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익산 오룡리 유적 출토 탄화미 입형 분석

        전영원(Jeon, Young-Won),안승모(Ahn, Sung-Mo),김성욱(Kim, Soung-Wook)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3 馬韓, 百濟文化 Vol.22 No.-

        익산 오룡리 3호주거지에서는 탄화종자가 포함된 토양시료 9개 중 6개를 부유선별하여 5만 립이 넘는 다량의 탄화미가 검출되었다. 탄화미의 방사선탄소연대는 1650±40 uncal. BP로 측정되어 4~5세기로 추정된 토기편년과 부합한다. 부유선별된 6개 시료 중에서 시료 ④(100립), ⑥(250립), ⑦(250립)의 탄화미를 계측한 결과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길이 4.17±0.48㎜, 4.03±0.51㎜, 4.70±0.57㎜, 너비 2.51±0.25㎜, 2.42±0.24㎜, 2.76±0.28㎜, 두께 1.76 ±0.19㎜, 1.73±0.21㎜, 1.98±0.22㎜이다. 입형이나 품종 분류에 주로 이용되는 길이의 각종 기술통계량, 길이와 장폭비의 상자도표와 히스토그램, 길이와 폭 산포도, 그리고 길이와 장폭비의 중위수와 신뢰구간을 고려하면 상기 세 시료의 탄화미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형으로 나누어진 다. 단 이러한 입형 차이가 동일한 모집단에서의 표본 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인지 또는 복 수 품종의 존재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의 첨도와 왜도의 정규성에 대 한 다양한 기술통계적 검정과 평균을 이용한 일원배치 분석방법을 사용한 결과 오룡리 3호주거지의 벼에는 별도 품종으로 볼 수 있는 변이 폭이 큰입형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은 존재한다는 사 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탄화미 계측치가 보고된 전북지역 3~5세기 유적 전체로 보아도 당시에 적어도 세 그룹으로 나누어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입형의 쌀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입형이 동일 하여도 품종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훨씬 다양한 품종의 벼가 당시에 재배되었다고 추정된다. Large quantities of carbonized rice grains were recovered from the dwelling No. 3 of the Oryong-ri site in Iksan city with a radiocarbon date of 1650±40 uncal BP on rice grain itself. Rice grains were measured from three samples among total 9 samples; sample ④(n=100), ⑥(n=250), ⑦(n=250).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rice grains from each samples are 4.17±0.48mm, 4.03±0.51mm, 4.70±0.57mm in length, 2.51±0.25mm, 2.42±0.24mm, 2.76± 0.28mm in width, and 1.76±0.19mm, 1.73±0.21mm, 1.98±0.22mm in thickness. Various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test whether measured grains in each sample can represent the population and the size differences in each samples were resulted from different rice varieties or intravariation within same population, which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multiple rice grain types, that is rice varieties in the Oryong-ri site. The measured values of rice grain grains reported from 3rd-5th century sites within the Jeollabuk-do Province also show the existence of at least three rice grain types at that tim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different variety can belong same grain type, more various rice varieties could be grown during 3rd-5th century possibly for both increasing rice productivity and decreasing the environmental risk

      •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의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다발성 천공술의 비교

