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Camino de Santiag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31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평생교육학과 ,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8.1 판사항(5)

      • DDC

        37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v, 24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 '면담 가이드' 등
        참고문헌: p. 213-23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임경미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 양상을 시간, ...

      국문초록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임경미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 양상을 시간, 공간, 관계, 신체라는 네 가지 실존적 체험형식을 통해 드러내고, 그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경험자 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과 관련 자료를 통해 수집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2013년 3월 열하루 동안 우리나라의 삼남길, 석모도길 등을 약 300km를 걸으며 비구조화된 질문형식으로 그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체험을 묻고 밀착 관찰한 결과를 현장노트에 옮기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본격적으로 6월과 7월에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8월과 9월에는 추가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 양상은 시간, 공간, 관계, 신체라는 네 가지 실존적 체험형식으로 분석되었고 더불어 평생학습적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례길 여행 체험의 시간성은 ‘느림과 여유’로 요약될 수 있다. 순례길 여행 체험과정의 시간배치는 ‘시간-기계’, ‘갈등의 시간’, ‘몰입의 시간’, ‘시간의 유한성과 무한성’으로 유목화 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의 과거의 ‘시간-기계’ 삶은 순례길 공간에서 시간을 재편성해야 했다. 그들은 초반에, 걷는 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는 빨리 걷는 일에 초점을 둠으로서 신체적 고통을 수반하였다. 신체적 고통은 타인들과 함께 걷는 시간을 갖게 했다. 이런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육체적인 고통이 생각을 지배 한다.’는 것을 깨닫고 ‘느림의 여유’를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타인들과 함께 걷는 시간에서 세계는 나와 타인의 관계로 공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참여자들의 시간성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는 참여자들이 느림과 여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상생활, 직장 그리고 학습현장에서 자신들만의 주관적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왔다.
      둘째, 참여자들이 체험한 공간성은 ‘참선과 영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체험의 공간성은 ‘열린 공간’, ‘두려움과 공포의 공간’, ‘낭만의 공간’, ‘참선과 영성의 공간’으로 정리 할 수 있었다. 인간은 가장 극한의 상황에 처할 때 참선과 영성을 체험 할 수 있다. 심신이 지친 상태로 혼자 어둠 속에서 길을 걷고 있을 때, 또 혹시나 화살표를 놓치고 길을 잃지나 않을까하는 두려운 마음은 잡념을 없애고 정신을 집중시킨다. 참여자들의 영성 체험은 삶의 변화로 나타나며 전환학습으로 연계되었다. 그들의 변화된 삶의 모습은 ‘비움’, ‘나눔과 봉사’, ‘배려와 협력’, ‘사랑’, ‘눈물’, ‘단순성’, ‘인내’, ‘느림과 여유’, ‘유혹에서 벗어남’, ‘몸과 마음이 자연과 일치’, ‘심신의 치유’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이 체험한 신체성은 ‘육체적 고통의 의미는 깨달음을 향한 고행의 춤’으로 요약될 수 있다. 걷는 과정에서 겪은 고통은 영원으로의 회귀이며, 영원에 가까워진 발걸음은 가벼운 춤이 된다. 신체성 체험은 ‘육체적 고통’, ‘근원적이고 원초적인 질문들’, ‘체화된 몸’, ‘눈물’로 유목화 될 수 있었다. 육체적 고통의 깨달음은 다양한 감정의 눈물로 나타났고, 그 눈물은 마음에 있는 눈물이었다. 또한 육체적 고통은 ‘내가 왜 걷는가?’, ‘나는 어디서 왔는가?’, ‘나는 어디로 가는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들 속에서 삶의 근원과 접촉하게 했다. 신체성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는 참여자들의 고통은 인내로 승화시키는 학습활동으로 영혼의 깨어남(覺)이고 성찰학습이었다.
      넷째, 참여자들이 체험한 관계성은 ‘동행’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체험의 관계성은 ‘멀리하고 싶은 관계’, ‘익숙하지 않은 관계’, ‘친밀한 관계’, ‘독립’, ‘끝나지 않은 관계’로 정리될 수 있었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으며 모든 사람들과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연구참여자들에게 고행의 순례길은 결코 혼자만으로는 갈 수 없는, 타인과 동행하는 길로 ‘나-너-우리의 길’이 되었다. 그리고 순례를 마친 후에도 계속된 관계는 서로의 경험과 정보를 교류하는 학습의 장이 될 뿐만 아니라 삶의 활력소가 되었다. 순례길에서의 동행은 평생학습적 의미로 볼 때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배려와 협동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동행은 나와 타인, 그리고 인간의 동질성을 깨닫게 하고 그 과정에서 진정한 내가 되기 위해 학습하게 한다.
      이렇게 순례길 여행은 연구참여자들을 변화시켜 새로운 삶으로 인도하는 학습의 장이었다. 순례자들의 학습경험은 순례길의 시·공간에서 홀로 혹은 타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된 자기생산을 한다. 즉, 서로 다른 경험구조를 가진 순례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Camino de Santiago IM, KYUNG-MI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1) the meaning of the Cam...

