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 이문화간 소통 관점에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의 학업과 삶

        Gauri Prasad Acharya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35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made studying and living abroad a fast growing worldwide phenomenon. Study abroad necessitates living abroad, experiencing different way of life, changing one’s way of thinking as well as acting in daily life.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increasing considerabl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life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Keeping this in mind,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University has become the study area of research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The study focused on how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ociety while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commenced with research questions consisting of a) How did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when they interact wi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while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This also includes what difficulties did they face in new cultural and academic environment? And how did they adjust themselves in new cultural environment when they do not share the same culture? The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grounded theory as a framework and methodology. Grounded theor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which makes possible to know about what is going on or happening or what is local reality in or around an event. This study employed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which is powerful tool for data collec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purposive network sampling method among tho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KOREATECH University on 2013 and staying in Korea more than one year. Among nine students, four students were studying at undergraduate level and five were graduate student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English and all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by using smart phone. After gathering raw data, the open coding method was used to develop categories, subcategories and codes then axial coding was used for making connections among broad categories as a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d four broad categories, twenty eight sub-categories and sixty four codes. Furthermore, academic life provides the context 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ields whe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development and adjustment in new cultural environment were making connections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cause and effect-relationship in sequential order which is the main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of the study. 고등교육의 국제화로 인해 해외에서의 학업과 삶은 빠르게 늘어나는 국제적인 현상이 되었다. 해외에서의 학업은 해외에서의 삶, 다른 방식의 삶에 대한 경험, 사고방식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일상에서의 실천을 필요로 한다. 최근 들어, 한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해외 유학생들이 수는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다른 문화에서 온사람들 사이의 소통인 이문화간 소통은 증가하는 국제화와 세계화 속에서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이점을 염두에 두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학업과 삶은 이문화간 소통의 관점에서 의미있는 연구 영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유학생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어떻게 한국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해외 유학생들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어떻게 한국 문화 및 사회와 상호작용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연구문제와 그들이 새로운 문화와 학업 환경에 처했을 때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라는 문제, 그리고 그들이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새로운 문화 환경에서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연구의 틀과 방법론으로 근거이론을 사용하였다. 근거이론은 주요한 질적연구방법의 하나로서 사건과 사건 주변의 진실은 무엇인지 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게 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 강력한 도구인 반구조화된 면접 방식을 사용하였다. 2013년에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1년 이상 살고 있는 해외 유학생 가운데 9명이 의도적 표집 방식으로 선발되었다. 9명의 학생 중에 4명의 학생은 학부 과정이고 5명은 대학원생이다. 면접은 영어로 진행되었고, 모든 면접은 녹음되었다. 원자료를 수집한 후에 개방코딩 방법으로 범주, 하위 범주와 코드를 만들었고 축코딩을 하여 개념적 구조나 모델로서 확장된 범주간 연결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4개의 범주, 28개의 하위 범주와 63개의 코드가 작성되었다. 학업 생활은 이문화간 소통의 장벽, 이문화간 이해, 이문화간 소통 기술의 개발과 새로운 문화적 환경의 적응이 서로간의 연결을 만드는 곳에서 이문화간 소통 영역과 맥락을 제공한다. 이는 순차적인 원인과 결과 관계에 기반하며 본 연구의 주요한 개념적 틀과 모델이 되었다.

