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혜원 졸업공연 “MUSIC JOURNEY” 

        이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석사학위공연 ‘MUSIC JOURNEY’의 곡들을 화성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학습한 즉흥기법, 편곡법, 음악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의 수직 및 수평적 구조를 심층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사학위공연 ‘MUSIC JOURNEY’에서 연주한 6곡은 자작곡 3곡, 편곡 3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작곡은 작곡가의 삶의 순간순간과 직결되어 있다. 당시 느꼈던 감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했으며 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습득한 재즈장르를 기반으로 하여 편곡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부족한 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훌륭한 연주자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단편영화 <정희> 제작을 통한 영화 스토리보드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이혜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스토리보드(Storyboard)는 그림을 순차적으로 그려서 영화에 나오는 쇼트의 흐름 혹은 연속성(Continuity)을 묘사하고 계획하는 수단이다. 스토리보드는 영상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매체에서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영화 스토리보드는 감독이 시나리오를 소리와 함께 시각화를 할 때 하는 일 중 하나는 영화 속 인물이 말을 하지 않을 때 하는 행동을 생각하여 감정의 충돌이 없이 관객에게 소리와 그림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영화작업에서 대사가 많아 보일 수 있지만 스크린에서는 행동이 대사 없이도 이야기를 훨씬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영화가 가진 이미지의 연속성을 통한 이야기전달의 독특함 때문이다. 시나리오는 일련의 이미지 움직임을 하나의 이야기로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지 움직임을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영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스토리보드는 감독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다양한 의견과 시간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영화의 시각, 미학적 언어이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감독의 시각적 어적 언어를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봐야한다. 완벽한 시나리오라 할지라도 영상화를 위해 스토리보드가 뒷받침이 되지 않는다면 시각화를 하는 것이 명확해지지 않는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텍스트의 이미지화를 위해 카메라의 앵글(Angle)과 쇼트(Shot)를 설정하고 프레임 안의 미장센에 대한 총체적인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는 영화 <정희>의 스토리보드 작업화를 통해 영화의 내러티브가 장면의 연속성으로 구성하는데 있어 콘티뉴이티의 중요성에 대해 논한다. 스토리보드의 세밀한 구성은 감독의 생각과 시나리오의 기능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프로덕션(Production)에서의 즉흥적인 충돌을 막아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텍스트를 이미지화 하는 첫 번째 단계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이미지들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분석을 통해 해석되어진 영화의 다양한 의미를 쇼트의 나열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화 <정희>의 제작 과정을 통해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보드 작업(사전 시각화)이 프로덕션에서 영화의 콘티뉴이티에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한다. Storyboard is a means to describing and planning the flow or continuity of shots in a film by depicting images in consecutive order. Storyboard is used in several forms by various media that are produced as visual media. Film storyboard is one of the activities that a director performs when visualizing a screenplay with sounds to imagine how the characters in a film would act when they are not speaking and to convey such to the audience with sounds and images without an emotional clash. It may appear that there are a lot of lines in film work, but on a screen, an action without any lines can convey the story much more clearly. This is thanks to the film’s distinct storytelling through continuity of images. A screenplay must be able to tell a series of image movements as a single story. To visualize image movements, a screenplay and storyboard that can interpret them in a cinematic form are absolutely necessary. A storyboard is a film’s visual, aesthetic language that visually expresses a director’s thoughts, various views, and times. A storyboard should be viewed as a work of art that expresses a director’s visual, linguistic language, and not as something that interprets the contents of a screenplay and expresses them in images. Even a perfect screenplay cannot have a clear path to visualization if not backed up by a storyboard for cinematic adaption. A storyboard must be able to set the camera’s angle and shot and play the role as a general guide to mise-en-scène in frames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text in a screenpla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ntinuity in forming the film’s narrative into continuity of scenes through the work of the film’s storyboard. A detailed construction of a storyboard can accurately convey the director’s thoughts and the function of a screenplay and can show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post-production by preventing impulsive clashes in production. Storyboard is the first stage of visualization for the screenplay’s text and must reenact images through analysis. In other words, a screenplay creates a story from the various meanings of the film that have been interpreted through analysis by arranging them into shots. This paper aims to study in depth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that the storyboard work (previsualization) performed in pre-production has on the film’s continuity in production through the filmmaking process.

