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곡의 이음성(異音性) 연구 : 남창 계면조에 기하여

        임경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가곡(歌曲)은 현악기와 관악기로 편성된 실내악 규모의 반주에 맞추어 시조시(時調詩)를 노래로 부르는 성악곡으로, 조선후기 300여년간 대표적인 가창음악으로서 시조문학의 향유 도구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현행 가곡은 관현반주 편성을 갖춰 부르는 형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음악으로, 노래와 관현반주 선율이 하나의 선율적 흐름 안에서 진행되며 그 선율 형태는 노래와 동일하기도 하고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이음성 개념으로 분석하여 가곡에 나타나는 이음성의 본질을 구명하고 가곡을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남창가곡 계면조 악곡 13곡을 대상으로 노래의 선율을 기준 삼아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 나타난 이음성의 형태를 유형화하여 비교하고, 악곡 속도에 따라 나타나는 이음성의 특징을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이음성은 가곡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이음성의 유형은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와 상이한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음성 유형은 골격음을 단위로 하여 골격음 첨가형, 골격음 생략형, 골격음 변화형, 그리고 골격음 시가차이형 등 모두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에 관악기군에서는 골격음 첨가형이, 현악기군에서는 골격음 생략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상이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음성 유형은 선율을 단위로 하여 장인시 변화형, 변화시 장인형, 진행방향 상이형, 진행방향 동일형, 진행방향 복합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상이한 경우에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 공통적으로 다섯 가지 유형 중 장인시 변화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악곡 속도 면에서 볼 때, 롱·락 계열을 제외한다면 이음성은 느린 악곡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빠른 악곡에서는 적게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아 남창가곡 계면조는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의 이음성이 주를 이루지만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 두드러지는 이음성 유형은 서로 다르다. 또한 롱·락 계열을 제외한다면 악곡 속도와 이음성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이음성에 관한 연구는 방대한 가곡의 변주선율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는 분야로, 이러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가곡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Gagok is a vocal music that sings Sijo poetry in accord with the accompaniment of the chamber music, which is composed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t became a representative vocal music for 300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s reached these days. Current Gagok h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inging with the accompaniment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the melody of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instruments do not proceed to the same structural melody, but exhibit a unique quality that progresses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melodious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phony and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heterophony in Gagok. So, this study analyzes the heterophony form of 13 pieces of Namchang(song for male) Gyemyonjo and categorizes i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by each series. Heterophony appears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the Gagok, and the type of heterophon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basic structure of melody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different.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a basic musical tone: addi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omiss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varia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nd time-value difference type of the basic musical type.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addi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ppears most in the wind instruments group and omiss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ppears most in the string instruments group.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a basic musical tone: basic musical tone added type, basic musical tone omitted type, basic musical tone changed type and basic musical tone with different time-value type.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different,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a melody: type of melody change when the Jangin(a long duration of sound), type of the Jangin when the melody change, type with different direction of melody, type with same direction of melody and type with complex direction of melody. In terms of music speed, except for the Long and Rak series, the heterophony appears a lot in slow music, and less in fast music. In summary, Gagok of Namchang Gyemyenjo consists mainly of heterophony, which appears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instrument is the same. And the main type of heterophony differs from wind instruments group to string instruments group. Also, except for the Long and Rak seri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music speed and the heterophony. The study of the heterophony is a field that is deep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variational melody of large number of Gagok, and I think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And if these studies are conducted in various ways, it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Gagok.

      • 분포 개념 발달의 연계성 측면에서의 중학교 확률 단원 내용분석