      •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 한국인 지사장의 역량에 대한 사례연구

        길성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03

        It is said that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company's technological capabilities play important roles for multinational companies to decide the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their overseas subsidiaries.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question of why the Korean is selected as a country manager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in Korea and is an exploratory case-study to identify their strategies and country managers’ competencies that need for strategy implementation. That is, it 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competencies of the Korean country manager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s a unique field, which has not been tried in previous studi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for strategy implementation. The 5 of competencies of the Korean country managers which explored by interviews with the active country managers and related persons are being categorized, such as excellent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headquarter and customers respectively; semiconductor equipment expert capabilities; the ability to establish and maintain strategic partnerships with customers by close customer relationship; control power and leadership over Korean employees; and the luck.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ountry managers of multinational equipment companies have almost the same competencies to perform similar jobs. Furthermore, in order to categorize the different capabilities of the country manager according to the company's own strategy by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the size of market demand of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the researcher classifies technology·market-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high technology & large market; the technology-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high technology & small market; the sales-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low technology & small market; and the market-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low technology and large markets. Then, the researcher categorizes the competency types of the country managers as comprehensive competency EV type; sales competency type TB; comprehensive competency EF type; sales competency MO type respectively. The content to be covered are as follows. Chapter 1 contains the necessity, purpose, issues, its contributi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and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to help you understand the research. Chapter 2 cover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CEO competency, competency modeling, NCS, fit i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human capital, the structure of the multinational companies and competitive strategies, and the roles of country managers in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apter 3, referring to McKinsey's classification,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re classified by the market demand and technical competence, and then, the hypothetical model for the competencies of country managers is proposed according to Kotler's classification. Chapter 4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overs a qualitative single-case study, researcher prepar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e study, 18 roles and 5 common competencies of the country managers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re found. Chapter 6 is a conclusion, as the research model is proposing, that different competencies are identified by different types of strategies that are implementing in the multinational semiconductor companies, implication, and finally it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further research plan are discussed 다국적기업에서 기업환경 및 기업의 기술역량은 해외자회사 운영전략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왜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한국지사장은 한국인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으며, 반도체 장비회의 전략과 그 전략을 수행하는 한국인 지사장들의 역량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전략 수행을 위한 인재의 중요성의 인지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특정한 분야 로서의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 지사장의 역량을 살펴보고 그들의 역량을 유형화 하는 것에 본 논문의 목적이다. 현직 지사장 및 관계자들의 면접을 통하여 탐색한 한국인 지사장의 역량은 본사와 고객과의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반도체 장비 전문가로 서의 능력; 고객과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하는 고객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및 유지 능력; 한국직원에 대한 장악력 및 리더십; 운 과 같은 5가 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다국적 장비회사의 지사장들은 서로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거의 동일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나아가, 기업의 전략에 따른 지사장의 서로 다른 역량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기술역량과 시장수요의 크기에 따라 높은 기술, 큰 시장의 기술․시장기반형; 높은 기술, 작은 시장의 기술기반 형; 낮은기술, 작은시장의 영업기반형; 낮은기술, 큰시장의 시장기반형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각 기업유형에 필요한 지사장의 유형을 각각 종합역량 EV형; 영업역량 TB형; 종합역량EF형; 영업역량MO형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룰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 목적, 문제, 의의 및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국의 반도체산업과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제2장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지사장의 역할과 역량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연구로서 역량, CEO역량, 역량모델링과 NCS, 조직과 인재의 정합성, 다국적기업의 현지지사의 형태와 경쟁전략 및 그 전략에 따른 지사장의 역할 등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연구모형으로서 M c Kinsey consulting의 유형구분을 인용하여 시장수요와 기술역량에 따라 반도체 장비회사의 기업을 구분하였고, Kotler의 기업유형 분류에 따르는 지사장 역량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제4장은 연구방법론으로서 질적 단일사례연구, 연구자의 준비,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5장은 연구의 결과로서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사장의 역할과 5개항목의 공통역량을 도출하였다. 제6장에서는 결론부분으로 연구모형에서 제안하였듯이 다국적 반도체 회사의 유형에 따른 각기 다른 역량을 도출하고,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DACUM기반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K대학교 학생처 중심으로

