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모의 과보호와 아동의 행동억제기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태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과보호,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정서조절곤란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32부를 제외한 531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로는 한국 과보호 양육 척도(K-POS), Carver와 White의 행동억제기질 척도를 김교헌과 김원식(2001)이 재수정한 척도, Gratz와 Roemer의 정서조절곤란 척도를 조용래(2007)가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개발한 한국형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문혜신과 오경자(2002)의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보호와 아동의 행동억제기질은 정서조절곤란, 사회불안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부모의 과보호와 아동의 행동억제기질 점수가 높아질수록 정서조절곤란과 사회불안 점수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구조관계에 대한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과보호에서 사회불안으로 가는 직접경로, 부모의 과보호가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사회불안으로 가는 간접경로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아동의 행동억제기질이 사회불안으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사회불안으로 가는 간접경로는 유의미 하였다. 섯째, 정서조절곤란은 부모의 과보호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반면,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로 다른 정서적 경로가 존재함을 드러냈다. 본 연구결과의 의미를 종합해보면, 아동기 사회불안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위험군을 사전 선별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였으며, 부모의 과보호가 야기하는 사회불안과 아동의 행동억제기질에 의해 유발된 사회불안에 대한 서로 다른 개입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태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Through this longitudinal study, it was analyzed by experiments that ROTC cadets’ security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formed. Also, this thesis is to verify that the cadets’ security consciousness will spread by their security consciousness affecting their classmates’, which means the confirmed security consciousness of the cadets as well as their classmates is higher than that of randomly sampled students. Considering the Korean peninsula’s security situation, our young students’ security consciousness is regarded as a core value responsible for our nation’s future existence. To determine the level of security consciousness of these young people and verify that the cadets’ security consciousness will spread, a hypothesis has been formulated based on the theory of 'political socialization' as follows: Hypothesis 1. ROTC’s discipline and training improves the cadets’ security consciousness: the sense of security of the district cadets. Hypothesis 2. The cadets’ security consciousness has an impact on their classmates. By using cross-analysis of the SPSS program and mainly ANOVA through formulat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was verified. Also, through the experiments, it was verified that ROTC cadets serve as a medium for political social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very significant and full of suggestions and will be provided as a reference related to setting the direction of security training and to advancement of ROTC.
측두하악관절의 초음파영상과 자기공명영상에서 하악과두 외측면과 관절낭간 거리 측정치 비교
무증상 성인의 측두하악관절에서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영상을 얻어 초음파영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영상에서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측두하악관절 내장을 진단할 때 초음파촬영술의 신뢰도와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두하악관절 내장의 임상증상이 없는 성인의 40개 측두하악관절에서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영상을 얻은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절원판 위치를 평가하였다. 관절원판 위치가 정상인 27개 측두하악관절의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영상에서 하악과두 외측면에서 관절낭간 거리를 측정하였고 측정치에 대한 관찰자내와 관찰자간의 재현성을 급간 상관계수와 측정오차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자기공명영상과 초음파영상의 측정치를 비교하였으며, 개구 와 폐구상태에서의 초음파영상 측정치도 비교하였다. 또한 관절원판 내방변위 측두하악관절에서의 측정치와도 비교하였다. 40개 측두하악관절에서 관절원판 정상위치가 27개 측두하악관절에서 관찰되었으며 관절원판이 변위된 13개 측두하악관절 중에서 내방변위는 4개 측두하악관절에서 관찰되었다. 개구와 폐구상태에서의 급간 상관계수가 관찰자내에서는 각각 0.89, 0.91, 관찰자간에서는 각각 0.92, 0.81이었고, 측정오차가 관찰자내에서는 각각 0.4 %, 0.5 %, 관찰자간에서는 각각 0.4 %, 0.7 %였다. 관절원판 정상위치 측두하악관절의 폐구상태에서 측정된 하악과두의 외측면에서 관절낭간 거리가 자기공명영상에서 2.0±0.7 mm, 초음파영상에서 1.8±0.5 mm였고 두 측정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개구상태 초음파영상에서의 측정치는 1.2±0.5 mm로 폐구상태보다 더 작았다(p<0.05). 관절원판이 내방변위된 측두하악관절에서 측정치는 폐구상태에서 1.3±0.3 mm, 개구상태에서 0.9±0.2 mm로 관절원판 정상위치인 측두하악관절에서보다 더 작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관절원판 정상위치인 측두하악관절의 하악과두 외측면에서 관절낭간 거리는 폐구상태와 개구상태에서 차이가 있었고, 관절원판이 내방변위된 경우와도 차이가 있었으므로 측정치의 재현성이 우수한 초음파영상은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진단에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arasagittal and paracoronal 1.5 T MR image and 7.5 MHz ultrasonograph were obtained of 40 temporomandibular joints in 20 asymptomatic volunteers. We investigated disc displacement using MR image and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lateral surface of mandibular condyle and the articular capsule using MR image and ultrasonograph.