        임경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curriculum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prob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distribution, and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concept of probability, its meaning, contents being described, and explanation methods in the chapter on probability of the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textbook, based on the content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distribution, which is taught in the curriculum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Are the methods to develop and explain the concept of probability proper to 8-B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cept development of distribution? 2.How to improve the chapter on probability of a middle school textbook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when students develop their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is study, the content connection of the way how to introduce the concept of probability, the arrangement order, the meaning of probability, the method to explain statistical probability, and other concepts related to distribution in the chapter on probability of 16 kinds of textbooks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8-B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analysis of the concepts of distribution and probability, suggested by Nam(2007) through the research of Lee & Nam(2005), in which the key statistical concepts of statistics education were presented as distribution, summary, and a sample.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about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them are as follows. First, all current math textbooks introduce an activity to compare relative frequency or mention relative frequency at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chapter on probability, but many textbooks just introduce a simple activity to lead mathematical probability to the numerical value of possibility, without explaining the meaning of statistical probability. Therefore, it’s more desirable to introduce probability as a relative frequency of true meaning that calculates the frequency in the total distribution, based on statistical data from experience, and then it will change in a great way for the students’ experience and practicality. Second, when it was examined how statistical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probability were connect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meaning of probability, most textbooks explained it as if probability could be driven without comparing relative frequency through many times of experiments or observation, or were trying to connect it with mathematical probability as a way to calculate probability, and there were no textbooks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probability were explained by comparing those two probabilities through distribution. Therefore, if it’s difficult to teach statistical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probability in a middle school curriculum by properly connecting them without losing their meanings, it’s suggested to explain probabili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distribution as relative frequency, in the chapter on probability in a middle school textbook, and then the high school textbooks can explain the concept of limitation and connect statistical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probability as the limiting value of relative frequency. Third, during the research of how to connect inductively limited relative frequency,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ing who haven’t learned the concept of limitation, in the explanation process of the meaning of statistical probability, most textbooks were proved to explain it by presenting a relative frequency comparison table and graphs directly so that students could feel instinctively that relative frequency was approaching a certain numerical value. In this process, some of them were not properly comparing relative frequency, nor making effective use of the visual effects of the graphs, and the trial to connect them to students’ direct experience was rarely happening. Therefore, the concept of probability should be explained by starting to make a judgment of higher or lower frequency of accumulated experience of a certain event,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from experience, that is, a total distribution including a certain event, and by developing it to statistical probability. Also the textbook contents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students’ experience. Fourth, the research results, in terms of connection with different contents related to distribution in the chapter on probability for students who are younger than the first-graders of a middle school or who are older than the third-graders of a middles school, revealed that when the meaning of statistical probability was introduced in a textbook, it was being explained focusing on mathematical probability, and the real situation where probability was applied or the connection between probability and other contents related to distribution were not presented appropriately. Therefore, the viewpoint on the chapter on probability should be changed to focus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and simultaneously, the connec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various questions focusing on distribution. 본 연구는 분포 개념의 발달 관점에서 확률 개념을 이해하고, 확률 통계 교육과정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분포 개념과의 내용연계성 측면에 바탕을 두어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에 나타난 확률 개념 전개 방식 및 의미 서술 내용, 설명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개선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분포 개념 발달 관점에서 제 7차 교육과정 8-나 확률 단원의 확률 개념 내용 전개 및 설명 방법이 적절한가? 2.분포 개념의 발달에 있어서 연계성 확보를 위한 중학교 확률 단원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통계교육에서 핵심적인 통계적 개념을 분포, 요약, 표본의 세 가지로 제안한 이영하, 남주현(2005)의 연구를 통해 남주현(2007)이 제안한 분포 개념과 확률 개념의 재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제 7차 교육과정 8-나 16종 교과서의 확률 단원에서 확률 개념 도입 방식 및 내용 배열 순서, 확률의 의미, 통계적 확률의 설명방법, 분포 관련 개념과의 내용 연계성 측면을 살펴 보았다. 교과서 분석 결과와 그에 따른 문제점이 드러난 부분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모든 수학 교과서에서는 확률 단원의 도입부에서 상대도수 비교 활동을 제시하거나 상대도수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지만 통계적 확률의 의미 서술 없이 수학적 확률을 가능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치로 이끌어 나가기 위한 간단한 도입 활동에 머무른 교과서가 상당수 있었다. 따라서 경험을 통해 얻어진 통계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전체 분포 내에서의 빈도를 헤아리는 상대도수로서의 확률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게 되면 학생들의 경험과 실용성 측면에도 크게 실제적인 형태로 달라질 것이 기대된다. 