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요로감염이 있는 3개월 미만 영아에서 중증 방광요관역류의 예측인자

        이대용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최근 I, II 등급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VUR)의 임상적 중요성이 적어지면서 요로감염 영아 모두에게 침습적이며 radiation의 위험성이 있는 배뇨 방광 요도 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을 시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3개월 미만의 영아를 대상으로 III 등급 이상의 중증 방광요관역류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예측인자를 조사하고 VCUG 시행 여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가천의과학대학교 병원에 2004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입원하여 요로감염으로 치료받으며 초음파 검사와 VCUG를 시행받은 3개월 미만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인 의무기록의 검토를 통하여 I 군(III ~ V 등급의 방광요관역류)과 II 군(정상 혹은 I, II 등급의 방광요관역류) 간의 임상적 지표와 영상 검사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초음파의 중증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및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 그리고 위험도와 우도비를 구하여 중증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환아는 총 54명(남아 41명, 여아 13명)이었으며, 대상아 중에서 I군이 14명, II군이 40명이였다. I 군에서 CRP가 II군보다 높았고(6.11 ± 5.18와 3.27 ± 3.45, P=0.025) 비정상적인 초음파 소견이 많았지만 (71%와 23%, P=0.002) 관련 인자를 보정한 후에는 초음파만이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02). 원인균, 균혈증 및 99mTC-DMSA 신 스캔(demercaptisuccinic acid renal scan, DMSA scan) 이상소견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증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초음파의 민감도는 71.4%(41.9∼91.4), 특이도는 77.5%(61.5∼89.1), 위험도는 6.9(1.58∼30.41)이었고 음성예측도는 88.6%(73.2∼96.7), 음성우도비는 0.37(0.16∼0.86)을 나타내었으나(α=0.05, 검정력 94%) III 등급의 방광요관역류 4명은(29%)은 정상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였다. 결론: 요로감염이 있는 3개월 미만 영아에서 중증 방광요관역류에 대해 VCUG를 대체할만한 예측인자를 규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중증 방광요관역류의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 등의 위험성을 고려할 때, 모든 요로감염 영아(3개월 미만)에서 VCUG의 시행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Our aim was to investigate predictive factors for detecting grade III~V vesicoureteral reflux (VUR) in young infants less than 3 month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UTI). Method: Data of infants who underwent ultrasonography and VCUG between January 2004 and September 2007 were evaluated. Age, gender, incidence of bacteremia, C-reactive protein (CRP) and imaging studies were compared between group I (grade III~V VUR) and group II (normal or grade I and II VUR) retrospectivel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dds ratio, and likelihood ratio of ultrasonography for high grade VUR were evaluated. Result: Among 54 enrolled infants (41 males, 13 females), 14 infants were group I and 40 infants were group II. In the group I, CRP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6.11 ± 5.18 vs. 3.27 ± 3.45, P=0.025), and there were more ultrasonographic abnormal findings (71% vs. 23%, P=0.002) compared with group II. However, only ultrasonography was a significant factor after adjusting with logistic regression (P=0.002). Incidence of bacteremia and abnormal DMSA find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groups. Sensitivity, specificity, and odds ratio of ultrasonography was 71.4%, 77.5%, 6.9 respectively.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8.6%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 was 0.37. Ultrasonography had significant negative likelihood ratio for grade III~V VUR, but missed 4 infants with grade III VUR. Conclusion: We could not find any alternative predictive factors to reduce VCUG in detecting high grade VUR. Therefore, VCUG must be considered in young infants less than 3 months with UTI.