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measurement reliability was evaluated by using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easurement error. The distance measured on 27 ultrasonographs of the normal disc position temporomandibulat joint was compared with that measured on 27 MR images. Also, the distance measured on ultrasonograph was compared with according to open mouth position and disc position. The normal disc position was found in 27 of 40 asymptomatic joints. In 4 of 13 displacement were medial displacement. At the intraobserver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t the closed and open mouth position were 0.89, 0.91,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error was 0.4%, 0.5%, respectively. At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t the closed and open mouth position were 0.92, 0.81,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error was 0.4%, 0.7%, respectively. On 27 normal disc position temporomandibular joint, the distances between the lateral surface of mandibular condyle and the articular capsule measured on MR image and ultrasonograph were 2.0±0.7 mm, 1.8±0.5 mm, respectively (p<0.05). On the ultrasonograph, the distances at the closed and open mouth position were 1.8±0.5 mm, 1.2±0.5 mm, respectively (p<0.05). At the medially displaced disc temporomandibular joint, the distances at the closed and open mouth position were 1.3±0.3 mm, 0.9±0.2 mm, respectively. It reveals narrowing of this distance at the medially displaced disc (p<0.05). The results suggest ultrasonograph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s a reliable imaging technique for assessment of normal disc position.
프로이트부터 클라인까지 정신분석사에서 상징 개념에 관하여 : 프로이트의 상징 개념의 용례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프로이트부터 클라인까지의 고전 정신분석사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정신분석의 상징 개념과 용례의 변천 및 발전 과정을 다룬다. 고전 정신분석에서 상징과 그 해석은 정신분석의 초석이자 중핵일 뿐 아니라 정신분석 자체의 존립과 여타 학문들 간의 상호 관계에 있어서 중심적인 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석에서 상징에 대해 논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상징 개념을 분석가들마다 이론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 분석가 내에서도 여러 층위의 다른 의미들을 동시에 지시하거나, 명확한 규정이나 설명 없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전 정신분석 내에서의 상징에 대한 논의는 상징 개념의 용례에 대한 엄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통시적인 관점에서 고전 정신분석의 ‘상징’ 개념의 용례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가들 간의 개념적 차이를 비교한다. 단원별로 각 정신분석가들의 이론적인 발달 과정을 소개하고, 그것을 토대로 ‘상징’의 이론적 의미와 ‘상징’ 용례의 변천사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또한 본 논문이 정신분석가들 간의 상징 · 예술 · 승화 개념을 비교 · 분석하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의 연구에 포함된 고전 정신분석가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 오토 랑크(Otto Rank) · 어니스트 존스(Ernst Jones) ·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그리고 보론에 수록된 자크 라캉(Jacques Lacan)이며, 특히 본 논문은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프로이트의 상징 개념을 다루는 데 가장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nsition and development of ‘symbol’ concepts and usages in classical psychoanalysis, by limiting the scope of the study from Sigmund Freud to Melanie Klein. In classical psychoanalysis, symbolism and its interpretation are not only the cornerstone and core of psychoanalysis, but also a central theme in the existence of psychoanalysis itself and in the interrelationships of other discipline.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cuss concepts and usages of symbol in psychoanalysis. Because not only are the symbol concepts used differently by theoretical positions of analyst, but they are also used by each analyst, without having to specify different meanings or without definitions or explanations. For this reason, the discussion of ‘symbol’ within classical psychoanalysis calls for precise research on the usages of ‘symbol’ concepts. According to the request, this study categorizes the usages of the concepts of 'symbol' in classical psychoanalysis diachronically. And based on that, it compares conceptual differences among analysts. Each chapter introduces the theoretical development process of psychoanalysts, and traces the theoretical meaning of 'symbol' and the history of the usages of 'symbol'. This process also leads to the work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of ‘symbol’, ‘art’, and ‘sublimation’ among the psychoanalysts. This study includes the classical psychoanalysts Sigmund Freud, Carl Gustav Jung, Otto Rank, Ernst Jones, Melanie Klein, and Jacques Lacan, which just contains in the epilogue. In particular, it devotes the most space to dealing with the ‘symbol’ concepts of Sigmund Freud, who is the founder of psychoanalysis.
