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 명품 대여의 동기, 혜택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상해 거주 여성을 중심으로

        정소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중국 명품시장은 2008년에 86억 달러에 도달했고 이 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 중국소비자 전국 명품소비는 약185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중국인들이 2014년 전 세계의 46% 되는 명품을 구매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중국은 일본을 대체하여 세계 최고의 명품소비대국이 되었고 명품소비액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리웨이지에, 2015). 한국 명품시장은 2006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10%를 넘는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4년에는 45억 달러에 도달했고 이미 세계 4대 명품소비시장 중의 일원이 되었다 (정재훈, 2015). 한국과 중국 명품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명품에 관한 구매동기/혜택, 명품 대여 의도/동기/혜택/한계점에 관한 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중국과 한국의 한국에 거주하는 20~50대의 학생과 직장인 및 주부 등 총450명으로 본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 표집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품 브랜드의 설정범위를 높은 가격과 오랜 역사전통과 전설적인 브랜드 스토리를 갖고 있는 해외 유명 명품브랜드로 한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5년 12월 중이었고 총 400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는데 1회라도 명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서울) 소비자들의 평균연령은 24.8세이고 중국 (상해) 소비자의 평균연령은 25.7세로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 소득 역시 200만 원 이하가 163명, 200만 원 이상이 37명으로 동일하게 조정되었으나 중국소비자가 소득이 약간 높은 편이었다. 직업과 학력은 한국의 경우가 ‘대학생’ 직업과 ‘재학 중’ 학력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중국은 ‘직장인’ 직업과 ‘대학교 졸업’ 학력이 더 많이 표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여성은 명품구매 횟수가 1.58±0.9회/연, 중국 여성은 1.82±1.1회/연 인 것으로 나타났다 (t= -2.42, p<0.05). 중국과 한국소비자들의 평균 소득은 동일 수준이지만 한국보다 중국 소비자들은 더 자주 명품을 구매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 명품을 많이 구매한 여성 소비자가 명품을 1번만 구매한 여성 소비자보다 구매동기-즐거움/기능, 사용혜택-물질/실용적 혜택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차원축소의 요인분석 결과를 보면, 명품의 구매동기는 과시/동조성, 기능/즐거움 의 2가지 요인으로 묶였으며, 사용혜택은 개인/사회적 혜택, 물질/실용적 혜택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여 동기는 1가지 요인 대여의도로 나타났으며, 대여혜택은 경제체험활용, 공간환경품위의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여의 한계점은 신뢰성 불안, 소유애착위생, 복잡한 절차 등 3가지 요인으로 묶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명품의 구매동기/혜택과 대여 의도/혜택/한계점은 서로 상관이 깊었다. 넷째, 국적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한국보다 중국이 대여 의도가 높았으며 구매 시에 과시/동조성 동기가 중국이 높았다는 점이다. 사용혜택으로 자존감 상승의 개인/사회적혜택은 중국이 높았으나 내구성의 물질/실용적혜택은 한국이 높았다. 대여혜택에서 경제체험활용의 혜택은 차이가 없었으나 공간환경품위는 중국이 높았다. 대여시장의 한계점에서 신뢰성불안, 소유애착위생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잡한 절차에 대한 한계점은 중국이 높았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고연령이 대여의도가 낮았으며 대여혜택-경제체험활용이 낮았다. 30세 이상의 고연령이 공간환경품질의 대여 혜택에 관해서 저연령보다 의식적 이었다. 기능/즐거움의 명품 구매동기와 물질/실용적 사용혜택에서는 국적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는데 한국은 고연령에서 높게 나타나는 반면에 중국은 저연령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국과 달리, 한국은 경제력이 강한 200만원이상의 고소득자는 200만원이하의 저소득자보다 명품구매동기에서 기능/즐거움이 높았으며 물질실용적 사용혜택이 높았고 공간환경품위의 대여혜택에 관하여 의식이 높았으니 대여 의도는 낮았다. 직업에 따라서 살펴보면, 자영업과 직장인이 학생보다 공간환경품위 의 대여혜택에 대한 의식이 높았다. 학력에 따라 살펴보면, 대학졸업 이상 고학력자는 대학재학 이하 저학력자보다 명품구매동기-기능/즐거움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공간환경품의의 명품대여 혜택의 의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미세먼지 예보 개선을 위한 WRF-CMAQ 기반 대기경계층 모수화 오차 특성 분석

        정소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air quality forecasting, meteorological variables are of great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planetary boundary layer(PB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air pollutants. As PBL is characterized by the complex turbulence precesses in the meteorological model, it should be parameterized by determining the turbulent properties. Therefore model result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are highly dependent on parameterization methods. In this study, as a case study, we carried out three sensitivity tests from different PBL turbulence parameterization schemes: nonlocal(YSU), local(MYJ), hybrid(ACM2) for WRF-CMAQ, and detaile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pollutants were carried out over day and night separately; daytime is characterized by thermal turbulence whereas nighttime is dominant by mechanical turbul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mulated relatively better for both day and night except for some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wind speed. Wind speed was overall overestimated by all parameterization schemes in the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wind speed simulation capability in simulating the air pollutants by WRF model. Relatively, non-local PBL scheme outperforms local scheme during daytime; local scheme simulates more than twice as much as observations during