcher developed.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After data cleaning, a total of 228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SPSS/PC^+ was used in analyzing data.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analyzing data were frequency, percent etc.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revealed that the order of the injury ratio by sports was Taekwondo(504.76%), Track and Field(454.76%), Boxing(420.0%), Judo(405.26%), Soccer(396.77%), Gymnastics(303.85%), Fencing(300.0%), Handball(272.52%), Swimming(255.50%), Skating(237.50%), Fiekd hockey(208.33%) etc. 2. It wa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the injuries per sportsman was 3.6. 3. It was showed that the order of frequency of the morbidity per sprtsman by the resion of the injury was shoulder(0.9), ankle joint(0.8), lumber vertebrae(0.6) etc. 4. It was identified that the order of frequency of the morbidity per sportsman by the form of the injury of sportsman was sprain(1.2), contusion(1.1) etc. 5. It was showed that the order of injury rate by season was spring(46.35%), summer(24.21%), autumn(17.88%), winter(11.56%). 6. It was identified that injuris of sportsman were caused mainly by short of warming up(28.10%), overtrain(15.69%), unskilled(13.14%), foul(10.58%) etc. 7. It was revealed that mechanisms of injury were mainy running(17.15%), cllision(15.33%), slip down(14.48%)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 1. Athletic admistration of school should be united so that responsible administration should be established. 2. In order to prevent the injuries of sportsman and to improve the sportsman's power to game, opportunities for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sports trainers. 3. In order to secure stable games and trainings, systems rlated to the meal service, athletic facillities, and cure and compensations methods should be improved through various administrative assists. 4. Further studie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the injuries of sportsman and to take various administrative measures.

      •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순경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 human being is existence within the world that always exists amidst a relationship with anything. Thus, how the person is established inside the world needs to be understood in its relationship given grasping a specific per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teacher's life and identity through exploring a narrative of a teacher's life experience in order to grasp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aspect of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in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on the practical image in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and on what about the elements of having influenced life philosophy, identity formation & practice. The question of this study was set to be what about a teacher's life and identity that were examined through the life experience in a highly experienced teacher at a public kindergarten? For understanding the life and identity of a highly experienced teacher in a public kindergarten, it purposefully sampled one research participant who has the 26-year teaching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diverse forms in a public kindergarten. An exploration metho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a narrative inquiry available for reading out social value, ideology and social discourse of forming an individual's identity, and a structural frame in society, which had effect on forming identity. To increase the inter-textuality of a field text in the narrative inquiry, a variety of materials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made focusing on how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change exchange a mutual relationship in the three dimensions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omprised the process of contextually compiling the theme, which was revealed in relation to the teacher's life and identity, to the practical image in the actual field, and to the elements of having affected this life, identity and practice. This process was the time of being continuously reinterpreted with being overlapped the life experiences in a researcher as a children educator. The writing in this study aimed to disclose a meaning through reconstruc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t the point of the three-dimensional exploration. The writing was supported that can three-dimensionally show the formation of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the field practice of life philosophy & identity, and the elements of having affected this practice and the formation & a change in life and identity as for understanding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life and identity. Through the researcher's continuously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the research process was aimed to demonstrate how the researcher's experience function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life and identity through introspecting life and identity in the researcher who have lived as a children educator. The justification in a research was aimed to be secured by clearly suggesting personal justification, actual justification, and social justification, which are the plans of obtaining justification in the narrative inquiry. A meaning of being possessed by the narrative of life and identity in the highly experienced teacher at a public kindergarten, which was elici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consisted of four Chapters. First of all, in the Chapter of 'spreading and showing off Su-jeong's life,' it divided the central philosophy of life in Su-jeong, who have lived as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into the life of Sisyphus, the life of coexistence with other people, and the life of Ubermensch, and then weaved and formed a meaning & a change in each life, and the factors of having influenced this life. Focusing on a subtitle of represent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life, it is showing that Su-jeong's life is the one of having made like Sisyphus, but needs a slight rest and comfort now, and that we must respect a mutual difference, and that life can be truly beautiful when a difference coexists. And Su-jeong is proceeding with managing life in a happy teacher who practices the education of focusing on young children with