      • 미취학 아동 부모의 설문을 통한 단편영화 제작과정 연구 : 단편영화 <어린이집 가는 날>을 중심으로

        이혜원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영화가 시각적인 표현 도구로서 효율적인 상담역할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미취학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 설문의 내용을 토대로 미취학 아동 부모에 대한 심리를 영화에 직접 투영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영화를 제작한다. 완성된 영화는 연구 참여자인 미취학 아동 부모에게 상영한다. 완성된 영화 <어린이집 가는 날>을 감상한 미취학 아동 부모에게 영화에 느낌과 심리적 변화에 대한 설문을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영화 <어린이집 가는 날>을 통해 미취학 아동 부모의 심리적인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예술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영화제작이 심리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if a movie which is a part of art therapy can play aefficient counsel role as a visual expressing tool. After carring out a survey targeting parents whose kids are kindergarteners and reflecting their mind to the scenario, on the basis of the survey this movie is made. The completed movie is played to the parents who were surveyed. After appreciating the completed movie " the day to go to kindergarten" , the parents answer another survey of their feeling and psychological change. And we draw a conclusion that shows th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parents. On the basis of the conclusion the directionality to study of possibility that the efficient movie production for art therapy makes emotional change is presented.

      • 기성시가지 자연발생적인 용도복합 지역의 도시계획적 과제 연구 : 서울시 강남구 대치4동을 중심으로

        이혜원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성시가지의 소형 필지로 이뤄진 블록은 인접한 곳에 위치한 대규모 시설들과 주변 환경, 사람들의 요구로 인해 발생된 자생적인 변화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되면서 그 지역의 이미지와 활동, 성격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때로는 도시공간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문제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물론 대표적인 가로들은 가로환경정비사업이나 지구단위계획 등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이외의 가로들은 용도지역제 등에 의해서만 규제될 뿐 실제 도시경험차원의 미시적 측면에서의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사업 차원의 제도들은 대부분 법적으로 열악한 도심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을 통해 계획된 곳으로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강남의 경우 해당사항이 없다. 하지만 이러한 곳의 경우, 주거중심의 계획 초기 개념과 달라진 현재의 상황으로 실제 도시경험차원에서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 및 정비, 관리로의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그리고 국내외 제도들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결과 주변과 연계된 다양한 차원의 미시적 관점에서 조사‧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기성시가지의 관리에 있어 도시경험차원에서 보다 더 상세한 계획을 하여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 그곳을 이용하는 사람들, 그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질 높은 도시공간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 강남구 대치4동을 하나의 예로 현 제도에서 다룰 수 없는 도시경험차원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현상을 기존의 제도를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 및 현장조사를 통해 도시공간환경을 시각적‧공간적, 양적‧질적으로 조사‧분석하고,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구체적인 현상을 유형화하였다. 유형화의 기준으로 설정된 것은 실제활용용도 분포비율 및 용도들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도로위계, 자생적인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인접한 대규모 시설의 유무, 간선도로 및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 초기개념이었던 주거의 비율로 설정한 결과, 대상지 내부 36가지의 가로들은 총 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각 유형별 그 특성을 드러내고 미흡한 부분과 필요한 부분에 있어 도출된 계획요소를 바탕으로 제도적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Ⅰ(집산도로, 인접한 대규모 시설, 접근성 양호, 주거비율 70% 이하)] 집산도로로써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이 있고 접근성이 좋아 직장인 및 외부인이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들이 전 층에서 복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차량통행 및 보행량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편이나 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폭이 좁고, 가로에 면해 위치한 공원 및 학교와의 연계성이 떨어져 보행환경이 열악하고 안전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 조성, 야간조명 증대, 전선 지중화, 스쿨파크, 아파트 담장 허물기와 같은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블록 내부로 갈수록 주거시설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차량통행 방식의 조정 및 버퍼존을 조성하여 블록 내부에 위치한 주거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또한 국지적으로 영향력 있는 곳인 만큼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홍보가 필요하다. 노후비율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아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별 건축물은 양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유형Ⅱ(국지도로, 인접한 대규모 시설, 접근성 양호, 주거비율 70% 이하)] 도로위계는 낮지만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이 있고 접근성이 좋아 보조간선도로에 면한 곳의 경우 사무실 및 음식점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외부인 및 직장인, 인근거주주민들의 이용이 많아 차량통행 등으로 인해 혼잡하며, 건물의 규모에 비해 좁은 도로폭 등 기반시설이 열악하기 때문에 도로의 확장 및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 조성, 전선의 지중화 등의 계획과 방범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블록 내부로 갈수록 주거시설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차량통행 방식의 조정 및 버퍼존을 조성하여 블록 내부에 위치한 주거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노후비율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아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별 건축물은 양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유형Ⅲ(국지도로, 인접한 대규모 시설, 접근성 불량, 주거비율 70% 이하)]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이 위치하고 있지만 접근성이 떨어져 외부인보다는 이곳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및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이용이 많다. 