        김경태,김진학,이송,최대정,조근호,전영원,Kim, Kyung-Tae,Kim, Jin-Hak,Lee, Song,Choi, Dae-Jung,Cho, Kun-Ho,Jeon, Young-Won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목적: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에서 관절경적 단순 변연 절제술과 다발성 천공술을 이용한 치료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29명(남자 21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명의 환자는 변연 절제술(I 군)을, 15명의 환자는 다발성 천공술(II군)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34.4세(I군 33.8세, II군 37.5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43.2개월(I군 46.4개월, II군 40.1개월)이었다. 수술 전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촬영하고 관절경을 통해 병변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고, Ankle-hindfoot 점수와 주관적 및 객관적 기능 점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병변의 위치는 내측이 20예(I군 7예, II군 13예) 외측이 6예(I군 5예, II군 1예1)였으며 내외측에 모두 병변이 있는 경우가 3예(I군 2예, II군 1예)가 있었다. 병변의 진행정도는 Berndt 와 Harty의 분류상 II기가 4예(I군 4예, II군 0예), III기가 19예(I군 9예, II군 10예), IV기가 6예(I군 1예, II군 5예)였다. Ankle-hindfoot 점수는 술전 $53.9{\pm}5.2$점(I군 $53.1{\pm}2.7$점, II군 $54.6{\pm}6.8$점)에서 술후 $82.3{\pm}8.8$점(I군 $85.1{\pm}8.5$점, II군 $80.7{\pm}8.5$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주관적 및 객관적 기능 점수는 술전 $50.2{\pm}9.7$점(I군 $49.6{\pm}10.5$점, II군 $50.7{\pm}9.2$점)에서 술후 $83.8{\pm}8.6$(I군 $84.6{\pm}7.7$점, II군 $83.0{\pm}9.6$점)으로 향상되었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다발성 천공술은 두 군 모두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 of symptomatic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multiple drillin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7 and 2003, 14 arthroscopic debridement(group I) and 15 arthroscopic multiple drilling(group II) were performed. There are 21 male and 8 female patients. Mean age was 34.4 years(33.8 years in group I, 37.5 years in group II)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3.2 months(46.4 months in group I, 40.1 months in group II). Simple radiographs and MRI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nd the progressive stage of the lesions was evaluated through the arthroscopic surgery.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ankle-hindfoot scale and scoring scale for subjective and objective functional outcomes.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2 groups. Results: There are 20 medial(7 in group I, 13 in group II), 6 lateral(5 in group I, 1 in group II), and 3 both-side(2 in group I, 1 in group II) lesio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erndt and Harty, there are 4 stage II(4 in group I, 0 in group II), 19 stage III(9 in group I, 10 in group II), and 6 stage IV(1 in group I, 5 in group II). According to the ankle-hindfoot score, the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53.1{\pm}2.7$ points preoperatively to $85.1{\pm}8.5$ points postoperatively in group I and $54.6{\pm}6.8\;to\;80.7{\pm}8.5$ points group II. 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s was also improved $49.6{\pm}10.5$ points preoperatively to $84.6{\pm}7.7$ points postoperatively in group I and $50.7{\pm}9.2\;to\;83.0{\pm}9.6$ points in group II.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m. Conclusion: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multiple drilling for the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showed successful resul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 KCI등재

        65세 이상의 고령에서 사용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이상 추시 결과-

        이송 ( Song Lee ),김진학 ( Jin Hak Kim ),고동오 ( Dong Oh Ko ),전영원 ( Young Won Jeon ),양승진 ( Seung Jin Yang ),류창욱 ( Chang Wook Ryu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2

