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지구 온도지표를 이용한 한강유역의 여름철 몬순강우 변동 예측 분석

        정민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Abnormal weather and climate change are becoming frequent occurrence in the world and the cause is the continued rise in global average temperature and changes in the jet stream according to the abnormally high temperature phenomenon in the Arctic region. Unusual weather situation causes and increases unexpected damage such as droughts and floods associated with extrem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Asian regions are exposed to unpredictable natural disasters under monsoon climate system 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indicators and atmospheric circulation. Therefor, there is a need for a fundamental preparing for extreme weather that may inhibition of human lives and causing huge economic losses. In this study, we identify the climate variability of the Korea Peninsula (KP)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East Asian (EA) monsoon climate related Land-Ocean Contrast (LOC) and Meridional Temperature Gradients (MTG) temperature factors. And we take advantage of characteristic data for the relative change analysis of observed hydrological data through a statistical approach. Here, LOC is an index of area-averaged surface temperature contrast between land and ocean and MTG is defined as the mean meridional temperature gradient in the Northern Hemisphere from mid to high latitude and sub-tropical zonal bands. These indices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changing in atmospheric circulations and atmospheric moisture transport from north-south or east-west into EA. For statistical analysis, precipitation data comprised from a 42-year-long period (1966-2007), calculated by using Thissen polygon interpolation based on 221 observation points and selected during the boreal summer season (June-September) in South Korea. The temporal scope of the two temperature indicators applied is from 1850 to 2007, five main event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period (1966-2007), and these values were used in the percentile deviation and variability analysis between the summer monsoon rainfall and temperature indicators. Bootstrap re-sampling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gional rainfall variability according to the LOC/MTG condition.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 occurs in two temperature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Decision-making using the Tree-based model. Typhoon characteristics such as path and duration in the summer (June-September) were used to exclude typhoon-induced precipitation data from the seasonal data set in the KP. For this, we examined various time windows between 2 and 5 days. The influence of West Pacific’s warm SST due to active convection in the low latitudes during LOC/MTG positive years was found to cause more precipitation to EA. And non-typhoon rainfall analysis showed that Much more than the average rainfall was found to occur in East Nak-dong River and central region of the K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complex vibration that is included in the time-series data and extract Intrinsic mode functions (IMFS), the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EMD) method was applied. And also, we conducted a short-term prediction of the two temperature indicators using the IMFs of them and Multi-layer Perceptron Artificial Neural Network(MLP ANN) Techniques. Model validation was performed in a one-step-forward approach and the one-leave-out method was used for prediction. In addition, the grouping prediction of by decision–making method using with two temperature indices and the quantification of rainfall by MLP ANN method was performed. Both results showed similar result with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 in Group2. Warm season hydro-meteorology in EA is highly associated with water supplies for coupled human and natural systems including drinking water, irrigation, hydropower generation as well as fisheries. Therefore, this analysis of the summer monsoon rainfall variations over the KP using LOC/MTG temperature indices confirms that the two temperature indic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ver changes in summer season monsoon-related precipitation.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주요인자인 온도지표와 관련하여 LOC(Land Ocean Contrast)와 MTG(Meridional Temperature Gradients) 온도인자와 동아시아 몬순기후의 영향권 내에 있는 한반도의 기후변동성(Climate Variability)을 파악하고 통계적인 접근을 통해 관측 수문량의 상대적 변화분석을 위한 특성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여기서, LOC는 중위도 지역에서 대륙과 해양의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고위도 및 아열대 지역의 남북간 기온의 차이는 MTG로 정의된다. LOC/MTG 두 패턴의 남북 또는 동서 지점 변화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대기 순환 패턴 변화및 관련된 대기수분이송에 직간접적인 영향인자로서 작용될 수 있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5대강 유역의 강우 221개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티센망법을 이용한 유역평균 자료의 1966년에서 2007년까지 42개 기간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계절별 6월에서 9월까지 4개월을 채택하고 각각의 시계열 기간치 자료의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LOC/MTG 온도지표도 1850년에서 2007년까지 월별 기간치 자료를 적용하고 온도자료의 시계열 자료 내에서 5개 주요 사상을 추출하여 여름철 몬순강우와의 백분위 편차와 변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LOC/MTG 조건에 따른 지역 강우 변동성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 표본재축출 방법을 적용하였고 Tree-based 모델기법에 따른 LOC/MTG 두 온도인자의 복합적 변화에 따른 계절강우량 변화 해석 및 세 그룹화에 따른 경험적 확률밀도함수를 적용하여 몬순강우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roup Ⅲ에서 상위 10개 중 5개의 사상이 발생해 평년보다 큰 몬순강우 발생을 보였다. 또한 6월에서 9월 사이에 발생한 태풍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경험적 접근에 따른 태풍영향기간(2일-5일)을 고려한 탐색적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기간 내에 비태풍 몬순강우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LOC와 MTG 양의 해가 음의 해보다 저위도에서 대류가 활발하게 나타나 서태평양의 따스한 해수면 온도의 영향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보다 많은 강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풍 영향기간을 고려한 비태풍 강우 분석결과 중부지역과 낙동강 동해 지역에서 평년보다 많은 강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LOC와 MTG 온도 인자에 내포되어 있은 비정상 진동의 복합적인 진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EEMD(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기법을 통해 장기 입력 자료에 대한 유한개의 진동 패턴인 IMFs(Intrinsic mode functions)를 추출하였다. 또한 비선형성, 비정상성에 대한 추계학적인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다층 퍼셉트론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였고 EEMD 기법에 따른 산정된 IMFs에 대한 개별 IMF 자료와 추세 자료를 개별입력 자료로 구성하여 예측을 수행하고 이를 합산하여 LOC와 MTG 단기예측을 수행하였다. 모델 검정은 one-step-forward 방식으로 수행하였고 one-leave-out 방식으로 예측을 수행하였다.

