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체표현을 활용한 유아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서정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음악 감상은 유아가 능동적으로 음악을 듣고, 탐색하고, 경험하는 음악활동의 하나로써 음악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삶 전체에 있어서도 유아에게 가치 있는 경험이다. 유아가 음악을 즐기는 것은 본능적이라고 할지라도 어떤 음악에 익숙하게 되는가는 전적으로 교육의 영향이다. 유아기는 어떤 음악을 자주 들었는가에 따라 음악의 선호도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기만큼 음악적 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시기도 없으며 이 시기에 듣는 음악은 아무런 편견 없이 유아들에게 수용되고 각인되어 다음 시기에서의 음악에 대한 선호성과 능력 발달의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또 유아들은 음악에 대해 본능적으로 몸을 움직인다. 유아들은 음악에 대한 느낌과 감동을 신체의 움직임으로 나타내며, 음악의 방향과 흐름에 대해 즉석에서 신체 표현으로 반응한다. 음악을 통한 신체 표현은 유아들이 음악 수업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반응이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이 신체 표현으로 나온다는 점을 기초로 단계별 신체 표현을 설정하여 유아들에게 적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지도방안을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들의 국악교육의 기초를 형성해 주고, 유아가 국악적 특징을 자연스럽게 몸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유아들에게 적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유아 국악교육을 위한 신체 표현의 의의를 선행 연구물과 문헌 및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초로 살펴보았다. 둘째, 유아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이 신체로 표현된다는 것을 기초로 신체 표현을 3단계로 설정하여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설정하였다. 셋째, 단계별 신체 표현을 활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으로 연간 월별 교육 계획안과 월간 주별 교육 계획안을 세워 연간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넷째, 연간 프로그램에 의해 생활 주제별 감상곡에 대한 단계별 교수학습지도안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지도방안을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유아들은 국악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및 주의집중력이 늘어나고 이를 신체로 표현해 보려는 시도가 많아졌다. 감상곡에 대한 신체 표현의 방법도 개별적인 표현에서 점차로 소집단이나 대집단 내에서 역할을 나누어 표현해 보는 것으로 표현의 형태가 변화되고 다양화되었다. 감상곡에 대한 반응도 남과는 다른 나만의 표현법으로 나타내려고 하였으며 감상곡의 변화되는 부분에 집중하여 듣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국악교육의 기초를 형성해 주는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교사들에게는 국악감상교육에 대한 방향성이 제시되기를 바라고 유아들에게는 국악감상 능력이 향상되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리의 음악인 국악을 사랑하고 즐기는 삶을 살아갈 수 있길 바란다. 음악 감상은 유아가 능동적으로 음악을 듣고, 탐색하고, 경험하는 음악활동의 하나로써 음악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삶 전체에 있어서도 유아에게 가치 있는 경험이다. 유아가 음악을 즐기는 것은 본능적이라고 할지라도 어떤 음악에 익숙하게 되는가는 전적으로 교육의 영향이다. 유아기는 어떤 음악을 자주 들었는가에 따라 음악의 선호도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기만큼 음악적 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시기도 없으며 이 시기에 듣는 음악은 아무런 편견 없이 유아들에게 수용되고 각인되어 다음 시기에서의 음악에 대한 선호성과 능력 발달의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또 유아들은 음악에 대해 본능적으로 몸을 움직인다. 유아들은 음악에 대한 느낌과 감동을 신체의 움직임으로 나타내며, 음악의 방향과 흐름에 대해 즉석에서 신체 표현으로 반응한다. 음악을 통한 신체 표현은 유아들이 음악 수업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음악에 대한 기초적인 반응이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이 신체 표현으로 나온다는 점을 기초로 단계별 신체 표현을 설정하여 유아들에게 적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지도방안을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들의 국악교육의 기초를 형성해 주고, 유아가 국악적 특징을 자연스럽게 몸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유아들에게 적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유아 국악교육을 위한 신체 표현의 의의를 선행 연구물과 문헌 및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초로 살펴보았다. 둘째, 유아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이 신체로 표현된다는 것을 기초로 신체 표현을 3단계로 설정하여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설정하였다. 셋째, 단계별 신체 표현을 활용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으로 연간 월별 교육 계획안과 월간 주별 교육 계획안을 세워 연간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넷째, 연간 프로그램에 의해 생활 주제별 감상곡에 대한 단계별 교수학습지도안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지도방안을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유아들은 국악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및 주의집중력이 늘어나고 이를 신체로 표현해 보려는 시도가 많아졌다. 감상곡에 대한 신체 표현의 방법도 개별적인 표현에서 점차로 소집단이나 대집단 내에서 역할을 나누어 표현해 보는 것으로 표현의 형태가 변화되고 다양화되었다. 감상곡에 대한 반응도 남과는 다른 나만의 표현법으로 나타내려고 하였으며 감상곡의 변화되는 부분에 집중하여 듣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국악교육의 기초를 형성해 주는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교사들에게는 국악감상교육에 대한 방향성이 제시되기를 바라고 유아들에게는 국악감상 능력이 향상되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리의 음악인 국악을 사랑하고 즐기는 삶을 살아갈 수 있길 바란다.