따라서 이들의 편의를 위해 도로의 확장 및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 조성을 통해 보행안전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것에 비해 주거비율은 높지 않아 존재하고 있는 주거시설들의 환경적 질적 향상을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유형Ⅳ(국지도로, 인접하지 않은 대규모 시설, 접근성 불량, 주거비율 70% 이하)]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 및 교통시설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지지만, 주거시설 및 다양한 용도들이 전 층에서 복합되어 있다. 따라서 직장인 및 거주자 중심의 공간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편의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특히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음식점 용도와 인접한 주거시설의 경우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환경적 관리가 필요하다. 노후비율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아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별 건축물들은 양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유형Ⅴ(국지도로, 인접하지 않은 대규모 시설, 접근성 불량, 주거비율 70% 이상)]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 및 교통시설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지고, 주거비율이 70%이상인 주거중심의 공간이다. 다른 곳에 비해 노후비율이 매우 높아 오래된 건물로 인해 발생되는 주차문제 등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기 때문에 주차공간 확보 및 녹화공간 조성을 통해 노후비율이 높은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편의를 증대해야 한다. 따라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과 거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개발의 여지가 충분하여 이를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을 강남구 대치4동과 같이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초기의 계획과 달라진 상황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곳에서 다룰 수 있는 제도는 없는 상황이다. 또한, 다룰 수 있는 곳에 적용되는 제도라 할지라도 지속적인 변화양상에 대한 조사가 부족하며, 주변지역과 연계된 분석이 부족하다. 그리고 보존보다는 개발의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개선을 하려고 하는 성격이 강하고, 다양한 차원의 조사‧분석 및 사람 중심의 분석이 부족하다. 따라서 주변과 연계된 분석을 해야 하며,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분석 장치를 마련하여 그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고, 지역적 특성을 담은 계획요소가 되기 위해서는 거시적 분석 및 미시적 분석을 통해 알아낸 결과의 총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이야 말로 해당 기성시가지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속적으로 도시공간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관리의 측면에서 초기의 계획과 달리 자연발생적으로 용도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성시가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이러한 곳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에서 하나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block that consists of small lots of the existing urban fabric starts Natural Changes due to large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ositioned in the adjacent place and demands of people. Natural Changes that are stack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 define images, activities and characters of region. However, this phenomenon induces the problem of making the poor urban space sometimes. Definitely, representative streets are managed by th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e District Unit Planning and so on, but other streets are regulated by Zoning, and do not have guidelines for managing at the microscopic aspect of the real experience dimension. In addition, systems of the present project mostly are made in the poor urban heart aspect of the legal, and the place like Gangnam that was planned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legally has no problem is not object. But, in the case of this place, it is actually the actual condition placed on the poor environment aspect of the real experience dimens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different with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mainly with reside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be planned the method that the lived people, people using that place and people visiting that place can experience the high quality of urban space in step with changes of Urban Design & Planning Paradigm that are urban regeneration, improvement and management and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investigation in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of the various dimension which is connected with surrounding area to the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management mechanism. To do that, the concrete phenomenon focused on Daechi4-dong Gangnam-gu, Seoul was categorized by overall analysis on visual and spati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urban space through field studies and data which is built on existing systems. The standard of types is the residence ratio which is the spread ratio of practical uses, the road grade of rank which has an effect on correlation of practical uses and existence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which affects on the Natural Changes, accessibility to the main road and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Consequently the street of 36 kinds in this place were classified as the total 5 types. Then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from the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management mechanism that was based on the planning factors drawn from each characteristic for each type and the insufficient and necessary pa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ype1 (distribution road,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Due to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nd