      ABSTRACT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Camino de Santiago


      IM, KYUNG-MI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1) the meaning of the Camino de Santiago through four types of the existential experiences including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and (2) find their meaning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who had been to the Camino de Santiago and other related data. The research was started from recording their experiences on the Camino de Santiago by asking them unstructured questions with the deep observations while walking about 300km which included Samnamgil and Seokmodogil with the participants for 11 days in March, 2013. The researcher bega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in June and July to collect the data followed by the additional interviews in August and September to complement the previous data. Based on the data, the aspect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n the Camino de Santiago were analyzed into four types of existential experiences, time, space, relationship and body, and interpreted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The results deduced from the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lived experience of time on the Camino de Santiago can be summarized in the “slowness and leisure.” The disposition of time on the Camino de Santiago can be categorized into ‘time-machinery’, ‘time of conflict’, ‘time of flow’ and the ‘finitude and infinity of time.’ The participants had to reorganize time on their pilgrimage. At first, they focused on walking fast rather than on walking itself, so they felt the physical pain. The pain made them think about the time they were sharing with others while walking.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realized that ‘the physical pain dominate the thought’ and learned the value of the ‘leisure of slowness.’ They also realized that the world co-exists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time they walked together.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derived from their temporal experiences not only made the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lowness and leisure but also brought them the ability to control their subjective time in their daily life, workspaces and studying.
      Second, the ‘lived experience of space’ is summarized in the ‘meditation and spirits.’ The spatiality of experiences are organized into the ‘open space’, ‘space of fear and terror’, ‘space of romance’, and ‘space of meditation and spirits.’ People can experience the meditation and spirits when they are put into extreme situations. When people walk in the darkness, exhausted and worrying about getting lost, their fearful minds help them to concentrate on the situation. Their spiritual experiences changed their life and were connected to transformative learning. Their life changed into the life of ‘emptiness, sharing and volunteering,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love, tears, simpleness, tolerance, slowness and leisure, getting out of temptation, oneness of their body and mind with the nature, and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hird, the ‘lived experience of bod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an be summarized in that ‘the meaning of the physical pain is a kind of dance of penance towards the truth.’ The pain of waking lead them to infinity, and their footsteps become dance. Their lived experience of body were categorized into the ‘physical pain’, ‘fundamental and basic questions’, ‘embodied body’ and ‘tears.’ The realization of the physical pain was shown through tears they shedded for various emotions. The tears came from their inside. Moreover, the fundamental questions caused by the pain of walking, such as “Why am I walking?", “Where am I come from?” or “Who am I?”, led the participants to contact to their origin of life.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f their physical experience was to be the moment of spirit-wakening and reflection through the process they sublimated their pain into tolerance.
