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최근 북미의 아나뱁티스트 연구 동향: 교회론을 중심으로

        전인성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search history of Anabaptists in North America in the twentieth-Century, and especially the research trends focusing on ecclesiology. The study of Anabaptism in North America reached a new phase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Century. With the advent of Harold S. Bender, a group of scholars known as the Bender School appeared. As a result, they assert that the theology and faith of Anabaptists, who have suffered from many misunderstandings, are not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instream Reformers. In addition, with this growing interest in the Anabaptists in the past few decades, essential works of the Anabaptist study have been published.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Anabaptism has naturally led to an interest in the ecclesiology of sixteenth-century Anabaptism because the agenda of Anabaptists is always linked to the practice of their ecclesiology. Perhaps the most critical and comprehensive publication on the subject is by Franklin Hamlin Littell,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attempted. Finally, I suggest for improving future studies that the research of twentieth-Century Anabaptists has focused on only several figures and theology and that most study of ecclesiology has also been focused on the study of the discipline, suggesting the need for research on more diverse figures and subjects.

      • KCI등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활용한 블록 코드 생성 및 추천 모델 개발

        전인성,송기상 한국정보교육학회 202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6 No.3

        In this paper, we develop a machine learning based block code generation and recommendation model for the purpose of reducing cognitive load of learners during coding education that learns the learners block that has been made in the block programming environment using natural processing model and fine-tuning and then gen­erates and recommends the selectable blocks for the next step. To develop the model, the training dataset was produced by pre-processing 50 block codes that were on the popular block programming language web site ‘Entry’. Also, after dividing the pre-processed blocks into training dataset, verification dataset and test dataset, we developed a model that generates block codes based on LSTM, Seq2Seq, and GPT-2 model. I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model, GPT-2 showed a higher performance than the LSTM and Seq2Seq model in the BLEU and ROUGE scores which measure sentence similarity. The data results generated through the GPT-2 model, show that the performance was relatively similar in the BLEU and ROUGE scores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blocks was 1 or 17. 본 논문에서는 코딩 학습 중 학습자의 인지 부하 감소를 목적으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이용하여 전이학습 및 미세조정을 통해 블록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이미 이루어진 학습자의 블록을 학습하여 학습자에게 다음 단계에서 선택가능한 블록을 생성하고 추천해주는 머신러닝 기반 블록 코드 생성 및 추천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을 위해 훈련용 데이터셋은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인 ‘엔트리’ 사이트의 인기 프로젝트 50개의 블록 코드를 전 처리하여 제작하였으며, 훈련 데이터셋과 검증 데이터셋 및 테스트 데이터셋으로 나누어 LSTM, Seq2Seq, GPT-2 모델을 기반으로 블록 코드를 생성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성능 평가 결과, GPT-2가 LSTM과 Seq2Seq 모델보다 문장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BLEU와 ROUGE 지표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GPT-2 모델을 통해 실제 생성된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블록의 개수가 1개 또는 17개인 경우를 제외하면 BLEU와 ROUGE 점수에서 비교적 유사한 성능을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샌드박스형 게임을 활용한 게임기반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전인성,김정랑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3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샌드박스형 게임인 마인크래프트 에듀를 활용한 게임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법보다 샌드박스형 게임을 활용한 게임기반학습을 적용했을 때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몰입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습몰입도는 통제감, 시간 감각의 왜곡을 제외한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effect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is analyzed by applying game-based learning using sandbox game, Minecraft Edu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ppeared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and box utilizing game-based learning than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metho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It is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all sub-elements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t is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elements on learning flow except sense of control and transformation of time.

      • KCI등재

        학습분석 기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

        전인성,송기상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2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프트웨어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논의도 같이 활 발해지고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소프트웨어교육 수업 방법의 문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컴퓨터에서 진행 되고 있는 코딩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수자는 적시에 학습자에게 피드백 을 주는데 한계가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엔트리 기반의 실 시간 학습자 코딩 상황을 파악하고 교수자에게 전달하는 소프트웨어교육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학습중에 수 집되는 데이터를 Hadoop 시스템을 통하여 시각화는 체제를 구현하였다. 소프트웨어교육 지원 시스템은 교사와 학습자가 접속하는 표현 계층과 코드를 분석하고 구조화하여 평가하는 비즈니스 계층, 그리고 학급정보, 계정 정 보, 학습정보 등을 저장하는 DB 계층을 포함하고 있다. 교수자는 미리 학습할 내용을 소프트웨어교육 지원 시스 템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장된 코드와 학생들의 코드를 비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컴퓨팅 사고력 요소 루브릭을 통해 학습자의 성취율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As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has increased, discussions on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it have also been active. One of the problems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method is that the instructor cannot grasp the content of coding in progress in the learner's computer in real time, and therefore, instructors are limited in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in a timely manner.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oftware education support system that grasps the real-time learner coding situation under block-based programming environment by applying a learning analysis technique and delivers it to the instructor, and visualizes the data collected during learning through the Hadoop system. The system includes a presentation layer to which teachers and learners access, a business layer to analyze and structure code, and a DB layer to store class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and learning information. The instructor can set the content to be learned in advance in the software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compare and analyze the learner's achievement through the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rubric, based on the data comparing the stored code with the students' code.