      •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창작 국악동요 지도방안 개발 연구 : 초등학교 5 학년 중심으로

        김진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Orff's music education philosophy and his teaching method, and to develop instructional metho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by applying the Orff approach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Korean society calls on people to properly respond to the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diversification trends.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stressed fostering autonomous and creative Koreans who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e 21st century's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society as well, and the music curriculum was revised in lin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The biggest change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s the growing weight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 fact, however, th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of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hat includ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aren't mostly intriguing enough to spark modern children's interest, and new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have been composed to remedy the situation, which are called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refer to children's songs that are composed according to traditional music style, and they are new songs that have been composed in accordance with the dic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for the sake of children, show unique Korean sentiment and are in line with the pervasive trend in modern times. Although the weight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textbooks gets larger, there aren't full explanations on how national classical music should be taught or how to stir up children's interest and class participation. In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no further attempts are made than merely letting children sing the songs of the textbooks and play the Danso. So children are likely to view national classical music as uninteresting and unfamiliar. Under the circumstances,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methods for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is required to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for students to foster their creativity and musicality. The objects of the current 7th music curriculum are to teach children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music and get interested in music through diverse music activities. Accordingly, music education should first be intriguing enough to stir up their interest and spontaneous, positive learning attitude, and they should be taught to have rational, systematic inquiry spirits and excellent creativity, to build appropriate aesthetic values and to lead an aesthetic life. New educational methods for national classical music that make it possible to attain the objects of music education and to be appealing to learners are desperately required, and Carl Orff(1895-1982)'s teaching method seems to be the best alternative. The reason is that the Orff approach is characterized by direct and holistic hands-on activities that integrate play, talk, singing, physical movement and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The utilization of this approach is in line with the objects of the revised 7th music curriculum in that it allows learner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self-expressiveness. There are largely five different sections in the teaching method for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which is presented in this study by utilizing the Orff approach. The first section is speaking. Learners are able to foster their rhythmic sense by doing speech-rhythm play and getting used to the rhythm of the words of the given songs. The second is singing. They sing songs in tune by engaging in imitating and exploring activities. The third i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They make use of speech rhythm and their body as an instrument to represent the rhythm of the given orchestration score, and they play the traditional and Orff instruments together in concert. The fourth is expression through the body. They sing the given songs and dance in consideration of the form of the songs after they learn Korean Chumsawui. The fifth is inclusive Orff music activities. They engage in comprehensive music activities in which singing,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s and dancing are done together in a natural manner.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of creativ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to prepare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by applying the Orff approach step by step and ultimately to provide students with inclusive and creative music education. The diverse utilization of the Orff teaching method is expected to ignite the interest of students in national classical music, to let them take pride in our culture and to facilitate their identity building. 본 연구는 창작 국악동요의 특성과 오르프의 음악교육철학 및 교수법에 대하여 고찰해보고 이들 자료와 문헌을 토대로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창작 국악동요의 지도방안 개발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한국 사회는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개정된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음악과 교육과정도 이런 취지에 맞게 개정이 되었는데 그 중 국악교육의 비중이 높아진 점이 가장 큰 변화가 되겠다. 하지만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오는 국악동요인 전래동요와 민요의 대부분은 현대 아이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기에 미흡한 점이 많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창작국악동요가 나온 것이다. 창작국악동요는 전통 음악풍으로 작곡된 동요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이를 위한 국악어법으로 새로 만든 곡이다. 또한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며 현대의 시대감각을 반영한다. 교과서에 국악의 비중은 높아졌지만 왜 그런 국악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나 어떻게 해야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부족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국악교육은 음악책에 나와 있는 제재곡을 한 번 불러보고 단소를 연주하는 정도에서 그치고 그 이상의 깊은 단계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국악을 재미없고 생소한 것으로 여기기 쉽다. 따라서 창작국악동요 지도방법에 대한 새로운 지도방안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지도를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력과 음악성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현행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음악과의 목표를 기초적인 음악개념의 이해와 다양한 음악활동의 경험, 음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음악교육에 있어서의 학습은 먼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키는 것이 되어야 하며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필요로 한다. 또한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탐구정신으로 창의성을 개발하여 보다 나은 미적 가치관을 창출하고 이를 생활화해야 될 것이다. 이러한 음악과의 성격을 실현하고 학습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새로운 국악교육 방법이 절실히 요청되는 바, 효과적인 대안으로 독일의 칼 오르프 (Carl Orff. 1895∼1982)가 창안한 교수법을 활용한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로 오르프 교수법은 음악학습이 놀이와 대화, 노래, 신체동작, 악기연주들이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직접적이고 총체적인 체험활동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르프 교수법의 활용이 창의력과 자기 표현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제 7차 음악과 교육개정안의 목적과도 잘 부합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한 창작국악동요 지도방법은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말하기의 영역으로 말리듬 놀이와 제재곡의 가사 말리듬을 통해 리듬적 감각을 키운다. 둘째, 노래 부르기 영역으로 모방과 다양한 탐색활동을 통해 가락의 흐름에 맞게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셋째, 악기연주하기 영역으로 제재곡 오케스트레이션 악보의 리듬을 활용하여 말리듬과 신체악기로 표현하고, 우리악기와 오르프 악기가 함께 제재곡 앙상블을 연주하도록 하였다. 넷째, 신체표현 영역으로 우리 춤사위를 배워 제재곡을 부르며 음악형식에 맞게 춤을 출 수 있다. 다섯째, 통합적인 오르프 음악활동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악기연주와 춤추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음악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서 창작 국악동요의 문화적, 교육적 가치를 되새기고 오르프 교수법을 단계적으로 적용시켜 학교 교육에서 효과적인 음악학습 지도방안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포괄적이고 창의적인 음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오르프 교수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국악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켜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 영아국악놀이 프로그램 개발연구