daytime. It is therefore indicating that the non-local method that parameterizes the turbulence with the consideration of overall vertical profile is relatively more appropriate for simulating wind speed. PBL height(PBLH)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non-local scheme during daytime when large eddies were dominant and buoyancy is well associated, while local scheme shows better capabilities during nighttime when turbulence such as small eddies and molecular diffusion were mainly caused by shear. PM2.5 concentrations were underestimated at all times, while non-local scheme simulated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s among the three schemes, thereby yielding simulations close to the observation. Local scheme showed relatively better capability in PBLH simulations in nighttime, whereas it showed the worst capability in PM2.5 simulation presumably due to overestimated wind speed. As a result of modeling analysis for day and night separately, it is advantageous that a hybrid technique would be recommended to parameterize turbulence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e non-local method during the day and the local method at night to improve the simulation capability of atmospheric boundary layer parameteriza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urther,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apply model sensitivity studies to various cases and other urban areas to provide a legitimate, integrative, interpretive evaluation in association with PBL schemes in South Korea. 대기질 예보에 있어 기상요소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대기경계층은 오염물질의 연직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기상 모델 내에서 대기경계층은 복잡한 난류 과정을 반영하여 결정되므로, 직접 계산 가능하지 않고 모수화 과정으로 결정된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모수화하였는지에 따라 상이한 대기경계층을 모의하므로 오염물질 농도 예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RF 모델 내에서 구별된 난류 모수화 특성을 가지는 비국지(YSU)·국지(MYJ)·혼합(ACM2) 방안 총 3가지 옵션을 선정하여 기상장을 모의한 후, CMAQ 모델로 대기질 모의를 하였을 때 변수들의 모의 차이점에 관련한 민감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수도권 초고농도 사례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열적 난류가 지배적인 주간과 기계적 난류가 지배적인 야간을 구분시켜 분석한 결과, 기온 및 상대습도는 주야간 모두 우수하게 모의하였지만 풍속은 전부 과대모의하며 모델 풍속 모의 능력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주간에 국지 방안은 관측 대비 2배 이상 모의하여, 전체 연직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난류를 모수화하는 비국지 방법이 풍속 모의에 더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경계층 고도는 부력에 의해 큰 에디가 우세한 주간은 비국지 방안, 시어에 의한 작은 에디 및 분자확산과 같은 난류가 발생하는 야간은 국지 방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PM2.5 농도는 전 시간대에서 과소모의하였고 비국지 방안이 그 중 가장 높게 모의하여 측정 농도와 가까웠다. 야간 경계층 고도는 국지 방안이 잘 모의했음에도 불구하고 PM2.5를 잘 모의하지 못한 이유는 비국지 방안의 매우 낮은 야간 경계층 모의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주야간 종합 분석 결과, 대기경계층 모수화 정확도 향상을 위해 주간은 비국지, 야간은 국지 방법으로 난류를 모수화하는 통합적 기법이 필요해 보이며, 주간보다는 야간 모의 능력이 어느 정도 개선 가능한지에 관련한 난류 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 Perlite 및 tobermolite 바이오필터의 메탄 제거 및 미생물 군집 특성

        정소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Biological filtration (e.g., biofilter) is used for mitigation of low-concentrated methane produced from waste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landfills. Methanotrophs degrade methane in biological filtration. Packing materials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biofiltration since they immobilize methanotrophs and provide the support for growth of the methanotrophs. Therefore, diverse materials have been employed as packing materials in methane biofilter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iologically inactive materials as packing materials in terms of methane oxidation performance and microbial community. Three potential packing materials including tobermolite, perlite and polyurethane were evaluated using a batch experiment. The packing materials were incubated with four different mixed methanotrophic consortia (originating from landfill cover soils and wetland). All of the materials can enhance the methanotrophic activity and popul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Perlite and tobermolite were selected for a further biofilter experiment since the both materials showed a higher methane oxidation activities. A laboratory-scale biofilter packed with perlite was operated for 110 days. Methane removal performance was stable at a removal efficiency (RE) of 61.3 ± 10.2%. The RE temporally dropped for a 45 - 55 day period but the biofilter began to recover the RE. Pyrosequencing showed that bacterial communities of days 14 and 28 (an earlier period) were distinctly discriminated from those of days 68 and 108 (a later period). This microbial succession coincided with the termporal deterioration of 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nge of bacterial community was responsible for the deterioration. Rhodobacter, Hydrogenophaga and Methylomonas were dominant in 14 and 28 days, while Methylocaldum and Methylococcus were abundant only in 68 and 108 days. However, microbial composition was unable to link with the methane oxidation performance. Methanotrophic population steadily increased with time although total bacterial population decreased. Thus, the methanotrophic proportion was 15% on day 28, then increased to 41% on day 108.