      • 어린이대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과학센터 계획안 :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위치적 특성과 성격을 고려하여

        정민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를 통해 현재 어린이대공원은 과거에 비해 각광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어린이대공원 내 새로운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 제기와 함께 어떤 공간으로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현황 속 중요한 사항은 시대와 환경의 변화와 함께 어린이대공원 내 새로운 프로그램으로의 도입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문화시대의 걸맞은 문화 활동을 향유하기에 많은 발전 가능성과 함께 과거의 명성을 다시한번 되새기고자 현재 어린이대공원의 상황과 함께 어린이대공원 주변 시설들의 특징과 어린이대공원 내 시설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활성화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한 문헌 및 관련 자료를 통한 방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활성화되고 있는 사례를 통해 문화예술 활동공간 형성을 통한 어린이대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현재의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과거에 비해 낙후된 시설들과 한정된 프로그램 그리고 기타 출산율 저조, 환경문제들로 인해 옛 명성을 따라가기 힘든 실태이다. 또한 수십년간 반복된 콘텐츠와 함께 내부 놀이시설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활성화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험 위주의 공간 구성이 이루어지는 과학센터 계획안을 통해 어린이대공원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다양한 공간을 형성하여 어린이대공원 내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다시한번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화용 능력 평가 분석 연구

        정민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Korean pragmatic competence and to analyze the result with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on assessing Korean learners’ L2 pragmatic competence in mind. This study followed the evidence-centered assessment design approach suggested by Mislevy et al. (2003) to develop the tool through a reliable and empirical process and conducted reliability test after assessment.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Conversational Implicature Section’ evaluates the subject’s ability to understand implied meaning; ‘Routines Section’ measures the subject’s knowledge of routines; and ‘Judgement of Appropriateness Section’ determines the subject’s judgement ability of the appropriateness. ‘Conversational Implicature Section’ contains a total of 10 items including 5 multiple choice items and 5 multiple choice DCTs. ‘Routines Section’ includes 10 multiple choice DCTs and ‘Judgement of Appropriateness Section’ involves 16 five-scale appropriateness judgment tests. During the item development, survey of the native speaker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was reviewed in addition to preliminary test of Korean learners. Final test was taken by 109 Korean learners with 32 native speakers as a comparison group. Analysis of the assessment result was conducted in two parts; internal analysis and external analysis. Internal analy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tems through reliability test to confirm internal consistency of the assessment and the response of the subject by item. On the other hand, external analysis is made to see how Korean learners’ L2 pragmatic competence and the variables of Korean learners are related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assessment result of groups by subject variables.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of the assessment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ry subsection of the assessment showed a high Cronbach’s α, which represents an internal consistency. This implies that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in a empirical and systematic way. Second, Korean learners had a difficulty understanding particular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Conversational Implicature Section’ and a difficulty distinguishing routines with similar functions in ‘Routines Section.’ Also, in ‘Judgement of Appropriateness Section,’ they find it difficult to recognize inappropriate utterances in particular. Third, it was found that Korean pragmatic competenc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both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period of residence of the subjects, but language proficiency has a stronger correlation with pragmatic competence than the period of stay does. Fourth, Korean learners’ L2 pragmatic competence develops disproportionately in each subsection according to language proficiency. Fifth, overseas Koreans who have been exposed to Korean from the childhood by parents showed similar L2 pragmatic competence level as that of native speakers in all of the subsections even if some of them has lower language proficiency. To be brief, Korean L2 pragmatic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iciency of each learner. Statistics revealed sociopragmatic competence, above all, should be taught in a more explicit way. In particular, the previous approach to honorific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utterance. This study has developed an assessment to measure Korean learners' L2 pragmatic competence through a empirical process and analyzed the results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has been able to present a viable option—which is reliable and practical—to assess Korean learners’ L2 pragmatic competence and to set a direction for Korean L2 pragmatic education.

