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호형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국문초록 손해보험사에서의 현금흐름방식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이호형 指 導 敎 授 이창수 2009년 말부터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의 장기보험상품을 대상으로 현금흐름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현금흐름방식이란 회사가 보험상품을 개발 시 보험가격 산출에 필요한 최적가정을 이용하여 보험기간에 예상되는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동 현금흐름이 회사가 해당 상품의 판매를 통해 기대하는 목표이익, 영업전략 등을 충족하도록 보험상품의 가격을 산출하여 보험계약의 가치를 평가하고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보험상품의 가격결정에 미치는 요소들이 점점 더 다양화되는 현 시장상황에서 현금흐름방식의 도입은 당연한 처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자동차, 화재, 해상보험 등과 같은 보험기간이 단기인 일반손해보험분야의 경우에는 현금흐름방식의 도입을 염두 해두고 있지 않을뿐더러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금흐름방식이 일반손해보험분야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현실적인 사례를 통하여 보임으로써, 도입에 따른 효과와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ash Flow Modeling to the Pricing in Property and Casualty Insurance LEE, HO-HYOUNG Department of Statistics and Actuarial Scienc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Cash Flow Modeling will be introduced to life insurance and casualty insurance with respect to long term insurance products from the end of 2009. Cash Flow Modeling is that when developing insurance products, the insurance company estimates future cash flow in policy year with proper assumption which is required in insurance products' pricing. Due to insurance products's pricing by taking the company's profit planning and management strategy into consideration, the insurance company can evaluate the value of insurance contracts and reflect to decision making by this method. Nowadays insurance products' pricing is influenced by more and more various factors, so the Cash Flow Modeling's introduction is urgent. Although there is no any research about Cash Flow Modeling in general short term casualty and property field. For instance, automobile insurance, property insurance, marine insurance etc.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how to apply the Cash Flow Modeling in general casualty and property insurance field by case study, and then implicat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the method's introduction.
골절 수술 및 관절치환 수술에 있어서의 수술 장갑의 천공에 대한 연구
이호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Background : During surgery, intact gloves act a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surgeon and the patient. Surgical procedures that need manual handling of bony surfaces or sharp instruments have the high risk of glove perforations. The frequencies and the sites of surgical glove perforations in fracture surgery and joint replacement surgery were assessed. Methods : We assessed the surgical glove perforations in fracture surgery and joint replacement surgery. The gloves used in this study were double-gloving puncture indicator system. Gloves were test immediately after the surgical procedure using water-leak method. A total of 92 gloves were tested. We studied perforation rate according to participants and operation types and perforation sites and perforation detection time also. Results : The overall perforation rate was 30 out of 92 gloves(33%) and 18 out of 66 gloves(27%) in fracture surgery and 12 out of 26 gloves(46%) in joint replacement surgery. Perforation wa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operators than assistant doctors or scrub nurses. The most frequent perforation site was the second digit of the left hand(43.3%). The perforation detection time was 20.6 seconds in average. Conclusions : In view of the critical importance of a sterile barrier between surgeon and patient, it is important to use a double-gloving puncture indicator system, at least in operations that hign risk of glove peroration such as fracture surgery and joint replacement surgery.