        조수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drew duty and task, by using DACUM technique focusing on duty of student service center to improve job ability of K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In addition, perception gap of job ability by positions was analyzed, and priority of education was confirmed by analyzing educational needs of administrative staff. This can be a base of study to design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training program and to establish a career development system through practical learning need analysis for improvement not only of other duties but also of job ability of other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practical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 in site. As research process and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12 site experts drew duty and task through 2 DACUM workshops, and questionnaire was form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y taking counsel from 4 content experts. As statistical analysis, MS-Excel and SPSS 18.0 Version were used, and t-tes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otal tendency of education by rankings between expected level and present level. Work item with high importance and discord level was finally decided as priority through Borich Need Formula with easy discrimination capacity between items and The Lotus for Focus Model. This research finding is as follows. First, 7 duties and 27 work areas were drawn as critical task through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site experts and content experts.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perception gap of present level and expected level by positions about administrative staff’s duty of student service center, things with high perception level of present job ability are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operating plan, scholarship counsel and selection of scholarship student, and counsel and personal guidance of student’, and relatively-low work areas are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dministration and support of disabled student, and activity to attract scholarship’. In addition, perception gap of present level by positions shows a big difference in the order of ‘guidance and support of media activity, operation of social-minded activities, and guidance and support of self-governing body’, bu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expected level by positions, significance probability of all 27 work areas is bigger than 0.05, 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shows a present level difference by positions, so customized training is needed according to level of positions. Third,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about priority of learning need, all 27 work area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less than 0.05 of significance probability.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xpected level and present level, so priority of education is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dependent activities, guidance and support of adaptation program to college life, and administration of student loan’.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Borich Need, the highest need value ranking is in the order of ‘activities to attract scholarship, counsel with disabled student, and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Lot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with the highest priority of education is 9 work items such as ‘guidance and support of foreign technology volunteer work,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operating plan, administration of scholarship payment and statistics, activities to attract scholarship, personal guidance and counsel of student, guidance and support of adaptation program to college life, counsel with disabled student, support and evaluation of disabled student, and administration and support of disabled student’. Fourth, the commonly-highest high priority group of Borich Need Formula and The Lotus for Focus Model is 8 items such as ‘guidance and support of foreign technology voluntary work,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operating plan, administration of scholarship payment and statistics, activities to attract scholarship, personal guidance and counsel of student, counsel with disabled student, support and evaluation of disabled student, and administration and support of disabled student’. The final analytical result was drawn that 2 items drawn in one of Borich Need Formula and The Lotus for Focus Model are ‘support of alumni association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nd guidance and support of adaptation program to college life’, and are next priority group in training. As a result, priority of learning need are voluntary work and scholarship work among K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tasks. 본 연구는 K대학교 행정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학생처 직무를 중심으로 DACUM기법을 사용하여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직위별 보유한 직무능력의 인식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행정직원의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육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이는 K대학교의 타 직무 뿐만 아니라 타 대학과타 기관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실제 교육요구분석을 통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설계나 경력개발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며, 현장에서 실용 가능한 실천적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와 방법으로는 현장전문가 12명이 2차례의 DACUM 워크숍을 거쳐 책무와 작업을 도출하였으며, 내용전문가 4명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 후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은 MS-Excel 과 SPSS 18.0버전을 사용하였고, 기대수준과 현재수준간의 순위별 교육의 전체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항목간의 변별력이 용이한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t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중요도와 불일치 수준이 높은 작업항목을 우선순위로 최종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전문가와 내용전문가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통해 핵심과업으로 책무 7개와 작업영역 27개를 도출하였다. 