      • 안정성 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저어새(Platalea minor) 유조 먹이원의 시공간적 변화

        정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저어새(Platalea minor)의 주요 번식지로서 종 보전에 있어 핵심적인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번식 현황과 번식기 채식 습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저어새의 번식현황, 육추기 먹이자원의 지역별 차이 및 연령별 변화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번식기 저어새 서식지의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3년 3월에서 7월까지 구지도, 수하암, 남동유수지, 칠산도의 저어새 번식 둥지 수를 파악하고, 저어새 유조의 첫째날개깃 끝부분(10일령 성장부분)과 안쪽 깃판(22일령 성장부분)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깃털에서 탄소 안정성 동위원소(δ13C)와 질소 안정성 동위원소(δ15N)를 분석하여 유조 먹이원의 지역 및 연령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탄소 안정성 동위원소의 이원 혼합 모형을 통해 지역 및 연령별 담수성 먹이 및 해수성 먹이 비율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구지도 149쌍, 수하암 40쌍, 남동유수지 93쌍, 칠산도 27쌍 등, 총 309쌍의 저어새의 번식이 확인되었다. δ13C분석 결과에 따르면 저어새는 네 번식지에서 공통적으로 담수습지와 갯벌을 모두 채식지로 이용했으며, 특히 담수습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구지도에서 오히려 담수성 먹이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22일령에 성장한 깃털의 δ13C가 10일령에 비해 높게 나타나, 성조가 유조가 성장함에 따라 담수성 먹이의 급이량을 점차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먹이원 이용의 변화는 갓 부화한 저어새 유조의 염선 발달이 불완전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며, 번식 초기에 담수습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δ15N는 칠산도, 남동유수지 및 수하암, 구지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칠산도의 저어새가 가장 높은 영양단계 또는 질소오염원에 노출된 먹이원을 이용한 반면, 구지도에서는 낮은 영양단계의 먹이원을 이용했거나 질소 오염원의 영향이 적은 채식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구지도, 수하암, 남동유수지에서는 연령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칠산도에서는 유조가 성장함에 따라 δ15N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육추 초기에 칠산도에서 일시적으로 비료와 같은 질소 오염원의 유입에 따른 결과일 수 있으며, 높은 영양단계에 해당하는 먹이원의 가용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시기 및 지역별 먹이원 δ15N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먹이원의 안정성 동위원소 분석과 함께 질소 오염원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대상지인 구지도, 수하암, 남동유수지, 칠산도는 전체 개체군의 22.67% 이상을 차지하여 저어새 보전에 있어 중요한 번식지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규 보호구역 설정, 이해당사자간의 협력, 오염 통제, 대중 인식 증진 프로그램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 번식지에 대한 보호와 인접한 담수습지와 갯벌 채식지의 적응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Alteration of Symbiotic Microbiome following the Decline of Korean Fir (Abies koreana) and its Relationship with Soil Environment in Regions of Mt. halla, Jeju Island, the Republic of Korea : 제주도 한라산 지역의 구상나무 급감에 따른 공생 미생물군집의 변화와 토양환경

        정민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ies koreana (Korean fir tree) is declining at an accelerating rate on Mt. Halla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Several prior studies have reported various and inconclusive reasons, indicating that additional data, such as microbial community, which is known to have a role for plant growth promotion and resistance to abiotic stresses, is required to further understand the phenomena. Hence, this is the first research investigation that documents the chang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as the result of the decline of the Korean fir forest. Here, we provide high throughput sequencing data for the rhizosphere microbiome of Korean fir tree, identifying the bacterial and fungal com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rhizosphere soil of healthy Korean fir (HKF) and dead Korean fir (DKF).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KF soil of the fungal community, in particular, was distinctly separated from the HKF soil. Interestingly, while HKF soil was comprised of dominant symbiotic fungi (Russula, Sebacina, Inocybe, and Phenoliferia), the microbial composition in DKF samples consisted of abundant saprotrophs such as Trichoderma, Ascocoryne, and Umbelopsis. It was also observed that symbiotic fungi such as Russula act as a hub in the co-occurrence network. Furthermore, the representative fungal genera in HKF soil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a few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K+, Na+, Avail P, and CEC. Our findings shed light on the rhizosphere microbiota of dead and live A. koreana plant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edaphic factors. 우리나라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특상종인 구상나무가 고사하는 집단 쇠퇴 현상 발생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여러 연구에서는 구상나무 쇠퇴 현상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구상나무 숲의 쇠퇴에 따른 미생물 군집인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 고사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공한다. 해당 연구에서, 높은 처리량의 차세대 시퀀싱(NGS) 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전목과 고사목의 토양 시료 내 박테리아 및 곰팡이 군집의 차이를 식별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토양 시료에서 토양 곰팡이 군집의 구성에서 큰 차이가 관찰되었다. 건전목의 토양 내에는 식물 공생 곰팡이(Ectomycorrhizal Fungi)로 잘 알려진 Russula, Sebacina, Inocybe 및 Phenoliferia가 높은 우점도를 가지는 반면, 고사목의 토양 내에는 Trichoderma, Ascocoryne 및 Umbelopsis와 같은 부패관련 곰팡이가 우점하였다. 생태학적 토양 미생물 군집 네트워크 분석으로부터, 건전목의 토양에서 우점하는 Genus인 Russula는 다른 미생물들과 광범위한 생태학적 관계를 가지는 네트워크 키스톤(Keystone)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건전목 토양 내 대표적인 공생 곰팡이는 K, Na, P2O5 및 CEC와 같은 양분관련 토양 화학적 특성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가진다. 이러한 결과는, 구상나무의 급감현상이 고사목의 토양 내 특정 병원성 곰팡이의 발생보다는, 건전목 토양 내 자생균류와 같은 공생 곰팡이의 감소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사료한다.