나선형 단층방사선사진촬영에서 촬영조건이악골단면상의 높이, 폭 및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하악 대구치부에서 나선형 단층방사선사진촬영을 시행하여 방사선 조사방향, 상층 두께, 하악 하연 기울기 변화에 따른 악골 단면상의 높이와 폭의 차이 및 하악관, 치조정, 협면, 설면의 인지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의 상태가 양호한 무치악 또는 부분 무치악 건조 하악골을 사용하였다. Scanora 나선형 단층방사선사진촬영장치 (Soredex/Orion Co., Helsinki, Finland)를 이용하여 악골에 대한 2가지 방사선 조사방향, 3가지 상층 두께, 3가지 하악 하연 기울기 변화를 주어 단층방사선사진촬영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촬영하여 얻은 단층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골의 높이와 폭을 계측하고 치조정, 하악관, 협면, 설면의 인지도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방사선 조사방향 변화에 따른 악골 단면상의 높이는 차이가 없었으나 폭은 maxillotangential 군이 dentotangential 군보다 더 넓었다(p<0.05). 치조정과 하악관의 인지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협면과 설면의 인지도는maxillotangential 군이 dentotangential 군보다 더 높았다 (p<0.05). 상층 두께 변화에 따른 악골 단면상의 높이와 폭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조정과 하악관의 인지도는 상층 두께의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협면과 설면의 인지도는 상층 두께가 얇아질수록 높아졌다 (p<0.05). 하악 하연 기울기 변화에 따른 악골 단면상의 높이와 폭은 0도 군과 +10도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10도 군에서 가장 길었으며 (p<0.05) 가장 좁았다 (p<0.05). 치조정의 인지도는 +10도 군에서 가장 높았고 하악관의 인지도는 0도 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협면의 인지도는 +10도 군에서 가장 높았다(p<0.05). 설면의 인지도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하악 대구치부의 임플란트 치료계획을 위한 나선형 단층방사선사진촬영을 할때 하악 하연에 수직이 되는 단면상을 얻고 하악관과 치조정 및 악골외형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술자는 환자의 머리위치를 하악 하연이 수평이 되도록 정확하게 유지시켜야 하며 경사되거나 불규칙한 외형을 가진 구조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층 두께를 얇게 선택하여 촬영하는 것을 추천하는바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lauate the difference of bone height, bone width and visibility on posterior spiral tomographic image by different conditiones which were made directions, image layer thicknesses, inclinations of mandibular inferior border. Six partially and completely edentulous dry mandibles were radiographed using Scanora spiral tomography. Spiral tomography was performed at the different exposure direction ( dentotangential and maxillotangential projection ), image layer thicknesse ( 2 mm, 4 mm and 8 mm ), inclination of mandibular border ( +10°, 0° and -10° ). The bone height and width were measured on selected tomographic images. The visibility of crestal bone, mandbular canal, buccal surface and lingual surface were graded as 0, 1, 2. On the tomographic images by different exposure direction, the bone width of maxillotangential projection was wider than that of dentotangential projection(p<0.05). The visibility of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maxillotangential proje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dentotangential projection(p<0.05). The bone height and visibility of alveolar crest and mandibular cana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omographic images by different image layer thickness, the bone height and widt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mage layer thickness was thinner, the visibility of buccal and lingual surface was higher(p<0.05). On the tomographic images by different inclination of inferior border, the bone height in the -10° group was the longest, the bone width in the same group was the narrowest(p<0.05). The visibility of alveolar crest and buccal surface in the +10° group was the highest and that of mandibular canal in the 0° group was the highest. As spiral tomography was performed at the mandibular posterior portion for implant installation, it was important that the inferior border of mandible should be positioned as parallel as possible to the floor. Also for improvement of visibility of angulated anatomical borders to the inferior border of mandible, we recommened that spiral tomography selectively performed with thin image layer thickness.