둘째, 확률의 의미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통계적 확률과 수학적 확률을 어떻게 연결시키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많은 횟수의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상대도수를 비교하지 않고도 확률을 생각할 수 있는 측면으로 설명하고 있거나 확률을 구하는 방법적인 측면으로 수학적 확률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분포를 통해 두 확률을 비교하여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의 연결을 설명하고 있는 교과서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학교 과정에서 통계적 확률과 수학적 확률을 그 의미의 손실이 없이 적절하게 연결하여 지도하는 것이 어렵다면, 중학교 확률 단원에서는 상대도수로서의 확률적 분포 개념 중심으로 전개한 후 고등학교 과정에서 극한 개념의 이해와 함께 상대도수의 극한으로서의 통계적 확률과 수학적 확률과의 연결을 시도해 보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통계적 확률의 의미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극한 개념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유한 수준의 상대도수로 어떻게 귀납적으로 연결 지었는지 살펴본 결과 상대도수 비교표와 그래프를 직접 제시하여 상대도수가 일정한 값에 가까워짐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는 교과서가 다수였다. 이 때 상대도수를 비교하는 단계나 그래프의 시각적인 효과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한 부분들이 일부 보였으며, 학생들의 직접적인 경험과 연결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확률 개념은 경험에 의해 얻어진 통계적 자료, 즉 특정 사건을 포함하는 전체 분포를 기초로 특정한 사건에 대한 경험 누적 빈도의 높고 낮음으로부터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통계적 확률로 발전시켜야 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연결시키고자 하는 내용의 변화가 따라야 할 것이다. 넷째, 확률 단원에서 중1 이하 또는 중3 이상의 여러 가지 분포 관련 내용과의 연계성 측면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에서 통계적 확률의 의미를 도입하더라도 수학적 확률 중심으로 전개되어 실생활 속에서 확률이 적용되는 상황이나 여러 분포 내용과 확률과의 연계를 의미 있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음이 보였다. 따라서 확률 단원을 바라보는 관점이 분포 개념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다양한 분포 자료 중심의 문제들을 통해서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을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 김남조 시에 나타난 평화 이미지 연구

        임경미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김남조의 시에 나타난 평화 이미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김남조 시를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사랑”의 시로 보기에는 부족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개인적인 느낌을 가진 “사랑”이라는 이미지와 더불어 공동체적인 느낌을 가진 “평화”라는 이미지를 담은 시가 많음을 발견하였다. 김남조의 시에 대한 앞선 연구를 살펴보면, 서정적인 사랑을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이 사실이지만, 그는 일제시대부터 지금까지 시작 활동을 해오고 있는 시인이다. 이로 미루어 볼 때, 그의 시세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아직 연구가 미흡한 그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김남조의 시에는 개인적 삶의 애환이 묻어나는 것 뿐 아니라 우리 민족이 겪은 역사와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역사의 아픔과 현실의 고통을 직면하며 김남조는 평화를 열망하고 찬양한다. 그의 초기시의 사랑과 후기시에 나타난 시의 주제를 함께 담아낼 수 있으려면, 사랑보다 좀 더 큰 그릇이 필요하다. 그것이 평화이다. 평화는 사랑을 포함한다. 그것은 사랑이 개인적 측면이 강하다면, 평화는 개인, 가정, 국가, 세계, 모두의 안녕을 추구하는 공동체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평화는 일반적인 의미로는 "평온하고 화목함, 화합하고 안온함" 을 가리키는 의미이며, 개인적으로는 마음의 평화를 말하고, 가정에 있어서는 가정의 평화, 국가나 사회에 있어서는 대체로 평온한 상태를 "평화롭다"고 말하고, 더 나아가서는 전쟁 등 큰 사건들이 없을 때, "평화로운 세상"이라 말한다. 모든 사람은 평화를 갈망한다. 개인적으로는 심리적 ? 육체적 건강과, 사람과 사람사이의 평온한 관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을 갈망한다. 국가나 사회적으로는 경제가 안정되고, 전쟁으로부터 벗어난 평화로운 상태를 갈망하고, 세계적으로도 핵무기나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학적 위기로부터 벗어난 평화를 갈망한다. 한쪽에서는 평화가 충만하다고 하더라도, 어느 한쪽에서는 전쟁과 기아와 불의가 그치지 않고 있기에 여전히 평화를 열망할 수밖에 없다. 김남조가 추구하는 평화는 공동체 안에서 모든 구성원이 더불어 누리는 조화로운 삶이다. 또한 고독, 분열, 공포, 착취, 불행, 아픔으로 부터 벗어난 삶이다. 김남조는 그러한 평화를 노래하였다. 김남조의 시에 나타난 개인의 외로움과 사별의 아픔, IMF로 인한 경제위기, 전쟁과 분열, 질병의 문제를 찾고, 이 모든 문제를 그는 어떻게 극복하고자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김남조의 초기시에서 말한 사랑을 평화의 전제로 삼고, 후기시를 중심으로 시에 나타난 평화 이미지를 연구하였다. I have got a chance to investigate the peace images of poems of Nam Jo Kim. As most people would agree without hesitation, his poems are definitely about "Love". However, I feel only the word of "Love" can not cover the whole world of his works. There are lots of individual loves and community's peace as well. When we check his early works, he was singing a love song. and passing through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e could expect drastic changes of his poems. Nam Jo Kim expressed not only sorrows of individual life but also the history of our nation and the present status at his late works. Through this, he faced the real sorrows of history and present life, and finally he became to yearning to "peace". To put his poems in one word, I would say "peace" since peace already embracing love. If we say love is leaning more to individual, peace is moving toward individual, family, Nations, world, and everybody's wellbeing. Usually when we are saying "Peace" , it brings us to calmness, harmony, combination and tranquilness. Individually peace means freedom from disquieting or oppressive thoughts or emotions, and when peace comes to home, it means harmony and love in family. In case of Nation and society, we define peace as a period of mutual concord between governments, and a state of security or order within a community provided by law. Peace is our heart's desire. The healthy of body, harmony in personal relations, and life of plenty, most of the people are not out of these desires. And we feel peaceful with this position. We hope economic stability, freedom from disaster of war, and worldly ecological recovery. Life is not the same in all around, even though we see full of peace in one side, definitely we will see the opposite in the other side - continuous wars, hunger, and unrighteousness. That's why the desire for peace would not cease until the human beings exist on this planet. The peace in poem of Nam-jo Kim, is focused on harmonious life in community, which is not poured out only one side, the peace fairly distributed to every single person. Also, the peace is away from loneliness, disunion, fear, extortion, unhappiness and pain. He dreamt those peaces. I've searched how he overcame his loneliness, sorrows of farewell , economic crisis from IMF, Wars, and disease. He saw all these troubles positively, and I can easily find that he pursues life of "peace". Here I would investigate his poem with two parts in love and peace. We'll see through his early works that love is a premise of peace, and with his late works, we'll see in more detail for peace. Before we check the peace image in his poem, I want to find the conditions of without peace, and then, it will be clear how he desired to go for Peacefulness with overcoming the lack of peace.