        목적: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만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5년 이상의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65세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7명(47고관절)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29명(29고관 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9세(65~73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74.6 개월(61~107 개월)이었으며 최소 5년 이상 추시하였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21예, 퇴행성 고관절염 2예, 류마티스 관절염 1예, 대퇴 경부 골절 4예, 결핵성 고관절염 1예였다. 임상적으로는 Harris Hip Score(HHS)를 측정하고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 유무를 평가하였고, 방사선 학적으로는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변 각각의 골 용해, 응력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불안정성, 비구 전염각과 경사각, 경부 전염각 대퇴 스템의 고정 위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56.3±1.4점에서 최종 추시시 92.3±1.1 점으로 향상되었고(p=0.013), 우수가 21 예 (72.4%), 양호가 8 예(27.6%) 였으며,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은 없었다. 최종 추시 방사선 소견 상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위 골용해가 발생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고, 응력 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소견은 비구측 6예(20.7%), 대퇴부 3예(10.3%)에서 보였고, 안정성의 평가에서 비구컵은 모든 예에서 골성 안정성이였고, 대퇴스템은 1예(3.4%)에서만 가능성 해리를 보였다. 비구 전염각 평균은 18.4°±1.1, 경부 전염각 평균은 13.1°±0.9였고, 비구 경사각은 평균은 41.5°±1.3였고, 대퇴 스템은 모든 예에서 중립으로 삽입되었다. 합병증으로 고관절 후방 탈구는 1예(3.4%),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이 1예(3.4%)였고 세라믹 관절의 파손은 없었다. 결론: 65세 이상의 고령에서의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inimum five-year results of hybrid type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9 to November 2002, a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performed in 47 patients (47 hips) older than 65 years of age. Among the 47 patients, 29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5 years. The mean age of these patients was 68.9 years (65~73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4.6 months (61~107 months). The postoperative diagnosis included AVN of the femoral head in 21 hips, Osteoarthritis in 2 hips, rhematoid arhthritis in 1 hip, femoral neck fracture in 4 hips and Tuberculosis in 1 hip.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y the Harris hip score (HHS), hip and thigh pain, and radiologically by the level of osteolysis around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bone re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instability,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acetabular inclination and the femoral stem fixation site. Results: After surgery, the overall HHS improved from 56.3 ± 1.4 to 92.3 ± 1.1 points (p=0.013). Excellent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21 (72.4%) and 8 hips (27.6%), respectively. There was no case of thigh pain. Radiologically, there was no acetabular and femoral component osteolysis. 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was observed in 6 cases (20.7%) with an acetabular cup and 3 cases (10.3%) with a femoral stem. Bony stability was observed in all cases treated with an acetabular cup and possible loosening in 1 case (3.4%) treated with a femoral stem.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was 18.4°± 1.1 and 13.1°± 0.9 respectively. Acetabular inclination was 41.5°± 1.3. The femoral stem was inserted centrally in all cases. Complications included posterior dislocation of 1 hip (3.4%) and periprosthetic fracture of the femur in 1 hip (3.4%). There was no fracture of the ceramic component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effective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 KCI등재
      • KCI등재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김진학 ( Jin Hak Kim ),이송 ( Song Lee ),김경태 ( Kyung Tae Kim ),박훈석 ( Hoon Seok Park ),전영원 ( Young Won Jeon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1