Surjective theory for retarded semilinear control systems
이 논문에서는 지연 준선형 방정식에 대한 제어 가능 문제를 전사이론에 기초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연구함의 목적은 자연과학, 경제학, 공학 등 많은 분야에서 현재의 상태 뿐만 아니라 과거의 상태에도 의존하는 수학적 모델로 나타나는 체계의 제어 가능성을 다루는 것으로, 초기치의 상태로부터 임의의 상태에서 제어 가능한가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Fredholm altnernative 이론과 유사한 전사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 제한된 가정하에서 다루었다. 작용소 T는 odd (K,L,α)-homeomorphism 이고, 작용소 F 는 odd strong continuous 하며, b-quasi-homogeneous 일 때, λT(x)-F(x)=y 는 전사함수임을 알게 된다. 이를 전사 이론에 근거하여 제어 가능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Fredholm alternative 이론과 유사한 전사이론을 소개한다. 작용소 의 (K,L,α)-homeomorphism을 정의하고, 작용소 F 의 b-quasi-homogeneous를 정의한다. 3장에서는 몇 가지 예비 이론과 비선형항이 없는 방정식의 해의 초기치에 대한 정칙성과 연속성을 소개한다. 4장에서는 비선형항을 포함한 방정식의 정칙성을 다루고, 초기치와 컨트롤 항으로부터 방정식의 해로의 사상이 연속임을 알아내었다. 5장에서는 컨트롤 항의 충분한 조건 아래 앞의 이론을 바탕으로 제어 가능성을 증명하고, 예를 소개하며 마친다. 이 논문에서 다룬 방정식 외 다른 미분방정식의 제어 가능 문제도 생각해보았고, 이 부분에서의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Bulk Heterojunction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Fabricated with π-conjugated Star-Shaped Molecules
We synthesized the p-type materials π-conjugated star-shaped molecules and n-type material soluble perylene diimide derivative. The properties of synthesized materials were measured by UV-visible and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y, cyclic voltammetry (CV) and thermal properties. We fabricated bulk heterojunction Organic photovoltaic device whose configuration is ITO/PEDOT:PSS (30 nm)/4(HPBT)-benzene : [6,6]-phenyl C61 butyric acid methyl ester (PCBM) (150 nm)/LiF (0.8 nm)/Al (150 nm). The device performances of a solar cell were characterized under AM 1.5 illumination at 100 mW/cm2.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0.43% under AM 1.5 (100 mW/cm2) with a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Jsc) of 3.21 mA/cm2, an open circuit voltage (Voc) of 0.42 V, and a fill factor (FF) of 0.31 have been achieved with 1 : 0.6 ratio of 4(HPBT)-benzene : PCBM after annealing at 120℃ for 10 min. We also fabricated the PV devices after doping poly(3-hexylthiophene) (P3HT) into 4(HPBT)-benzene and characterized their device properties.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0.59% under AM 1.5 (100 mW/cm2) with a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Jsc) of 3.51 mA/cm2, an open circuit voltage (Voc) of 0.54 V, and a fill factor (FF) of 0.31 have been achieved with 1 : 0.2 : 0.6 ratio of 4(HPBT)-benzene : P3HT : PCBM after annealing at 120℃ for 10 min. It implies that doping P3HT improves the nanophase separation of two semiconducting molecules and facilitated the exciton diffusion in the device. Presumably, the electron separation was helped by the cascade type energy levels with P3HT and 4(HPBT)-benzene.
