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지각 협응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조작운동기술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민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지각 협응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기본운동기술 중 조작운동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으며, 이와 동시에 운동발달의 지연 및 지체를 나타내며 특히 조작운동기술능력의 지연 및 지체를 나타내 신체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에서 효과적인 운동 수행이 어려운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 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자는 안양시 소재의 특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등 아동(9세~14세)을 대상으로 부모의 동으를 얻어 11명을 선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전 부모와의 개별 면담을 통하여 실험 진행에 유용한 정보를 얻었다. 본 실험은 16주간, 주 2회, 1회 80분간 진행되었으며, 시지각 협응 활동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 치기, 튀기기, 받기, 던지기, 굴리기 등의 6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진 조작운동기술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지각 협응 활동 프로그램으로 인한 발달장애 아동의 조작운동기술능력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은 시지각 협응 프로그램에 따른 조작운동기술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대응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시지각 협응 활동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조작운동기술능력 중 차기를 제외한 치기, 튀기기, 받기, 던지기, 굴리기 영역을 발달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지각 협응력은 발달장애 아동의 차기를 제외한 조작운동기술능력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visual perception coordination activity program on object control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Lim Min Kyung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coordination activity program on the object control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condi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fore conducting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this research tried to figure out delays in development, and specifically delays in operational motor skills,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exercise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are difficult to perform effectively in physical or sports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11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by their parents to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ages 9 to 14) who are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Anyang City.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parents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useful information was obtained for the experime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6 weeks, twice a week for 80 minutes, during which took tests on the six items of operational motor skills, hitting, bounce, receiving, throwing, kicking, and rolling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we examine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operational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the results of the visual perception coordination.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by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visual perception coordination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areas such as hitting, bouncing, receiving, throwing, kicking, and rolling,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um up, the visual perception coordination is a meaningful variable to object control motor skills except kicking.

      • 영어회화교재에 나타난 담화표지어 비교 :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와 일반회화교재

        임민경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대화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담화표지어가 실제 공교육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영어 회화 교과서에서 얼마나 반영되고 있으며, 그러한 담화표지어의 종류와 기능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서울, 경기도권 전문대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일반 영어회화 교재(원어민 저자) 4권을 선정하여 고등학교 영어 회화 교과서와 같은 방법으로 담화표지어의 종류와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공교육에서 쓰이는 교과서와 일반 회화 교재에서의 담화표지어 사용 실태를 알고자 한다. 담화표지어 분석을 위해 사용한 기준은 Parrot(2002)이 나눈 담화표지어의 4가지인 텍스트적 담화표지어와 대화 처리 담화표지어, 예비적 담화표지어, 그리고 태도지표 담화표지어 이다. 분석 대상은 두 가지이며, 첫째는 고등학교 3학년 교육과정(교육부, 2013)에 편성되어 있는 Advanced English Conversation(심화 영어회화) 교과서 전 4종의 말하기, 듣기 부분에 해당하는 대화문에서의 담화표지어 종류와 기능을 분석하였고, 두 번째로 서울, 경기도 권 약 30곳의 전문대학에서 교양시간에 원어민 저자 일반 회화 교재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재를 전화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이 교재의 말하기, 듣기 부분의 대화문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어의 종류와 기능은 앞의 고등학교 심화 영어 회화 교과서와 마찬가지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개정 심화 영어 회화 교과서의 경우, 텍스트적 담화표지어는 34번, 대화처리 담화표지어는 466번, 예비적 담화표지어는 68번 사용되었으며, 그리고 태도지표 담화표지어는 두 교재 모두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특히 텍스트적 담화표지어는 대화 처리 담화표지어에 비해 현저히 적게 사용되었으며, 또한 예외적으로 예비적 담화표지어에서 but의 경우는 두 교재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이는 교과서에서의 텍스트적 담화표지어가 전체 담화표지어의 10%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화 처리 담화표지어가 훨씬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 회화 교재에서는 텍스트적 담화표지어 6번, 담화처리 담화표지어 287번, 예비적 담화표지어 128번, 그리고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태도지표 담화표지어는 사용되지 않았다. 