둘째, 행정직원이 학생처 직무에 대한 직위별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의 분석결과, 공통 적으로 현재 보유한 직무능력의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장학금 운영계획 수립 하기, 장학 상담·장학생 선발하기, 학생 개인지도·상담하기’ 등이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작업영역은 ‘총동문회 인프라구축 지원하기, 장애학생 관리·지원하기, 장학유치 활동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위별로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의 차(gap)는 ‘언론 활동 지도·지원하기, 사회봉사활동 운영하기, 자치단체 지도·지원하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위별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차이는 모든 작업영역의 유의확률이 0.05보다 크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팀원은 ‘자치단체 지도·지원하기, 장학금 지급·통계 관리하기, 장학상담 및 장학생 선발하기’ 등의 교육을 중요하게 더 인식하는 것과는 달리 팀장급 이상은 ‘학생문화행사 지도·지원하기, 국내 기술봉사 지도·지원하기’ 등의 항목에 대해 좀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요구의 우선순위에 대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27개의 작업영역 모두가 유의확률이 0.05미만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기대수준과 현재수준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동문회 자치활동 지원하기,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지도·지원하기, 학자금 대출관리하 기’ 등이 교육의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로는 요구도 값이 가장 높은 순위로는 ‘장학유치 활동하기, 장애학생 상담하기, 총동문회 인프라 구축·지원하 기’ 등으로 나타났다. The Lotus for Focus 모델의 분석결과, 교육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제1사분면으로는 ‘해외 기술봉사 지도·지원하기, 장학금 운영계획 수립하기, 장학금 지급·통계 관리하기, 장학유치 활동하기, 학생 개인지도·상담하기, 대학생활 적응프 로그램 지도·지원하기, 장애학생 상담하기, 장애학생 지원·평가하기, 장애학생 관리·지 원하기’의 9개 작업항목이 도출되었다. 넷째,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tus for Focus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최우선순위군은 ‘해외 기술봉사 지도· 지원하기, 장학금 운영계획 수립하기, 장학금 지급·통계 관리하기, 장학유치 활동하기, 학생 개인지도·상담하기, 장애학생 상담하기, 장애학생 지원·평가하기, 장애학생 관리· 지원하기’의 8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둘 중 하나에 도출된 2개의 항목은 ‘총동문회 인프라구축 지원하기,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지도·지원하기’로 교육훈련에서 차우선 순위 군으로 최종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위 연구결과는 K대학교 학생처의 직무 중에서도 대학 고유기능인 사회봉사와 각종 중요한 평가요소로 활용 되어지고 있는 장학의 작업영역에 대하여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의 우선순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유한 직무능력이나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으므로 개인별·직위별 수준에 적합한 맞춤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성인중기 전문대학원생이 학업에 부여하는 의미 : 직업경력 10년 이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 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홍순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나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 HRD 전문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있는 재학생들 중 정규 대학 졸업 후 10년 이상의 직업경력을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위과정 학업에 그들은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학위과정 학업 동기와 학업 경험에 대한 그들의 진술을 자료로 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인력개발 분야 혹은 그와 유사분야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며, 2012년 6월 9일부터 2012년 12월 8일까지 매주 토요일본 대학원 빈 강의실에서 1명씩 모두 6명에 대해 심층 면담을 수행하고, 그 내용을 녹취하였다. 녹취한 내용을 전사한 다음, 연구 목적에 부합된다고 생각되는 의미 진술문을 추려내고, 그 문장에 나타난 참여자의 의도, 인식, 느낌을 중심으로 분석, 의미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의미주제를 도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전문대학원 진학은 무엇보다도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직장경험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학업경험에 직장에 서의 한계 극복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학력의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 문화적 맥락들은 학업에, 존중받고, 매력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게 만든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성인중기의 직장인으로 , 학업에, 퇴직이후를 대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학업을 통해 HRD 분야 전문가로서 자기 성장을 주도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자기의 가치를 높여 사회에 공헌할 수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학업에 임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들은, 학업에,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HR 분야에서 실무를 해온 사람들로서, 학업 에, 현장 경험지식을 체계화하고 구체화하는 동시에 인증 받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업의 즐거움을 느꼈다. 일곱째, 연구 참여자들은 삶의 정점에 있는 직업인이자 생활인으로서 학업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학업에, 삶의 목표를 실현하는 과정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덟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경험을 통해 학위과정이 끝이 아니며,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한 자기실현적 예언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주제로 부터 성인 중기의 연구 참여자들이 전문대학원 학업에 부여하는 의미는 ‘전문가로서의 자기성장과 사회공헌 하기’로 직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s which middle-aged students with job experience over 10 years attend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RD are attaching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where I am attending too. The participants have been working at the job relat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 similar field after their university, and I asked six men/woman for interview about what is the reason they decide to enter the school and what they has experienced in school. To explore the research problem, I u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interview was fulfilled from ninth June 9th, 2013 to December 8th, 2013 every saturday in the empty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ove all things, job experience which requires struggle for existence facilitated their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limit in the competition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Second,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being held in respect and as a attractive person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admitting values of educational attainment. Third, as a mid-aged worker, participants attached the meaning of preparing after their retirement and leading personal growth as expert of HRD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Fourth,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opportunity which they could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enhancing their value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Fifth, Participants have expectation for class and anxiety and through these experience, they attached meaning which they challenge their limit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Sixth, participants who has been working in the HR field attached meaning of systemizing and materializing their experienced knowledg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And they feel a pleasure of learning. Seventh, Participants who are in the peak of life have difficulties that should combine both working and learning but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a part of course for achievement their goal of lif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Eighth, Participants recognize that this course is not the end, and attached the meaning of a self-fulfilling prophecy for things that they do in the futur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To conclude, the meanings which participants attaching to academic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are intuited personal growth as expert and contributing for society. The personal growth is what he or she to be free from prejudice, custom and culture etc.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VET Curriculum at Upper Secondary Level of Cambodia and Other 4 Asian Countries