having own subjectivity even in the difficult educational reality. In the Chapter of digging out Su-jeong's identity, Su-jeong's identity was aimed to be understood through how the life philosophy is linked to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ough how Su-jeong's educational philosophy is indicated in a class-room instruction, centering on Su-jeong's philosophy and cla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the teacher's identity that appeared in Su-jeong's life story. Su-jeong was practicing the existential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s gradually getting more easy-going and deeper in the teacher's initially pas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in the initially unilateral teaching of focusing on a role of teaching, a teacher's role recognition and practice could be seen to be expanded by the listening of gradually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mind. Su-jeong was seeking for a hope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is winning through the reality with own method even in the reality of po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cannot practice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is outcome is suggesting that Su-jeong is proceeding with making own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experience as a teacher. Su-jeong's class was practicing diverse aesthetic lessons of soothing young children's mind in a show-off class to parents with being changed into a class of fostering the energy of young children who will proceed with living in the future in the initially framed class. This implies a change into a class of practicing own philosophy from the lesson with the absence of philosophy. Su-jeong's change in philosophy and cla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ds to being able to know that Su-jeong's teacher identity is getting deeper and harder. In the Chapter of 'Su-jeong's life and identity echo,' which reverberation the story of Su-jeong's life and identity can give to our educational reality was presented with being divided into living with introspecting oneself, becoming the main agent of life, making a true meeting, and crossing a boundary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In living with introspecting oneself, how the meaning that the teacher is living with reflecting on oneself, and how the life of introspection are being shown in the actual classroom. In proceeding with becoming the main agent of life, it is showing the reason why we need to be the principal of life, the meaning of living initiatively, and the practice of independent life. In proceeding with making a real meeting, it is showing how a true meeting can be made in a meeting with nature, young children, colleague, and teacher, the effect of being caused by the real meeting, and the image of the practice. In crossing a boundary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the thought and the practice of learning in Su-jeong, who proceeds with making ideology through encountering, is being indicated. Su-jeong's teaching was being made through making a place(場) of mutually exchanging with young children. The philosophy and identity of life that Su-jeong shows can be considered to have a great significance of being given to us in the aspect of showing the life image in a teacher who pursues the public goodness(善) even without being buried in the tough educational reality while being faithful in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cannot be one structured desirable standard in understanding other people's life. Still, other people' life should be watched from the perspective of whether the life seeks the public truth without being buried in reality. The significance in this study, which explore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dentity, can be found in a point of showing the changing aspect in identity, and the elements of having influenced a change, through the thought and the practical image on a cla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hilosophy, which appeared in the participant's life story.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to demonstrate a little more how the teacher's life philosophy and identity appear in the classroom practice unlike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it leads to feeling why a teacher's identity is important, and to the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dentity and class, to a support for forming a teacher's identity, and to the teacher education. The inquiry process into Su-jeong's life and identity, which was made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ultimately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the researcher's life and identity. 인간은 늘 무엇과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세계 내 존재여서 특정한 사람을 이해하려면 세계 안에서 그 사람이 어떻게 정립되어 있는지 그 관계성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를 실존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교사의 생애 경험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교사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양상,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실천적 모습, 삶의 철학과 정체성 형성 및 실천에 영향을 준 요소들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질문은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생애 경험을 통해 살펴본 교사의 삶과 정체성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 26년의 교직 경험과 공립유치원의 다양한 형태를 경험한 연구 참여자 1인을 유목적적으로 표집 하였다. 본 연구의 탐구 방식은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사회적 가치, 이념, 이데올로기, 사회적 담론 등과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사회의 구조적 틀을 읽어낼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로 이루어졌다. 내러티브 탐구의 현장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가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3차원적 차원에서 어떻게 서로 관계를 주고받는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분석과 해석 과정은 교사의 삶 및 정체성과 관련하여 드러난 주제와 실제 현장에서의 실천 모습, 이러한 삶과 정체성 및 실천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맥락적으로 엮어보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연구자의 유아교육자로서의 삶의 경험들이 중첩되어 끊임없이 재해석되는 시간이었다. 