텍스트적 담화표지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극히 편중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예상과는 달리 교과서에서의 담화표지어의 빈도수에 비해서도 훨씬 적은 양이 사용되었다. 대신 다른 담화표지어 사용이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교과서에서의 담화표지어는 기준이 된 Parrot(2002)의 분류에 적절하게 비교적 골고루 기능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일반 영어 회화 교재에서는 기준외의 다양한 담화표지어인 um, yeah, oh, wow, hmm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공통적으로는 각각 교과서, 교재 모두 선행, 후행 담화의 연결을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주요 기능으로 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이전에 연구 분석한 내용과는 달리, 현재 사용하는 고등학교 심화 영어회화 교재는 일반 영어 회화 교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담화표지어를 사용하려고 노력하였으며 그 기능도 충실하게 나타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어회화 교과서와 영어회화 교재 두 교재는 담화표지어의 종류와 기능면에서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담화표지어의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담화표지어와 낮은 빈도를 나타내는 담화표지어가 유사하였다. 이는 영어회화 교과서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한 담화표지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을 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이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환경과 다양한 수준의 학생을 가르치기 위한 교재개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교실 현장에 도움이 되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는 교사의 교수법에 따른 담화표지어 교육이 필요하며, 두 번째는 교육용 코퍼스 도입으로 학습자 수준에 맞는 언어자료를 제공하며,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정책인 교육정책의 변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는 담화표지어 학습뿐만 아닌 영어 학습 환경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광원 위치와 줄기 유인방향에 따른 스킨답서스의 생장과 굴성 반응

        임민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내 벽면녹화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덩굴식물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는 줄기의 상·하 유인방향에 생장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광원의 위치(상·하)와 줄기 유인방향(상·하)에 따른 스킨답서스의 생장반응을 15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광원이 위에 있고 식물체를 아래로 유인시킨 처리(상·하)에서 줄기신장이 다른 처리(광원의 위치와 유인방향 : 하·상, 하·하, 상·상)에서 보다 약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주당 엽면적 및 엽무게는 오히려 광원이 동일하게 위에 있지만 식물체를 위로 유인시킨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정상적인 식물 생장 환경조건인 광원이 위에 있고 줄기를 위로 유인한 처리를 제외하고는 광원이 아래에 위치하거나 줄기를 아래로 유인한 처리에서는 굴곡과 뒤틀림 정도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지상부에 대한 굴광성과 항굴지성의 경합에 의한 결과이며 광원의 위치와 줄기의 유인 모두 아래쪽인 처리에서 더욱 심해지는 경향을 보여준다. 광합성 및 엽록소 형광 등 생리반응과 광 이용 효율, 옥신 농도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결론적으로 광원의 위치와 줄기 유인방향에 따른 스킨답서스의 생장 반응은 굴광성과 항굴지성의 관계로 설명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굴광성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 climbing foliage species, Epipremnum aureum, is widely used for indoor green wall. It is generally known that it shows different growth responses according to stem training direction: above and below. This phenomenon still has not been specifically reported. In this study, the combining effect of the lighting position (top and bottom) and stem training direction (above and below) on tropism and growth response of Epipremnum aureum were examined for 15 weeks. The treatment was classified as TA (lighting position-Top and stem training direction-Above), TB (lighting position-Top and stem training direction-Below), BA (lighting position-Bottom and stem training direction-Above), and BB (lighting position-Bottom and stem training direction-Below). As results, the stem elongation of Epipremnum aureum as treated in TB was two times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while leaf growth such as leaf area and weight was highest in TA treatment which is a normal condition to climbing plants in nature. On the other hand, except for TA, all of the other treatments (TB, BA, and BB) badly caused the torsion and twist in petiole to stem, leaf blade to petiole, and petiole itself. The torsion and twist responses were more severe in BB as treated in bottom lighting and stem training to below, resulted from a conflict of the phototropism and negative gravitropism in the shoot of Epipremnum aureum. There was similar responses in photosynthesis, chlorophyll fluorescence, light use efficiency, and auxin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growth response of Epipremnum aureum as affected by lighting position and stem training direction was more influenced by phototropism in relation to plant tropisms: phototropism and negative gravitropism.

