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 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정선경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올바른 성 지식과 성 태도를 교육함으로 현명하게 성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고 정신지체 학생들이 성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능력을 키워서 성폭력의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의정부에 소재한 K중학교 특수학급 학생 7명과 학부모 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이버 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 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들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그림 자료를 활용,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기, 상황극 연출하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한 성교육 프로그램은 모든 성교육 대상자들의 성지식과 성태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성교육을 실시한 후에 성지식과 성태도의 효과성을 비교해 보면 성지식이 성태도 보다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올바른 성지식은 긍정적인 성태도를 가지게 되므로 성지식의 변화는 성태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셋째. 사이버 커뮤니티의 활용한 가정 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의 부모 만족도 부모님들에게 실시한 설문지 조사에서 83.9%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정선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분리개별화, 자기존중감, 자기개념 명확성과 우유부단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 모형을 가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남녀 대학생 556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520부(남자 164명, 여자 356명)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우유부단척도(FIS), 분리개별화척도(SIS), 자기존중감척도(RSE), 자기개념 명확성척도(SCC)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 자기존중감, 자기개념 명확성, 우유부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리개별화는 자기존중감, 자기개념 명확성과 부적 상관, 우유부단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존중감은 자기개념 명확성과 정적 상관, 우유부단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은 우유부단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우유부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을 거쳐서 우유부단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on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 -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For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self-esteem, self -concept clarity and indecisiveness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was separated-individualization and indecisiveness in the relationship self-esteem and self-concept of clarity parameter model assumes, then,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was conducted. For these purpose, 520 college students(male 164, female 247) were asked to respond the surve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Frost's Indecisiveness Scale (FIS), Separation-Individuation scale (SIS),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RSE), Self-Concept Clarity Scale (SCC) was used. This study used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for analysis of study question established. To summaris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esteem,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concept clarit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 -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decisivenes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indecisiveness.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supported a full mediation effecting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decisiveness.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선경 아주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assess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Research question 1 is "What are the appropriate factors and questions for development of a scale assessing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Research question 2 is "How is the validity of assessment scale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factors extracted from above?" and Research question 3 is "How is the reliability of assessment scale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factors extracted from above?". To study these, documentation analysis and review of precedent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constructs of SDLC were extracted theoretically, and preliminary assessment items were developed. In order to examin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an expert panel was utilized. For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to adult learners in companies. For a main survey, 428 and 225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as criterion-related validity examin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DLC scores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 research question 1, From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6 new constructs emerged: 'Acceptability of learning', 'Sustainability of learning', 'Utilization of learning resources',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Overcome Barriers to Learning situations'.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is composed of 30 items. Sixty initial items was reduced to 45 items through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was finalized to 41 items by the preliminary survey. For research question 2, face and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41 items were examined through expert review and preliminary analysis. Results of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ix constructs. The names and number of items corresponding to each construct were 'Acceptability of learning(5 Questions)', 'Sustainability of learning(5 Questions)', 'Utilization of learning resources(5 Questions)',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5 Question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5 Questions)', 'Overcome Barriers to Learning situations(5 Questions)'.