      • 8주간의 녹차섭취와 한국무용이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임경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규칙적인 한국무용과 녹차섭취가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체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체지방율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TC(Total Cholesterol)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LDL(Low-Density poprotein Cholesterol)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HDL(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TG(Triglyceride)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녹차+한국무용집단과 한국무용집단은 FFA(Free Fatty Acid)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 8주간 녹차섭취와 한국무용 참여는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후 보다 운동기간을 장기간으로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녹차섭취와 한국무용 참여 실험이 이루어진다면 충분한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무용은 눈으로 보여 지는 현장 예술이기 때문에 신체의 아름다움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장기간 설정의 후속 연구의 긍정적 결과를 통하여 무용전공학생의 균형 잡힌 신체를 위해 건강을 해치는 다른 다이어트 식품이나 약물 섭취를 제한 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Korean dancers with 8 weeks of regular consumption of green tea, which was anticipated to have an effect on plasma lipid profile and body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co-relationship in terms of body weight. 2.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co-relationship in terms of body fat ratio. 3.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no relationship in terms of total cholesterol. 4.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no relationship in terms of low-density lipoprotein. 5.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co-relationship in terms of high-density lipoprotein. 6.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co-relationship in terms of reducing triglyceride. 7. Korean dancing/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co-relationship in terms of reducing free fatty acid. As a summary of all the results above, 8 weeks of green tea consumption and performing Korean dance had favorabl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s well as plasma lipid profile. Studies that involve long-term research are warranted in order to further explorer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Korean dance is appreciated by the eyes that beautiful appearance is a must.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obliterate the current use of detrimental weight loss chemicals and programs and be replaced by green tea.

      • 카프 詩 硏究

        임경미 聖心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현실과 민족에 대한 소박한 이념으로 출발하여 본격적인 프로 문학으로 변화를 보인 카프시를 '밝음 지향의 이미지'의 관점에서 살펴 보았으며, 특히 카프시가 어떻게 전개되고 변화를 보였는지 그 표상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카프시는 정치적 사회적 현실 이상주의에 강렬히 집착한 1920-30년대 일군의 시인에 의하여 발표된 작품들로서, 이들 시에는 카프 시인들이 빈번히 노출시킨 증오와 저주의 어조와는 다른 한편에서 새벽, 광명, 아침, 해(태양), 봄 등 카프 이상주의를 위한 공통 이미지들이 나타난다. 본고는 밝음 지향 이미지가 변모되는 1930년을 전후하여 시기를 둘로 나누고, 이 밝음 지향 이미지가 가장 현저하게 동원된 김해강, 김창술, 유완희, 조명희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제1기는 영혼의 일깨움, 현실 극복 의지, 삶의 힘찬 원동력 등의 양상으로 나타나며, 이는 크게 '관념의 상징'이란 말로 집약될 수 있다. 제2기는 '새날'에의 욕망과 사회 개혁에 대한 집념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변모하게 되며, 여기에는 카프시의 이념 실천을 위한 의지의 실상이 표상되어 있다고 보겠다. 카프시인들이 밝음 지향 이미지를 통하여 현실에 대한 저항과 개혁의지, 그리고 민족 해방에의 염원을 노래했다고 보았을 때, 카프시는 일제 말기의 것과는 성격이 다른 저항시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민족 해방을 열망하면서 당대의 현실에 대치하여 적개심, 괴로움, 분노 등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감정을 과다하게 노출시키면서 그들의 이상형을 열렬하게 동경했다는 점에서 이들 카프시는 20년대 초기의 감상적 낭만시와는 또 다른 의미의 낭만시로 평가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starts in simple ideology about reality and race, and shows the viewpoint of 'the image toward light' in KAPF poetry which comes to change into reguarly Proletarian Literature, and especially inquire into how KAPF poetry developed and changed. This poetry frequentry shows the tone of the voice of hatred and curse, but dawn, light, morning, sun, spring, etc. in the other hand. These things are commonly expressed in KAPF literature. The times in KAPF literature is divided into two partsbefore and after 1930's when 'the image forward light' comes to change. I basically analyze and contemplate the works of Kim Hae-gang, Kim Chang-sul, Yu Wan-whi, Jo Meong-whi, etc. which outstandingly show 'the image toward light'. The waking of soul, the overcome will og reality and the strong motive power of life are expressed in power of life are expressed in one term. In brief, these can be largely summarized to a word of 'the symbol of notion'. In two term, these are changed into the longing of 'new days' and the tendancy in persuit of social reform. Considering these points, we come to find out the will of the practice of KAPF's idea. In respect to describing the resistance against reality reform will and the longing of race deliverance KAPF may be able to be estimated different from the works in the last oeriod of Japanese imperialistic rule. In the course of the strong longing for their utopia and race deliverance, they strongly expose their emotions like hatred, distress anger, etc.. Considering these facts, KAPF may be able to be estimated different from centimental and romantic poetry in the early 1920's.