        김한나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y program of national classical music for infants and toddlers in an attempt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fants and toddlers to receive education during their play through national classical music in pursuit of their sound development and growth. As infanthood experiences have a great impact for a lifetime,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s mandatory in infanthood, and actualizing that education in infanthood is one of the top priorities for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community. Infants and toddlers refer to those who are aged between 0 and 36 months old and include newborn babies. They are in desperate need of attention and caring from parents. In this study, babies who are aged between 0 and 36 months old and include newborn babies were defined as infants and toddlers as well. Infanthood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verbal development,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play and musical development. Stage 1 involves newborn babies to 12-month-olds. Infants make the largest physical,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his period in their lifetime. At the same time, they need the attention and caring of their rearers the most in this period, and the paternal attitude of their parents exercises a great influence on their development. Stage 2 is comprehensive of 13-month-olds to 24-month-olds, who are called toddlers. They start to speak significant words in this period and make great strides in verbal development to the extent that this period is called the period of verbal explosion. Stage 3 includes 25-month-olds to 36-month-olds, who are also called toddlers. They a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clearly as they start to make a verbal development. They can play according to the given rules and understand and care about others. And they can role-play through empathy. There is a critical period that they make a specific kind of development, and they attain a higher and more refined development by coordinating their function developed in a critical period with existing functions. In this study, four different kinds of play activities wer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tasks of infants and toddlers: body play, word play, creative expression and sensory exploration. Those activities was combined with national classical music to develop the inborn musicality of the infants and toddlers, to make their play more exciting and to guide their parental attachment in the right dire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lay program of national classical music geared toward infants and toddl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development and the objectives of infant education, a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ant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re increasingly stressed. After the program was actually provided to infants and toddlers in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infants, toddlers and their parents showed interest in the program and its music. The infants and toddlers were exposed to national classical music in diverse ways, and the parent got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national classical music. Given the fact that parents have a huge impact on the play of infants and toddlers, it's important to introduce national classical music to them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a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provided in this study in that the songs aren't diverse enough in terms of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In order to offer more effective and quality infant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lassical children's songs geared toward infants and toddlers is urgently required. The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daily routine life, and if the sound source of the program is produced, it will become a more practical teaching material. 본 연구는 영아에게 국악을 매개로 놀이과정 속에서 교육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영아국악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아의 건강한 발달과 양육을 도모하기위한 것이다. 영아기의 경험은 인간의 일생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영아기의 국악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꼭 이루어져야하는 국악교육의 큰 과제이다. 영아는 보호자의 관심과 보살핌이 절실한 출생 직후부터 36개월까지의 영아를 총칭하는 말이며,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측면을 고려하여 출생 직후부터 36개월까지의 아기를 영아로 정의했다. 영아기는 신체, 인지, 언어, 사회ㆍ정서 발달적 측면과 놀이발달, 음악발달을 고려하여 1,2,3모둠으로 나눌 수 있다. 1모둠은 출생 직후부터 12개월까지의 영아로 분류되며 이 시기의 영아는 일생에서 가장 큰 신체, 인지, 사회ㆍ정서 발달을 이루어낸다. 또한 이 시기의 영아는 보호자의 관심과 보살핌을 가장 필요로 하는 시기로서 보호자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2모둠은 13개월부터 24개월까지의 영아로 분류되며 이시기의 영아는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고 언어 폭발의 시기라 불릴 만큼 언어적 발달에서 큰 성과를 이룬다. 3모둠은 25개월에서 36개월까지의 영아로 분류되며 이시기의 영아는 발달이 시작된 언어를 바탕으로 자신을 확실히 표현 할 수 있게 되고 규칙을 가지고 놀이하며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고 어떤 대상에게 감정을 이입하여 놀이하는 역할놀이가 가능하다. 이러한 영아의 발달은 결정적인 시기가 있으며 결정적 시기에 발달된 기능은 또 다른 기능과 협응하여 더욱 어렵고 세련된 발달을 이루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발달의 과업과 함께 몸놀이, 말놀이, 창의적표현, 감각적탐색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놀이를 국악과 함께하므로 영아의 타고난 음악성을 발달시키고 놀이에 흥을 더하였으며 보호자와 영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올바른 애착관계를 형성 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국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직시하고 영아의 발달과 영아교육의 목표 등을 고려하여 영아국악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시행하여 보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와 보호자들은 프로그램의 내용과 음악에 관심을 보이고 흥미롭게 프로그램에 참가 하였으며 영아에게는 다양한 국악을 전달하였고 보호자들에게는 국악에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영아기 놀이에서 보호자가 큰 영향력을 가진 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호자에게 국악을 소개하고 국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다. 본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국악동요에서 아쉬운 점은 노래의 음악적 특성과 내용에서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효과적이고 풍부한 영아국악교육을 위하여 영아를 위한 국악동요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이 실제 생활이나 각 교육기관에서 활용되길 바라고 보충되고 음원이 만들어져서 실용적 교재로 발전되기를 바란다.