이태완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최근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변혁이라고 하면 사회의 정보화와 함께 비정부 조직의 눈부신 발전이라고 할 것이다. 특히 6.29선언 이후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NGO의 활동은 증대되고 있으며 환경ㆍ인권ㆍ복지 분야 등 국가의 공공정책에 대한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이제는 우리사회에서 NGO가 없는 공공정책은 생각 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렇게 증대된 NGO의 영향력은 다른 분야의 국가정책과 마찬가지로 불가침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국방정책과 관련된 문제에서도 확대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국방 분야의 정책도 NGO의 활동을 완전히 배제하고는 무리 없이 추진하기가 힘들어 질 것이다. 따라서 본연구서에서는 국방정책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국방관련 NGO들의 영향력과 활동을 분석 해 보고, 이들을 이해시켜 국방정책의 협력자로 만들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방관련 NGO의 영향력은 시민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사회에서 중심세력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영향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들은 긍정적 측면에서 기존 시각과는 다른 이른바, 진보적 시각에서 국방을 바라봄으로써, ‘정부의 대북 평화노력 지지’와 같은 국방정책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였으며, F-X사업, SOFA 협상, 주한미군 공해 문제 등의 국방관련 대외 협상에 있어서도 한국의 협상력을 제고시키는 동기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영향으로서는 검증되지 않은 급진적 주장을 통해 군의 안정적 운영을 저해하고 있다. 즉, 군사력 건설에 있어서 평화와 이상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국방비 축소, 주한미군 주둔에 대한 반미 운동을 통한 국민의 반미감정 조장 등은 장기적으로 한반도의 불안정을 초래 할 것이며, 자라나는 젊은 세대들에게도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NGO의 활동은 군사정책분야, 주한미군 관련분야, 국방관리 및 국방행정 분야, 인권관련 분야, 북한 관련분야 등 각 분야에 걸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극히 제한적인 단체들만이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국방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NGO는 드물며, 종합 NGO안에 국방 분과를 따로 두는 곳도 거의 없다. 하지만 국방 분야의 정보공개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게 되면 앞으로 이들의 활동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국방정책에 대한 NGO의 개입정도는 정확히 선을 그어 설명할 수는 없으나, 국방비 증액 반대 활동, 이라크 파병 반대, F-X사업 관련 활동 등을 통해 이슈생산자, 정보제공자, 대안 제시자, 감시자, 봉사자 등의 역할을 하면서, 국가 정책결정 기구들로 하여금 눈치를 보게 하거나, 한 걸음 물러서게 하는 등 분명한 개입을 하고 있다. 따라서 NGO를 어떻게 친군화(親軍化) 시키느냐에 따라 국방정책을 추구함에 있어 원활한 추진을 보장받는 한편, 군이 고려하지 못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획득과 더불어, 대국민 홍보효과도 가져올 수 있는 투자 가치가 매우 높은 사안이다. 그러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안보의식을 확산시키고, 국방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견제형 시민단체에 대한 적대적 시각을 불식할 필요가 있다. 국민의 군대는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 국민들의 시각과 이해관계를 모두 존중하면서 국가안보를 국민과 함께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군에 대한 비판 세력을 포용할 필요가 있으며 친군 관변단체에 대한 지나친 편애와 지원 및 비판적 NGO에 대한 적대주의와 기피주의를 함께 지양해야 한다. 둘째, NGO를 정책개발 및 대외협상용 지렛대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골치 아픈 주장과 요구를 제시하는 견제형 NGO도 경우에 따라서는 군의 위상 강화와 국익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정책개발 및 대외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국방부에 협력적인 NGO와의 기존 협조체제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이들 단체를 통해 안보의식을 확산시키고, 국방정책 추진과정에서 군 외 지원세력으로 활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안보/국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비판적 NGO의 주장에 대해서는 안보/국방을 중시하는 협조적 NGO를 적절히 활용하여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중립형으로 보여지는 국방관련 NGO의 경우 대부분 학술단체이기 때문에 대외적으로는 중립형이지만 회원들의 대다수는 친군 성향의 학자와 연구원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술단체를 적극적으로 지원/육성하고, 우호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안보 및 국방정책에 대한 긍정적 여론을 형성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활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들을 친군화하고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 군이 NGO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탈피하지 않고서는 이루어질 수가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국민과 함께하는 신뢰받는 군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이들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포용하고 잘 설득시켜 국방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방의 협력자로서 같이 갈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