      • 한국인 베체트병에서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

        류희정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베체트병의 임상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종, 지역 및 진단기준 등의 차이로 인하여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베체트병에서 성별이 임상양상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임상시기 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부터 2005년 까지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하여 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2003년 장현규 들이 발표한 베체트병 진단 기준에 맞는 88명을 대상으로 병록지와 면담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환자에게 발현되는 임상 양상을 질병의 발병 시기와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으로 구분하였고 성별에 따른 각 시기의 임상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병의 발병 시기와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의 임상 양상을 나누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 88명의 베체트병 환자들 중 56명이 여자이고, 32명이 남자로 여자가 많았다 (남자:여자, 0.57:1). 88명 환자들의 평균 발병 시기는 31.2 ±10.8 세이었으며 남녀 간의 평균 발병 시기는 차이가 없었다 (남자; 32.5±11.8, 여자; 30.7±10.3). 전체 환자의 질병의 지속 기간은 평균 8.1±8.2 년이었고, 남녀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남자; 6.5±5.7 년, 여자; 9.0±9.3년). 질병의 발병 시기에 나타난 임상 양상 중 구강 궤양이 여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고 (P =0.02), 농포성 구진과 포도막염은 남자에서 더 호발하였으나 (P <0.01), 혈관 침범과 소화기계 침범은 성별간에 차이가 없었다.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에 발현된 임상 양상 중, 요통 (P =0.043)과 말초 관절염 (P <0.001)이 여자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농포성 구진 (P <0.001)과 혈관 침범 (P =0.025)이 여자에서보다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에 나타난 임상 양상은 발병 당시와는 달리 포도막염의 발생 빈도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고, 혈관 침범이 남자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신경계 침범은 발병 시기과 질병의 지속 기간,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한국인 베체트병에서 질병의 발병 시기와 질병 지속 기간 동안 각각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임상 양상의 차이가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sex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Behcet’s disease (BD)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x on the clinical features of BD in Korea. During 1999 through 2005,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linical findings of BD at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in Korea. Eighty-eight patients (56 females and 32 males) with B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age at disease onset (30.7?10.3 vs. 32.5?11.8 years) and the disease duration (9.0?9.3 vs. 6.5?5.7 years). At disease onset, oral ulceration was more common in females than in males (83.9% vs. 62.5%, P =.02). Papulopustular skin lesions and uveitis were more frequent in men than in women (25.0% vs. 3.6% and 31.3% vs. 8.9% P <.01, respectively). During the disease course, men had papulopustular skin lesions more commonly than women (68.8% vs. 35.7%; P <.01). Women suffered from peripheral arthralgia and low back pain more frequently than men (76.8% vs. 46.9%; P <.01, and 53.6% vs. 31.3%; P =.04). Vascular lesions such as deep vein thrombosis were more frequent in males than in females (18.8% vs. 3.6 %; P =.03). We could not find neurologic manifestations in the disease onset and disease duration. At disease onset, uveitis was presented more frequently in males than females, but during the disease course, uveitis was found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genders. And at disease onset, we found no difference between females and males in vascular manifestations, but during disease course, it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males than in females.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gender has an influence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BD.

      • 커피 음용과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들과의 관계

        류선경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들인 혈압상승, 지질대사이상, 당 대사이상이 복합적으로 발생한 상태이며 식생활 습관개선을 통해 호전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습관적인 커피음용이 탄수화물, 지방, 칼로리 섭취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스턴트 커피 또는 커피믹스가 주된 음용 형태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습관적인 커피 음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방법: 2006 년 9 월부터 10 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403 명을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하였다. 항고혈압제와 혈당저하제를 제외한 다른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대상자들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대상자들을 하루 커피 음용량에 따라 세 군(하루 한 잔 미만, 하루 1~2 잔, 하루 3 잔 이상)으로 나누어 각 군별 대사증후군 환자의 수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자들 중 항고혈압제를 복용중인 자는 51명, 혈당강하제를 복용중인 자는 26명이었다. 성별, 나이, 흡연, 운동, 음주를 보정한 후에 하루 커피 음용량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교차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커피 음용군간에 혈청 지질 수치가 차이를 보였다.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하루 3잔 이상군이 하루 1잔 미만군(P=0.013)과 하루 1~2잔 군(P=0.034) 보다 그 수치가 낮았다. 혈청 중성지방 수치는 하루 한 잔 미만군이 하루 1~2잔군(P=0.016)과, 하루 3잔 이상군(P=0.022)보다 낮았다. 총콜레스테롤은 하루 1~2잔군보다 하루 1잔 미만군에서 낮았다(P=0.016). 결론: 커피 음용량과 대사증후군 환자의 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많은 양의 커피 음용은 낮은 HDL-콜레스테롤 수치 및 높은 중성지방 수치와 연관성이 있었다. Background: The metabolic syndrome, which is a combin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insulin resistance,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can be improved by lifestyle modification. According to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the habitual coffee consumption occupies significant proportions of carbohydrate, fat and calorie intake, and instant coffee or coffee mix are the major forms of coffee consumption. In Korea,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abitual coffee consumption on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Methods: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study in 403 subjects who visited Gil Medical Center for health promotion. The subjects who had taken any medicine other than antihypertensives and glucose-lowering drugs, were excluded.