      •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임경미 숭실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임경미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 양상을 시간, 공간, 관계, 신체라는 네 가지 실존적 체험형식을 통해 드러내고, 그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경험자 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과 관련 자료를 통해 수집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2013년 3월 열하루 동안 우리나라의 삼남길, 석모도길 등을 약 300km를 걸으며 비구조화된 질문형식으로 그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체험을 묻고 밀착 관찰한 결과를 현장노트에 옮기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본격적으로 6월과 7월에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8월과 9월에는 추가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 양상은 시간, 공간, 관계, 신체라는 네 가지 실존적 체험형식으로 분석되었고 더불어 평생학습적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례길 여행 체험의 시간성은 ‘느림과 여유’로 요약될 수 있다. 순례길 여행 체험과정의 시간배치는 ‘시간-기계’, ‘갈등의 시간’, ‘몰입의 시간’, ‘시간의 유한성과 무한성’으로 유목화 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의 과거의 ‘시간-기계’ 삶은 순례길 공간에서 시간을 재편성해야 했다. 그들은 초반에, 걷는 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는 빨리 걷는 일에 초점을 둠으로서 신체적 고통을 수반하였다. 신체적 고통은 타인들과 함께 걷는 시간을 갖게 했다. 이런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육체적인 고통이 생각을 지배 한다.’는 것을 깨닫고 ‘느림의 여유’를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타인들과 함께 걷는 시간에서 세계는 나와 타인의 관계로 공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참여자들의 시간성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는 참여자들이 느림과 여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상생활, 직장 그리고 학습현장에서 자신들만의 주관적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왔다. 둘째, 참여자들이 체험한 공간성은 ‘참선과 영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체험의 공간성은 ‘열린 공간’, ‘두려움과 공포의 공간’, ‘낭만의 공간’, ‘참선과 영성의 공간’으로 정리 할 수 있었다. 인간은 가장 극한의 상황에 처할 때 참선과 영성을 체험 할 수 있다. 심신이 지친 상태로 혼자 어둠 속에서 길을 걷고 있을 때, 또 혹시나 화살표를 놓치고 길을 잃지나 않을까하는 두려운 마음은 잡념을 없애고 정신을 집중시킨다. 참여자들의 영성 체험은 삶의 변화로 나타나며 전환학습으로 연계되었다. 그들의 변화된 삶의 모습은 ‘비움’, ‘나눔과 봉사’, ‘배려와 협력’, ‘사랑’, ‘눈물’, ‘단순성’, ‘인내’, ‘느림과 여유’, ‘유혹에서 벗어남’, ‘몸과 마음이 자연과 일치’, ‘심신의 치유’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이 체험한 신체성은 ‘육체적 고통의 의미는 깨달음을 향한 고행의 춤’으로 요약될 수 있다. 걷는 과정에서 겪은 고통은 영원으로의 회귀이며, 영원에 가까워진 발걸음은 가벼운 춤이 된다. 신체성 체험은 ‘육체적 고통’, ‘근원적이고 원초적인 질문들’, ‘체화된 몸’, ‘눈물’로 유목화 될 수 있었다. 육체적 고통의 깨달음은 다양한 감정의 눈물로 나타났고, 그 눈물은 마음에 있는 눈물이었다. 또한 육체적 고통은 ‘내가 왜 걷는가?’, ‘나는 어디서 왔는가?’, ‘나는 어디로 가는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들 속에서 삶의 근원과 접촉하게 했다. 신체성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는 참여자들의 고통은 인내로 승화시키는 학습활동으로 영혼의 깨어남(覺)이고 성찰학습이었다. 넷째, 참여자들이 체험한 관계성은 ‘동행’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체험의 관계성은 ‘멀리하고 싶은 관계’, ‘익숙하지 않은 관계’, ‘친밀한 관계’, ‘독립’, ‘끝나지 않은 관계’로 정리될 수 있었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으며 모든 사람들과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연구참여자들에게 고행의 순례길은 결코 혼자만으로는 갈 수 없는, 타인과 동행하는 길로 ‘나-너-우리의 길’이 되었다. 그리고 순례를 마친 후에도 계속된 관계는 서로의 경험과 정보를 교류하는 학습의 장이 될 뿐만 아니라 삶의 활력소가 되었다. 순례길에서의 동행은 평생학습적 의미로 볼 때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배려와 협동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동행은 나와 타인, 그리고 인간의 동질성을 깨닫게 하고 그 과정에서 진정한 내가 되기 위해 학습하게 한다. 이렇게 순례길 여행은 연구참여자들을 변화시켜 새로운 삶으로 인도하는 학습의 장이었다. 순례자들의 학습경험은 순례길의 시·공간에서 홀로 혹은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된 자기생산을 한다. 즉, 서로 다른 경험구조를 가진 순례 ABSTRACT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Camino de Santiago IM, KYUNG-MI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1) the meaning of the Camino de Santiago through four types of the existential experiences including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and (2) find their meaning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who had been to the Camino de Santiago and other related data. The research was started from recording their experiences on the Camino de Santiago by asking them unstructured questions with the deep observations while walking about 300km which included Samnamgil and Seokmodogil with the participants for 11 days in March, 2013. The researcher bega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in June and July to collect the data followed by the additional interviews in August and September to complement the previous data. Based on the data, the aspect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n the Camino de Santiago were analyzed into four types of existential experiences,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and interpreted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The results deduced from the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lived experience of time on the Camino de Santiago can be summarized in the “slowness and leisure.” The disposition of time on the Camino de Santiago can be categorized into ‘time-machinery’, ‘time of conflict’, ‘time of flow’ and the ‘finitude and infinity of time.’ The participants had to reorganize time on their pilgrimage. At first, they focused on walking fast rather than on walking itself, so they felt the physical pain. The pain made them think about the time they were sharing with others while walking.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realized that ‘the physical pain dominate the thought’ and learned the value of the ‘leisure of slowness.’ They also realized that the world co-exists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time they walked together.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derived from their temporal experiences not only made the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lowness and leisure but also brought them the ability to control their subjective time in their daily life, workspaces and studying. Second, the ‘lived experience of space’ is summarized in the ‘meditation and spirits.’ The spatiality of experiences are organized into the ‘open space’, ‘space of fear and terror’, ‘space of romance’, and ‘space of meditation and spirits.’ People can experience the meditation and spirits when they are put into extreme situations. When people walk in the darkness, exhausted and worrying about getting lost, their fearful minds help them to concentrate on the situation. Their spiritual experiences changed their life and were connected to transformative learning. Their life changed into the life of ‘emptiness, sharing and volunteering,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love, tears, simpleness, tolerance, slowness and leisure, getting out of temptation, oneness of their body and mind with the nature, and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hird, the ‘lived experience of bod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an be summarized in that ‘the meaning of the physical pain is a kind of dance of penance towards the truth.’ The pain of waking lead them to infinity, and their footsteps become dance. Their lived experience of body were categorized into the ‘physical pain’, ‘fundamental and basic questions’, ‘embodied body’ and ‘tears.’ The realization of the physical pain was shown through tears they shedded for various emotions. The tears came from their inside. Moreover, the fundamental questions caused by the pain of walking, such as “Why am I walking?", “Where am I come from?” or “Who am I?”, led the participants to contact to their origin of life.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f their physical experience was to be the moment of spirit-wakening and reflection through the process they sublimated their pain into tolerance. Fourth, the ‘lived experience of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an be summarized in a “companion.” The relationships are categorized into ‘relationship to stay away’, ‘intimate relationship’, ‘independence’ and ‘relationship which is not over.’ No one can live alone, but has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others. For the participants, the Camino de Santiago was the pilgrimage of ‘I-You-Us’ where they had to accompany with others. Moreover, the continued relationship after the pilgrimage became something that helped them to live as well as a filed of learning where they would interchange their experiences and information. From the view on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f the pilgrimage, the companion with others is a process from which people learn how to care about others and cooperate with them through the interaction. The experience of companion makes people realize the homogeneity with others and learn to be me. Therefore, the pilgrimage was a filed of learning that changed the participants and led them to their new life.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self-generate the changed life alone or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pilgrimage. It means that the participants establish their own world by the interaction, affecting one another’s experiences. They are now living their second life with consideration, modesty and volunteering with gratitude after the pilgrimage was finished. There pilgrimage is not just an end, but another beginning.