      • KCI등재

        더크 필립스(Dirk Philips)의 생애와 사상: 그의 기독론과 보이는 교회(Visible Church)관점을 중심으로

        전인성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8 No.-

        이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메노나이트 지도자였던 더크 필립스의 사상을 밝히고 그의 중심 사상을 논의함으로 그의 기독론이 보이는 교회에 관한 관점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더크 필립스의 생애를 간략하게 다룰 것인데 이를 통해 그의 신학의 형성과정과 그의 사역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크는 동시대의 다른 종교개혁 지도자들과 달리 매우 독특한 기독론 (호프만의 ‘천상의 육체론’을 기본으로 한)을 발전시켰기 때문에 기독론은 그의 신학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더크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도 그의 기독론을 그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핵심 신학으로 여겨져 왔으며 실제로 더크의 저작의 분량에서도 기독론의 비중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그의 기독론이 그의 보이는 교회의 관점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히며 이러한 관점에서 그의 기독론을 이해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더크의 기독론 안에 성육신의 논의가 신학적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그는 성육신의 교리는 신자들이 거룩한 삶을 살기 위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해하며 성육신은 인간의 그리스도 안에 거룩한 본성을 갖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thought of Dirk Philips, who was a Mennonite leader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to argue that his central doctrine, his Christology are interrelated with his view of the visible church. This paper outline Dirk Philips’ brief biography first. A look at Dirk’s life reveal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is theology and helps to understand his situation of ministry. Christology i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understanding his theology because Dirk developed a distinctive Christology(on the basis of Hoffman’s ‘celestial flesh’ Christology), unlike other contemporary Christian leaders. After examining Dirk’s Christology, this paper will reveal the aspects of his Christology that are associated with his view of the visible church. In particular, his concept of the incarnation in his Christology is positioned as the most important doctrine for the saints to live a holy life,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incarnation causes humans to have divine nature in Christ.

      • SCOPUSKCI등재

        DMBA 유도 햄스터 협낭암 발생과정에서 방사선 조사가 증식세포핵항원(PCNA)의 발현과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영향

        전인성,허민석,최항문,이삼선,최순철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0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0 No.3

        Purpos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apoptosis induction during the carcinogenesis in hamster buccal pouch. Materials and methods : Three months old Syrian golden hamsters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2 experimental groups, Hamsters in control group were left untreated on buccal pouchs. Twenty four hamsters were treated with 0.5% DMBA tri-weekly on the right buccal pouch. Forty eight hamsters were treated with 0.5% DMBA tri-weekly and irradiated with the dose of 5 Gy and 10 Gy at 6,9, 12, 15 weeks after DMBA application. Resected buccal pouches were sectioned and examined for potential expression pattern of PCNA and apoptosis. Results : The PCNA index was increased with the stages of buccal pouch epithelium carcinogenesis except the hyperplasia stage in control group (p< 0.05). The irradiation did not effect on the PCNA index in the dysplasia and the carcinoma in situ stage, but in the hyperplasia stage, the PCNA index was increased with 10 Gy radiation and decreased in the carcinoma stage (p< 0.05). The apoptotic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carcinoma in situ stage and the lowest in the carcinoma stage, The apoptotic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yperplasia and dysplasia stage with the 5 Gy irradiati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carcinoma stage with the 10 Gy irradiation (p< 0.05). Conclusion : The PCNA and apoptotic index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period and dosage in each carcinogenesis stage.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0; 30: 207-216)

      • KCI등재

        LMS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전인성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1

        본 연구는 LMS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소프트웨어(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SW교육 만족도, 사회변화 인식 및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LMS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은 총 17차시로 교사 중심 활동과 학생 중심 활동으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LMS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SW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전후 비교에서 사회변화 및 유용성, 교육 목적 및 내용, 교육 방법 및 환경, 교수학습 활동, 교육 적용 및 기대감 등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성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향후 SW교육 콘텐츠 개발 시 실생활 문제 해결을 포함하는 교육 내용 개발이 요구되며, SW교육에 특화된 AI 기반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개별 학습 맞춤형 피드백의 구현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