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ily coffee consumptions (<1 cup a day, 1-2 cups a day, ≥3 cups a day), and compared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patients and each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groups. Results: In the subjects, there were 51 patients who were taking anti-hypertensives and 26 patients who were taking blood glucose-lowering drug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dds ratios for metabolic syndrome based on the amount of daily coffee consumption after adjusting for the gender, age, smoking, exercise, and drinking. However, the levels of serum lipids were different among the groups. HDL-cholesterol level was lower in ≥3 cups a day group than in <1 cup a day group (p=0.013) and in 1-2 cups a day group (p=0.034).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was lower in <1 cup a day group than in 1-2 cups a day group (p=0.016) and in ≥3 cups a day group (p=0.022). Total cholesterol level was lower in <1 cup a day group than in 1-2 cups a day group (p=0.016).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mount of coffee consumption and the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patients. However, a large consumption of coffee correlated with lower HDL-cholesterol levels and higher triglyceride levels in our study.

      • 수면척도를 이용한 두통 환자의 수면 양상 연구

        김민정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수면척도를 이용한 두통환자의 수면 양상 연구배경 : 수면장애와 연관된 두통은 매우 다양하고, 수면장애가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 등의 일차성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 방법의 결정에 대한 접근으로 수면장애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두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 장애에 대한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고된 결과가 없는 바, 본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두통환자를 진찰하는 경우 수면장애에 대한 고려와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 방법의 탐색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방법 : 두통을 주소로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신경과를 내원한 신환을 대상으로, 진료 전 두통과 관계된 수면 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기본적 자료 외에 수면장애와 우울증 등을 조사하기 위해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Epworth Sleepiness Scale(ESS), Insomnia Severity Index(ISI), Berlin Question, Korean version of the Johns Hopkins telephone diagnostic interview Questionnaire(JHTDIQ), Pittsburguh Sleep Quality Index(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등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이용하였다.결과 : 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7.7(±15.7)세였으며 여자가2남자보다 2.6배정도 많았다. 다른 연구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1차 두통환자가 더 많았으며(2.24배) 시행한 설문에 의해 수면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환자들은 전체의 74.6%였다. 긴장성 두통과 비긴장성 두통 군으로 나누어 특이적으로 호소하는 수면장애가 있는 지 알아본 결과 PSQI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비긴장성 두통 군에서 수면의 질이 더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차 두통과 이차 두통 환자를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 ISI와 BQ, PSQ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이차 두통환자들에서 불면증과 수면 질의 저하,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ISI와 다른 설문간 분석을 시행한 결과, SSS, BQ, PSQI, BDI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RLS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15.5%가 RLS 환자였으며 특이적으로 호소하는 두통의 양상은 없었다.결론 : 두통환자들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해도 수면장애를 대부분 가지고 있으며, 우울증을 같이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대상군의 RLS환자들은 모두 자신이 RLS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였는 바 두통환자에게 이와 관련된 설문이나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study of sleep disorders of patients with headache using sleep questionnaires Min Jung Kim Graduate School of Medici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Directed by Professor Kee Hyung Park) Background: An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orders and headache has been reported for a long time.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is relationship in patients visiting a university hospital(tertiary hospital). Methods: We prospectively collected the demographic data and sleep questionnaires of 97 consecutive headache patients who visited neurologic department of Gill hospital from Aug. 2007 to Jan. 2008.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Epworth Sleepiness Scale(ESS), Insomnia Severity Index(ISI), Berlin Question, Korean version of the Johns Hopkins telephone diagnostic interview Questionnaire(JHTDIQ), Pittsburguh Sleep Quality Index(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were used to examine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97 patients(27 male, 70 female), and their mean age was 47.4±15.7 years. According to ICHD-2 criteria, we classified 42 patients as non tension type headache group(NTTH) and their sleep quality was lower than tension type headache group(p<0.05). Among these patients 30.9% had secondary headache and their ISI, BQ, PSQI scores were higher than primary headache group(p<0.05). 15.5% had restless legs syndrome(RLS), there was no specific type of headache. Conclusion: Most headache patients have sleep disorders, especially secondary headache group.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terview or survey sleep questionnaires for evaluation potential sleep disorder and find appropriate treatment.