      Fourth, the ‘lived experience of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an be summarized in a “companion.” The relationships are categorized into ‘relationship to stay away’, ‘intimate relationship’, ‘independence’ and ‘relationship which is not over.’ No one can live alone, but has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others. For the participants, the Camino de Santiago was the pilgrimage of ‘I-You-Us’ where they had to accompany with others. Moreover, the continued relationship after the pilgrimage became something that helped them to live as well as a filed of learning where they would interchange their experiences and information. From the view on a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of the pilgrimage, the companion with others is a process from which people learn how to care about others and cooperate with them through the interaction. The experience of companion makes people realize the homogeneity with others and learn to be me.
      Therefore, the pilgrimage was a filed of learning that changed the participants and led them to their new life.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self-generate the changed life alone or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pilgrimage. It means that the participants establish their own world by the interaction, affecting one another’s experiences. They are now living their second life with consideration, modesty and volunteering with gratitude after the pilgrimage was finished. There pilgrimage is not just an end, but another begin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ⅶ
      • 영문초록 ⅺ
      • 목 차
      • 국문초록 ⅶ
      • 영문초록 ⅺ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연구문제 7
      • 제 2 장 문헌고찰 8
      • 2.1 산티아고 순례길 8
      • 2.1.1 순례와 성지순례 8
      • 2.1.2 성 야고보의 길과 전설 11
      • 2.1.3 산티아고 순례길 역사: 과거와 현재 12
      • 2.1.4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19
      • 2.2 순례길 여행의 학습경험 22
      • 2.2.1 학습경험 25
      • 2.2.2 전기학습 29
      • 2.2.3 자기생산 32
      • 2.2.4 영성과 학습 36
      • 제 3 장 연구방법론 40
      • 3.1 연구 설계 40
      • 3.2 연구 참여자 44
      • 3.3 자료수집 49
      • 3.3.1 관찰 51
      • 3.3.2 면담 56
      • 3.4 자료 분석 59
      • 3.5 연구의 윤리성, 타당성과 신뢰성 62
      • 3.5.1 연구의 윤리성 63
      • 3.5.2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63
      • 제 4 장 여덟 명의 순례길 여행 체험 이야기 66
      • 4.1 엔죠: 막연했던 꿈이 구체화되다 68
      • 4.2 블랑카: 블랙홀 그리고 그리움을 넘은 후회 73
      • 4.3 제시카: 인생 그리고 거듭남 80
      • 4.4 프리다: 배움과 비움 86
      • 4.5 카밀로: 겸손과 끝없는 배움 94
      • 4.6 마리오: 철학적인 사고와 단순성 103
      • 4.7 페리아: 도전과 사랑 109
      • 4.8 단테: 나눔과 봉사 116
      • 제 5 장 순례길 여행의 체험 분석 124
      • 5.1 체험적 시간성 125
      • 5.1.1 시간-기계: 정신없이 살아 온 삶 127
      • 5.1.2 갈등의 시간 128
      • 5.1.3 몰입의 시간 131
      • 5.1.4 유한의 시간과 무한의 시간 132
      • 5.2 체험적 공간성 134
      • 5.2.1 열린 공간: 시원을 향한 갈망 136
      • 5.2.2 두려움과 공포의 공간 137
      • 5.2.3 고독과 외로움의 공간 139
      • 5.2.4 낭만의 공간 140
      • 5.2.5 참선과 영성의 공간 142
      • 5.3 체험적 신체성 144
      • 5.3.1 육체적 고통 145
      • 5.3.2 근원적이고 원초적인 것의 중요성 147
      • 5.3.3 체화된 몸 148
      • 5.3.4 눈물 149
      • 5.4 체험적 관계성 151
      • 5.4.1 멀리하고 싶은 관계 152
      • 5.4.2 익숙하지 않은 관계, 느낌과 침묵의 관계 152
      • 5.4.3 친밀한 관계: 상호의존 155
      • 5.4.4 독립 158
      • 5.4.3 끝나지 않은 관계: 새로운 관계망 형성 159
      • 제 6 장 순례길 여행 체험의 평생학습적 의미 162
      • 6.1 학습: 전기학습과 자기생산 그리고 영성학습 163
      • 6.1.1 전기학습 관점에서 바라본 순례길 여행체험의 의미 164
      • 6.1.2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의 자기생산 167
      • 6.1.3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의 영성학습 169
      • 6.1.4 산티아고 순례길의 역사와 문화를 통한 학습 171
      • 6.2 비움(虛) 으로서 학습 174
      • 6.3 육체적 고통: 깨달음을 향한 고행의 춤 178
      • 6.4 동행: 배려와 협동학습 185
      • 6.5 근원으로의 회귀: 근원적인 철학으로의 초대 190
      • 6.6 인생: 새로운 시작 그리고 평생학습 196
      • 제 7 장 요약 및 결론 198
      • 7.1 요약 198
      • 7.2 결론 205
      • 7.2.1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 양상의 평생학습적 의미 206
      • 7.2.2 후속 연구 및 연구방법의 제안 211
      • 참고문헌 213
      • 미 주 231
      • 부 록 2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