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erlite is a promising bed material for methane biofiltration, since it allows methanotrophic acitivity and population to remain stable for a long time period. A laboratory-scale biofilter packed with tobermolite was operated for 68 days. RE increased rapidly for the first few days and peaked at 54% on day 20. RE was stable at 33.2 ± 5.5% for the rest of the 68-day period. The methanotrophic proportion on tobermolite increased to 71.1 ± 0.8% at day 21, then decreased with time. The result indicates that tobermolite provides a specialized habitat for selective growth of methanotrophs. Moreover, total bacterial community and population slightly changed for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obermolite allows the microbial community to remain stable, resultin in a stable methane removal performance. This study evaluated perlite and tobermolite as packing materials for methane biofiltration, in regards to methanotrophic performance as well as microbial community. These results can provide a deep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erlite- and tobermolite-based methane mitigation systems. 매립지나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저농도의 메탄을 처리하기 위해서 바이오필터 등의 생물학적 메탄 제거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생물학적 메탄 제거는 메탄을 분해하는 메탄산화세균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이오필터에서 충전재는 메탄산화세균의 고정화와 증식을 위한 서식지를 제공하며 바이오필터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메탄산화세균의 활성을 유지하고 메탄 제거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이점을 가진 새로운 담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 저감을 위한 바이오필터의 충전재로서 단독으로 사용해서 평가된 바가 없는 불활성 담체를 충전재로 적용하여 메탄 제거 특성 및 충전재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 특성을 규명하였다. 메탄 바이오필터의 충전재로서 불활성 담체인 tobermolite, perlite, polyurethane을 평가하기 위해 매립지와 습지 토양에서 분리한 네 종류의 접종원(메탄산화 혼합균)을 각 담체에 부착시킨 후 담체에 서식하는 메탄산화세균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메탄산화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담체의 영향을 비교한 결과, 담체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시 담체의 사용은 메탄산화세균의 바이오매스를 증가시키고 메탄산화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세 종류의 담체 중 메탄산화 효율의 향상 효과를 보인 담체로 perlite와 tobermolite를 선정하여 실험실 규모의 바이오필터에 적용하였다. Perlite를 담체로 사용한 바이오필터의 메탄제거 효율은 평균 61.3 ± 10.2%로 총 110일의 운전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운전기간 45일에서 55일 사이에 효율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이후 메탄제거 효율은 다시 상승하였다. Pyrosequencing을 통한 세균 군집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운전기간 초기인 14일과 28일의 세균 군집 구성과 시간이 경과한 68일과 108일의 세균 군집 구성은 서로 상이하였다. 28일에서 68일 사이에 세균 군집 구성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이는 메탄 제거 효율이 감소하는 시점과 일치한다. 세균 군집의 큰 변화는 일시적인 메탄 제거 효율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판단된다. 14일과 28일에는 Rhodobacter, Hydrogenophaga, Methylomonas가 우점하고 있으며, 68일과 108일에는 Methylocaldum과 Methylococcus로 우점종이 변화하였다. 세균 군집 구성의 큰 변화는 메탄제거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군집 구성원의 차이는 메탄제거 효율과 연관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일반 세균 수는 감소하였으나 메탄산화세균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perlite에 서식하는 메탄산화세균의 비율은 초기 15%에서 108일에 41%로 증가하였다. Perlite는 메탄산화세균의 활발한 증식을 위한 적절한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메탄제거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좋은 담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obermolite를 담체로 사용한 바이오필터는 운전기간 초기의 세균 군집 구성에서 총 세균 중 메탄산화세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고 71.1 ± 0.8%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는 tobermolite가 단시간 내에 메탄산화세균의 선택적 배양을 위한 특이적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담체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세균 군집 구성은 바이오필터의 총 68일의 운전기간 동안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tobermolite는 세균 군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충전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활성 담체인 perlite와 새로운 담체인 tobermolite를 적용하여 바이오필터의 메탄 제거 특성 및 충전재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메탄 저감을 위한 실험실 규모의 바이오필터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perlite와 tobermolite를 충전재로 적용하여 메탄 제거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perlite, tobermolite를 이용한 생물학적 메탄산화 공정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하다.