        Songheang Ai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캄보디아 직업기술교육과정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의 직업기술교육과정 사이의 다양한 관점을 조사/비교하고자 한다. 방법론으로서 문헌조사접근법(Documentary reviewing approach)은 직업기술교육과정 학술지/문헌자료/웹사이트 내의 논문, 기사, 교재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조사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선별된 아시아 4개국의 직업기술교육과정 조직들에 대한 조사를 대상 범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교육현황, 교육목표 및 체계, 직업기술교육과정 구조, 직업기술교육과정 시행 가이드라인, 당면과제로 분류되었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전기중등단계에서부터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을 운영하고 있지만 말레이시아의 경우 70%의 직업기술훈련(Vocational Skill Training)과 30%의 보통교육(Academic Education)으로 구성된 기초직업훈련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싱가포르의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은 학생의 흥미와 재능에 따라 각기 다른 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비슷하게 캄보디아, 태국, 인도네시아는 동일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의 목적과 함께 동일한 일반교육체 계 및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각기 다른 일반교육체계 및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체계를 가지고 있다. 직업기술교육과정 체계에서, 핵심교과(Core Subject) 또는 필수교과(Compulsory subject), 보통교과(Normative subject) 또는 일반교과(General subject) 그리고 몇몇 인문교과(Academic subject)들은 각자의 언어, 문화, 종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선택교과는 인문, 직업, 기술, 과학과 같이 학생들의 선택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직업(Vocational subject) 또는 기술교과(Technical subject)는 각 직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과정 시행 가이드라인과 관련해서, 캄보디아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 교육과정은 총 1,540 시간의 일반교과를 다루고 있다. 직업교과(Vocational subject)는 2,246-2,306 시간의 직업교과(Vocational subject)와 240-300 시간의 지역직업교과(Local vocational subject)로 둘로 구분되어 있고 18시간의 선택 교과가 존재한다. 320 시간의 인턴쉽 과정은 교육과정 시수에서 제외되어 있다. 총 시수는 3년간의 훈련 동안 4,104 시간을 초과한다. 말레이시아는 70%의 실습수업과 30%의 이론수업(인문교과 55%, 직업교과 45%)을 중등학교에서 강조하고 있다. 각 5개국의 일반교과들은 각국들의 모국어, 수학, 종교 교육, 과학, 사회과학, 체육 교육, 컴퓨터, 도덕 및 공민 교육, 예술 및 문화로 구성되어 있다. 선정된 각각의 국가들의 교육과정체계는 서로 다른 교육과정 시수, 교육환경 그리고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의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독특하다. 담당부처에 서 공표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교육과정의 가이드라인은 각 분야의 실제 상황을 적용해야만 한다. 학교권한체계는 교육과정 시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에서 가장의 중요한 당면과제는 학생들의 인턴쉽과 실습작업을 저해하게 만드는 학교와 산업분야 간 협력의 결핍이다. 학교와 산업분야들은 노동력의 공급과 실습 작업의 교환 속에서 상호간에 연결이 되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선정 국가들은 산업분야로부터 제한된 초래할 수도 있는 동일한 당면과제가 있다. 인적자원개발은 이해관계자로부터 인정되고 용납되는 능 숙한 기술을 학생들이 갖추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발도상국 대부분은 학교 업무를 진보시키기 위해서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있다는 동일한 당면과제에 마주하고 있다. 진로지도 및 기초직업교육은 중학교 졸업생들이 기술교육과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매력적인 방법이다. 몇몇 국가에서는 직업교육 졸업생들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질의 교육과 민간분야의 적극적 참여의 결핍으로 인하여 직업을 찾기가 어렵다.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에 대한 고도로 파편화 된 관리(체계)는 관리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며, 민간분야, 학생 그리고 지역사회 에서 혼란을 발생 시킨다. 재정지원과 관련하여 소수의 자격을 갖춘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 교사를 보유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정부의 역량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들 국가들은 비슷한 당면과제를 가지고 있다. 정부로부터의 강력한 지원과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 참여는 개발도상국에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에서 확산되고 있는 이러한 당면과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동 비교연구의 결과는 몇몇 국가들은 전기중등교육단계에서, 이 밖의 국가들을 후기중등교육단계에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을 운영하는 것이며, 교육체계는 후기 중등교육단계에서 11/12학년 그리고 2년/3년으로 구성되어 있고, 몇몇 국가들은 직업교과(직업기술교육 및 지역직업교과), 핵심교과(core subjects), 필수교과(core subjects), 일반교과, 보통교과, 추가적인 교과, 선택교과, 생산교과(productive subjects), 조정교과(adaptive subjects), 인턴쉽을 총 3년간의 교수 시수 안(캄보디아 4104 시간, 인도네시아 4410 시간)에 내포하고 있다. 몇몇 국가들은 정부부처에서 공표한 가이드라인을, 실제 실행을 가이드라인으 The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compare the broad perspective of Cambodia’s TVET curriculum with Singapore, Malaysia, Thailand, and Indonesia’s. A documentary reviewing approach as a methodology is a targeted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papers, articles, and textbooks within TVET curriculum journals and relevant documentaries, as well as TVET websites, and target TVET curriculum organizations of selected countries.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context, educational goals and systems, TVET curriculum structures, TVET curriculum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challenges. Singapore and Malaysia start TVET from lower secondary level because it’s the prevocational education with 70% vocational skill training and 30% academic education (Malaysia), but Singapore specified different courses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ests and talents. Likewise, Cambodia, Thailand, and Indonesia have the same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TVET system with the same TVET goals, but Singapore and Malaysia have different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TVET system. In TVET curriculum structures, core or compulsory, normative or general subjects focusing on their individual languages, cultures and religions, and some of academic subjects; elective subjects are diversified for students’ choices such as humanities, vocational, technology and science; vocational or technical subjects focus on each trade. Regard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guidelines, Cambodia’s TVET curriculum covers general subjects, totally 1,540 hours; vocational subjects are divided into other two: vocational technical subjects (2,246-2,306 hours), and local vocational subjects (240-300 hours); elective subjects, totally 18 hours; internship excluding from the curriculum, totally 320 hours. The grand total hours are more than 4,104 for three-year training. Malaysia stresses on practical 70% and theoretical 30% with 55% academic subjects, and 45% vocational subjects in secondary schools. General subjects in the five respective countries consist of their native languages, English language, Maths, religious education, science, social science, physical education, computer, moral and civic education, arts and cultures. The curriculum structure of each selected country is unique because they have different time allotment, educational context, and TVET aspects. The TVET curriculum implementation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in charge have to be common adapting to real situation of each area. A school empowerment system should be harnessed fo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of TVET is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industrial sector that hinders the students’ internships and practical work. Schools and the industrial sector have to be interconnected in exchange of labor provision and practical work. Most of the countries face the same challenges that may result in limited recognition from the industrial sector as well. Human resources play a key role in equipping the students with competent skills accepted and recognized by stakeholder. Most of developing countries face the same challenges of limited budget for progressing school work.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orientation education are attractive means for middle school graduates to opt for technical education stream. In some countries vocational graduates are hard to find jobs because of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which need to be quality training, and active involvement from private sector. Highly fragmented management on TVET complicates managerial processes, and causes confusion from private sector, students, and communities. Similar challenges faced by Cambodia, Indonesia, Thailand, and Malaysia because their governments’ capacities regarding financial supports are limited with few qualified TVET instructors. Strong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remedy TVET epidemics in developing countries along with active involvement from stakeholder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was that some countries start TVET at lower secondary level and others start at upper secondary level; educational systems consist of 11 and 12 years, and 2 and 3 years at upper secondary level; some countries encompass vocational subjects (vocational technical subjects and local vocational subjects), core subjects, compulsory subjects, general subjects, normative subjects, additional subjects, elective subjects, vocational subjects, productive subjects, adaptive subjects and internship, total teaching hours for three years: 4104 (Cambodia), total teaching hours for three years: 4410 (Indonesia); some countries follow the guidelines issued by the ministry level and others converted the guideline into the real practice or made decision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most of them faced some challenges consisting of poor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industrial sector, limited human resources, lack of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 highly fragmented management of TVET, and the curriculum mismatches with labor market demands. Likewise the Singapore curriculum made the students stressful. The comparison implied critical nuances. Prevocational education or basic vocational education should start initially from lower secondary level by introducing basic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The curriculum should be flexible by dividing into two parts: 70% for general subjects, and 30% for basic vocational subjects. General subjects should include entrepreneurship and employability skills in addition to introduce the student to gain the business concepts, the skills to get employed, and to work successfully at the workplace. Traditional subjects such as pottery, culinary skills, stone sculpture, wood carpentry, gold smith, weaving, smith craft, etc. should be added into the curriculum. All vocational instructors and management should be on-the-job trained regularly to keep track on the new tech