      • 어린이 중창곡을 통한 성악 지도법 : 발성기관과 레파토리를 중심으로

        정민수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졸탄 코다이(Zoltan Kodaly 1882~1967)는 “목소리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자연적인 악기이다. 음악은 모든 어린이의 것이며, 음악 학습은 가창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창 지도는 어릴 때부터 시작해야 한다”라고 하여 가창이 어린이 음악학습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노래란 다른 음악영역과 달리 외적인 매개물의 도움이 없이 누구나 가장 손쉽게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영역이다. 초등교육 음악교과에서는 가창을 모든 영역에서의 가장 첫 번째로 삼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아이들이 노래를 통해서 음악의 실제 경험을 처음 접하고, 이러한 노래를 통해 감수성과 표현력을 발달시킨다. 현재 초등교육 음악교과를 비롯하여 사설 음악 교육기관에서는 어린이 동요와 어린이 신체에 맞는 발성법에 따른 체계적인 지도 자료가 미흡하다. 그래서 대부분 발성에 대해 간과 하거나 성인 발성법에 맞추어 어린이들을 지도하여 초등교육 음악교과에서 요구하는 건강한 목소리로 즐겁게 노래를 부르도록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변성기인 고학년 아이들인 경우 체계적인 발성법에 따른 가창이 이루어지지 않아 노래 부르기를 어려워하거나 기피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바른 발성법에 필요한 자세, 호흡, 공명, 발성, 조음에 따른 각 해부학적인 신체기관을 비롯하여 일반적인 발성법에서 어린이 발성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공통적인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연구하여 실질적인 어린이 가창에 맞는 발성법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교과서 내와 창작동요 중창곡을 각 학년에 맞추어 선정하여 본 논문에서 연구한 발성법을 활용한 지도안을 구축하여 실질적으로 지도하고 그 결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창의 기본이 되는 발성은 일반 성인을 위한 발성법과 어린이를 위한 발성법에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현재 아이들에게 흔히 사용되고 있는 흉성 발성과 문헌에서 이상적으로 제시하는 두성 발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아이들에게 맞는 좋은 발성법이 된다. 그렇기에 아이들이 자신에 맞는 음역에서 두성과 흉성을 올바르고 조화롭게 사용 하였을 때 목에 무리가 없는 자연스러운 노래를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2. 가창에서 기본이 되는 발성을 올바르게 숙지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인 발성기관에 대해 확실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것은 본 논문의 학년에 따른 중창곡을 통한 발성 지도법을 실질적으로 지도한 결과 해부학적인 발성기관의 설명 없이 지도하였을 때와 차이를 보여 이러한 설명에 따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설명으로 아이들이 가창에 더욱 흥미를 갖게 하였다. 3. 어린이의 신체적 특성과 정서적 특징을 고려하여 아이들에게 맞는 단계적인 발성법으로 지도한 결과 기본적으로 노래를 잘하는 아이들은 더욱 더 가창의 질적 향상을 가져 왔고 이와 더불어 가창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노래에 부담을 느끼거나 노래 부르기를 기피하였던 아이들은 이러한 발성법을 통한 꾸준한 연습으로 가창에 대한 향상도를 보이며 흥미를 갖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통해 어린이 발성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교사와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Zoltan Kodaly (1882~1967) mentioned the importance of singing on childhood music education saying, “The voice is naturally given for all people as musical instrument. Music is for all children, and music education should begin with singing. Also the singing should be started from their childhood .” Song is the easiest way to encounter music directly without having instruments which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musical area. Singing is regarded as the first area to teach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among all music areas which can prove its importance in music education. In fact, most of children made their first experience of music by song and they develop their sensitivity and expression skills through this experience. Actually, the systematic guidance data on vocalization method of infantile song and children's body is limited in music education field on both private and public. Accordingly, most of teachers overlook the vocalization, or teach children based on the vocal method for adult. It can bring much trouble for the children who are supposed to sing happily with healthy voice and this is required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Specially, when upper elementary students start to break their voice, they might refuse to sing because of not having the systematic vocalization method on their vocal training. In this thesis, child vocalization was studied in general vocalization including respective anatomical human body along with posture, respiration, resonance, vocalization for appropriate vocalization through literature and preliminary research. Al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build the vocalization method on practical singing for children by studying common and different factors between adult and children. Additionally, it intends to select right songs for each grade from text book and children vocal ensemble songs to build the guidance plan of the vocalization method that I have studied in this thesis and to study the result of practical teaching through this guidance plan.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1. There is difference in the vocalization that is the base of singing between adults and children. The appropriate vocalization method for children has to be in harmony between chest and head vocalization. The chest vocalization is usually used by children and the head vocalization is suggested as the ideal vocalization from the reference. Therefore, the conclusion was made that children can do natural singing without hurting their voice when they use the chest vocalization and head vocalization harmoniously in their own voice range. 2. It is necessary to have definite understanding of anatomical vocal organs to be well-acquainted with the vocalization which is the base of singing. The better result has come out from practical teaching trough the guidance on the selected songs for each respective grade with explanation about anatomical vocal organs than not having explanation to children. Additionally, this explanation allows children to have more interests in singing. 3. The vocalization method brought remarkable improvement on children's singing ability as well as confidence and interest on singing to the children using by the step-by-step guidance considering children's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 Also, the children who used to get pressure on singing or refused to sing got interests on singing and improvement on their ability through this vocalization method and continuous practice. Finally, I hope this thesis would help those teachers and children who experience difficulty on the vocalization for children.