이호형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목적 : 난소암은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조기 진단이 어려워 치료가 늦어지므로 예후가 좋지 못하다. 최근 여러 연구 결과에 도 예후인자들은 논란중이며 제한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난소암 환자들의 예후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1998년부터 2006년 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을 방문하여 수술과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상피성 난소암 환자를 분석하여 병기, 조직학적 분 류와 분화도, 임파선 절제술 및 CA125와 생존율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생존율 분석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생존 곡선간의 비교 시에 는 log-rank법을 이용하였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다변 량 분석은 Cox-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였다. - 2 - 결과 :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된 71례를 분석한 결과 1기 난소암의 경 우 병기, 조직학적 분류와 분화도, 임파선 침범여부 및 CA125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았으나 3기 난소암의 경우, 병기 (p=0.0001), 임파선 절제 술 (p=0.005) 등은 예후인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나이 (p=0.82), 분화도 (p=0.568), 조직학적 형태 (p=0.531) 등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술 전,후 CA125 수치는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p=0.370, p=0.737), 수술 후 3번째 항암요법이 끝난 후 측정한 CA125가 35 IU/ml 이내로 측정된 경우 35 IU/ml 이상인 경우보다 예후가 좋았 다. (p=0.042) 결론 : 상피성 난소암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병기와 임 파선 침범 여부 그리고 수술 후 3번째 시행한 CA125등이었다. 정확한 난소암의 예후인자를 평가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CA125를 측정하는 것 - 3 - 이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수술 후 3번의 항암요법이 끝난 후 측정한 CA125 수치가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예후를 예측 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 : Ovarian cancer is now increasing but its prognosis is poor because it is found in advanced stage. The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debating and these values are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gnostic factors of ovarian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and chemotherapy. Method :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7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nd treated with chemotherapy in Ghil hospital from 1998 to 2006 were reviewed. We investigated several factors such as stage, grade, histologic type, lymph node involvement and CA125 as prognostic factors of ovarian cancer. Kaplan-Meier survival curves were computed and tested statistically by the log test. A - 37 -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pplied to access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different covariates. Result : Stage I patients had good prognosis irrelevant to grade, histologic type, lymph node dissection and CA125. In the stage 3 patients, however,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p=0.005) were related with prognosis and overall survival. Otherwise age (p=0.082), histologic type (p=0.568), grade (p=0.568) did not affect survival rat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A125 did not show the influence on overall survival. (p=0.370, 0.737) Otherwise CA125 after 3rd chemotherapy within 35 U/ml showed better prognosis. (p=0.042) Conclusion :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rognosis of ovarian cancer were FIGO stage,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CA125 level after - 38 - third chemotherapy. CA125 level after third chemotherapy was useful to predict prognosis of the patient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노인재가장기요양서비스에 대한 노인수혜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요양보호사 특성과 노인 수혜자 특성을 중심으로
이호형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박사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노인수혜자와 요양보호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노인수혜자 만족도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간호사, 간병인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노인수혜자들의 만족도가 차이가 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으로 제공자의 특성에서 가장 많이 논의 된 것이 학력이었는데 홍삼욱(1996)과 임국환(1995)의 결과를 보면 학력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밝혔다. 반면 (김기정, 1988; 정경옥, 2004)은 학력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더 낮은 결과도 보여주었다. 학력과 더불어 이 분야에서 자주 논의 된 것이 제공자의 나이이다. (황나미. 고덕기, 1998; 정경옥, 2004)은 나이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50대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를 알 수 있었다. 제공자의 특성에 이어 수혜자의 특성에서도 학력이 주된 관심사였다. Campbell(1976)은 학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지만 반면 학력이 낮을수록 수혜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결과도 다수 발표 되었다(권용신, 2008; 정경희, 1998). 나이에 있어서 권용신(2008)은 나이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낮은 반면 최정명(2008)은 나이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수혜자와 요양보호사의 인구학적 특성을 더욱 세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조사는 주로 인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장기요양보호 수혜자 101명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7일부터 2010년 2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직접면접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응답자의 일반 사항을 측정하는 부분, 요양보호사와 수혜자의 인구학적인 특성(연령, 성별, 학력, 종교, 배우자 유무, 동거형태, 간병경험)을 측정하는 부분, 수혜자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학력인 중졸인 노인수혜자 그룹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요양보호사의 연령에서는 50대일 때 수혜자가 가장 만족했고, 간병 경험이 있는 요양보호사에게 수혜자가 더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수혜자의 가족인 경우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요양보호사에게 수혜자들은 더 큰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종교가 있는 그룹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났고, 부모님을 모시고 있는 요양보호사에게 노인수혜자는 더 많은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수혜자의 학력에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인 수혜자의 성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노인수혜자와 요양보호사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노인수혜자가 어떠한 인구학적 특성에서 만족감을 더 인지하는지 분석하여 노인수혜자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평온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에 이번 연구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th the Care-Givers and the Aged Recipients HO HYUNG LEE Department of Magement Information Systems, The Graduate School Seoul University of Venture & Information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both care-givers and recip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n, it discusses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previous studies discussed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uld be differ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As far as care-givers' educational level Sam Wook Hong (1996) and Guk Hwan Lim (1995) discovered that the recipients with the care-givers of low edcational level were more satisfied than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Gi Jung Kim(1988) and Kyung Ok