      •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유전자 codon10의 다형성이 알코올성 간경변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알코올은 그 대사과정에서 유리 산소잔기를 만들어내고 이는 간 성상 세포를 자극하여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1의 생성을 촉진시켜 간 섬유화를 유발한다. TGF-β1은 간 섬유화를 일으키는 중요 사이토카인으로서 그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다형성이 있다. TGF-β1 유전자의 일곱 부위에 유전적 다형성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 codon10에서의 다형성이 TGF-β1의 생산량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don10에서의 다형성이 알코올성 간경변의 발생과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가천의과대학 길병원을 방문한 간질환이 없는 일반 검진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의미있는 음주력(80g/일)이 있고, anti-HCV(-), HBsAg(-)인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를 대상군으로 하였다. 대조군과 대상군의 전혈을 채취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codon10 부위를 포함하는 유전자의 일부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해 증폭하였고, Single 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방법에 의해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환자들의 임상 자료, 분석된 유전자형, 그리고 총 음주량 등의 변수를 기초로 하여 TGFβ1 유전자의 codon10에서의 다형성이 알코올성 간경변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은 119명이었고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는 182명이었다.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48±13세였고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57±11세였다. 대조군의 남녀 비는 59/60이었고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의 남녀비는 164/18이었다.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에서 24명의 환자는 간세포암을 갖고 있었다. TGF-β1 유전자의 codon10에서의 다형성은 세 가지였다; Proline 동종접합 유전자형(P/P), Proline/Leucine 이형접합 유전자형(P/L), Leucine 동종접합 유전자형(L/L). 대조군에서의 codon10 유전자형의 분포는 L/L이 29.4%, P/L이 44.5%, P/P가 26.1%이었다.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에서는 L/L이 33.5%, P/L이 43.4%, P/P가 23.1%이었다. 대조군과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 간에 codon10의 유전자형 분포는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에서 유전자형에 따라 나이, 음주량, Child-Pugh class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은 P/P(M/F: 33/9) 유전자형인 경우가 P/L(M/F: 73/6)과 L/L(M/F: 58/3) 유전자형에 비해 여자가 많았다(p=0.015).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군 중 남성에서 codon10의 유전자형 분포는 P/P가 35.4%, P/L이 44.5% L/L이 20.1%였으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TGF-β1 유전자의 codon10에서의 다형성은 알코올성 간경변의 발생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알코올성 간경변의 발생에 있어서 TGF-β1보다는 다른 종류의 cytokine의 영향이 더 크기 때문으로 생각되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is a key cytokine producing extracellular matrix. The genetic polymorphism of TGF-β1 at codon10 influences the production of TGF-β1. We evaluated the effect of genetic polymorphism at codon10 on the - 26 - development of alcoholic liver cirrhosis (ALC). Methods: 119 controls and 182 patients with ALC, who had HBsAg(-) and anti HCV(-), were enrolled. The patients with ALC had alcohol intake more than 80g/day in male and 40g/day in femal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including total alcohol intake were collected at enrollment.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was done for determining genotypes at codon10 of TGF-β1. Results: There were three types of genetic polymorphism at codon10; proline homozygous genotype (PP), proline/leucine heterozygous genotype (PL), and leucine homozygous genotype (LL). In controls, the proportions of PP, PL, and LL were 26.1%, 44.5%, and 29.4%, respectively. In ALC group, the proportions of PP, PL, and LL were 23.1%, 43.4%, and 33.5%,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genotype distribution between controls and ALC group. Age, total alcohol intake, and distribution of Child-Pugh class among genotypes were not different in ALC group. In male patients with ALC (n=164), the proportions of PP, PL, and LL were 20.1%, 44.5%, and 35.4%, respectively.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of - 27 - genotype distribution between controls and male patients with ALC. Conclusion: The genotype at codon10 of TGF-beta1 did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LC.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other genetic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LC in patients with chronic alcohol intake.