high accessibility, various practical uses for workers and strangers are mixed all over the floors. Then amount of vehicles and pedestrian traffic are higher than other types, but this type has occurrence possibility of the pedestrian safety problem since a sidewalk is not installed or is narrow, and has little connectivity nevertheless there are a school and pocket parks. And making sidewalks through the road diet, increasing lighting at night and burying of electric wires are needed. Because of high residence ratio as it goes to the block inside, it is need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ositioned in the block inside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transit of vehicles method and making buffer zones. The region publicizing for the local vitalizations is need since there is an influence regionally. Each buildings are in good condition aspect of environment because those deterioration are low. [Type2 (locality road,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Although the road grade of rank is low, the rate of offices and restaurants is high in the place along the main road because of existent of big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nd high accessibility. Then it is congested due to the transit of vehicles and so on. It is needed that the plan about the extension of the road, making sidewalks through the road diet, burying of electric wire and the resolution of crime problem. Because of high residence ratio as it goes to the block inside, it is need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ositioned in the block inside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transit of vehicles method and making buffer zones. Each buildings are in good condition aspect of environment because those deterioration are low. [Type3 (locality road,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non-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The use of workers worked in this place and students living in a nearby is more than strangers because of low accessibility. Therefore the prote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the extension of the road and making sidewalks through the road diet is needed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rs. Because the residence ratio is not high whereas an accessability is low,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residential area. [Type4 (locality road, non-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non-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This type has low accessibility since there is no large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but various practical uses are mixed all over the floors. And the plan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workers and residents is needed. Specially, the residential area near by restaurants for workers needs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promotion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But each buildings are in good condition aspect of environment because those deterioration are low. [Type5 (locality road, non-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non-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above 70%)] This type has low accessibility since there is no large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nd is mainly with residence since residence ratio is above 70%. Because parking problems occur by reason of high deterioration ratio of buildings, the plan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residents by securing parking lots and making green space is needed. And we must manage considering the facts that possibility of development is very high. It is not at a domestic that the system including this factors in the place where is no problem legally but is actually the actual condition placed on the poor environment aspect of the real experience dimens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different with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mainly with residence. And even if the system is applicable to other places, the search for continuous changes and connection with surrounding area is insufficient. Then the character for do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side of the development is stronger than the conserv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hat analysis of being connected with surrounding area, system for the continu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about changes. And, in order to become the planning factors drawn from local characteristic, the management mechanism is needed that is surely picking out the necessary planning factors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about the results of finding out through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nalysis. This will become the method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existing urban fabric and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urban space aspect of environment consistently.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proposes one methodology because research about the existing urban fabric which occurs the natural mixed-use phenomenon unlike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is insufficient and it is the situation that the system managing this place is needed.