본 연구의 글쓰기는 3차원적인 탐구지점에서 참여자의 경험을 재구성하여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함에 있어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형성, 삶의 철학과 정체성의 현장에서 실천, 이러한 실천 및 삶과 정체성의 형성, 변화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3차원적 맥락에서 보여줄 수 있는 글쓰기를 지향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성찰적 저널 쓰기를 통해 유아교육자로 살아온 연구자의 삶과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통해 연구자의 경험이 참여자의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과정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도 보여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정당성은 내러티브 탐구의 정당성 확보 방안인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확보하고자 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이끌어낸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삶과 정체성의 내러티브가 갖는 의미는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수정의 삶 펼쳐 보이기’ 장에서는 공립유치원 교사로 살아온 수정의 삶의 중심 철학을 시지프스의 삶, 타인과의 공존의 삶, 위버멘쉬의 삶으로 나누어 각 삶의 의미와 변화, 이러한 삶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3차원으로 엮어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 삶을 표상하는 부제를 중심으로 한 수정의 삶은 시지프스처럼 살아온 삶이지만 이제는 조금 쉼과 위로가 필요하며, 우리는 서로 다름을 존중해야 하며 다름이 공존할 때 삶이 진정으로 아름다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수정은 어려운 교육 현실에서도 자신의 주체성을 가지고 유아를 중심에 두고 교육을 실천하는 행복한 교사의 삶을 영위해가고 있다. ‘수정의 정체성 들춰 보이기’ 장에서는 수정의 삶의 이야기에 나타난 교사의 정체성을 수정의 유아교육 철학과 수업을 중심으로 삶의 철학이 어떻게 유아교육 철학으로 연결되며, 수정의 교육 철학이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통해 수정의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정은 교사 초기 수동적 유아교육에서 점차 느긋해지고 깊어져가는 실존적 유아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또한 가르치는 역할에 초점을 둔 초기 일방적 가르침에서 점차 유아의 마음을 헤아리는 귀기울임으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확장됨을 볼 수 있었다. 수정은 교사의 교육철학과 유아교육의 본질을 실천할 수 없는 열악한 유아교육 현실에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현실을 헤쳐 나가는 탈영토화의 희망을 찾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정이 교사로서의 경험이 쌓여감에 따라 자신의 유아교육 철학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의 수업은 초기 틀에 갇힌 수업에서 미래를 살아갈 유아들의 힘을 길러주는 수업으로 변화되며, 부모에게 보여주기식 수업에서 유아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다양한 심미적 수업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것은 수정이 철학 부재의 수업에서 자신의 철학을 실천하는 수업으로 변화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정의 유아교육 철학과 수업의 변화를 통해 수정의 교사 정체성이 보다 깊어지고 단단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정의 삶과 정체성의 울림’ 장에서는 수정의 삶과 정체성의 이야기가 우리 교육 현실에 어떠한 울림을 줄 수 있는가의 의미를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가기, 삶의 주체가 되어가기, 진정한 만남 만들어가기, 배움과 가르침의 경계 넘나들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가기에서는 교사가 자신을 성찰하며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와 성찰의 삶은 실제 교실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삶의 주체가 되어가기에서는 왜 우리가 삶의 주체가 되어야 하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와 주체적 삶의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진정한 만남 만들어가기에서는 자연, 유아, 동료 교사와의 만남에서 어떻게 진정한 만남을 만들어갈 수 있으며, 진정한 만남이 가져오는 효과와 실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배움과 가르침의 경계 넘나들기에서는 마주침을 통한 이념을 만들어가는 수정의 배움에 대한 생각과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의 가르침은 유아들과 서로 주고받는 장(場)만들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정이 보여주는 삶의 철학과 정체성은 유아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각박한 교육현실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공공의 선(善)을 추구하는 한 교사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면에서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타인의 삶을 이해함에 있어 하나의 정형화된 바람직한 기준은 있을 수 없다. 다만 그 삶이 현실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공공의 선을 추구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타인의 삶을 바라봐야 한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정체성을 탐색한 본 연구의 의의는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에 나타난 유아교육철학, 수업에 대한 생각과 실천적 모습을 통해 정체성의 변화 양상과 변화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좀 더 교사의 삶의 철학과 정체성이 교실 실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정체성이 왜 중요하며, 교사의 정체성과 수업과의 관계, 교사 정체성 형성의 지원과 교사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느끼게 한다.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수정의 삶과 정체성의 탐구과정은 결국 연구자의 삶과 정체성의 이해과정이었다.

      • 전통 민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2019년을 중심으로

        정순경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요는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음악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는데 매우 중요한 교육수단이다. 이러한 민요를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시키기 위해 어떠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고 선행 연구들을 통해 연구방법과 틀을 마련하여 발행연도별, 학교별(소속별), 연구대상별, 활용요소별, 연구방법별로 연구동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 석사학위 논문 분석내용을 보면 2005년을 기점으로 상향되었고 2013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2019년 약간의 상승이 있었으나 전체적인 흐름으로 볼 때 점점 하향 추세의 결과를 보였다. 학술논문의 경우 연도별로 크게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고 2014년에 5편이후 2019년까지 하향 추세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학교별(소속별) 분석내용을 보면 수도권 대학에서 많은 연구를 하였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한국국악교육학회·한국민요학회 등이 민요교육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졌고, 그 중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에서 28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8편을 연구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 분석내용을 보면 학위논문은 중등-초등고-고등 순으로 중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많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술논문은 초등고-중등-전체 순으로 초등고가 많이 연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활용요소별 분석내용은 교과서 음악에 수록된 제제곡을 그대로 사용하여 어떠한 것도 소재로 삼지 않았지만, 다양한 시도를 통해 민요와 졸탄코다이 교수법, 시김새 등 국악가창기법, 가야금, 토리등을 활용하여 여러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전통민요교육과 관련한 연구방법별 분석내용은 학위 논문의 경우 조사 6편, 개발 176편으로 여러 제제곡의 지도안 개발이 많았으며, 학술 논문의 경우 조사 15편, 개발 16편, 문헌연구 1편으로 조사와 개발이 비슷한 추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민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도별에서는 민요교육 연구가 점증적으로 축소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에서 전통민요 교육연구가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지방소재 대학들도 전통민요 교육에 관심을 두어야 하겠고, 민요 교육자들이 다양한 대상과 교육 소재를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예술적 가치가 있는 우리의 전통민요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고 교육적 동기부여와 관심, 그리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민요교육자들이 학습지도 계획을 세우고 효과적인 민요교육을 진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들로 활용되어지는 것이라 하겠다. Folk songs are music representing our nation and are a very important educational tool to cultivate cultural identity. I investigated what kind of research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educate learners about this folk song. and By preparing research methods and frameworks through previous studies, we tri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by publication year, school (by division), research subject, application factors, and research methods.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analysis of master's thesis by publication year, It has increased since 2005, with the most research done in 2013, with a slight increase in 2019. but In terms of the overall flow, the result was gradually downward trend.