      • 일반병동 근무자와 특수병동 근무자의 대처전략, 직무 만족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미옥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일반병동 근무자와 특수병동 근무자간의 대처전략,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분석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인천지역에 소재하는 3차 진료기관인 G 의과학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일반병동 근무자 88명과 특수병동 근무자 88명이며 자료는 2006년 4월 19일부터 4월 21일까지 수집하였다. 측정 도구는 대처전략에 대한 통제 전략 25문항, 회피 전략 5문항을 포함한 총 30문항과, 직무만족 27문항, 이직의도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통계적 기법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해 빈도, 백분율 및 대처전략,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대처전략,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간의 차이의 검증은 t-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대처전략,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간의 상관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이용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 인구사회학적특성 * 일반병동 근무자 (1) 연령 분포는 23∼30세가 73명(83.2%),결혼 여부는 미혼이 72명(81.8%)이였다. (2) 종교 상태는 없는 경우가 49명(55.7%)이였다. (3) 교육정도는 간호 전문대학 졸업이 68명(77.3%)으로 가장 많았고, 해외취업의도는 "아니오”라는 응답이 81명(92%)이였다. * 특수병동 근무자 (1) 연령 분포는 23∼30세가 65명(73.9%), 결혼 상태는 미혼이 60명(68.2%)이였다. (2) 종교 상태는 전체적으로 종교를 가진 그룹이 89명(50.6%)이였다. (3)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자가 26명(29.5%), 해외취업 의도는 “아니오”라는 응답이 81명(92%)이였다. 2) 근무 관련 특성 * 일반병동 근무자 (1) 근무경력은 3년 이상∼5년 미만 그룹이 31명(35.2%),근무 병동은 외과병동이 50명(56.8%)이였다. * 특수병동 근무자 (1) 근무경력은 5년 이상∼8년 미만 그룹이 28명(31.8%),근무 병동은 중환자실이 33명(37.5%)이였다. 2. 대처전략,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 1) 대상자의 대처전략에 대한 전체 평균 점수는 2.73 ± 0.23 이었으며, 연령은 23∼30세(2.74± 0.22), 미혼인 간호사(2.74± 0.23)의 경우 높았으며, 천주교(2.78± 0.24)가 가장 높았고, 교육정도는 대학원 졸업(2.78± 0.24)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향후 2년 내 해외취업 의도는 ‘아니오(2.73± 0.22)’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2) 직무만족 평균 점수는 2.71± 0.28이고, 연령이 41∼45세(3.15± 0.00) 기혼인 간호사(2.81± 0.2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2.90± 0.19)인 간호사가 가장 높았으며, 근무병동은 일반병동인 외과계 병동(2.72± 0.18)이 가장 높았고, 특수병동인 분만실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질적으로 설문대상이 한명이라는 점에서 아쉬운점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t=2.117, p=0.044) 3) 대상자의 평균 이직의도의 점수는 2.59± 0.59로 연령 23∼30세(2.65± 0.59)가 가장 높았고, 미혼인 간호사(2.62± 0.61)가 기혼인 간호사(2.52± 0.53)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여주지 않았다. 불교신자(2.73± 0.45) 이직의도 ,간호전문대학 졸업자(2.64± 0.60)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해외 취업 의도는 “예”(2.83± 0.50)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대상자의 근무지별 대처 전략,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의 차이 일반병동 근무자와 특수병동 근무자간의 대처전략,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대처전략(p=0.530), 직무만족(p=0.280),이직의도(p=0.17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에서는 “신경안정제 혹은 수면제등 약을 복용한다”(t=2.661, p=0.009),"기도를 한다“(t=-2.237,p=0.027),"스포츠,전람회,영화,연극 등을 관람한다”(t=2.412,p=0.017),"가족이나 친구 등 다른 사람들에게 불평을 털어 놓는다“(t=2.058,p=0.041)문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직의도 문항에서는 ”가까운 장래에 간호직을 사직할 의사를 가지고 있다“ 문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020, p=0.045). 4.대상자의 대처전략과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와의 상관성 대처전략과 이직의도와의 관계(r=-0.032, p=0.676)는 상관성이 거의 없음을 나타낸 반면, 직무만족과 이직 의도는 통계적으로 약간 유의한 역 상관관계(r=-0.184, p=0.015)를 나타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between general ward workers and special ward wor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rkers of G University hospital (88 general ward workers, 88 special ward workers), a tertiary care facility located in Incheon-si.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9 - 21, 2006.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30 questions of coping strategies, including 25 questions of strategies for controlling and 5 strategies for avoiding, 27 of job satisfaction, and 3 of intention to change jobs. SPSS/PC 10.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were calculated. Statistical tests for finding any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were conducted by using t-test and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one to find correlation between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1.