Jung(2004) also discovered that the recipients with the care-givers of low educational level were less satisfied than other groups. Care-givers' age was one of the concerns for the researchers in this area. Na Mi HwangㆍDuk Ki Ko(1998) and Kyung Ok Jung(2004) discovered that the recipients with the care-givers in his fifti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than other groups. In the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the education is also became the factors that researchers were interested in. Campbell(1976) discovered that the recipients in low education were more satisfied than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some researchers (Yong Sin Kwon, 2008; Kyung Hee Jung, 1998) discovered that the recipients in low education were less satisfied than other groups. About the recipients' age, Yong Sin Kwon(2008) discovered that the older recipients were less satisfied than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Jung Myung Choi(2008) discovered that the older recipi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other groups. The measurement was developed,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ask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s and the recipients such as age, education, gender, religion, with/without spouse, etc. The other part measures the recipients' satisfaction on the serci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1 over 65 year old recipients that mostly live in the incheon and their care-givers from December, 2009 to February, 2010. Social workers interviewed the recipients in pers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recipi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of the care-givers middle school graduated, 50s and religious. And recipi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are-givers that had done voluntary service, have spouse, care his parents. Especiailly when a care-giver was a family member of a recipient his/her emotional satisfaction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recipients with lower education and older age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But recipients' gender did not make any differences.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아동과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아동의 체력 발달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성별에 따른 체력 발달 수준 및 신체활동 놀이 참여 시기, 기간, 빈도, 시간, 유형 등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취학 전 유아들의 신체활동 놀이 참여를 권장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현재 경기도 시흥시와 용인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학년 170명(남:93명, 여:77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신체활동 놀이 참여와 체력 발달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유연성 발달 수준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등의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둘째,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에 참여한 아동의 초등학교 3학년 시기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발달 수준은 신체활동 놀이에 참여를 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 시기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연성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발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 기간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연성 발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 빈도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폐지구력, 유연성 발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 시간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연성 발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 기간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폐지구력, 유연성 발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취학 전 신체활동 놀이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체력 발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level of fitness development of two elementary children, one who had prior participation experience in physical recreation before school, and the other with no experience. This study purposes itself in providing data for recommending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for children before school by analyzing the effects of fitness development level and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timing according to gender, period, frequency, time, and type on the fitness development of grade 3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kind of research goal, 170(male:93, female:77) grade 3 children, living in Siheung-si and Yongin-si of Gyunggi-do as of 2015, were chose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and fitness development level were analyzed to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flexibi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gender, but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factors, such as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quickness,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Second, development level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quickness,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of the grade 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recreation before school was higher compared to the children who didn’t participate. Third, the timing of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before school seemed to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flexibility in grade 3 children,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quickness,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Fourth, the period of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before school seemed to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quickness,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in grade 3 children,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flexibility. Fifth, the frequency of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before school seemed to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nd quickness in grade 3 children,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Sixth, the time of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before school seemed to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quickness,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in grade 3 children,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flexibility. Seventh, the period of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before school seemed to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nd quickness in grade 3 children, but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level of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conclusion, it is observed that physical recreation participation before school gives a positive influence in enhancing the fitness development level of elementary children.