      • 기후변화가 곤줄박이(Sittiparus varius)의 번식생태와 생물계절성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정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후변화로 인한 영양단계간 생물계절성 불일치는 생태계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교란시킨다. 특히 산림성 조류와 곤충 먹이원의 생물계절성 변화정도의 차이는 산림성 조류의 번식시기와 곤충 먹이원의 최대 가용시기 간의 불일치로 이어져, 조류의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개체군 감소와 산림생태계의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국내 산림성 조류의 생물계절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광역적 규모의 장기 모니터링 체계가 없는 상황이며, 조류의 생물계절성과 번식생태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연구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Sittiparus varius)를 대상으로 광역적 규모의 생물계절성 장기 모니터링에 적용이 가능한 번식시기 자동 모니터링 개발, 장기적 기온 변화와 생물계절성 불일치가 곤줄박이의 번식생태에 미치는 영향 파악, 기후변화에 따른 곤줄박이 산란일 변화 예측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백운산,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에서 고도가 다른 12개 조사구에 인공새집 576개를 설치하여 박새와 곤줄박이의 번식지표를 파악하고, 조사구별 기온을 측정하였다. 지리산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원주시 백운산과 광양시 백운산에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첫째, 번식시기 자동 모니터링 개발을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12개 조사구에서 소형 온도기록계를 통해 측정한 새집내부온도와 박새와 곤줄박이에 대한 인공새집 번식조사결과를 이용하였으며,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번식상황 분류모형을 개발하고 산란일과 부화일을 추정하였다. 둘째, 장기적 기온 변화가 곤줄박이 번식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례군 지리산의 고도 300m, 900m, 1,300m에 위치한 3개 조사구에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인공새집 번식을 조사하고, 곤줄박이의 산란일, 한배산란수, 번식실패 둥지 비율과 번식기 전 기온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기후변화에 따른 곤줄박이 산란일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12개 조사구에서 기록된 3월 기온(3월 10 – 21일)과 산란일(학습자료)을 이용하여 산란일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지리산 고도 300m, 900m 조사구의 3월 기온과 산란일(검증자료)을 이용하여 산란일 예측모형의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산란일 예측모형을 통해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와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2100년까지의 산란일을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산란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의 지역간 차이를 파악하고,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 정도에 따른 산란일 변화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넷째, 고도별 곤줄박이와 주요 먹이원인 나비목 유충 간의 생물계절성 일치도와 생물계절성 불일치가 곤줄박이 번식생태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해 전라남도 광양 백운산의 4개 고도(200m, 400m, 800m, 1,000m)에 위치한 5개 조사구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도별 나비목 유충의 발생양상(최대 발생시기, 최대 발생량, 최대 발생기간)과 곤줄박이 유조의 최대 성장시기를 파악하고, 나비목 유충과 곤줄박이간 생물계절성 일치도를 파악하였다. 생물계절성 일치도에 따른 유조의 먹이원 비율과 이소 전 건강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곤충 및 기타 먹이원과 유조 혈액의 탄소 및 질소 안정성 동위원소비(δ13C, δ15N)를 분석하여 둥지별 먹이원 비율을 추정하였으며, 13일령 유조의 부척 길이와 체중을 측정하여 이소 전 건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박새와 곤줄박이에 대한 번식상황 분류모형의 정확도와 AUC (Area Under the Curve)가 모두 0.9이상으로 나타나, 모형의 수행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식상황 추정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산란일과 부화일에 대한 평균 추정 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는 박새 2.44 – 4.94일, 곤줄박이 1.31 – 3.03일로 나타나, 박새류에 대한 번식시기 추정의 정확도가 상당히 높고, 종간 번식시기 추정의 정확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박새류로 대표되는 산림성 조류의 생물계절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광역적 규모의 장기 모니터링에 온도기록계를 이용한 번식시기 자동 모니터링을 적용한다면, 인적 오류(human error)를 줄이고 조사 방법을 표준화하며, 조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 고도 300m, 900m, 1,300m 조사구의 번식기 전 기온의 연도별 변화를 확인한 결과, 저지대의 기온 변화는 미미한 반면, 고지대에서는 뚜렷한 기온 상승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곤줄박이 산란일은 세 조사구 모두에서 뚜렷한 연도별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지대에서 확인된 기온 상승은 기후변화의 영향이 고지대에서 저지대에 비해 더욱 빠르게 심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지대에서의 번식기 전 기온과 산란일의 장기적 변화 경향의 차이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한배산란수 감소 또는 번식실패 둥지 비율 증가 등 번식지표의 악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향후 곤줄박이 번식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번식성공률 및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 등 다른 번식지표에 대한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곤줄박이 산란일 예측모형의 예측변수로는 3월 일평균기온의 평균과 일최고기온의 평균이 선정되었다. 검증자료와 학습자료에 대한 추정오차는 각각 5.21일, 5.60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검증자료의 산란일과 검증자료의 3월 기온과 산란일 예측모형을 통해 추정된 산란일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곤줄박이의 산란일 변화를 예측한 결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RCP 8.5), 2090년대의 산란일은 현재보다 10일 빨라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후변화 완화를 통해 2100년 이산화탄소 농도를 540ppm까지 감축할 경우(RCP 4.5), 2090년대 산란일은 현재보다 4일 앞당겨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고위도 및 고지대의 산란일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고위도 및 고지대 곤줄박이 개체군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고도 상승에 따른 기온 저하로 인해 곤줄박이 유조의 최대 성장시기와 나비목 유충의 최대 발생시기 모두 고도가 높아질수록 지연되었다. 그러나 나비목 유충의 최대 발생시기가 빠를수록 곤줄박이 유조의 최대 성장시기는 유충 발생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어져, 기온 상승에 따라 나비목 유충과 곤줄박이간의 생물계절성 불일치가 증가하였다. 나비목 유충의 최대 발생량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했으나, 최대 발생기간은 고도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안정성 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해 곤줄박이 유조의 먹이원 비율을 파악한 결과, 고도에 따라 유조 혈액의 δ13C가 증가하므로 나비목 유충 비율은 감소하고 메뚜기목과 거미목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나비목 유충의 출현이 늦고 발생량이 적은 고지대에서 번식하는 곤줄박이는 나비목 유충의 일부를 다른 먹이로 대체하여 유조에게 제공한 결과로 생각된다. 유조 혈액의 δ15N는 번식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주요 먹이원의 비율을 재구성한 결과, 번식시기가 늦을수록 메뚜기목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최대 발생시기 이후 가용도가 감소하는 나비목 유충 대신 가을까지 가용도가 증가하는 메뚜기목을 더 많이 급이한 결과로 생각된다.