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y year. After 5 reserches in 2014, there was a downward trend until 2019. Second, looking at the analysis of each school (by division), many studies we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sociation, and the Korean Folk Song Association were interested in research related to folk song education. Among them, 28 studies were conducted at the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Music at Chung-Ang University, 19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yunghee University, and 8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Hanyang University. Third, if you look at the analysis contents of each research subjec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esis has been studied mainly in secondary school in the order of secondary school-elementary school-high school. The academic papers were studied in elementary-secondary-all ord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a lot of research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s. fourth, according to Analyzing the utilization factor of the music textbook, although the songs were used as they were, through various attempts,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proposed using folk songs, Zoltankodai teaching methods, traditional Korean singing techniques such as sigimsae, gayageum, and tori. Fifth, if you look at the analysis content by research method, for thesis, 6 research articles and 176 developments articles, there was a lot of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lans for various songs.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there were 15 surveys, 16 developments, and 1 literature research showing similar trends in survey and development. Analysis result of research trend of traditional folk song education, As a result of yearly analysis, folk song education research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 years go by. Regionally,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raditional folk s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future, local universit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raditional folk song education. Folk song educ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education so that learners can more easily access traditional folk songs of artistic value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feel motivated, interested, and fu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 basic material for folk song educators to establish a learning guidance plan and to conduct effective folk song education.

      •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형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순경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형(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유아의 이야기구성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효과적인 읽어주기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형(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증진에 차이가 있는가? 1-1)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형(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에 따라 유아의 질적 이야기 구성 능력 증진에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형(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에 따라 유아의 양적 이야기 구성 능력 증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한 H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사용된 검사 도구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유형에 배정된 대상 유아들은 사전·사후 측정검사도구로 Mayer(1969)의 그림책인 「개구리야 어디 있니? (Frog, where are you?)」를 사용했다. 2) 유아의 질적 이야기 구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명순(1997)에 의해 사용된 것으로 Doiron와 Shapiro(1988)의 이야기 구성요소(Story Elements) 분석도구, Bamber와 Marchman(1991)의 이야기 구성요소의 분류원칙에 따른 검사 도구를 사용했으며 유아의 양적 이야기 구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Kertoy(1994)가 제시한 의사소통 단위 수 와 단어 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모두 질적 이야기 구성 능력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각 유형간의 증진효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 읽어주기가 유아의 질적 이야기 구성능력 증진에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묘사형, 이해형, 연행지향형에서‘절’을 단위로 한 의사소통 단위 수에서 모든 유형이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증진이 나타나지 않았다. 세째, 단어 수의 증진에 있어서는 연행지향형 읽기에서만 유의미한 증진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ccording to teacher's role reading wordless book to young children(description type, comprehension, type, performance type), children's ability in story structure exists the difference. So, what king of reading type improves children's ability in story structure. To get th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following questions: According to teacher's reading type, could the children's ability in story structure exist the different results? 1-1) According to teacher's reading type, how much does the children's quality ability in story structure show the difference? 1-2) According to teacher's reading type, how much does the children's quantity ability in story structure show the difference? The subjects this study were 58 five-year-old children who was H kindergarten in Busan, Korea. To get the research result used as following instruments: As the measurement survey instrument, the Mayer's wordless book "Frog, whers are you?" collected. To measure the children's quality ability in story structure, And used the Story Elements of Doiron and Shapiro(1998) and the Kim's(1977) adjusted analysis items as analysis instrument. And used the analysis principle of Story Elements in Bamber and Marchman(1991) To measure the children's quantity ability in story structure used the number of communication unit and number of vocabulary suggested Kertoy(199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when three types(description, comprehension, performance-oriented) applied. there was little a meaning difference between teacher's role reading the wordless book and improved effects of children's quality in story structure. That means three types have the same effects in upgrading the children's quality ability in story structure. Finally, in side of upgrading the children's word number, when performance type applied, there was a meaning difference in the pre-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There was little a meaning difference in teacher's role reading the wordless book and improved effects of children's quantity ability in story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