      •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ffect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Lee, Hye W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arents' social relationship has a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social relationship of parents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impact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it seeks to determin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o achieve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20 Disability Life Panel Survey from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he study focused on parents who responded to the "household" questionnaire in the 2020 Disability Life Panel Survey and had children aged 0-18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347 fathers and 669 mothers, totaling 1,016 participants. IBM SPSS Statistics 27 and PROCESS macro 4.2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outlined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levels based on the role of par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then perform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Subsequently, Baron & Kenny's (1986)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ife satisfaction score for parents was 6.29, indicating a level higher than averag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 rol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degree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parents negatively impacted both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affecting fathers and mothers equally.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fathers and mother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dditionall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include: Recognizing varying degrees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mong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fic efforts to address these differences and find solutions are necessary.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needs assessments and service provisions should be implemented to address the perceived 'income'-related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tivating self-help meeting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enhance parents' health status. These meetings should encourage social interactions among members, fostering positive changes for both parents and the entire family. Services for guardia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be biased solely towards mothers; initiative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easy access to 'parent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fathers.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후, 두 요인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적 관계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또한, 연구 결과에 있어 어머니와 아버지에 따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 개발원의 <2020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 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020 장애인삶 패 널조사>의 ‘가구원용’ 질문지에 응답한 사람 중 “0~18세 장애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장애아동 아버지 347명, 어머니 669명으로 총 1,016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 27과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부모의 역할별로 사회적 차별 경 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립 표본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 해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후,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에 따라 매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 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부모의 삶의 만족도 점수는 6.29점으로 절반보다 높은 수치의 점수가 나왔다. 두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역할별로 주요 변수들에 차이 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차별 경험에는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관계, 사회적 차 별 정도,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관계와 사회 적 차별 경험 정도 간의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삶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에게 똑같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변수들 간 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 전체뿐만 아니라 아버지, 어머니 모두 사회적 관계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녀의 인 구사회학적 특성은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서 비롯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현재 우리나라는 장애아동의 어머니와 아버지별로 사회적 차별 경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차별 경험의 차이를 찾아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두 번째, 현재 장애아동 부모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수입’과 관련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 체계적이고 세밀한 욕구 조사 및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건강 상태가 증진될 수 있는 자조 모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 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조 모임을 활성화하여 구성원 들과의 사회활동을 도모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이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장애아동 부모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 긍정적인 변화 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보호자 서비스 대상 이 ‘어머니’로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장애아동 아버지’를 위한 서비스 를 구축하여 아버지들이 ‘장애아동 부모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 록 하여야 한다.

      • 항공사 e-CRM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전환비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전자매체를 이용한 고객관계관리(Electron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e-CRM)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e-CRM의 적극적인 활용은 마케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충성도를 제고시키고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의 e-CRM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매개변수로써 전환비용의 역할을 검증하여 항공사의 고객충성도 제고를 위한 e-CRM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CRM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항공사 e-CRM 활동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 보았다. 또한 전환비용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총 58문항의 설문 항목을 도출한 뒤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에서의 설문조사를 통해 총 328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항공사 e-CRM 활동은 맞춤서비스 제공, 예약 및 구매 가능, 상호작용성, 사용자 편의성, 온라인 광고 제공, e-mail 서비스 제공의 6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전환비용의 인식은 심리적 비용과 금전적 손실비용, 혜택 손실비용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고객충성도는 단일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한 결과는 6개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혜택 손실비용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된 것이다. 온라인 광고 제공이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때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으나 혜택 손실비용이라는 매개 변수를 통하면 고객충성도를 향상시킨다. 즉, 인터넷을 통한 무분별한 상품 광고보다는 마일리지 제도와 다양한 서비스를 노출시켜 고객으로 하여금 전환장벽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항공사 웹사이트를 자주 방문할수록 고객충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고객들의 클릭스트림(clickstream) 정보를 수집하여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를 더욱 개발시키고 활성화시켜 웹사이트 이용 빈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고객충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마일리지를 소지한 집단에서 e-mail 서비스와 사용자 편의성, 예약 및 구매 가능 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혜택 손실비용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혜택 손실비용은 고객충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므로 지속적인 e-mail 서비스를 제공하여 마일리지 현황과 효과적인 마일리지 활용법 등을 알려줌으로써 고객충성도를 높여야 한다.