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and showed that there was a valid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sed six constructs and corresponding items.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also collect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DLC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research question 3, to examine reliability of 30 items, Cronbach's ⍺ was found to be quite high at .862, verifying internal consistency across the it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six constructs of SDLC: 'Acceptability of learning', 'Sustainability of learning', 'Utilization of learning resources',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Overcome Barriers to Learning situations'. Using these construct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Third,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basi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hancement of individual competitiveness in companies. It can be a basis for decision making of informal trai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design of official training. In conclusion, the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assessing a SDLC of adult learners in companies. In particular, using this scale, it is possible to get maintenance of human resources, secure staff with excell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aintain learning culture, and get a rationale toward overcoming dilemmas from traditional training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가지 연구문제를 연구하였다. 연구문제 1. '기업 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 및 문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기업 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타당도 증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기업 내 성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신뢰도 증거는 어떠한가?'이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역량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측정도구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에 대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기업 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차 본조사에서 428부, 2차 본조사에서 255부의 유효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첫째,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은 ‘학습 수용성’, ‘학습 지속성’, ‘학습자원의 활용성’, ‘학습과정 관리’, ‘학습결과 평가’, ‘학습상황 장애요인 극복’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는 최종 30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초기 예비문항 60개는 내용타당도를 거쳐 45개 문항으로 조정되었고, 사전조사에 의하여 예비문항은 41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문제 2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예비문항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검토와 사전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가 검증하였다. 1차 본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의 구성요인과 30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각 구성요인 별 문항은 ‘학습 수용성(5문항)’, ‘학습 지속성(5문항)’, ‘학습자원의 활용성(5문항)’, ‘학습과정 관리(5문항)’, ‘학습결과 평가(5문항)’, ‘학습상황 장애요인 극복(5문항)’으로 이루어진다. 2차 본조사의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요인모형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6개의 구성요인과 그 하위문항들간의 관계는 이론적으로 타당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준거타당도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3은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30개의 문항에 대한 6개의 구성요인별 Cronbach's ⍺를 산출한 결과, Cronbach's ⍺는 .862로 높은 편으로 나타나 신뢰도 높은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요인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학습 수용성’, ‘학습 지속성’, ‘학습자원의 활용성’, ‘학습과정 관리’, ‘학습결과 평가’, ‘학습상황 장애요인 극복’의 개념적 틀을 구성하였고,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주요 구성요인을 토대로 측정도구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측정도구의 문항은 선행연구의 측정도구에서 추출한 문항과 기타 문헌 연구를 통해서 신규로 개발된 문항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구성요인들을 측정변인으로 사용하여 실증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업에서 개인의 경쟁력 강화와 인적자원관리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개인의 학습 역량에 따른 비공식적 학습, 자기주도학습, 기업의 훈련 프로그램 설계의 판단 근거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이 측정도구는 기업에서 역량 있는 인재 확보와 유지를 위한 종단적 연구 활동을 통하여 자기주도 학습 역량이 뛰어난 인재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학습 문화를 유지하고 전통적인 교육훈련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학적 의의가 있다.

      • Effects of the shape of unidirectional oriented fillers on the modulus and thermal expansion for polymer composites

        정선경 忠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복합재료의 물성은 복합체에 사용되는 충전제의 기하학적 형태와 첨가되는 함량 변화에 따라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의 모듈러스와 열팽창 계수에 대한 모델식을 세우고 수치모사를 통한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PP와 종횡비가 다른 충전제들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모델식과 비교하였다. 복합재료에 사용되어지는 충전제의 형태는 종횡비에 따라 달라지게되며,종횡비는 1차 종횡비 (p_(α) = α₁/α₃)와 2차 종횡비 (p_(β) = α₁/α₂)로 나뉜다.즉 종횡비에 따라 구의형태 (p_(α) = 1), 디스크의 형태(p_(β) = 1), 섬유의 형태(p_(α) = p_(β)) 그리고 타원형의 형태 (p_(α) ≠ p_(β))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의 기하학적인 형상에 따른 복합체의 모듈러스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은 Eshelby의 equivalent 텐서 개념을 도입한 Tandon과Weng의 모델과 Lee와 Paul의 모델을 이용하여 2차원적 해석과 3차원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충전제의 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1차 종횡비(p_(α))와 2차 종횡비(p_(β))는 종횡비가 커질수록 횡방향의 모듈러스가 증가하였으며, 종방향의 모듈러스 또한 증가하는 경향 보였다. 수직방향의 모듈러스는 충전제의부피분 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1,2차 종횡비의 변화에 따라서는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체 외부에서의 전단응력 변화는 충전제의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2차 종횡비의 변화 보다는 1차 종횡비의 영향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였다. 