      • 광주 유아국악교육의 실태연구 :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김해경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광주시내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에서 697개 기관, 설문지 조사에서 205개 기관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태조사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기관유형별 국악교육현황에서는 32.5%가 국악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67.5%는 실시하지 않을 정도로 유아국악교육의 열악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교육의 일반적인 실태는 69.5%가 주1회 30분 미만으로 실시하고 있어 집중력이나 연계적인 국악교육을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국악교육의 목표와 내용에서 국악교육을 실기중심(62.2%)으로 하고 있다. 넷째, 유아국악교육의 교육환경마련과 정채적 지원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다섯째, 기자재 및 교재구비에서 유아용 선율악기 개발이 시급함을 나타낸다. 여섯째,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대부분 좋아하고 있다(60.6%). 일곱째, 교사의 국악지도 능력과 재교육이 필요하다. 여덟째, 광주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국악교육의 인적 물리적 환경은 예향의 도시로 자처할지라도 실태조사의 결과는 열악한 편이다. 아직은 기본설비 설치에 주력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실태조사의 결과는 유아들의 창의성과 정체성, 그리고 국민교육으로서 초등과정과 연계성을 위해서, 유아들의 보육과 창의성을 위해서, 또 국악유악교육의 방향을 대처케 한다. 우리는 유아 때부터 사회교육을 시키고 또한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경험케 하여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이 기본방향이다.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으로서 경험의 첫 장이 바로 유아들이 만나는 유치원, 어린이집이므로 이 때의 경험이 한국사회의 구성원들이 창조하고 공유한 문화적 도구로서 음악언어, 곧 전통음악으로 학습경험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광주는 예향(藝鄕)의 도시로서 국악문화와 전통문화가 풍부한 근대도시인데다 7차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부터 국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도, 아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국악교육에 관한한 별개의 교육기관임을 실태조사로 나타났다. 지금과 같은 광주유치원과 어린이집 실태조사의 결과는 바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위한 정책적 수행이 우리들에게 요청되고 있다.

      • 서울강북지역 어린이집 국악교육 실태연구

        이춘자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 유아 보육법에 준하는 교육시설을 갖추는데 개선점을 논하고 이에 준하여 어린이집 국악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서울 강북지역에서 그 설립유형이 국공립 및 민간의 형태인 총 1559곳의 어린이집중 국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어린이집은 934곳이었으며 이중 주1회 이상 정기적으로 국악교육을 하고 있는 어린이집은 455곳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50곳의 어린이집을 유효샘플로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78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12.0을 활용하여 단순빈도 및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을 처음 시작한 시기에 대한 조사결과 2006년을 포함하여 최근 2년 내에 국악교육을 처음 시작한 어린이집이 52%의 비율을 보여 최근에 많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아, 교사, 학부모들의 국악교육에 대한 흥미도나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가구조사부분에서 국악교육을 실시하는 보육기관 주변의 생활수준조사에서 중류층, 중 하류층, 저소득층이 모두 92%를 차지하여 영 유아 보육법에 준하는 전인교육의 일환으로서 국악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정책적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보육시설조사에서 건물형태의 조사결과 단독건물이 46%, 나머지는 상가건물 또는 종교단체, 아파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 또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집교사의 학력은 94%가 초급대학 이상의 학력을 갖췄고 86%의 교사들이 유아교육관련자격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어 대학유아교육과의 국악교육확대가 교사교육을 위하여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국악교육담당교사에 외부특기강사가 국악교육을 진행하는 비율이 74%이고 담임교사는 21.6%로 조사되어 어린이집 교사들에 대한 국악교육연수기회의 확대가 요구된다. 다섯째 국악교육대상조사에서 만3세, 만4세, 만5세가 각각 68%, 88%, 98%로 연령이 높을수록 국악교육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시기의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보육기관에서 영아연령에 대한 국악교육에도 비중을 둘 것과 또한 영아를 위한 국악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국악기자재 보유현황조사에서 장구 94%보유, 소고 82%보유, 꽹과리, 북, 징 등은 한두 개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들의 다양한 국악기 경험을 위해 다양한 국악기 보유가 필요하며 유아의 발달수준에 맞는 국악기의 개발과 제작이 요구된다. 일곱째 어린이집 국악교육활성화방안으로서 여성부에서는 영유아보육법의 내용에 국악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명시하고 어린이집에 대한 국악교육 인증 제도를 확대하여 어린이집 스스로 국악교육에 힘쓰도록 유도할 것과 국악교사의 국악교육에 대한 목표인식과 국악교육 지도능력을 위해 교사 재교육의 기회를 확대시키기 위해 재교육기관과 재교육연수시간을 확대하고 교사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부차원의 강사지원, 시설개선, 악기 등의 지원, 교재 교안 음악 등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유아의 발달수준에 맞는 창의적인 프로그램개발과 국악동요작곡, 유아국악기 제작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의 지도방안 연구

        이진하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It could be inferred from earlier studies of seasonal customs and the revised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at in today's knowledge- based society, our country's seasonal customs based on the world view of our ancestors who esteemed and loved people and nature make it possible to actualize the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of people and nature. Earlier studies of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suggest that preschoolers should naturally be exposed to Korean classical music in everyday life to grow into adults who are well grounded in our culture and can create new value, which the revised 2007 kindergarten curriculum seeks after. Education of seasonal customs and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 both be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not temporarily, as part of regular kindergarten education, and it's consequently required to make researches in the combination of seasonal customs education an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eaching method for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by incorporating education of seasonal customs into that in an effort to help preschoolers to experience national classical music in association with seasonal customs, to enjoy both of them and ultimately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The revised 2007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s were analyzed to find out how seasonal customs and national classical music were taught. After the state of education on seasonal customs and national classical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checked, the natural phenomena, agriculture, customs and unique food of the festive days and the seasonal divisions were investigate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Jangdan, instruments, singing, dancing, play, appreciating and creating, and then in which way seasonal customs, national classical music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ld be linked to one another was considered to devise a teaching method for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in association with seasonal customs by applying an inclusive approach an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2007 kindergarten