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는 생물계절성 불일치가 증가할수록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유조의 최대 성장시기에 나비목 유충이 충분하게 제공되는 것은 유조의 성장에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안정성 동위원소비 및 먹이원 비율에 따른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기온이 상승할수록 나비목 유충과 곤줄박이의 생물계절성 불일치가 증가하며, 이러한 생물계절성 불일치는 대체 먹이의 이용에도 불구하고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를 저하시켜 곤줄박이의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고지대에서 번식하는 곤줄박이 개체군의 산란일과 번식기 전 기온의 장기적 변화 경향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한배산란수 감소 또는 번식실패비율 증가 등의 뚜렷한 번식지표의 악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고도별 곤줄박이 유조의 최대 성장시기와 나비목 유충 최대 발생시기를 비교한 결과, 기온 상승에 따라 나비목 유충의 최대 발생시기가 앞당겨질수록 나비목 유충과 곤줄박이간의 생물계절성 불일치가 증가하며, 생물계절성 불일치의 증가는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10여년 동안 발생한 고지대에서의 급격한 기온 상승에 따라 곤줄박이와 나비목 유충간 생물계절성 불일치의 증가와 그로 인한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 저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해 예측된 곤줄박이의 산란일은 기후변화 완화정도에 관계없이 21세기 중반까지 지속적으로 앞당겨질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기후변화가 현재 속도로 진행될 경우에는 고위도 및 고지대에서의 기온 상승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나비목 유충과 곤줄박이간의 생물계절성 불일치 증가 및 그에 따른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 저하가 점차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특히 고지대 및 고위도 개체군에 대한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곤줄박이와 같이 나비목 유충을 번식기 주요 먹이원으로 이용하는 산림성 조류와 나비목 유충간의 생물계절성 불일치 심화는 어린 새들의 건강도 저하, 나비목 유충 포식을 통한 잎 피해 저감 등 산림성 조류가 제공하고 유지하는 생태적 기능을 약화시켜, 산림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한 산림성 조류와 산림생태계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나비목 유충과 산림성 조류간 생물계절성 불일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생물계절성 불일치로 인한 유조의 이소 전 건강도의 저하가 개체의 적응도와 개체군 동태에 미치는 영향 파악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장기자료를 통해 파악한 곤줄박이 산란일의 연도별 변화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해 예측된 산란일 변화 모두 지역간 차이를 보였으며, 곤줄박이와 나비목 유충 간 생물계절성 일치정도가 지역에 따라 달랐다는 점에서, 국내 산림성 조류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광역적 규모의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생물계절성 불일치의 시공간적 변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Climate change can alter and disrupt the phenological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from various trophic levels in ecosystems. In temperate forests, breeding populations of forest birds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climate change because their reproductive timing and the peak abundance of arthropod prey must be tightly synchronized. Phenological asynchrony between forest birds and arthropod prey due to climate change can therefore lead to a decline in the population of forest birds and negatively affect the functional associations the function of the forest ecosystem. In Korea, there is no broad-scale, long-term monitoring system to determin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breeding phenology of forest bird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breeding ecology and phenological synchrony of forest birds.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utomated monitoring system of the timing of breeding in the Great (Parus major) and Varied Tits (Sittiparus variu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breeding ecology of Varied Tits and phenological synchrony between Varied Tits and arthropod prey, and predicting shifts in the breeding phenology of Varied Tits. A nestbox survey was conducted to record breeding data of Great and Varied Tits in 576 nestboxes on Mt. Baegun in Wonju (four study plots), Mt. Jiri in Gurye (three study plots), and Mt. Baekwoon in Gwangyang (five study plots). The ambient temperature was also measured at all 12 study plots using a temperature/relative humidity data logger.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2015 and 2018 on Mt. Jiri and between 2016 and 2018 on Mt. Baegun and Mt. Baekwoon. The breeding stages classification models were develop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breeding data and the nestbox temperature recorded by a small temperature data logger (TDL) from 2016 to 2018, thereby creating an automated monitoring system for the breeding timing of the two bird species. The first egg-laying dates and hatching dates were estima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models and, compared with the dates recorded from nestbox surveys. The annual trends of pre-breeding temperature, egg-laying dates, clutch size, and proportion of failed nests of Varied Tits at three study plots located at 300m, 900m, and 1,300m on Mt. Jiri were analyzed using the long-term nestbox monitoring data (2006 – 2013) and the breeding data from nestbox survey (2015 – 2018). The predictive model for the egg-laying dates was developed by using the egg-laying dates and ambient temperature in March at the 12 study plots from 2016 to 2018 as training data. Also, validation of the model was conducted by comparing observed and predicted egg-laying dates using data from 300m and 900m study plots on Mt. Jiri from 2008 to 2015 as the test data. The egg-laying dates were predicted until 2100 based on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and 8.5 climate change scenarios to investigate how they were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the regional differences observed when climate change mitigation was applied. Further investigation was also conducted on the phenological synchrony between Varied Tits and Lepidoptera larvae along with elevation gradient, and its effects on the breeding ecology of Varied Tits. This was performed using records of the temporal pattern of availability of Lepidoptera larvae (peak date, peak biomass, and peak duration), and the peak date of growth of nestling Varied Tits at five study plots (200m, 400m, 800m, 1,000m) on Mt. Baekwoon (Gwangyang). The proportion of potential prey species in the diets of nestlings was estimated