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1)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General ward workers (1) In age distribution, the population of the workers was in the age group of 23∼30 years with 73 people (83.2%) included, and single workers were 72 people (81.8%) in marital status. (2) The group of people with no religion was 49 people (55.7%). (3) With regard to education, nursing college graduat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with 68 people (77.3%), and majority of them responded "No" to the question asking intention to work abroad. * Special ward workers (1) In age distribution, the population of the workers was in the age group of 23∼30 years with 65 people (73.9%) included, and in marital status, single work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with 60 people (68.2%). (2) With regard to religion status, groups of having religions accounted for more portions of the workers, of them, Christian group of people were 37 people (42.0%). (3) University graduates were 26 people (29.5%), and majority of them responded "No" to the question asking intention to work abroad. 2) Working related characteristics * General ward workers (1) The population of the workers occurred in the 3 to 5 years work experience group with 31 people (35.2%), and the working unit was the surgical unit including 50 people (56.8%). * Special ward workers (1)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workers occurred in the 5 to 8 years work experience group with 28 people (31.8%), and their working units were found in ICU with 33 people (37.5%). 2.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1) Overall mean scores in the subject’s coping strategies were 2.73 ±0.23. The highest scores were seen in the age group of 23∼30 years (2.74±0.22), single nurses (2.74± 0.23), Catholic religion (2.78±0.24),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2.78± 0.24),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intention to work abroad, they responded "No" (2.73±0.22) highl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Mean scores of job satisfaction were 2.71± 0.28. The highest scores were seen in the age group of 41∼45 years (3.15± 0.00) and married nurses (2.81± 0.27)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st scores were seen in the group of more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 (2.90± 0.19), surgical unit group of general wards (2.72±0.18) and delivery room of special wards, but the response had a limitation in that it was from only one nurse, but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2.117,p=0.044). 3) Mean scores in the subject’s intention to change jobs were 2.59± 0.59, the highest scores were seen in the age group of 23∼30 years (2.65± 0.59), and single nurses (2.62±0.61) showed higher scores than married nurses (2.52± 0.53),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Buddhist group (2.73± 0.45) and nursing college graduates (2.64± 0.60) showed higher intention to change jobs, and in the question asking intention to work abroad, they answered "Yes" (2.83±0.50) more frequently,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according to the subject’s working plac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p=0.530), job satisfaction (p=0.280),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p=0.172) between general ward workers and special ward workers. When looked at it according to items, there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ems such as "I take tranquilizers or sleeping pills" (t=2.661, p=0.009), "I pray to god" (t=-2.237, p=0.027), "I watch sports game, exhibition, movies, and plays" (t=2.412, p=0.017), and "I complain to my family, friends or others." (t=2.058, p=0.041). In questions regarding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item of "I have a plan to resign from nursing position in near futu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020, p=0.045). 4. Correlation between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Slightly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r=-0.184, p=0.015), while there was almost no correlation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intention to change jobs(r=-0.032, p=0.6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