      •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임민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내면화된 성적 낙인이란, 성소수자가 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 부정적 태도 등을 자기(self)에게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Shidlo, 1994; Herek, 2004). 1970년대에 처음 대두된 이후, 이는 동성애자들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Lingiardi, Baiocco, & Nardelli(2012)가 개발한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Measure of Internalized Sexual Stigma for Lesbians and Gay Men; MISS-LG)를 한국 동성애자 인구를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14명이었으며 이 중 남성이 162명, 여성이 152명이었다. 설문에는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척도(Internalized Homophobia Scale; IHP scale) 및 정신건강 관련 변인에 대한 측정 도구인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BFNE)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행동적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별경험질문지(The Schedule of Heterosexist Events; SHE), 성소수자 낙인의식 질문지 (The Stigma Consciousness for Gay Men and Lesbians Questionnaire; SCQ), 드러내기 척도(The Outness Inventory; OI)등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남성은 사회적 불편감 및 정체성의 2요인, 여성은 사회적 불편감, 정체성, 섹슈얼리티의 3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남녀 모두에서 K-MISS-LG와 IHP간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K-MISS-LG와 우울, 사회불안 등 정신건강 관련 변인과의 상관 또한 확인되었다. 또한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낙인의식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내면화된 성적 낙인과 드러내기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화자독립-문장독립 감정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임민경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Emotion recognition from voice has recently gained considerable interest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Since, in real situation, it is required to identify the emotional state of a speaker irrespective of who is speaking and what is being said, the emotional speech recogni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in speaker-independent and text-independent mod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aker-independent text-independent emotion recognition,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Are gender-dependent models more effective than gender-independent models? (2) Are good features in text-dependent mode also good in text-independent mode? (3) Does classification in stages help performance improvement? Target emotions in this thesis are joy, sadness, anger, and neutral state. As the feature parameters, we examine pitch, energy, harmonic-to-noise ratio (HNR), spectral centroid, log frequency power coefficients (LFPCs), and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s). And we employ the Gaussian Mixture Model (GMM) classifier as the emotional speech classifier.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gender-dependent models by separating male from female show better performance than gender-independent models. Incorporated with other features, LFPCs outperform MFCCs in text-independent mode, while the reverse is true in text-dependent mode. It is also shown that two stage classification yields better performance than single stage classification.

      • Theoretical studies on reactions of ionized pyridine, ionized diazines, and HCN

        임민경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yridine이온, pyrimidine (1,3-dizaine)이온, pyridazine (1,2-dizaine)이온의 분해와 HCN 이합체화 반응의 속도론과 메커니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반응의 타당한 경로를 예측하기 위하여, 계산된 결과들과 이전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번째로, pyridine 라디칼 양이온에서의 C4H4+ 생성을 조사하였다. Pyridine 라디칼 양이온이 HCN을 상실함으로써 C4H4+가 생성되는 반응의 퍼텐셜 에너지 표면 (PES)을 G3//B3LYP 방법을 사용하여 양자 화학 계산으로 얻었다. 낮은 에너지의 C4H4+이성질체, methylenecyclopropene (MCP+), vinylacetylene (VA+), cyclobutadiene (CB+), butatriene (BT+) 라디칼 양이온이 생성되는 반응 경로들을 구하였다. 