      • DRG2가 결핍되면 FGF21을 유도함으로써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으로부터 예방 연구

        정소연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DRG2는 진화 적으로 보존 된 GTP 결합 단백질입니다. 그러나 그 역할은 아직 잘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에너지 대사에서 DRG2의 역할을 결정하기 위해 DRG2의 전신 녹아웃 마우스를 생성했습니다. 흥미롭게도, DRG2 KO 마우스는 체지방 감소를 보였습니다. 이 표현형은 혈청 인슐린 수치와 혈당 수치의 감소를 동반하였으나 간 조직의 FGF21 생산 증가 및 백색 지방 조직 (WAT)의 Browning을 동반했습니다. 기계적으로 DRG2 결핍은 활동을 증가시키고 Akt 및 mTOR를 증가시켜 자가 포식을 감소시켰다. DRG2 결핍 된 세포에서 자가 포식의 결함은 mitophagy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ROS를 증가시킵니다. DRG2 결핍은 일차 간세포 배양 및 간 조직에서 통합 스트레스 반응 및 FGF21 발현의 주요 조절자인 ATF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총체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DRG2가 mitophagy, 간세포에서 ATF4 의존성 FGF21 생산을 조절하는 핵심 분자임을 시사합니다.

      • 변증과 가속도맥파의 상관성 연구

        정소연 동의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 본 연구는 가속도맥파를 이용하여 변증별 혈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동의대학교 부속한방병원에서 중풍 예방 검진을 받은 200명을 대상으로 한의중풍변증표준안-Ⅲ에 근거하여 변증을 火熱證(Fire-Heat pattern; FH), 陰虛證(Yin Deficiency pattern; YD) 氣虛證(Qi Deficiency pattern; QD), 濕痰證(Dampness-Phlegm pattern; DP)의 네 그룹으로 분류하고, 변증별 가속도맥파를 조사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 1. 본 연구 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변증 분류 조사 결과 각각 火熱證 49명(24.5%), 氣虛證 45명(22.5%), 濕痰證 49명(24.5%), 陰虛證 57명(28.5%)이었다. 2. 가속도맥파 항목 중 b/a ratio는 연령과 수축기혈압, c/a ratio는 연령, 수축기 혈압, FBS, T-cho수치, d/a ratio는 연령과 이완기 혈압, 고혈압 병력, e/a ratio는 연령과 성별, SDPTG AI는 연령과 상호관계가 있었다. 3. 가속도맥파 c/a ratio와 d/a ratio는 변증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火熱證이 氣虛證에 비해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AI 또한 변증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氣虛證이 火熱證에 비해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4.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상 火熱證과 氣虛證의 두 군 중 氣虛證으로 변증될 확률은 연령이 높을수록, 고혈압 진단을 받지 않은 자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각 변증군과 가속도맥파 수치 간에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을 중심으로

        정소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vocational counselors, who are working on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First, what is the effect of resilience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on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resilience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o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o examine these questions, in this paper, I analyzed 206 cases of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in Employment Centers across the country.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was measured by using Resilience Quotient Test(Kwŏn Su-hyŏn, 2010), Job Description Index(So Hye-chŏng, 2004),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Park Sŏng-ho, 2001). For data processing, I practic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2.0 for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of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adults.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s follow this order; cause analytical, empathy, impulse-control, emotion regulation, optimism, self-efficacy and active challenge stands last. As for th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the result indicates high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ith job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bosses, while exhibiting very low level of promotion and wages. Also it shows not so high level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among the sub-factors, the emotional consumption shows high. Second, the overall resilience has significantly plus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ts sub-factors such as emotional-regulation and empathy also affect plu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the overall resilience has significantly minus (-)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its sub-factors,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and optimism do the minus effect on it. Through the results, the level of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 could come to light. This research is important for its being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silience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By grasping the effects of the counselors' resilience on their job-satisfacton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s meaningful research would help boosting the resilience level of the counselors and arranging the institutional plan for it as well.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취약계층 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인 취업성공패키지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상담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고용센터에서 근무하는 취업 성공패키지 상담원을 대상으로 총 20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회복탄력성 척도(권수현, 2010), 직무만족 척도(소혜정, 2004), 심리적 소진 척도(박성호, 2001)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서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는 5점 Likert척도에서 3.57로 나왔고 하위요인은 원인분석력과 공감능력, 충동통제력, 정서조절력, 낙관성, 자기 효능감 순으로 나왔고 적극적 도전성이 가장 낮게 나왔다.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직무만족은 5점 Likert척도에서 2.85로 나왔고 직무자체와 상사, 동료에 대한 만족은 높지만 승진과 보수부분이 낮게 나왔다. 그리고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심리적 소진은 7점 Likert척도에서 3.6 으로 아주 높은 편은 아니며 하위요인 중에는 정서적 소모가 높게 나왔다. 둘째, 회복탄력성전체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과 공감능력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 전체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 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과 낙관성, 공감능력 또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이 어느 정도인지 그 수준을 알 수 있었고,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업상담원이 좀 더 만족스런 직업상담 활동을 하기 위해서 회복탄력성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힌 점에 의의가 있다.