복합제 내부의 전단응력의 경우충전제의 부피분율에 따라 모듈러스값이 증가 하였으며 응력을 받는 방향에따라 모두 같은 값을 갖는것을 알 수 있었다. 복합체의 충전제 변화에 따른 열팽창 계수 변화는 모듈러스의 기본 이론식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Chow등이 발표한 에폭시와 유리섬유의 복합체재료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횡비에 따른 열팽창 값을 비교할 수 있었다.충전제의 1차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횡방향의 열팽창계수 α_(11)는 감소하였으며, 수직방향의 열팽창 계수 α_(33)의 값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디스크의 형태와 섬유의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충전제의 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종단 방향의 열팽창 계수는 감소하였다. 부피 열팽창계수는 같은 충전제의 부피 분율이 같을 경우 섬유 형태가 디스크 형태의 열팽창 계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횡방향의 열팽창 계수는 1, 2차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충전제의 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1, 2차 종횡비의 변화에 비해서 그 값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종방향의 열팽창계수는 1차 종횡비의 변화에 따라 그 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즉 1차종횡비가 커질수록 종방향의 열팽창 계수(α_(11))는 크게 감소하였다. 수직방향의 열팽창 계수는 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어느 정도는 증가하는 양상을보이다 감소하였다. 그러한 경향은 1, 2차 종횡비의 변화에 따라 모두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차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방향의 열팽창 계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폴리프로필렌 (PP) 메트릭스에 황산바륨, 탈크, 마이카, 유리섬유 등 다양한 형태의 충전제를 혼합한 복합재료의 Young's moduls와 열팽창 계수를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세운 이론값과 비교하였다. 각 충전제의 함량을 각각5, 10, 20, 30 wt%로 달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SEM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함량에 따른 각 충전제들의 종횡비를 측정하였다. 황산바륨은 p_(α) =_1로 측정되었으며, 종, 횡 방향에 대한 모듈러스가 거의 같은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 횡, 수직 각 3방향에 대한 열팽창 계수도 거의같은 값으로 측정 되었다. 탈크의 종횡비는 약 p_(α) = 4.5, p_(β) = 1.7로 측정되었으며, 이것은 disc의 형태와 유사하였다. 종방향과 횡방향의 모듈러스는탈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열팽창 계수는 종, 횡 방향에 대해서는 탈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증가하였으나, 그 변화가 아주 미비하였다. 마이카의 종횡비는 p_(α) = 13.5,p_(β) = 1.7 로 측정되었으며, 종방향괴 횡방향의 모듈러스는 증가하였다. 마이카의 열팽창 계수는 종, 횡 방향에 대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섬유의 종횡비는 유리섬유의 함량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리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종횡비가 감소하였다. 종, 횡방향의 모듈러스는 유리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증가하였다. 열팽창 계수는 유리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종방향에 대해서는 감소하였으나,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유리섬유의 경우 다른 형태의 충전제에 비하여 이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섬유형태의 충전제가 성형시 단방향으로 완전히 배향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황산바륨, 탈크, 마이카의 실험데이터와 수치 해석적 결과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연구를 통하여, 복합재료내의 충전제의 형상에 따른 모듈러스와 열팽창계수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계산하였으며, 형상이 다른 충전제를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이론을 검증하였다.

      • 소변 중 코티닌 농도에 따른 청소년의 자가보고 흡연 상태의 정확도 및 관련요인 분석 :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정선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 경: 청소년기의 흡연량은 흡연 시작이 빠를수록 증가하고 이는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정확한 흡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흡연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자가보고 설문의 타당도 평가는 설문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하게 흡연 상태를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방 법: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참가자 중 13-18세 청소년 92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소변 시료 분석을 통한 코티닌 농도와 자가보고 설문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였다. 청소년의 코티닌 절사점 39.85 ㎍/L를 이용하여 흡연 상태를 구분하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청소년의 자가보고 설문에 의한 흡연율과 절사점 기준 흡연율은 각각 3.1%, 5.1%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자가 보고된 청소년 흡연자와 코티닌 농도에 따른 흡연자의 일치도는 97.1%로 나타났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간접 흡연, 전자담배 사용 여부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자가보고 설문과 실제 흡연 상태의 정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 보완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청소년 흡연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amount of smoking in adolescence increases with a younger age of smoking initiation, affecting physical health. To establish and evaluate smoking-related policie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actual smoking status. Valida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an identify the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data reflecting smoking statu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istency between cotinine concentrations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922 adolescents aged 13-18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ycle 3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Smoking status was classified using the cotinine cut-off point of 39.85 μg/L in adolescents, and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moking rate according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cut-off point-based among adolescents was 3.1%and 5.1%,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found 97.1% consistency between the self-reported smokers and the smokers according to the cotinine concentration. Factors affecting accurac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cluding gender, secondhand smoke, and use of e-cigarett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high accuracy betwee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ctual smoking statu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can be further enhanced by improved questionnaires items affecting the discrepancy and continuous monitoring, which also can serve as basic data for adolescent smoking policy.