이 PES들을 바탕으로 Rice Ramsperger Kassel Marcus (RRKM) 모델 계산을 수행하여 해리 속도 상수를 구하였을 때, 선행 실험자료들과 일치하였다. Pyridine 분자 이온에서는 HCN을 상실한 후 MCP+와 VA+의 혼합물이 생성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해 문턱값과 높은 에너지에서는 MCP+가, 마이크로초 시간 단위의 이온 수명을 갖는 낮은 에너지에서는 VA+생성이 더 선호된다. 두 번째로, pyrimidine 분자 이온의 HCN 상실을 조사하였다. 다섯 개의 C3H3N+ 이성질체를 생성하는 가능한 반응 경로들을 Gaussian-4 계산에 의해 얻었다. 얻어진 PES를 바탕으로 RRKM 모델 계산을 하여 HCN 상실에 대한 속도 상수와 생성물 비율을 얻었다. 속도 상수는 선행된 PEPICO 결과와 일치한다. 속도론적 분석에 따르면, 반응 문턱값 근처에서는 CH=CHC≡NH+ 생성이 선호되는 반면 높은 에너지에서는 CH=CHN≡CH+ 생성이 선호된다. 세 번째로, pyridazine 분자 이온의 N2상실을 조사하였다. 다섯 개의 C4H4+ 이성질체가 얻어지는 가능한 반응 경로들을 G3//B3LYP계산으로 얻었다. PES를 토대로 하여 얻은 해리 속도 상수들은 선행 연구된 광전자­광이온 일치법실험 결과에 근접한다. N2를 잃는 PES는 가장 안정한 C4H4+이성질체인 MCP+가 가장 지배적인 생성물 이온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HCN 이합체화를 조사하였다. HCN 또는 HNC 2분자가 공유 결합하여 HCN 이합체를 생성하는 PES를 CBS-QB3/APNO계산으로 얻었다. HCN이 올리고머화해 adenine을 합성하는 과정의 중간체인 iminoacetonitile (HN=CHCN)을 양성자 (H+)의 도움 없이 생성하는 몇 개의 이상적인 경로를 발견하였다. 에너지나 속도론적 분석에서 양성자­촉매 이합체화의 반응장벽은 매우 낮아졌지만, 성간에서는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We have examined the kinetics and mechanisms of dissociations of ionized pyridine, ionized pyrimidine (1,3-diazine), pyridazine (1,2-diazine), and dimerization. Computational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viously experimental results to predict the plausible pathways for these reactions. Firstly, the formation of C4H4+ from the pyridine radical cation has been examined. The potential energy surface (PES) for the formation of C4H4+ from the pyridine radical cation by loss of HCN was determined from quantum chemical calculations using the G3//B3LYP method. The complete reaction pathways for the formation of the low-energy C4H4+ isomers, radical cations of methylenecyclopropene (MCP+), vinylacetylene (VA+), cyclobutadiene(CB+), and butatriene(BT+) were obtained. Based on the PESs, a Rice-Ramsperger-Kassel-Marcus model calcul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sociation kinetics. The calculated dissociation rate constants agreed with the previous experimental data. It was predicted that a mixture of MCP+ and VA+ was formed by loss of HCN. The formation of MCP+ was more favored near the dissociation threshold and at high energies, whereas the formation of VA+ was more favored at the low energies corresponding to the ion lifetime of microseconds. Secondly, the loss of HCN from the pyrimidine molecular ion has been explored. Possible reaction pathways to form five C3H3N+ isomers were obtained with the Gaussian 4 model calculations. The rate constant for the HCN loss and the product branching ratio were calculated using the Rice-Ramsperger-Kassel-Marcus theory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PES. The resultant rate constant agreed with the previous photoelectron-photoion coincidence experimental result. By a kinetic analysis, it is proposed that the formation of CH=CHC≡NH+ is favored near the reaction threshold, whereas the formation of CH=CHN≡CH+ is favored at high energies. Thirdly, the loss of N2 from the pyridazine molecular ion has been explored. Possible reaction pathways to form five C4H4+ isomers were obtained with the G3//B3LYP calculations. The dissociation rate constant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PES are close to the previous photoelectron-photoion coincidence experimental result. The loss of N2PES show that MCP+, the most stable C4H4+ isomer,is the predominant product ion. Finally, the dimerization of HCN has been examined. Potential energy surfaces for the formation of covalently bound HCN dimerizations from two molecules of HCN or HNC were determined fromCBS-QB3/APNO calculations. Several novel pathways, with and without the aid of protons, were found for the formation of iminoacetonitrile(HN=CHCN), an intermediate in adenine synthesis from HCN by oligomerization. Energetic and kinetic analyses suggest that the proton-catalyzed dimerizations substantially lower reaction barriers but cannot occur efficiently under interstellar conditions.