        목적: 근위 대퇴부의 골결손 및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사용하여 재치환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8월부터 2003년 4월까지 무시멘트성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을 이용하여 재치환술을 시행한 14예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33개월(24-53개월)이었고, 평균연령은 52.3세(33~66세)였으며, 남자 10예 여자 4예였다. 재치환술의 원인으로는 무균성 해리 11예 (78.7%), 진행되는 골용해 1예 (7.1%), 감염성 해리 1예 (7.1%), 대퇴스템 주위 골절 1예 (7.1%)였다. 결과: Harris hip score는 술전 평균 50.4점에서 술후 평균 88.5점으로 향상되었으며 합병증으로 대전자부 골절이 2예(14.3%), 대퇴스템 주위 골절 1예(7.1%), 고관절 탈구 2예(14.3%)가 있었으며, 경도의 대퇴부 동통이 2예(14.3%)에서 관찰되었다. 대퇴 삽입물의 고정도는 11예(78.6%)에서 골성 안정소견을 보였으며 3예(21.4%)에서 섬유성 안정소견을 보였다. 5 mm 이상의 대퇴스템 침강을 보인 경우가 1예(7.1%), 10 mm 이상의 대퇴스템 침강을 보인 경우가 2예(14.3%)있었으나 술후 1년 이후에는 더 이상의 진행 소견은 없었다. 중등도의 응력방패 현상을 보인 경우가 4예(28.6%) 있었으나 현재까지 심한 마모나 골용해를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무시멘트성 광범위 미세 피복 대퇴스템은 근위 대퇴골 결손이 심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시 단기적인 결과로는 유용한 선택으로 보여지나 수술 후 합병증 등에 대해서는 장기간의 추시 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outcomes of extensively porous-coated femoral stems based on diaphyseal fixation caused by extensive bone loss and osteoporosis of the proximal femur in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14 cementless femoral revision procedures performed between Aug, 2000 and Apr, 2003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24 to 53 months, with an average of 33 months. The average age at surgery was 52.3 years, there were 10 males and 4 females. The reasons for the revision surgery were aseptic loosening in 11(78.7%) hips, progressive osteolysis in 1(7.1%), septic loosening in 1(7.1%) and periprosthetic fracture in 1(7.1%). Results: The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50.4 points preoperatively to 88.5 points postoperatively. The complications encountered were a greater trochanteric fracture in 2 hips (14.3%), periprosthetic fracture in 1(7.1%), dislocation of the hip in 2(14.3%), and minimal thigh pain in 2(14.3%). Radiographic evidence of a bone ingrown stem was found in 11 hips (78.6%), and 3 hips (21.4%) showed stable fibrous fixation. Stem subsidence > 5mm was noticed in 1 hip (7.1%) and > 10mm in 2 (14.3%) but there was no further progression after 1 year. Moderate stress-shielding was noticed in 4 hips(28.6%). To date, no significant wear or osteolysis has been observed. Conclusion: An extensively porous-coated revision stem appears to be a reasonable choice in the presence of proximal femoral bone loss as a short term follow up. However, the concerns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ll require a longer term follow up.

      • KCI등재

        Maxim(R)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결과: 5년 이상 추시

        이송 ( Song Lee ),김경태 ( Kyung Tae Kim ),권병기 ( Byung Ki Kwon ),김희선 ( Hee Seon Kim ),차상규 ( Sang Kyu Cha ),전영원 ( Young Won Jeon ),김관수 ( Kwan Soo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Maxim(R) (Biomet, Warsaw, USA)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추시 관찰한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Maxim(R)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술받은 65명 103례를 대상으로 평균 6년 7개월 추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운동범위는 수술 전 114도(80∼130˚)이었고, 최종 추시 시 128도(105~130˚)로 증가되었으며, 굴곡 구축은 수술전 6.5도에서 수술 후 0.8도(0~15˚)로 호전되었다. 미국 슬관절학회의 슬관절 점수 및 기능 점수는 퇴행성 관절염에서 각각 59.2와 40.1에서 88.6과 90.1로, 류마티스 관절염에서는 각각 47.4와 39.1에서 각각 80.6과 88.3으로 향상되었다. 방사선 투과성선은 19%에서 관찰되었고, 합병증으로는 심부 감염이 2례, 인공 삽입물 주위 골절이 3례 있었다. 결론: Maxim(R)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인공 슬관절 치환술은 슬관절 운동범위와 기능 회복에 있어서의 양호한 결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과 만족할 만한 방사선학적 평가가 있었으나, 보다 장기적인 추시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id-term (over 5 years)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Maxim(R) (Biomet, Warsaw, USA) Cruciate Retaining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 1997 and Nov. 2000, 103 knees in 65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up for 5 years after TKRA with Maxim(R) Cruciate Retaining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for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Results: The average range of motion increased from 114˚ (80~130˚) preoperatively to 128˚ (105~130˚)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range of flexion contracture decreased from 6.5˚ preoperatively to 0.8˚ (0~15˚) at the last follow-up.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the mean preoperative knee score (59.2) and functional score (40.7) improved to 88.6 and 90.1, respectively.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the mean knee score and functional score also improved from 47.4 and 39.2 to 80.6 and 88.3. Roentgenographic evaluation revealed a radiolucency rate of 19.5%. Complications were deep infection in 2 cases and periprosthetic fractures in 3 cases. The former had received reimplantations.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Maxim(R) Cruciate Retaining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were reliable and satisfactory in terms of improvements of range of motion, restoration of function, and rare complications. However, long-term follow-up evaluation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 후 비구 연골의 퇴화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들의 분석