      •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수준과 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정선경 신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South Korea has already been in the old aged society, causing a wide range of the old aged problems throughout overall social fields. Among other things, the 'the abuse for the aged' has began to rapidly emerge as the major social problems. Despite the serious problems, South Korean society has tended to treat the old aged problem as a merely individual family problem, concealing such 'abuse' problems. It is because Korean society traditionally gives priority to 'showing respect to elders', and 'saving formal face' Thus, it is necessary to set up 'socially- monitoring mechanisms' right for the social countermeasures, and the responsible role as the 'socially- monitoring mechanisms' of the reporters of the abused elders is more important. Nevertheless, it is a regret that those, who deserve to report of the abused elders and take the radical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abuse fail to report of it. In the respect, the research thesis has made the study on how the 'perception' of the abused elders' will have influences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abuse. To do it, the thesis has conducted the survey of medical staffs, social workers, and civil servants dedicated to social welfare, whose all of them are obliged to report of the abused elders, according to the 'law related to the old-aged welfare'. Such survey has aimed at not only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necessary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in the abused elders, but also it has aimed at offering basic data essential for strengthening and promoting 'compulsory reporting systems against such abus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consisted of total 220 people including 50 medical staffs, 100 social workers, 70 civil servants dedicated to social welfare, who are working in 141 agencies of 16 reporting institutions in Kwongreok Bussan. All of the subjects used 'self-describing' method with the aid of the structuralized questionnaires Su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either mail or direct visit, amounting to total 210 copies. But out of the questionnaires points, total 198 copies except for 12 copies scaled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measurement of the program of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study are as following five. Firstly, the survey shows that most women respondents have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the abused elders, accounting for 82.8% or 16 people, as a whole. And most of them were at the age of 20 to 29, reaching the highest rate of 54.5%. Concerning marital status, the unmarried people have accounted for 54.5% or 108 people. And regarding their vocations, most of them have worked as the social workers, taking up with the highest rate of 44.4% or 88 people. Secondly, with respect to "marital status', it has been confirmed, according to 'results of T and F test' based on demographical and sociological attributes, that "marital statu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egal, institutional, and intelligent degree of the abused elders. And, concerning the 'vocational factors', social workers have showed the highest intelligence level, while 'civil servants dedicated to social welfare', and nurses, and doctors have made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order. Also, with regard to 'engaging career factors', four to five workers have showed that highest intelligence, and next, two or three workers have the second highest intelligence. Thirdly, the analytic result of the correlations with the abused elder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al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demonstrates that "engaging career factors' have ha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gree of education and experience of the abused elders. Fourthly, the last-one-year-analytic study on discoveries and experiences toward suspectedly abused elders shows that 'vocational factors' have made the significant result. For the vocational factors, social workers, 'civil servants dedicated to social welfare', and nurses have witnessed that the old aged were abused, in order. With regard to the reason of reporting of the abused elders, and intervention in the suspectedly abused elders, the 'significant' result has been turned out in the aspects of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s Lastly, the research thesis has made the analysis on how the institutional knowledg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e abused elders will have effects on the counteractions against the abused elders. The result shows that as the more extensive institutional knowledge of the abused elders has, and the more abundant educational experiences of the abused elders, have,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coping with the abused elders. Based on the above-stated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approaches are made. Fir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recognition level for the abused elders. Secondly, it is essential to promote public relations of hot line-phones for the abused elders. Thirdly, it is crucial to develop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right for responsible persons to report of the abused elders. Fourthly,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the reports of the abused elders. Lastly, most existing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abused elders in South Korea have the common things(Han Hai-kyong, 2006) in that they focus on the old aged, making the examinations on the "Dangerous Factors For The Abused Elders"(Kwon Jung-don, 2004 and Lee Yoon-ho 2003), and "Causes To Have Impacts On the Abused Elders"(Ko Byo-sun, 2004, Lee Eyun-hee, 2004). Against this backdrop, the research thesis has had much difficulties in researching and studying, owing to a lack of the existing 'preceding data' necessary for how 'responsible persons to report of the abused elders', or the 'recognition level' toward the abused elders will have influences on coping with the problem of 'abuse'. At this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es and studies, it is expected to conduct comprehensive R&D(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responsible persons to report of the abused elders', in the future.