      • 성종 초 덕종의 追尊 과정과 그 의미

        이혜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considers the 'Chujon' process of Deokjong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Chujon,' Seongjong could set up the ancestral tablet of his biological father at Jongmyo Shrine, who was called 'Ui-Gyeong Seja' before and now called Deokjong. Seongjong was the first king in Joseon whose father didn't sit on the throne(Ipseungdaetong, 入承大統). It obscured the rule of royal succession from father to son. So the man who became a king from collateral branches had to confer a title of king on his biological father to solve this problem. 'Chujon' is a kind of political action contains specific intention, to obtain one's royal authority. 'Chujon' of Deokjong was executed in the early years of Seongjong's reign when Queen Jeonghui ruled as regent(sooryeomcheongjeong, regency behind the veil). It contains some steps of discussion; 'Chujon' at the local level, international recognition and setting ancestral tablet up at Jongmyo Shrine. The first step was a 'Chujon' at the local level. After considerable debate, Seongjong's biological father, 'Ui-Gyeong Seja' was raised on 'Ui-Gyeong Wang.' In the light of clan rules(Jongbeop), their relationship was redefined as uncle and nephew. The Second step was international recognition. Madam Han, the concubine of Xuande Emperor(Seondeok Emperor) at Ming first raised this issue. She is a maternal relative of Seongjong, so it means 'Chujon' is a staple way to establish prestige of King and his biological mother, Queen Insoo. Some of his subjects opposed it, but he fulfilled under the approval of Shin Suk-Ju, an authority of the time. Ui-Gyeong Wang's posthumous name is 'Hoegan'. The Third step was setting ancestral tablet up at Jongmyo Shrine(Bumyo, 祔廟). Despite the opposition, Seongjong push ahead with it. With the support of Queen Jeonghui, he honored his father as a Deokjong and enshrined him at Jongmyo. There are three meaning in 'Chujon' of Deokjong. One, it becomes a precedent for posterior kings. Another, it strengthens royal authority reinforcing the power of Seongjong and Queen Insoo. In connection with it, the fact that enshrinement at Jongmyo and stepping down of Queen Jeonghui happened at the same time has the significant implication. The other, It shows a general tendency about ritual. When considering the result, this event indicates that there is no fierce confrontation on formality in early Joseon. 본고는 조선 제9대 국왕인 성종이 사친 의경세자를 덕종으로 추존하여 종묘에까지 부묘한 과정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검토한 글이다. 성종은 조선왕조에서 최초로 숙부인 예종의 뒤를 잇는 입승대통(入承大統)한 국왕이었다. 역사 상 입승대통은 왕위 계승상의 정통(正統)과 사친(私親)의 불일치를 만들어냈다. 그리하여 방계(傍系)로 계승한 국왕들은 필연적으로 사친을 추존하려는 전례 논쟁을 겪어왔다. 사친 추존은 추존하려는 쪽의 특정 의도와 이해관계가 반영된 정치적 사건이었다. 조선에서 성종도 마찬가지였다. 정통으로 이어지는 의리 상 아버지는 예종(睿宗)이었으나, 성종은 자신의 사친인 의경세자(懿敬世子)를 국왕으로 추존하고자 하였다. 이 사건은 입승대통한 성종의 국왕권 확보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정치적 사안이었다. 덕종 추존은 성종 초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기(성종 즉위년~성종 7년)에 3단계 논의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1단계는 국내 차원의 추존으로, 대신들의 논의를 거쳐 의경세자를 의경왕(懿敬王)으로 추존하였다. 이때 추존된 의경왕과 성종의 관계는 종법에 맞게 숙부-조카 관계로 설정하였다. 추존은 하되, 실제 부자(父子)인 두 사람의 관계를 종법에 맞게 설정한 것은 ‘예(禮)’의 규범적 측면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2단계는 국외 차원의 추존으로, 의경왕 추존을 명 황실에 알려 시호를 청하자는 추봉 주청 논의였다. 논의의 발의는 성종의 외척세력이었던 명 황제의 후궁 공신부인 한씨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는 이 사건이 성종의 친모인 인수왕비의 위상 강화와도 밀접히 연결됨을 보여준다. 추봉 주청에 대해서 일부 원상들과 예문관은 예문(禮文) 상의 불가를 들어 반대하였다. 그러나 예제 권위자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던 신숙주가 왕실의 의도에 따라 찬성하면서 명에 의경왕의 시호를 요청할 수 있었다. 의경왕의 시호는 ‘회간(懷簡)’이었다. 3단계는 회간대왕을 종묘에 부묘(祔廟)하려는 논의였다. 부묘 논의에는 총 156명의 신료들이 참여하였다. 부묘를 추진하기에 유리한 상황을 만들기 위한 성종의 전략적 계획이었다. 부묘론은 찬반으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특히 이때 원상과 대간, 예문관이 모두 부묘에 대해 반대하였으나, 성종은 자신의 의지대로 부묘를 추진해 나갔다. 결국 성종은 수렴청정하는 정희왕후의 지원 하에 생부(生父) 회간대왕을 ‘덕종(德宗)’으로 올려 종묘에 부묘하였다. 성종 즉위 초 국왕권 확보와 관련하여 중대한 사안이었던 덕종 추존과 부묘 사건은 크게 3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 번째는 조선왕조에서 발생한 최초의 사친 추존으로 이후 국왕들이 사친을 추존할 때 전례가 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정치적 의미이다. 덕종의 추존은 성종의 친모인 인수왕대비의 위상을 높이고 그 연장선상에서 성종의 국왕권을 강화하고자 시작되었다. 덕종의 부묘와 동시에 정희왕후가 철렴(撤簾)을 선언하는 모습은 이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 번째는 예제적 의미이다. 6여 년의 논의 과정의 핵심은 국왕의 사친에 대하여 예(禮)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이었다. 이에 대하여 고례(古禮)에 의한 예의 규범적 적용을 중시한 측과 인정(人情)에 따른 예의 현실적 적용을 중시한 측이 대립하였다. 결과는 양자를 절충하는 것이었다. 