curriculum. This education was provided to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5 on every festive day and at the time of seasonal divisions from March, and their families were asked to cooperate about this education by sending activity papers after the intent of this education was explained to them. The parent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and the preschoolers took pretest and posttest as well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approac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the parent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 of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linked to seasonal customs, the parents showed a 9% increase in their interest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and there was a 10% increase in their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his education at the same time. Concerning the top priority of early childhoo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mong Jangdan, instruments, singing, dancing, play, appreciating and creating, they placed the most significance on singing bo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When the preschoolers were investigated to grasp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education, the preschoolers were far better aware of seasonal customs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and they made a remarkable progress in awareness of Jangdan, instruments, singing, dancing, play, appreciating and creating.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reschoolers, parents and teachers: First, the preschoolers got more interested in seasonal customs and national classical music while they experienced the changes of seasons and sang national classical music as well as Western music at home and kindergarten. They came to enjoy and love traditional culture in daily routine life. Second,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on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linked to seasonal customs when they observed what changes their children underwent and were involved in their activitie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m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open a new chapter for co-education by famil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ird, the teachers considered it absolutely necessary to stress traditional culture in class, and woke up to the valu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linked to seasonal customs while they worked on that education as part of the curriculum. Besides, they found it delightful to make researches along with the preschoolers. In the future,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s part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association with seasonal customs in order for preschoolers to receive more practical education,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some us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세시풍속과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에서 볼 수 있듯이 오늘의 지식사회에 이르러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화해와 공존의 문제 해결은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세계관에서 형성된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유아국악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국악을 자연스럽게 접하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인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세시풍속과 유아국악교육은 유아의 생활과 동떨어져 특별한 날에 실시하는 일회성 행사가 아닌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생활 교육이 되어야 함을 볼 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의 지도방안을 계획하고 이를 유치원 교육현장에 실행함으로써 유아가 1년을 주기로 하는 세시풍속과 연계한 국악교육을 체험하고 생활 속에서 세시풍속과 국악을 즐기며 이를 통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과 지도서에 반영된 세시풍속과 국악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세시풍속과 국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세시기를 통해 명절과 절기의 내용을 자연현상, 농경, 풍속, 먹거리로 분석하고 국악교육의 내용을 장단과 악기, 노래, 춤, 놀이, 감상, 창작으로 분류하여 세시풍속과 국악, 유아교육과의 연계성을 찾아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계획 및 운영에 근거하여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 지도방안을 통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 지도방안을 3월부터 현재까지 매 명절과 절기마다 실행하고 가정연계 안내지와 활동지를 통해 가정과의 연계를 하였으며, 학부모의 사전-사후 질문 비교와 유아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 세시풍속과 국악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이 사전보다 사후에 9% 증가하였고, 세시풍속과 국악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도 사후에 10% 증가하였다.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유아국악교육 내용으로 장단과 악기, 노래, 춤, 놀이, 감상, 창작 중 노래를 사전․사후에 1순위로 뽑았다. 또한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유아는 세시풍속 내용에 대한 인식이 사전보다 사후에 월등히 높아졌으며, 장단과 악기, 노래, 춤, 놀이, 감상, 창작에 대한 인식 역시 사후에 월등히 높아졌다. 세시풍속과 연계한 유아국악교육을 연구하면서 발견하고 얻은 결론을 유아, 학부모, 교사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세시풍속을 지내며 계절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체험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서양음악과 같이 국악을 흥얼거리며 세시풍속과 국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지고 생활 속에서 전통문화를 즐기며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학부모들은 유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과 동시에 가정 연계 안내와 활동을 통해 세시풍속과 연계한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가정연계를 통해 가정과 교육기관이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의 장을 여는 기회가 되었다. 셋째, 교사는 교육과정에서 전통문화를 강조해야 하는 필요성을 절감하고 세시풍속과 국악을 교육과정으로 계획하고 실행 및 보완을 하면서 세시풍속과 연계한 국악교육의 가치를 발견하였으며, 유아들과 함께 연구하는 즐거움이 있었다. 따라서 세시풍속과 연계한 국악교육이 유아들의 생활교육이 되도록 유치원 교육과정 구성이 되기를 제언하며 교육현장에서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音樂圖像資料를 活用한 幼兒國樂感想 指導方案 : 朝鮮時代 繪畵를 中心으로

        최옥자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감상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도 “전통문화”를 강조하여 음악교육에 다양한 국악교육이 포함되어 있지만 국악감상에 대한 구체적 제시가 없어 실제 교육에서의 적용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악감상활동을 실시하는 유치원 현장에서 국악감상 시간이 악곡의 장단과 역사 등의 지식을 전달하는 기회로 여겼기 때문에 유아는 어렵다고 느끼게 되었고, 수업 분위기가 산만하고 집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유치원 현장에서 국악감상을 소홀히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우리 음악이 가진 깊은 아름다움은 우리 음악에 맞는 잣대로 재고, 우리 음악이 요구하는 감성으로 접근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통합적인 국악감상교육을 위하여 다른 예술영역인 음악도상자료를 활용하고자 유아와 음악도상자료와 관계 및 음악도상자료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만5세를 대상으로 실제 국악감상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도상자료가 있는 국악곡 중에서 거문고, 가야금, 삼현육각, 삼현육각 중 대금을, 그리고 판소리로 한정하여 국악 감상 위주로 수업하는 직접 감상교육 중심으로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우리음악의 감상을 유아에게 어떻게 권할 것인가 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음악도상자료 속에 숨어있는 이야기와 그 속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야기를 국악감상의 도입방법으로 선택하여 지도하도록 만들었다. 음악도상자료 뿐만 아니라 작가 및 작품 하나하나에 대해 특징을 서술하였고, 도상자료의 제목을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제목으로 수정 제시하였다. <단원도>를 <세친구의 추억을 그리며>로 , <월하탄금도>를 <환한 달빛아래 거문고 타는 선비>로, <석천한유>를 <한가로운 여름날의 가야금 소리>로, <월하취적도>를 <대낮처럼 환한 보름달 아래 두 선비>로, <무동>을 <음악에 맞춰 춤추는 아이>로, <평양도>를 <노래로 듣는 옛날 이야기>로 바꾸어 도상자료와 유아가 가까워 질 수 있도록 용어사용을 쉽게 하고, 국악감상곡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감상활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신명으로 접근한 유아국악교육연구