      • A Study on Elevating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 가나의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을 위한 승강 기술 및 직업훈련에 관한 연구

        Ruth Nyarko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아프리카 국가들의 급속한 산업화와 국가발전에 대한 기술인력을 양성하고 현대화 하기 위해 수용해야 할 가장 효과적인 인적 자원 개발(HRD)는 직업 기술 교육이다. 직업 기술 교육은 모든 경제에 대한 국가 발전의 중추이다. 21 세기 지식 사회에서 인적 자원 개발(HRD)는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 발전을 향한 사회 통합을 보장하는 모두에게 중요하다. 우리가 이미 잘알고 있듯이, 한국은 세계 10 위의 경제 대국으로 지난 50 년간 급속한 경제 성장을 달성했다. 본 연구는 본질적 내용 분석, 실증적 조사, 커뮤니케이션내에서 방법론적 연구, 내용 분석과 순차적 단계를 따랐다. 본 연구는 기술 및 직업 교육 선택을 저해하는 문제로 구체화하지 않은 커리큘럼안에서 부족한 분야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 과정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의 인력 요구사항은 기술 및 직업 교육의 강조를 통해 이루어 낼 수 있다. 학생들은 직업 지도를 통해 기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있어야 한다. 정부는 TVET 시스템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는 사람 중심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경쟁력있는 경제의 구축을 위해 헌신해야한다. 한국의 경제 발전 수준에 따른 기술 인력을 제공하는 직업 교육 훈련은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 세계화와 평생 학습의 시대에 직면하며 정부는 경제 발전에 핵심 동기로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교육 훈련 시스템을 구현했다. 정부는 근로자가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노동 시장의 양극화를 다루기위해 취약 집단의 기술 개발 시스템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TVET 자체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지 않지만, 그것은 노동 시장에서 실직적 요구와 연결될 때 효과적이다. 이것은 TVET 프로그램이 현재와 미래 노동 시장의 요구와 일치해야하는 이유입니다 . 표준 TVET 는현재와 미래의 과제에 직면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것으로 기대한다. TVET 는 지속 가능한 삶과 책임있는 시민을 위해 역량 기반 교육을 통해 기술의 획득을 고취한다. 그것은 크게 TVET 는 고용시장 혹은 자영업에 남성과 여성인력을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의 자립과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술 습득, 인적 자원 및 산업 발전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국가에서 계속 증가하는 빈곤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해결할 수있는 수단이다. 가나 시민이 TVET 프로그램에 대한 평등한 기회가 있는지, 양질의 사회적 요구와 열망이 관련된 것인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가나 정부의 TVET 를 발전시키기 위해 전달 시스템, 정책과 제정법을 고려해야 한다.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is the backbone of national development for every economy and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frican countries need to embrace in order to train and modernize their technical workforce fo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s. In the knowledge society of the 21 st centu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is a critical for both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and ensuring social integration towards national development. As it is well known,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past 50 years to transform a poverty-ridden country into the world’s 10 th largest economy. This study was based 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 approach of empirical, methodological controlled analysis of texts within their context of communication, following content analytic rules and step by step models, without rash quantific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apart from the problems that inhibit career choice in favour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other factor is the lack of a clearly conceptualized curriculum in the field where existing curriculum lacks a clearly articulated philosophy and balance. In addition, manpower requirements for a nation can be achieved by means of a curriculum that lays special emphasis on technical and vocational training. Students need to be guided through vocational guidance in choosing technical programmes. Govern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the TVET system. They must be committed to people-center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building of a competitive economy. The results revealed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 provides technical manpower meeting demands of levels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In the face of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to encourage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as a core motive. The government also helped individual workers develop global competitiveness and concurrently builds up the skills development system for the disadvantaged group to deal with the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Finally this work found out that TVET by itself does not create jobs, but it is beneficial when it is associated with the actual needs of labour market. This is the reason TVET programmes should match current and future labour market needs. A standard TVET is expected to mobilize resources needed to face the present problems and future challenges. Quality TVET promotes skill acquisition through competency-based training with proficiency testing for employment, sustainable livelihood and responsible citizenship. It is largely accepted that TVET can equip men and women for the job market or selfemployment, thereby increasing their self-reliance and self-confidence. It is therefore seen as a means to promote skills acquisition, human resource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nsequently, can be regarded as a panacea to combat ever increasing poverty problem in countries. It recommende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every Ghanaian citizen has equal access to TVET programmes, which should be of quality and relevant to the needs and aspirations of the society. It also recommended that to elevate TVET in Ghana the Government must reconsider its delivery system, policy and legislations.