      • 수술실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과의 관계

        임민경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operating room is a separated special department even within a medical organization requiring a strict control and restricted environment to provide medical service. Nurses in operation rooms feels high level of dynamics and tension which causes a lot of stresses led to high burnout level. As this burnout leads the nurses to change jobs, it is required to prevent or reduce burnout.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in operating rooms recognized by the nurses to reduce burnout and manage the nursing organization successfully.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already exist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a more balanced way and enhance the nurses self-leadership.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necessary data to reduce burnout to prevent competent nurses from changing their jobs, to enable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an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for nurses by analyzing and confirming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operating rooms, self-leadership and burnout level and their relationships. The study was conducted on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in operating rooms of three high-level general hospitals in Seoul for more than a year. The study then collected data from August 5 to August 20, 2015. Total 15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got 3.57 points, innovation-oriented culture 3.42 points, task-oriented culture 3.37 points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3.30 points. The self-leadership of the subjects got 3.61 points and burnout 2.87 points. Second, the relation-oriented culture out of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in the clinical field and operating rooms while the task-oriented cul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marital state, career in the clinical field and operating room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age, marital state,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career in the clinical field and operating rooms, current position at work, and the employment typ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burnout,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r=-.298) and relation-oriented culture(r=-.426) among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while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r=.283)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Self-leadershi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r=-.427). Relation-oriented culture(r=.246), innovation-oriented culture(r=.238) and task-oriented culture(r=.221) had a sligh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in ord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rses in operating rooms had the high awareness of hierarchy-oriented culture that affects burnout in a negative way while having the low awareness of relation-oriented culture that has positive influence on burnout.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is needed to emphasize rules, regulations and order to keep i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but it is also required to increase the relation-oriented culture as a strategy to reduce burnout. Moreover, to create desirable organization culture and reduce nurses burnout in operating rooms, self-leadership education or programs shall be provided for the nurses to promote their self-leadership. 수술실은 의료조직 내에서도 독립된 특수부서로서 엄격한 통제와 제한된 환경 속에서 의료제공이 이루어 지는 곳으로, 수술실 간호사는 업무 특성상 역동성과 긴장성이 높아 고강도의 스트레스를 받으며 소진 경험 정도가 높다. 이러한 소진은 이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소진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감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소진을 감소시키고 성공적인 간호조직관리를 위해 수술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조직문화를 균형 있게 개선하려는 노력과 셀프리더십을 강화해 나가는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여 확인함으로써 소진을 감소시켜 유능한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인력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간호업무의 질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3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수술실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로, 2015년 8월 5일부터 8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55부가 분석자료로 이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조직문화 유형에서는 위계지향 문화가 3.57점, 혁신지향 문화 3.42점, 업무지향 문화 3.37점, 관계지향문화 3.30점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은 3.61점, 소진은 2.87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조직문화 유형 중 관계지향 문화의 경우 임상경력, 수술실 경력에서, 업무지향 문화의 경우 연령, 결혼상태, 임상경력, 수술실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셀프리더십은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현재직위, 근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소진은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임상경력, 수술실 경력, 현재직위, 근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조직문화 유형, 셀프리더십, 소진 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유형 중 혁신지향 문화(r=-.298), 관계지향 문화(r=-.426)와 소진은 부적 상관성을, 위계지향적 문화(r=.283)와 소진은 정적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소진(r=-.427)과 부적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유형 중 관계지향 문화(r=.246), 혁신지향 문화(r=.238), 업무지향 문화(r=.221) 순으로 셀프리더십과 약한 정적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수술실 간호사는 소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위계지향 문화를 높게 인식하고, 소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지향 문화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수술실 간호 업무상 규칙과 규제, 질서를 강조하는 위계지향 문화도 필요하지만, 소진을 낮출 수 있는 전략적인 방법으로 관계지향 문화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수술실의 바람직한 조직문화 형성과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해, 수술실 간호사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셀프리더십 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