        김진선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오늘날 유아국악교육은 한국의 우수한 음악문화를 계승하고 세계 속에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창조적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는 유아교육과정의 목표아래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악교육현상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국악교육과정을 구축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국악교육철학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아가 한국음악 어법을 경험하고 이해하며 나아가 음악 안에 담긴 선조들의 미의식과 가치관 등을 체험 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서 그 중심에 ‘신명’을 놓고 신명의 개념과 속성을 기준으로 한 교육원리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전통예술미학의 중심 사상인 신명은 인간 몸에 흐르는 氣의 활동과 쓰임인 神氣가 무한히 밝아진 상태를 말한다. 즉, 신기는 인간이 음악활동을 할 때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로서 온몸의 감각기관이 서로 통하여 음악을 느낄 때, 육체를 통한 의미 있는 음악경험이 누적 될 때 그 본성대로 더욱 밝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감각의 주체인 신기가 밝아진 상태를 신명이라고 한다. 한국 전통음악, 특히 유아국악에 중심 과정인 민속악은 이러한 신명사상이 핵심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유아국악교육은 유아가 한국전통음악의 느낌과 멋을 깊게 체험함으로 신명을 경험하고 신명을 풀어내는 과정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국악교육과정 중 악기연주하기의 모태가 되는 풍물놀이와 노래 부르기의 주된 내용이 되는 전래동요, 민요의 창작과 연행의 원리를 통해 얻은 신명체험과 신명풀이의 원리를 토대로 유아국악교육과정에 대한 접근할 때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의 규준과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유아국악교육은 신체의 움직임으로 음악을 익히는 교육이다. 음악을 감각하고 모방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해내는 모든 과정이 신체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신명의 상태에서 발휘되는 자발적인 창의적 표현인 신명풀이는 음악을 온전히 이해하고 향유하게 하는 필수적인 교육방법이다. 신명풀이가 이루어지는 국악교육은 문화적 정체성의 토대위에 개성을 발휘하는 21세기의 창의적 인간형을 육성하는 의의를 갖는다. 두 번째, 놀이를 통한 교육이다. 놀이는 노래가 있는 전래놀이, 음악적 개념을 익히기 위해 성인에 의해 고안 된 놀이뿐 아니라 유아 스스로 주체가 되어 자유스럽게 음악을 향유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혼돈의 상황까지 허용하는 놀이형태를 포함한다. 이는 긍정적 정서와 창의성의 바탕이 되는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를 발달시키는 의의를 갖는다. 세 번째, 음악적 움직임을 통해 어울림을 경험하는 교육이다. 전통적으로 신명은 공동체적 신명, 신명을 통한 대동(大同)사회를 지향하였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음악, 나아가 사람이 살고 있는 자연세상과 음악과의 어울림은 공동체적 신명을 경험하는 교육으로서 홍익인간의 의의를 갖는다. 한국전통음악에는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변해도 그 가치가 존중되는 선조들의 세계관과 미의식이 담겨있기 때문에 유아국악교육과정은 전통음악어법과 함께 음악이 담고 있는 사상적 가치를 토대로 구축되어야 한국음악교육으로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민속악의 교육내용만을 기준으로 접근하였으나 이후 정악까지도 포함한 한국 전통음악이 담고 있는 교육적 사상과 원리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인 한국적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국악강사풀(Pool)을 통해본 강원지역의 국악교육 실태 조사 연구

        이은주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ool system of Korean music lecturers is a support project of culture and art operated i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and was enacted by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0. The aim of this system was to carry out Korean music education professionally and prac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Korean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music educ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ool system of Korean music lecturers and then present a strategy for the practical and substantial operation of the pool system. Study subjects were Korean music lecturers who were appointed by the pool system and were placed at prim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Gangwon-Do area. In order to acquire basic data, a viewpoint question-oriented questionnaire survey of study subject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examin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pool system of Korean music lecturers were divided into Korean music lecturers, schoo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pool system and students who were receiving Korean music educa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of Korean music lecturers in Gangwon-Do area was about 3 years and female lecturers occupied greater proportion. Their self-esteem as a Korean music lecturer seemed to be gre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ctivity of Korean music lecture in general, but they raised many quest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ing conditions. They thought their reasonable wages would be 50,000 won per hour, but their concerns were not put in the wage-oriente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but put in other areas. In other words, they suffered much from the problem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pool system and with their unstable position and obscure role. As for the teaching hour, they wanted to extend it longer for the substantial Korean music education. As for the training program, they wanted not the program of practical skills but the program of teaching methods or guiding methods of students. Second, the career of schoo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operation of Korean music lecturers was more than 15 years in teaching jobs and most of their age was above 40 in general. As for the pool system of Korean music lecturers, their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Korean music lecturers or students. And they had higher expectation for the role of Korean music lecturers and the effect of Korean music education. They wanted the educational course of Korean music lecturers to be established focusing on practical skills. As for the weekly teaching hour for Korean music lecturers, most of them thought it would be reasonable to carry out the education for about 2 hours. In particular, they felt the center of Korean music education would be practical skills focusing on janggu or folk songs. Third, students felt that their interests in Korean music increased with the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music education was high in general. They most wanted to learn janggu and percussion instruments through the course of Korean music education. Their most interesting