      • 혁신거점기관이 기술기반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호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논문은 한국의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거점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술기반 창업기업은 지역의 경제적 개발을 촉진하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에는 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같은 다양한 형태의 거점기관들이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장과 생존을 위해 설립되어 왔다. 다수의 연구에서 기술 기반 창업기업의 형성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혁신거점기관의 중요성이 강조해왔다. 그런데 한국에서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혁신거점기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특히 지역혁신역량, 혁신거점기 관에 관한 연구는 기업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다각 적인 측면에 대해 분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체제의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지역적·환경적 요인을 정리하고 분석한다. 국내 18개 테크노파크와 262개의 공공기관, 대학 에서 설립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2,313개의 기술기반 창업기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200부를 회수하여 연구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110개의 자료가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기업혁신역량인 마케팅역량, R&D역량은 재무적 성과에 긍정 적인 영향을, 관리역량의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요인인 거점기관 지원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적·환경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기반, 지역내 협력의 경우 구매업체와의 협력만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술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정책적·환경적· 지역적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정책입안자, 거점기관 관계자와 기술창업기업가에게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This paper analyzes role of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that affect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in Korea. Technology-based firms are important to the economy in that they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 various types of intermediate institutes such as Techno-parks and incubators have been established to foster technology-based firms. Many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that influence formation and growth of technology-based firms. However, there is little studies on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in Korea. In particular, research on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intermediate institutes has failed to uncover the factors and multidimensional aspects that affect technology-based firms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identify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light of litera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We surveyed 2,313 technology-based firms in Techno-parks, Business Incubator of public institutes and universities. A total of 200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110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LS techniques applied to analyse dat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arketing competence, R&D capacity, which is a firms’ innovation capa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t i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intermediate institutes, which is a policy factor, positively a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Economic aspect of regional innovation infrastructure, and cooperation with customer has positive affect on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This study identifies the political, environmental, and regional factors for growth financial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firms, and suggest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entrepreneurs.

      • 기업가정신역량(EntrepreneurshipCompetence) 연구 : Framework개발 및 교육효과 분석

        변지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87

        한국 청년의 기업가정신과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교육은 국제적으로 하 위수준이고, 역량기반의 세계적 교육패러다임과 사회적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역량프레임을 개 발하고 역량기반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25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창업교육분야 전문가 대상 델파 이조사과정을 통해, 교육적·실무적 고려를 거쳐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기업가정신역량 프레임(entrepreneurship competence framework)을 도출 하였다. 그 다음으로 창업선도대학 42개의 919개 기업가정신 및 창업 정 규교과목의 역량관점 교육현황을 전수조사 하였으며, 대학정보공시 성과 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했다. 마지막 장에서는 먼저 중부 권 5개 대학에서의 315개 설문을 활용해 교육과 역량, 창업의도 간 인과 관계와 계열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2단계로 역량기반 교과목을 개 발하고 4학기 간 수강전·후 설문을 포함해 총 463개 설문을 분석함으로 써 수강 후 역량기반 교육효과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4년간 폭넓고 다양한 방법으로 대학생 대상의 체 계적이고 선도적인 기업가정신역량 프레임을 도출하였고, 역량기반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양적연구를 통해 실증하였다. 이로써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되고, 교육 실무에 활용 가능하며 대학교육정책에 대한 시 사점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실무적·정책적 연구의의를 갖는다.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Korean youth and entrepreneurship at universities is internationally low, and it is not keeping up with the global educational paradigm based on competence and social deman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competence frame and verify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al effect. In Ⅲ, 25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entrepreneurship competence framework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was derived through education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through the Delphi survey proces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ts. In Ⅳ,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rom the competence point of view of 919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regular subjects in 42 startup leading universities was fully investigated, and a basic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was conducted. In Ⅳ,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affiliate groups were analyzed using 315 questionnaires from 5 universities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second stage, competence-based subjects were developed and After the questionnaire was added, a total of 46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his study drew a systematic and leading entrepreneurship competence frame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a wide variety of methods from 2018 to 4 years, and demonstrated the need for a transition to a competence-based education paradigm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his has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significance in that it serves as a basis for follow-up research, can be used in educational practice, and ha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policy.