        김진학 ( Jin Hak Kim ),이송 ( Song Lee ),고동오 ( Dong Oh Ko ),박관영 ( Kwan Young Park ),전영원 ( Young Won Jeon ),양승진 ( Seung Jin Yang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2

        목적: 대퇴 경부 골절이나 전자간 골절로 진단받고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 비구 연골의 퇴화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퇴 경부 골절이나 전자간 골절로 진단받고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구 연골의 퇴화와 여러 위험 요인들의 연관성을 알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Harris Hip Score(HHS), 활동력, 골다공증 유무, 좌식 생활 여부를 조사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수술 전후와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비구 연골의 침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관절 이극성 반치환술 후 측정한 관절 간격의 감소는 평균 0.20 mm/yr이었다. 비구 연골의 퇴화는 남자는 평균 0.26mm/yr, 여자는 평균 0.19 mm/yr이었으며(p=0.039), 평균 70세 미만은 평균 0.29 mm/yr이었고, 70세 이상은 0.13 mm/yr이었다(p=0.021). 좌식 생활을 하는 환자는 0.24 mm/yr, 입식생활을 하는 환자는 0.18 mm/yr이었다(p=0.037). 시멘트를 사용한 환자는 0.22 mm/yr,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는 0.21 mm/yr이었다 (p=0.237). 골밀도 검사상 비구 연골 퇴화가 평균 이상인 군에서는 T-score가 -3.7, 평균 이하인 군에서는 -3.9이었고(p=0.254), 활동력 점수는 각각 4.3과 3.2이었고 (p=0.041), HHS는 각각 75점과 87점이었고(p=0.027), 대퇴 스템 정렬은 각각 내반 2도와 내반 1도였다(p=0.438). 결론: 비구 연골의 퇴화는 성별, 골다공증 유무, 대퇴스템 시멘트 유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나이가 젊을수록, 좌식 생활을 할수록, 활동력이 높을수록, HHS가 낮을수록 비구 연골의 퇴화가 심하였다. 따라서, 고관절 치환술시 환자의 나이, 좌식 생활여부, 활동력에 따라 반치환술 혹은 전치환술을 선별하여 시행하는 것이 좋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acetabular cartilage wear, as well as the risk factors that are related to degeneration, fo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femur neck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femur neck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they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We examined pot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eneration of acetabular cartilage and the various risk factors by comparing radi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operations. Result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the average degenerative change in the acetabular cartilage was 0.20mm/yr. Specifically, the average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p=0.039, Male: 0.26 mm/yr, Female: 0.19 mm/yr), age (p=0.02, the under 70-year olds: 0.29 mm/yr, the upper 70-year olds: 0.13 mm/yr), the life style, (p=0.037, the stand-up life style: 0.18 mm/yr, the sit-down life style: 0.24 mm/yr), (ED note: stand up and sit down made no sense.) and using femoral stem cementing (p=0.237, cement: 0.22 mm/yr, non-cement: 0.21 mm/yr). The bone mineral density score (p=0.254), activity score (p=0.041), HHS (p=0.027) and femoral stem alignment (p=0.438) were shown to be -3.7, 3.2, 87 and varus 1 degree for people with less than average degeneration of the acetabular cartilage and -3.9, 4.3, 75 and varus 2 degrees for people with more than average degeneration of the acetabular cartilage,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generation of the acetabular cartilage and patient gender, the presence of osteoporosis and using femoral stem cement. The degeneration of acetabular cartilage was faster for young patients, for patients with a sit-down life style, for a higher activity score or for a lower HHS. It is strongly recommended for surgeons to consider the patients` various conditions such as age, activity and a sit-down lifestyle when deciding between hemiarthroplasty and total hip arthropl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