① 소형엔진 전자 전자제어 연료시스템의 성공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우선적으로 가솔린연료를 사용하여 유해한 배출가스 정화장치 등이 적용되지 않은 기계식 기화기 연료공급시스템 방식으로써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이 높은 농기계중 이앙기, 관리기, 엔진에 적용되고 있는 소형가솔린 엔진에 LPG 연료공급시스템의 성능비교 시험을 통하여 현 기술 현황을 파악하려 하였다. ② 소형엔진 전자제어 연료시스템의 핵심기술인 스로틀바디의 시작품을 제작 시험함으로서 설계요인을 규명하고 최종개발 제품을 위한 중요 구성부품을 개발하고 선정하려 하였다. ③ 개발된 상용단계의 스로틀바디를 적용한 소형엔진 전자제어 연료시스템과 기존 기화기 형식을 비교하여 엔진성능 시험을 실시함으로서 연구목표 수준에 최적화된 전자제어 연료공급시스템을 검증하려 하였다. ④ 기존 기화기 방식 대비 10% 이상의 연비 향상과 5% 이상 출력 향상, 그리고 유럽의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하는 전자제어 연료공급시스템의 스로틀바디를 개발하려 하였다.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have been actively building infrastructure for e-trade as part of their national e-business initiative. In case of the Korean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country has invested 30 billion Korean Won in establishing an integrated archive for e-trade documents, networks for each trade process, e-trade platforms, and etc. as of the year 2007. Such proactive investments in building e-trade infrastructure have facilitated business firms to make greater use of e-trade and to improve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These initiatives have ultimately played a key role in enabling Korea to step up as a leader in e-trade. Since continued investments in e-trade infrastructure can only be made when there are noticeable results from individual firms and at the national level, scholars have been keenly interested in studying the outcome of e-trade. Existing studies have evaluated e-trade performance at different levels, either namely national level or firm levels. But there are few studies to determine explaining whether or not the e-trade performance of individual trade firms may bring about enhanced e-trade performance at the macroeconomic level.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determinant factors what can explain the e-trade performance of individual trade firms.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s were made in the e-trade performance area.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factors were extracted as preceding variables influencing e-trade performance: coordination cost, monitoring cost, physical asset specificity, human asset specificity, information capability, and global capability. To evaluate these levels, the usage factor is decomposed into its scope and levels. The economic and competitive advantage performances were used to identify the level of e-trade performance. Based on the survey collected from the samples of 266 trade firms, their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by using explan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developed using LISREL 8.72, was performe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propose research model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urvey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human asset specificity and information capability are factors influencing e-trade usage level while human asset specificity, information capability and global capability influence e-trade performance lev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mp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promote e-trade related services that support the overall e-trade process like uTradeHub. In addition, efforts should also be given to expand the use of e-trade through inter-organizational systems. Second, it should be noted that strategic use of e-trade system for integration of human resources and processes is equally important as processing trade documents online. Third, it is essential for firms to enhance their capacity in collecting and producing quality information and to cultivate mindsets and perspectives that are sensitive to changes and trends in the global market. Firms that deliver outstanding levels of performance using e-trade shall be ones equipped with essential capabilities meeting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21st century, an era of unprecedented globalization. While these suggestions may contribute to setting the strategic direction to vitalize e-trade in Korea,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One of such limitations is that because the measurement of e-trade usage level and performance variables relied upon the subjective appraisal of survey respondents. The survey results are depending upon cognitiv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by the respondent at the time of survey. The other limitation lies in the narrow choice of measuring tools to evaluate costs involved in trade and competence in utilizing e-trade. This paper uses coordination and monitoring costs as transaction cost variables. And the physical asset specificity and human asset specificity a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mportant. But there may exist other variables that offer more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ir influences on e-trade performance level. Since most variables proposed in this paper would not provide comprehensive picture of e-trade performance, It is suggested that other competence variables besides the information and global capabilities should also be studied to measure e-trade capability.
이호형 高麗大學校 工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요 약 최근 모바일 시장은 스마트 폰의 가세로 빠른 속도로 확장 되어 가고 있다. 모바일 지갑이라 불리는 NFC를 적용한 단말 역시 스마트 폰에 많은 적용이 되어 이미 시장에 선을 보였으며, 차츰 더 적용이 될 전망이다. 모바일 단말은 한정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 측면에서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개발 업체에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FC에 대한 특화된 인식 및 초기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전력 소비 및 인식률 측면에서 많은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