      •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정소연 淑明女子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주거공간에 적용하는데 고려할 기준설정과 배려기준을 제시하고 주거공간 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보급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와 개념에 대한 이해와 주거공간에 대한 사회적 변화와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에 그 기본을 둔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시초인 미국의 주거공간 사례 조사를 통하여 주거공간에 있어서 유니버설 디자인을 반영하기 위한 기준설정과 배려기준을 제시하여 주거공간 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보급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이에 본 논문은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라고 제목하고 제Ⅰ장 서론 제Ⅱ, Ⅲ, Ⅳ장의 본론 및 제Ⅴ장의 결론으로 구성된다.<제Ⅰ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의의와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밝힌다.<제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밝힌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인 사회적 출현 배경과 발달, 기초이념과 디자인원칙을 고찰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주거공간의 사회적 변화 및 유니버설 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본 장 전체를 마무리 하고 있다.<제Ⅲ장 유니버설 주거공간의 분석>은 상술한 제Ⅱ장에 근거한 본론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유니버설 디자인을 반영하기 위한 기준설정을 제시하기 위하여 주거공간을 공간적 측면과 집기요소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공간적 측면은 공간 배치 측면과 공간의 구성 요소 측면으로 나누고 집기요소 측면은 공간별 집기류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고찰 대상을 삼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 고찰을 밟아 본 연구의 관점은 유니버설 주거공간의 디자인이 설정되며, 이를 토대로 유니버설 주거공간 디자인의 기준설정과 유니버설 주거공간 디자인의 배려기준을 제시하며 본 장 전체를 맺고 있다.<제Ⅳ장 유니버설 주거공간 디자인 제안>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반영한 주거공간을 단층 복도형, 단층 중앙홀형과 복층 분리형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유니버설 주거공간을 제시하며, 제안 공간의 향후 변화의 디자인 수용계획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제Ⅴ장 결론>에서는 분석 내용으로부터 유니버설 주거공간 디자인의 분석은 첫째, 공간적 측면의 공간 배치 측면은 수직적, 수평적 개방공간을 많이 사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주었고, 구성 요소 측면은 공간의 분할과 연결을 벽, 문의 사용 대신 기둥을 많이 사용하여 개방공간의 사용으로 보다 편안한 동선 고려하였다.둘째, 집기류 측면의 공간별 집기류 측면에 있어 부엌의 경우『ㄷ자형』부엌을 많이 사용하였고, 수납공간이 용이한 붙박이 가구를 많이 사용하였다. 기능적 측면은 모든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의 방법이라는 것이 규명되었다.유니버설 디자인의 바람직한 적용 방법을 위하여 디자이너의 임무는 유니버설 개념이 도입될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을 설계해야 하며, 이것을 활용 가능하게 하여 보다 첨단 테크놀러지화의 시대 속에서 인간의 진정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화와 균형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This research is strongly focus on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to living spa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status by providing data that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the living space. The thesis is based on the social trend in the living system,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Design, the understanding of its concept and of the necessity in the introduction of the Universal Design.The thesis is writt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xtension of the Universal Design, which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with examples of the living space in America where the first Universal Design originated. Therefore, the thesis is written based on my research of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being introduced into our living space.The thesis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I as the introduction, Chapter II, III, IV, and V as the main subject, and Chapter VI as the conclusion.<CH 1, introduction> shows the purpose, significance, contents and method of the research.<CH 2,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and Living Space> shows the social background, development, and design principle in the Universal Design. The thesis concludes by introducing social trends in the living space and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Universal Design.<CH 3, analysis of case studies on Universal Living Space> is the main chapter. It explains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in living Space concretely based on the contents of CH2. For the criteria of the Universal Design, the case studies are analyzed into two perspectives. One is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the other the furnishing perspective.Also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is analyzed in two factors; the layout and the component element. And the furnishing point in; the furnishing layout and the functional element. This chapter focuses on the guideline for the settlement of the Universal Design in the living space. <CH 4,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in living spaces> shows three styles of basing; reflected by the Universal Design in a single floor hall, a multiple floor central hall, and a multiple modification upon any future variation in the space applied.