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vocational counsel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63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vocational counselors, who are working on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vocational counselors, who are working on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First, what is the effect of resilience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on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resilience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o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o examine these questions, in this paper, I analyzed 206 cases of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in Employment Centers across the country.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was measured by using Resilience Quotient Test(Kwŏn Su-hyŏn, 2010), Job Description Index(So Hye-chŏng, 2004),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Park Sŏng-ho, 2001).
      For data processing, I practic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2.0 for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of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program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adults.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s follow this order; cause analytical, empathy, impulse-control, emotion regulation, optimism, self-efficacy and active challenge stands last. As for th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the result indicates high level of their satisfaction with job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bosses, while exhibiting very low level of promotion and wages.
      Also it shows not so high level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among the sub-factors, the emotional consumption shows high.
      Second, the overall resilience has significantly plus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ts sub-factors such as emotional-regulation and empathy also affect plu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the overall resilience has significantly minus (-)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its sub-factors,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and optimism do the minus effect on it.
      Through the results, the level of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 could come to light. This research is important for its being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silience of the vocational counselors. By grasping the effects of the counselors' resilience on their job-satisfacton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s meaningful research would help boosting the resilience level of the counselors and arranging the institutional plan for it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취약계층 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인 취업성공패키지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상담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취약계층 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인 취업성공패키지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상담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직업상담원의 회복탄력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고용센터에서 근무하는 취업 성공패키지 상담원을 대상으로 총 20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회복탄력성 척도(권수현, 2010), 직무만족 척도(소혜정, 2004), 심리적 소진 척도(박성호, 2001)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서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 전체는 5점 Likert척도에서 3.57로 나왔고 하위요인은 원인분석력과 공감능력, 충동통제력, 정서조절력, 낙관성, 자기 효능감 순으로 나왔고 적극적 도전성이 가장 낮게 나왔다.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직무만족은 5점 Likert척도에서 2.85로 나왔고 직무자체와 상사, 동료에 대한 만족은 높지만 승진과 보수부분이 낮게 나왔다.
      그리고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심리적 소진은 7점 Likert척도에서 3.6 으로 아주 높은 편은 아니며 하위요인 중에는 정서적 소모가 높게 나왔다.
      둘째, 회복탄력성전체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과 공감능력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 전체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 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과 낙관성, 공감능력 또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원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이 어느 정도인지 그 수준을 알 수 있었고,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업상담원이 좀 더 만족스런 직업상담 활동을 하기 위해서 회복탄력성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힌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