이 사건은 아직까지 예법에 있어서 치열한 대립이 나타나지 않았던 조선 초기의 시대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 바벨컬 운동시 운동부하 형태 차이가 혈중젖산농도와 근둘레 및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load difference on blood latate concentration, circumference of upper limb and forearm, DOMS. The subjects selected eight 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had 12 months or more of their resistance. The test was carried out after measuring the barbell 1RM. The type of exercise load was the muscle endurance type (20RM × 5set, 1 minute rest between sets), muscle mass (10RM × 5set, 2 minutes rest between sets), maximum muscle type (5RM × 5set, rest interval 3 minutes).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random order at intervals of 10 days.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measured after the exercise was stabiliz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5 minutes, and 30 minutes, and the arm circumference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exercising. Delayed spinal pain was measured by the VAS technique in the right arm, upper arm, upper arm, wrist, and wrist. VAS was measured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24 hours, 48 ​​hours, 60 hours, and 72 hours, respectivel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SPSS 22.0. Repeated two-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rm circumference, and delayed lumbar muscle pain during the barbell curl exercise load type (muscular endurance type, muscle mass type, maximal muscle type) and 5set exercise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petitive simple (first) method of contrast and post-comparison was simple (first) post-comparison. The usu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to .05.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1)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etween exercise type and condi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etween measurement time (p <.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etween the load type and the measurement time (p <.001).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between upper arm circumference and upper arm circumference (p <.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p <.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 arm circumference between exercise type conditio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 arm circumference between measurement time (p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the muscular pain VAS of the upper arm, upper arms, wrist bend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yalgia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 (p<.001).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of the endurance type decreased continuously after 5 minutes and after 30 minutes after exercise. The size of the fascia w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decreased to 5 minutes and then decreased. Maximum muscle type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decreased continuously after 5 minutes and 30 minutes.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s after the barbell curl were higher in the order of muscle endurance type, In the case of barbell curling, the values of arm circumference were higher in the order of muscle endurance type, muscle size, and maximum muscle strength. Delayed muscles showed more pain in the order of muscular endurance, oblique overhang, and maximal strength, and duration of pain was also long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uscle type with many repetition times has many muscle foci. 본 연구는 바벨컬 운동시 운동부하 형태 차이가 혈중젖산농도 근둘레 및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저항운동 경력 12개월 이상인 20대 남자 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바벨컬 1RM 측정 후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운동부하형태는 근지구력형(20RM×5set , 세트간휴식 1분), 근비대형(10RM×5set, 세트간휴식 2분), 최대근력형(5RM×5set, 세트간휴식 3분)으로 하였다. 모든 실험은 10일 간격으로 무작위 교차배분 하여 측정하였다. 혈중젖산농도는 안정시, 운동직후, 5분후, 30분후에 측정하였으며, 팔둘레는 우측의 위팔과 아래팔의 둘레를 안정시와 운동직후에 측정하였다. 지연성근통증은 VAS 기법으로 우측팔의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 손목굽힘근, 손목폄근을 측정하였다. VAS는 안정시, 운동직후, 24시간후, 48시간후, 60시간후, 72시간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바벨컬 운동부하형태(근지구력형, 근비대형, 최대근력형)와 5set 운동시 나타나는 혈중젖산농도, 팔둘레, 지연성근통증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이원분산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운동부하에 따른 혈중젖산농도, 둘레, 지연성근통증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을 경우 Contrast의 repeated과 simple(first) 방법으로 사후비교를 하였고, 시기에 따른 변인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을 경우에는 simple(first)로 사후비교를 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다. 첫째, 운동부하 형태 조건 간 혈중젖산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측정시기 간 혈중젖산농도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부하형태와 측정시기의 혈중젖산농도는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p<.001). 