      •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과 학습 태도의 특성

        임경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수학 학습은 초등학교 때부터 학습 결손의 누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 깊은 교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활동 방법 중 하나로 상호 또래교수 활동이 있다. 상호 또래교수 활동은 또래교수 활동의 일방적인 교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교수전략이며 인지․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을 실행하였을 때 어떠한 의사소통 특성과 수학 학습 태도의 특성이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태도 특성은 어떠한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B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성취 수준, 성향, 성별을 기준으로 2인 1조의 집단으로 편성하여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활동에 사용한 문항은 이전에 학습한 5, 6학년 수학 교과서의 문제 중에서 선별 및 수정하였다. 또한,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 중 나타나는 수학 학습 태도의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제작한 수학적 태도 검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고 활동 종료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활동에 사용한 문제 및 수학적 태도 검사 문항은 수학교육 전문가와 현장교사들과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한 후 수정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을 요구, 수학적 설명, 반응의 세 가지 유형을 분석 기준으로 삼아 의사소통을 유형별로 정량 분석 및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태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 문항을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 습관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5점 만점의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설문 문항 및 영역별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 의사소통의 횟수에서는 또래교사와 또래학생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역할별로 관찰된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상대방을 존중하며 배려하는 질문 및 요청의 의사소통이 많이 나타났으며 단순하고 명확한 과정의 의사소통을 주로 활용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반응이 많이 나타났으며 상대방의 설명에 대해 이해하거나 동의를 표현하는 등 상대방의 설명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수학 학습 태도에서는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태도가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활동에 대해 흥미와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신의 능력 및 소질과 연관 지어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까지 확장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활동에 대해 학습 의지가 비교적 높으며 무엇을 배웠는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태도가 활동을 위한 준비 또는 전반적인 수학 공부에 대한 목표나 행동으로 연관되거나 확장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역할에 따른 의사소통 유형에 차이가 있으면서도 수평적 관계 및 상호존중 태도가 반영된 의사소통 형식이 나타났으며, 스스로 오류를 교정하거나 수학 개념을 정교화하는 의사소통이 나타났다. 둘째,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태도는 긍정적이고 흥미가 높았으며 적극적인 참여 태도가 나타났으나 이러한 태도가 전반적인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까지 확장되지는 않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호 또래교수 활동에서 강조하는 상호 존중의 요소 및 상호 평등한 관계의 구조가 수학적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며 그로부터 또래 관계 및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과 관련된 학습 태도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을 복습 차원이 아닌 새로운 수학 개념을 배우도록 활동 방법을 수정하여 사용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 특성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호 수학 또래교수 활동을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을 때 나타나는 특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Mathematics learning requires careful teaching skills to prevent accumulation of learning deficits from elementary school. One of the activities for this is reciprocal peer tutoring.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s a teaching strategy designed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one-sided teaching activities of peer tutoring and has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and justice dom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ich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attitude of mathematics learning appear when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is performed. The specific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in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peer on mathematics? To collect data on communication, 16 students in one class of 6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were organized into 8 small groups of 2 students considering achievement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Using 24 questions,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was conducted for 4 times and data were collected. To collect the data on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earning, the test of mathematical attitude produc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2) was modified to fit th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eer tutoring. To analyze the collected communication data, quantitative analysis and case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ree categories of demand, mathematical description, and response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in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earning,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lassified into the areas of self-concept, attitude, and learning habits for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and thus the average score of each question and area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score of 5 out of 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er teachers and peer students were similar in the total number of communicat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communication observed by role. There were many questions and requests that respect and care for the other party, and they mainly used simple and clear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in communication and case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other's explanation process. In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earning, the attitude toward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showed relatively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positive attitude. The students did not extend this positive attitudes in mathematics curriculum as a whole by associating it with their abilities and talents. In addition, although they have a relatively high willingness to learn about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and clearly recognize what they have learned, this attitude did not extent to the willingness to learn mathematics additionally, or to the goal/behavior of overall mathematics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ommunication type that reflected horizontal relationship and mutual respect attitude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 according to role in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The communication that corrected errors by itself or elaborated mathematical concepts emerged. Second, the attitude of mathematics learning in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was positive and interesting, and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appeared. However, this attitude did not extend to that of overall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study, the elements of mutual respect and the structure of mutual equal relations emphasized in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were shown i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from tha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learning attitudes related to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activity method to learn new mathematical concept rather than review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In addition, the study nee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eer tutoring on learning attitude in detail.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activities of the peer tutoring for other grades.