by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 (δ13C and δ15N) in the whole blood of nestlings and potential prey. The body condition index was then calculated using the weight and tarsus length of nestling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enological asynchrony on the proportion of diets and body condition of nestlings. The accuracy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of breeding stage classification models were over 0.9, indicating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lassification model was excellent. In addition,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the estimation of egg-laying dates and hatching dates was 2.44 – 4.94 days for Great Tits and 1.31 – 3.03 days for Varied Tits, which suggested high accuracy in the estimation of breeding timing for both species. The automated monitoring of breeding timing using TDL may therefore be adapted to the broad-scale and long-term monitoring to decrease human error, reduce the cost for field surveys, and standardize the monitoring methods. The rise of pre-breeding temperature was strong in the higher-elevation plots at 900m and 1,300m on Mt. Jiri, but relatively stable in the low-elevation plot on Mt. Jiri over the last decade. Although the mean egg-laying dates shifted more in plots experiencing a greater increase in the pre-breeding temperature, the shift was subtle during the study period.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nnual trend of pre-breeding temperature and egg-laying dates, there was no evidence of a decrease in clutch size or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failed nests. Overall mean of daily mean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March were selected as predictor variables in the predictive model of egg-laying dates of Varied Tits. The RMSE of prediction in the training and test data was 5.60 and 5.21 days, respectively. The observed egg-laying dates of the test data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estimated using the predictive model and temperature in March. Prediction based on the RCP climate change scenario showed that egg-laying dates would be advanced by more than 10 days compared to the present if no mitigation is undertaken (RCP 8.5). On the other hand, under the intermediate mitigation (RCP 4.5), the egg-laying dates were predicted to advance by about 4 days compared to the present. In addition, under the baseline scenario with no mitigation, the egg-laying dates will occur earlier in the higher elevation and latitude regions of South Korea, where the temperature will increase faster. The peak date of growth of the nestling Varied Tits and biomass of Lepidoptera larvae at the five study plots on Mt. Baekwoon in Gwangyang were delayed along the elevation gradient. However, with advancing peak dates of biomass of Lepidoptera larvae, the peak date of growth of the nestlings occurred later, indicating that the phenological asynchrony could increase along with rising temperature. Analysis of stable isotope in the blood of nestlings and potential prey showed that the values of δ13C of blood of nestlings increased with elevation gradient. Estimation of the proportion of potential prey through stable isotope mixing model indicated that such an increase in the values of δ13C were related to decreasing proportions of Lepidoptera larva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Araneae and Orthoptera. On the other hand, the values of δ15N in the blood of nestlings decreased over the breeding season. Estimating the proportion of potential prey showed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Orthoptera in the nestlings of late breeding pairs. The body condition of nestlings decreased as phenological asynchrony increased bu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values of δ13C and δ15N of blood of nestlings and the estimated proportion of potential prey. Consequent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enological asynchrony could increase along with a rise in temperature, which could lead to the decrease in body condition of nestlings. This study showed that the advancement of egg-laying dates in Varied Tits was negligible at high elevation plots on Mt. Jiri, where the pre-breeding temperature rose significantly in the past decade, without significant decrease in breeding parameters (clutch size, proportion of failed nest). In comparison with the growth of nestlings along elevation gradient, the peak date of biomass of Lepidoptera larvae and growth of nestlings along with elevation gradients indicated that as peak date of biomass of Lepidoptera larvae advanced with the rise of temperature and, the phenological asynchrony increased, which negatively affected the body condition of nestlings. The inferred increase in phenological asynchrony might have led to the decrease in the body condition of nestlings at higher elevation regions on Mt. Jiri over the past decades. Predicted egg-laying dates of Varied Tits for the coming decades indicated that reproductive phenology would advance under both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4.5 and RCP 8.5), and the egg-laying dates would occur earlier in the regions with higher elevation and latitude in South Korea where the temperature would increase faster. Therefore, warming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cause an increase in phenological asynchrony, and hence negatively affect the body condition of nestlings of Varied Tit. Such effects may be more severe in the breeding population at higher elevations and latitudes. Phenological asynchrony between forest songbirds and arthropod prey can negatively affect the functions of songbirds such as the top-down control of the density and interactions of leaf-eating Lepidoptera larvae. This can subsequently result in the disruption of structure, function, and services of the forest ecosystem. Therefore, the monitoring of the phenological synchrony between birds and prey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vulnerability and develop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for forest birds and ecosystem. Studies on phenological-asynchrony-related decreases in body condition of nestlings and its effect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birds are also warranted. Additionally, this study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nnual trend of pre-breeding temperature in the past decade and the predicted shift of egg-laying dates during the 21st century. Broad-scale and long-term monitoring of phenology of forest songbirds should therefore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forest songbirds in Korea.