      •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

        오세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87

        인터넷원격훈련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는 2014년 3월 3일 개정 고시를 통하여 인터넷원격훈련 제도를 전면 개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에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진행해왔던 “콘텐츠 심사”를 “훈련 과정 심사”로 전환함으로써 단순히 콘텐츠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던 기존 방식의 심사에서 ‘운영 방식’을 포함한 심사로 전환되었다. 이렇듯 인터넷 원격훈련에서는 콘텐츠 내용 외에 어떻게 ‘운영’이 되는가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훈련과정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의 직접 적인 상호작용을 담당하고 있는 교강사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과 교육 우선순위 결정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역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총 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가 참여한 FGI를 통해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이어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작성하고, 한국이러닝기업연합회의 회원사에 소속된 교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확정된 설문결과를 토대로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 역량의 집단 간 현재수준 차이분석, 중요 역량과 보유역량 수준 간의 차이분석, 요구되는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특성별로 현재 역량 보유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본 결과 전반적으로는 개인 특성 변인과 현재 보유 수준 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연령별, 활동분야 관련 업무경력별에서는 일부 역량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역량에 대한 요구를 분석 하기 위해 역량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4개 역량군 18개 역량 전부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값이 가장 높은 역량은 ‘토론에서의 진행능력’ 이었으며, 이후 ‘상호작용 촉진능력’, ‘의사소통 능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촉진하는 능력’ 등의 순으로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에 대한 요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분석 결과 최우선 순위 군으로 ‘상호작용 촉진능력’, ‘의사소통 능력’, ‘피드백 능력’까지 3개의 역량이 선정되었다. 또한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토론에서의 진행능력’, ‘학 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을 촉진하는 능력’, ‘학습자 요구분석 및 요구조절 능력’까지 3개의 역량이 선정되었다. 총 6개의 역량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상호작용 촉진능력’이다. 따라서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에게 교강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유형에 대한 이해 및 상호 작용을 유도하는 역량이 가장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과정 운영 시 인터넷원격훈련 교강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반면, 역량은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향후 협회, 훈련기관에서 교강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연수 프로그램 설계 시 이러한 역량에 관한 요구가 우선 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change of e-learning paradigm,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reorganized the overall system through the administrative rule in 3rd March 2014. Since then, “Contents screening”, which Korea Univerrsity of Technology & Education takes charge of, has been transformed into “Training process screening”and it changed the current way of screening about contents only into the way of screening including ‘the way of operation’. Thus, e-learning, nowadays, emphasizes the operation besides contents themselves. From that point, the role of a tutor who is in charge of a direct interaction with a learner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operate the training process proper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need analysis toward the capability of discharging e-learning tutor’s duty and to confirm the decision of the education priori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I collected the data of e-learning tutor’s capability and drew their capability through FGI, consisted of 4 professional members. After that, I made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issued capabilitie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utors in the member company of Korean e-learning cartel. Lastly, on the basis of confirmed survey result, I decided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current level between e-learning tutor groups, the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primary capability and retained capability level, and the priority of capabilities requir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apability retention level by each e-learning tutor’s characteristic, generally, it seems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a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 and a current retention level, but there are some capability differences on the career related to gender, age, and the field of activity.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pability need of e-learning tutors, all of the capability has a meaningful difference. Those are capability of ‘managing discussion’, ‘promoting interaction’, ‘communicating’, ‘promoting learner centered education environment’, so forth and it has a bigger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current level in the order named.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Borich need model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decide the priority order of the capability need, the top 3 priorities are capability of ‘promoting interaction’, ‘communicating’, and ‘feedback’. Also, the next priorities are capabilities of ‘managing discussion’, ‘promoting learner centered education environment’ and 'needs analysis and control about learner'. The highest priority of capability among 6 is ‘promoting interaction’.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the comprehend skill of the interaction between ‘tutor to learner’ and ‘learner to tutor’, and the inducement skill to interaction are required the most for e-learning tutors. This result shows the capability cannot support enough while e-learning tutor’s role to interaction is getting expended in the course. From now on, when a training center makes an education/training plan toward tutors, such a need of capabiliti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first place.

      • 소규모 화학공장의 안전교육 제도개선과 화재예방에 관한 연구

        정주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국내의 화학산업은 나날이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생산, 수출, 고용 및전․후방산업(자동차, 전기전자 등)에 파급효과가 큰 핵심 기간산업이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OECD 국가별 화학소재산업 기업체 수는 이탈리아에 이어 한국이 2위를 차지하였다. 화학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관련 규제와 제도가 강화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화학공장에서는 화학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국내 화학산업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서 사고예방을 위한 다각도의 연구와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화학공장 중 특히 화학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소규모 화학공장의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적/기술적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소규모 사업장의 사고예방의 효과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교육적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안전보건공단의 국내 재해사례 중 화학공장의 화재사고 및 인적오류 사례와 교육제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 화학공장의 전문적 지식이 없는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은 현재의 제도보다 좀 더 세분화하고 수준에 따라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단계별 자격인증 제도’로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술적 대책의 개선을 위해 정전기 발생 억제를 위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여 비용 문제로 인해 안전설비를 구비할 수 없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낮은 비용으로 정전기 발생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폐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단계별 자격인증 제도’ 실시를 통해 인적오류로 인한 안전사 고나 화재의 예방효과와 전문성 있는 인력양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낮은 비용으로 정전기 방지에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적 대책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소규모 화학공장에서 정전기로 인한 화재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omestic chemical industry is growing day by day, and it is a key industry with a great ripple effect on domestic production, export, employment, and fore and aft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electric and electronics). According to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Korea ranked second in the number of companies in the chemical materials industry by OECD countries as of 2018.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emical industry, related regulations and systems are being tightened, but chemical accidents are nevertheless occurring steadily in domestic chemical plants. In order to develop and maintain the growing domestic chemical industry, research to prevent accidents will have to be contin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ccident prevention by improving educational/technical measures to prevent fire accidents, especially at small chemical factories with high frequency of chemical accidents. First, to improve the safety education system, we reviewed fire accidents and human error cases at the chemical plant of the Korea Health and Safety Corporation, and proposed a "step-by-step certification system" to non-experts at small chemical plant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method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echnical measures, on-si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ntrol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and measures were proposed to utilize waste heat that could achieve static electricity suppression at low cost to small chemical plant that avoid safety due to cost issues. The study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tep-by-step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fostering safety accidents, fire prevention effects and professional personnel caused by human error, while small chemical plants can reduce static fire accidents by sharing technical measures with high effects at low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