area was also learning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janggu. Based on study finding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ollowing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pool system of Korean music lecturers: First, in order to enhance Korean music lecturer's intention of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and to maintain their self-este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clear guidelines with which they can clarify their role and mission as a specialist on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security of wages. Second, Korean music lecturers seem to have higher interests in new patterns of Korean music, such as creative percussion music or musical drama and also have strong desire to teach it to students. In particular, they have insufficient experience in educational activities, so they strongly want to learn the skill of teaching as a teacher. They emphasize the necessity of acquiring the techniques of teaching and the methods guiding for students, which can be useful on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Therefore, the design of lecturer training program must take this desire into account. Third, since school teachers expect much for the effect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Korean music lecturers, new systems (for example, the system of teachers who ar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Korean music lecturers) must be established for Korean music lecturers to provide a stable educational service on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국악강사풀제는 국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국악 교육이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난 2000년 부터 문화 관광부의 후원으로 전국 시도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지원사업이다. 본 연구는 국악강사풀제가 도입된 이후 실제 교육현장의 국악교육실태를 분석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내실있는 국악강사풀제가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내 초 중 고등학교의 국악강사풀제에 선정된 해당학교의 담당교사 학생 국악강사이며 연구방법은 이들의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먼저 국악강사풀제의 실태조사 결과는 국악강사, 국악강사풀제를 담당하고 있는 일선학교 교사, 국악수업을 받은 학생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강원도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악강사풀제의 실태 현황을 조사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활동중인 강원도내 국악강사들은 활동경력이 주로 3년 이내의 여성 강사들이 많았으며, 국악강사로서의 자부심이 아주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악강사로서의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처우개선에 대한 문제제기가 가장 많았다. 특히 보수와 비교해 볼 때 국악강사들은 대체로 시급 50,000원 정도가 적정보수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보수 문제보다는 처우개선에 대한 욕구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즉 학교 현장에서 담당교사들과의 문제 그리고 불안정한 지위와 불명료한 역할로 인해 겪고 있는 고충이 더 크다는 점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육시수는 현재보다 더 늘려야 내실있는 국악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연수 프로그램에서는 실기에 대한 부분보다는 교수법이나 학생지도법이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대다수 강사들이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국악강사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일선 학교 교사들은 주로 15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갖는 40대 이상의 연령대가 많았다. 교사들은 국악강사풀제에 대해 국악강사나 학생보다도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악강사들의 역할과 국악수업의 효과에 대한 기대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교사들은 국악강사풀제를 통한 수업이 주로 실기중심으로 편성되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주당 시간은 2시간 이내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국악수업의 중점 분야는 장구, 민요 등의 실기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었고 국악강사의 자질로도 실기구현능력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의 경우 국악수업을 들으면서 전반적으로 국악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들이 국악수업을 통해 가장 배우고자 하는 분야는 장구 및 타악이었으며, 가장 재미있었다고 느낀 분야도 장구와 같은 악기를 배우는 일이라고 응답하고 있었다. 국악강사풀제를 더욱 내실화 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강사들의 교육서비스 제공의지를 높이고 그들의 높은 자긍심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금전적인 보장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교육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자신의 역할과 임무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지침들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국악강사들은 창작타악이나 음악극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국악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고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들은 교수자로서 교육활동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바 이에 대한 학습욕구가 강하며, 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교수법 및 학생지도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강사 연수 프로그램 설계시 이러한 욕구들이 반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현장의 일선교사들은 국악교육과 국악강사들에 대한 효과와 기대가 큰 바 이들이 교육현장에서 안정적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들(국악전담교사제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인천광역시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연구 : 서구지역 국·공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이영숙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this essay, I focus on researching about the cas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located in Inchon-gwangyoksi, Seo-Gu. Above all, it would be contributed to offer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promote and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National &Private Kindergarten in Inchon-gwangyoksi, Seo-Gu in the future.&nbsp;I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I would suggest the conclusions and debates in the following cases.&nbsp;Firstly, most of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approved in above the average of Korean Music Education. Also all of them suggested about the necess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necessity of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for infants considered about that the ways of enhancing the creativity of infants to become a grown-up in the society by recovering the characteristic cultural identity of Korea in the succession of broken spirit of traditional culture. The main purpose of Korean Music Education is to recover the historicity through putting Korean Music on the right place and the creative succession.&nbsp;&nbsp;Secondly, more than ninety percent of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Inchon-gwangyoksi, Seo-Gu had experienced learning about the Korean Music. Majority of them had taken training at private institutes, some had completed cultural studies or specialty courses at the university, and the others touched Korean Music through their hobby like an association. The subjects of the induction courses were mostly about percussion instruments like Samulnori and integrated activities or transmitted children's song and played rhythms, songs, plays and dances. The 45% of teachers considered their knowledge about Korean Music was insufficient, 45% thought they were average, and none of them thought that they had adequate amount of knowledge. 