      • 유영국의 추상회화에 관한 연구

        임경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난 세기 초에 태어나 거의 한 세기에 가까운 삶을 살아온 유영국(劉永國, 1916-2002)은 이제 비평, 평가의 대상을 넘어서 있다. 이제 그의 작품세계에 함축된 본질적 가치와 그 역사적 의미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집중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유영국은 1916년, 강원도 울진에서 태어났다. 이때는 일제식민지로 유복한 가정에서 울진의 보통학교를 마치고, 서울소재의 학교 제 2경성고보에 진학하였다. 유영국의 자유로운 기질로 인해 재학시절에는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는 유화과를 선택해, 1935년 일본 문화학원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하였다. 유영국은 처음부터 추상미술을 제작하였다. 당시 문화학원은 아카데믹하지 않은 자유로운 분위기였으며, 서양의 추상화가 일본화단에 영향을 주어 추상미술이 유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가 유영국의 회화세계에 영향을 끼쳤음은 물론이다. 유영국은 이때 시작한 추상미술을 작고 때까지 지속하여 나갔다. 이는 문화학원의 분위기와 유영국의 자유로운 성향, 추상이라는 표현 방법이 잘 어우러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1938년 문화학원을 졸업할 무렵, 제2회 <자유미술가협회전>에서 40호 가량의 작품을 출품하여 최고상을 수상하였다. 이때의 작품은 캔버스에 유화라는 기존 방법에서 탈피하여 나무판을 사용하여 입체적 꼴라쥬(Collage)나 플라스틱(Plastic) 등에 대담한 추상작품을 시도 하였다. 당시의 일본은 한참 아방가르드(Avant-Garde) 운동이 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표현방법의 시도임을 인정해 준 것이라 볼 수 있다. 일본화단에는 사진과 인화지에 실험을 통한 작품경향도 있었는데, 최고상을 받은 그 여파를 몰아 부친을 설득하여, 유영국은 라이카 사진기(Leica camera)를 구입했다. 그는 일본 오리엔탈(Oriental) 사진학교를 다니면서 기술을 습득하여, 경주 남산의 돌에 각인된 불상을 사진에 담았다. 중요한 점은 그가 포착한 대상이 회화나 부조처럼 기하학적 형태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경주의 고적을 풍경이나 기록의 관점에서 관찰한 것이 아니라 건축물, 탑, 묘 등의 피사체들이 갖는 기하학적 형태를 추출해내고자 노력했다. 또한, 사진으로 몽타주(Montage) 및 다양한 실험의 작품도 제작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 사진 미술의 선구적 시도로 기록 될 수 있다. 그의 사진에서도 개념적이고 이지적인 추상의 실험적 자세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의 탄압정책이 가해져 추상미술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되자, 사진작품을 출품할 정도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 후로도 촬영을 계속 하였지만, 직접적으로 작품에 사용하지는 않았다. 1943년, 유영국은 유학생활을 마치고 귀국하여 8.15해방, 6.25전쟁 등을 몸소 겪으며, 작품은 고사하고 가장으로서 생계에 매진할 수 밖에 없었다. 농사, 뱃일 등으로 책임을 다하며 후에 양조업을 일으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게 되었다. 한국의 미술동향을 알지 못했던 그는 1947년 일본 유학시절 친분이 있던 김환기를 주축으로, 이규상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 순수조형 이념으로 모인 신사실파 동인(同人)에 가담하여 한국에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를 발판삼아 모던아트협회 등 여러 재야 단체를 구성하고 추상회화의 한국정착을 몸소 실현하였다. 개인전을 열었던 해인 1964년부터는 단체전 활동을 중단하고, 2년에 한번 정도로 개인전을 열면서 1999년까지 작업의 심화에 몰두 해 나갔다. 초기의 활발한 실험적 태도는 어느 누구보다 아방가르드적이었으며, 유영국 자신이 밝혔듯이, 표현수단의 용이성으로 인해 캔버스로 바뀌었을 뿐 작업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열정을 그대로 유화작품으로 이어나갔다. 추상회화가 서양에서 출발하여 일본을 통해 유입되었으며, 유영국도 그 영향 하에 있었지만 그 만의 방법은 독자적이며, 동시대 추상회화를 시도한 몇 몇 작가들과도 상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일생에 이르러 꾸준히 추상적인 회화구성으로 일관한, 철저한 추상화가 유영국은 후대에도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개념적이고 이지적인 절대 추상의 실험은 부조작품에서, 추상적 세계관은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후에 한국으로 돌아와 추상의 양식을 본격적으로 작가 자신의 스타일로 찾아 나아가는 변화를 유화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초기 실험적 작품이 일본 유학시절에 잠시 영향을 받은 정도로 언급하고, 유영국의 유화 작품을 표면적, 형식적, 시기별로 구분하고 해석해 왔다. 서구식의 근대도시가 형성된 일본에서의 환경이 유영국작품의 기하학적 추상시기로 볼 수 있는 하나의 요소라면, 상대적으로 산을 비롯한 곡선의 자연이 풍성한 변화는 유영국의 고향 땅에서 작업에 열중한 그에게는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유영국의 작업세계 위에 변화된 환경의 수용은 작가로서 이유 있는 변화이다.

      •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9번 마단조,Op. 95의 작품 분석과 지휘법 연구 : 1악장을 중심으로

        임경미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o serve as the messenger of the composer, a conductor must study the music before rendering, an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music must be respectful of the composer's intentions. When analyzing and performing a piece of music, it is the conductor's job to take the composer's lif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usic, and the composer's intentions into consideration. As good performing skills are essential for a performer, a conductor should have excellent techniques for conducting. In the case of an orchestra conductor, they must render the music as the composer had intended, have a sharp ear, understand each instrument in the orchestra, and have a good sense of rhythm and an ability to lead the orchestra. Among Dvorak's nine symphonies, the 9th one, <From The New World>, is the most well­known, where he created his unique musical syntax by incorporating his compositional techniques, American musical syntax, and his nostalgia for Bohemia. In this thesis, various rendering methods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for Symphony No.9 1st movement are discussed from a conductor's perspective, and the symphony is analyzed based on the Sonata form. The thesis also includes the aspects that a conductor should consider. This thesis will be useful to those who perform Symphony No.9 1st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