      • 협동학습이론을 적용한 표제음악 지도안 연구 : 스메타나의《나의 조국》중 ‘몰다우’와 드뷔시의《목신의 오후 전주곡》을 중심으로

        정민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협동학습은 이질적인 학생들이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서로 의존하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협동학습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책임감과 배려심, 의사소통능력 등 다양한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교사 중심의 일제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협동학습이론을 적용하여 표제음악 수업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에 적용하기 적합한 과제분담학습모형(Jigsaw), 집단탐구모형(GI),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모형(Co-op Co-op)을 중심으로 하여 각 모형의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다음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음악교과서 7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수록되어 있는 표제음악의 빈도수를 분석하고, 그 결과 높은 빈도로 수록되어 있는 스메타나(B. Smetana, 1824-1884)의《나의 조국》(Má vlast, 1874-1879) 중 제2곡 ‘몰다우’와 드뷔시(C. Debussy, 1862-1918)의《목신의 오후 전주곡》((Prélude à l'aprés-midi d'un faune, 1876)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협동학습이론을 적용한 표제음악 수업지도안을 고안하였다. 협동학습이론을 적용한 표제음악 수업에서 기대해 볼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지도안에서 학생들이 하게 되는 창작활동은 모두 학생들의 곡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곡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하고, 각자 생각한 것을 조원들과 나누면서 곡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음악을 감상하고 협동 활동을 통해 음악 외의 예술적 표현으로 곡의 표제의 내용을 재해석하여 표현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더욱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참여하게 되고, 이러한 학습과정 안에서 학생들은 언어, 신체 등 다양한 표현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각자 분담한 과제를 수행하고 조원들에게 능력을 인정받음으로서 자아실현의 경험을 얻게 된다. 또한 하나의 과제를 여러 명의 조원들과 수행하는 과정 안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들을 근거로 음악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지도안을 실제 음악수업에 적용함으로서 위와 같은 효과들을 얻기를 바란다. Cooperative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maximizing learning effects through social interaction dependent on each other for heterogeneous students to achieve common goals. Through the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it has advantages that students can develop a variety of abilities such as accountability,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hey are able to take self-directed learning by becoming a subject of learning apart from teacher-centered Japanese-style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plan for program music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theory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focusing on Jigsaw, GI, Co-op Co-op suitable for cooperative learning in music class. Then,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program music recorded by randomly selecting seven kinds of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 to which 2009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was applied, as a result, we designed a teaching plan for program music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theory by selecting the second song ‘Die Moldau’ of B. Smetana(1824-1884)'s 《Má vlast, 1874-1879》 and C. Debussy(1862-1918)'s 《Prélude à l'aprés-midi d'un faune, 1876》 as music materials recorded at a high frequency. The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in the program music class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theor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usic in depth. In the teaching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are all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ongs. Therefore, it makes students think deeply about the songs,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ongs by sharing what they think with their members. Second, it can help students to develop various expression abilities. Students can improve their interest in learning i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contents of program music with artistic expression other than music through listening to music and cooperative activities. Therefore, students become more active and aggressive in their learning and they can develop various expressive skills such as language and body in this learning process. Third, it can help students to improve self-esteem and raise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do self-actualization by performing their assigned tasks and being recognized by their members. Students can also cultivate community awareness through the process of coordinating each other's opinion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a task with several members. Based on these effect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the music class using cooperative learning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We hope that students get the above effects by applying a teaching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to actual music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