0.9% of teachers even said that they had no knowledge at all.&nbsp;&nbsp;Thirdly, th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were mostly a class teacher, the 0.9% in which was employed visitor special lectures. Most kindergartens, by 82%, had lessons less than once a week and 18% of kindergartens had lessons twice a week. When the time spent in Korean Music Education was divided in a unit of per week, large numbers of kindergartens offered less than 60 minutes of Korean Music lessons per infant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each kindergarten. The priority that Korean Music possessed in Infants Music Education was 82% in less than 10% of kindergartens and less than 30% of kindergartens possessed 18%.&nbsp;&nbsp;Fourthly, in all of the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the subject of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were focused on the practical skills, and it was related with the themes of daily life. The instruments used for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were small drums, and instruments of Samulnori such as a Changgu, drum, and gong, but none of kindergartens used string instruments or wind instruments. In large numbers of kindergartens, playing instruments were the biggest component and more than 60% kindergartens took the subjects such as singing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 Physical Exercise, Folk play, and Transmission Play. The rhythms introduced for infants were Goodkeori and Jajinmori in large numbers with more than 80% of kindergartens, and about 36% of kindergartens were teaching Semichi. Only 0.9% of kindergartens teached Byuldalgeori and Danmori. In kindergartens, 'the physical activity with songs' as physical exercise through Korean Music was largest in numbers and the physical activity using Goodkeori and Jajinmori was used in 0.9% of kindergartens. Fifthly, more than 90% of kindergartens placed in Inchon-gwangyoksi, Seo-Gu possessed Changgu and more than 68% possessed drum and small drums. 69% possessed a gong where as none of the kindergartens possessed a bamboo flute and Kayakum. There were insufficient materials such as music records, DVDs, videos and picture data to apply for the teachers in relation to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e references for Korean Music Education, 0.9% of teachers responded as being satisfactory, 45% as average, 18% as unsatisfactory, and 0.9% not satisfactory at all. Sixthly, the infants of kindergartens placed&nbsp;in Inchon-gwangyoksi,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Korean Music in general, which is similar to the Western music. The teachers mentioned that the children especially liked transmitting play, playing Instruments, and folk play in the activities for Infants Korean Music Education, where on the contrary, less preferred to take the drama play and Korean music appreciation.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hievements to what extent infants understand about Korean Music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more than two third of infants understand what they have been learning about Korean Music. 본 연구자는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국악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인천광역시 서구 국·공립 유치원 국악교육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분석에 기초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및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교사들은 유아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모든 교사들이 긍정적이었다. 유아국악교육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에 대해서는 단절된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 한국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고 이를 통해 세계 속에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국악교육의 첫 번째 목표로는 국악의 올바른 자리매김과 창조적 계승을 통한 역사성 회복이라고 하였다. 둘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교사들은 90%이상이 국악을 배운 경험이 있었는데 이들은 대학교(교양과목)에서 연수를 가장 많이 받았다고 하였고 동호회와 같은 취미활동을 통해 국악을 접한 교사들도 있었다. 연수의 내용으로는 사물놀이 등의 타악기에 대한 연수가 가장 많았으며 노래, 무용, 장단, 놀이 등의 통합적 활동이나 전래동요와 민요 등의 가창 활동에 대한 연수들도 많았다. 교사들은 자신의 국악에 대한 지식 정도에 대해 45% 이상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0.9%의 교사들은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교사도 있었다. 셋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유아국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는 주로 담임교사였으며, 0.9%정도는 외부 특기 강사를 채용하고 있었다. 교육은 주1회 만 하는 곳이 82%로 가장 많았으며, 18%는 주2회로 실시하고 있었다, 국악교육을 하는 시간을 주 단위로 나누었을 때 한명의 유아가 60분미만으로 교육을 받는 유치원이 가장 많았고 유치원마다 교육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유아음악교육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미만이 82%로 가장 많았다. 넷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유아국악교육 내용은 대부분의 유치원이 실기(100%)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생활주제와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었다. 유아 국악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악기는 소고와 사물악기(장고, 북, 꽹과리, 징)가 가장 많았으며, 60%이상의 유치원들이 국악동요, 전래 동요 부르기, 신체표현, 민속놀이, 전래놀이를 교육하고 있었다. 유아들에게 교육되고 있는 장단으로는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이 80%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로 는 세마치장단이 36%를 차지하고 있었다. 단 모리, 별 달거리는 0.9%만이 교육되고 있었다. 유치원에서는 국악을 통한 신체표현 활동으로 ‘노래에 맞춘 신체표현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0.9%는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에 맞춘 신체표현을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들의 90%이상이 장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68%이상이 소고와 북을 보유하고 있었다. 꽹과리와 징은 60%이상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반면 국악교육관련 음반, DVD, 비디오, 그림 자료는 교사들이 활용하기에 많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국악교육 참고도서는 0.9%가 만족하다, 45%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0.9%가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고 하였다. 여섯째, 인천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유치원의 유아들이 국악에 대한 흥미도 는 대체로 높았으며, 교사들은 유아들이 유아국악교육활동 중에서도 전래놀이, 악기연주, 민속놀이 등을 좋아한다고 하였고 극 놀이와 국악 곡 감상을 가장 적게 선호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이 국악교육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는지에 대한 성취도를 교사를 통해 알아본 결과 절반정도이상의 유아들이국악교육을 이해하고 익히고 있다고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