<CH 5, Conclusion> concludes the thesis, which analyzed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to living spaces by presenting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the layout of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allows a user to feel psychological comfort with its horizontal and vertical open spaces. The component element gives consideration to a comfortable flow to user by the use of pillars instead and a spatial separation.In the furnishing layout factor in the furnishing perspective, a use of c-like designed kitchen and fixed, permanent furniture are prevalent. The functional factor of view in the Universal Design allows a user to approach a horizontal and vertical design.For the appropriate settlement of the Universal Design in our society, a designer must consider the space for the Universal Design and find a method to harmonize human life with new advanced technology, which introduces the Universal Design to our life.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에 대한 피아노 교육 실태조사연구

        정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피아노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배경 지식을 연구하고, 피아노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음악치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DHD 아동의 피아노 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피아노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피아노 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 중재방법, 지도실태 및 피아노 교육방법, ADHD 아동의 문제 발생 시 대처방법과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묻는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SPSS WIN 21.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과 다중응답 내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피아노 교사는 ADHD 아동이 집중을 오래 유지하지 못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재 방법에서는 ADHD 아동의 부모가 문제행동을 어떻게 조절하고 대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도실태에서는 ADHD 아동에 대한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실제로 대부분의 피아노 교사는 ADHD 아동에 대한 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방법에서는 쉽고 반복적인 과제에 새로움을 추가하여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처방법에서는 장애아동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 바뀌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의한 효과를 본 지도방법은 아동이 흥미를 느끼는 교구를 사용하거나 좋아하는 곡을 연주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ADHD 아동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교사들의 사례에서는 교사만의 노력으로 ADHD 아동의 증상을 개선하기는 어려웠으며, 부모의 교육과 교육환경 개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ADHD 아동에 대한 전문지식을 배울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ADHD 아동의 증상 개선을 위해서는 부모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더불어 ADHD 아동의 특성에 맞는 피아노 지도방법이 개발되어 향후 ADHD 아동을 지도하는 피아노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piano education in ADHD children and to propose mor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background knowledge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as studie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usic therapy was discuss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iano education.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iano teachers to find out the status of pian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DH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written asking piano teachers about their knowledge of ADHD, how to mediate, how to teach guidance and how to respond to problems with ADHD children and how to effectively guide them. As a method for analysis, the SPSS WIN 21.0v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in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piano teachers recognized that ADHD children did not stay focused for long, and the method of arbitration showed that it was most important for parents of ADHD children to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on how to control and cope with problem behavior. The prevailing opinion was that teacher education for ADHD children was needed in the leadership practice, but in fact, most piano teachers had never received education or training for ADHD children. In the educational method, it was investigated that newness was added to the easy and repetitive task to carry out classes that arouse children's interest, and in the coping method, it was shown that negative thoughts about disabled children were changed as well as efforts to understand them. In fact, it was effective to use teaching aids that children were interested in or to play their favorite songs. In the case of teachers who had difficulties in guiding ADHD children, it was difficult to improve ADHD children's symptoms with their own efforts, and we could se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parents' edu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studies requi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learn the expertise of ADHD children, and in order to improve the symptoms of ADHD children, a way that parent education can be done together should be explored.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piano teaching method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ADHD children will be developed and used as useful materials for piano teachers who guide ADHD childr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