둘째, 운동부하 형태 조건 간 위팔 근둘레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측정시기 간 위팔 근둘레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p<.001). 운동부하 형태 조건 간 아래팔 근둘레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 간 아래팔 근둘레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부하 형태 조건 간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 손목굽힘근, 손목폄근의 근통증 VAS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측정시기 간 근통증 VAS 차이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상호작용도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p<.001). 운동부하형태와 측정시기에 따른 혈중젖산농도는 근지구력형은 운동직후, 5분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후 운동30분후에 감소하였다. 근비대형은 운동직후 증가하여 5분까지 유지 후 감소하였다. 최대근력형은 운동직후 증가였다가 5분, 30분후에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바벨컬 후 혈중젖산농도는 근지구력형, 근비대형, 최대근력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바벨컬 운동시 대체로 팔둘레의 수치는 근지구력형, 근비대형, 최대근력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연성근통은 근지구력형, 근비대형, 최대근력형 순으로 통증이 높게 나타나고, 통증지속시간도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반복횟수가 많은 운동형태가 많은 근피로를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음악치료사의 수퍼비전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부 및 대학원의 음악치료 학위과정을 거쳐 자격증을 취득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음악치료사의 수퍼비전 현황 및 실태에 관하여 알아본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의 자격 사항은 음악치료 학위과정을 통하여 음악치료 이론 및 임상 실습에 관한 요건을 충족한 후, 음악치료사 자격 시험에 응시하여 (사)전국음악치료사협회의 ‘음악중재전문가’또는 (사)한국음악치료학회의 ‘임상음악전문가(1급)’자격증을 취득 및 소지한 자이다. 본 연구는 (사)전국음악치료사협회, (사)한국음악치료학회의 메일 발송 협조를 받아 각 기관의 회원에게 설문 링크를 일괄 발송하였다. 메일 내 설문 링크 클릭 수를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총 137부가 발송되었으며, 회수된 99부 중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68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도구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응답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전문가 단계에서 수퍼비전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임상 및 치료기술(50명, 73.5%), 치료사 개인의 이슈(14명, 20.6%), 음악 기술(4명, 5.9%)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문가 단계의 수퍼비전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지속적 참여도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지속적 참여도에 따른 도움의 정도, 임상 경력에 따른 도움의 정도가 p=.05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수퍼비전 참여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퍼비전 활성화를 위한 제안의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윤리강령 내 음악치료사의 책무로 제시될 뿐 제도적 마련이 되어있지 않은 수퍼비전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survey of music therapists who obtained a certificate through a degree in music therap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status of the music therapist's Supervision. Qualifications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those who have met the requirements for music therapy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through a music therapy degree course, and have taken the music therapist qualification test to obtain and possess the Music Arbitration Specialist's Certificate of Music or Clinical Music Specialist's Certificate of Korean Music Therapists Association. This study sent a survey link to members of each institution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Therapists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Music Therapists. Based on the number of in-mail link clicks, a total of 137 copies were sent out, and 68 of the 99 recalled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non-response and insincere respondents. For the analysis tools, I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 tests, one-way ANOVA, and multi-response cross-analysis. At the expert level, clinical and therapeutic technologies(50, 73.5%), personal issues of therapists(14, 20.6%), and music technologies(4, 5.9%) were the areas most needed for Supervision. Items tha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a Supervision at the expert level showed significant levels in p=0.05, inclu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upervision based on the degree of continuous participation, the degree of help based on the degree of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the degree of assistance with clinical experience. In this study, I collected data on the status and status of music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Supervision and examined the opinions of suggestions for activationg the Supervision.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presents the basic data for the revitalization of Supervision, which is presented as the responsibility of music therapists in the code of ethics but is not institution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