      • 여성폭력관련시설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적용성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가정폭력상담소를 중심으로

        정선경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workers of domestic violence counselling centers against the evaluation indexes of faciliti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The research subjects were 58 workers in 31 domestic violence counselling centers and integrated counselling centers in Gyeonggi-do using the evaluation index on faciliti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taken in 2010. For data analysis, it used one-way ANOVA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Pierson correl at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ers’ and facilities’ characteristics upon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evaluation index. The findings are as below.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on the evaluation indexes of faciliti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y age, position or working years, but as for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on the evaluation indexes, there was a significance difference by education level.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they had, the higher perception of importance in terms of facility environment and safety.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facility workers by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ypes of organization or opening year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importance on the evaluation indexes by the support of subsidiary. Supporting facilities had higher perception of importance in terms of operational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ervice and human right protection and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than non-supporting facilities.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applicability on the evaluation indexes of faciliti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y age or working years, but as for the difference of applicability on the evaluation index, there was a significance difference by position and education level. The lower education level and position they had, the higher perception of applicability in terms of facility environment and safety.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applicability of facility workers by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ypes of organization or opening year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applicability on the evaluation indexes by the support of subsidiary. Thus, operation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ervice and human right protection and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is study assumed that the assessment on faciliti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would be affected by the evaluation indexes in order to make more efficient implementation and to lay an efficient foundation. Thus, it is significant to asses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its influence of importance and applicability of workers in facilitie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indexes by characteristics of workers and facilities, it is still insufficient to define them as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or facilities. Accordingly, it would see more significant results on affecting factors for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workers against the evaluation indexes If the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the facility utilized in the framework of this study. 이 연구는 여성폭력관련시설 평가지표에 대한 가정폭력상담소 종사자의 중요도와 적용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연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가정폭력상담소 및 통합상담소 31곳에 근무하는 58명의 종사자이며 설문지는 여성가족부에서 2010년에 시행한 여성폭력관련시설 평가지표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고, 각 변수 간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설종사자의 특성 및 시설의 특성이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적용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폭력관련시설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시설종사자의 특성 중 연령, 직위, 근무연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각 평가지표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차이의 결과에 대해서는 시설환경 및 안전도 영역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중요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의 특성에 따른 시설 종사자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면, 기관유형, 개소연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금 지원 여부에 따라 각 평가지표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시설이 운영관리 및 인력관리 영역, 서비스 및 인권보호 영역, 지역사회연계 영역에서 미지원 시설보다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폭력관련시설 평가지표에 대한 적용성에 대한 인식 차이는 시설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연령, 근무연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와 학력에 따른 각 평가지표 영역에 대한 적용성의 인식차이 결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및 직위가 낮을수록 시설환경 및 안전도 영역에서 적용성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의 특성에 따른 시설 종사자들의 적용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면, 기관유형, 개소연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금 지원 여부에 따라 각 평가지표 영역에 대한 적용성에 대한 인식차이 결과에 대해서는 운영관리 및 인력관리 영역, 서비스 및 인권보호 영역, 지역사회연계 영역, 종사자 근무환경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폭력관련시설 평가가 보다 효율적인 시행과 효과적인 기틀을 마련하는데 있어 평가지표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여성폭력관련시설의 평가지표에 대해 종사자들의 중요도와 적용성에 대한 인식차이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단해 보는 것은,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기하기 위한 목적에 대한 것이다. 시설 종사자의 특성과 시설의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에 대해 인식하는 것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았지만, 이는 타 사회복지시설에서 규정한 종사자의 특성인 것으로 여성폭력관련시설 종사자의 특성이나 시설의 특성으로 그대로 규정하기에는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시설에 따른 특수성이 반영된 특성을 새로이 규정하여 본 연구 틀을 활용하면 평가지표에 대한 시설종사자들의 인식차이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