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남한강 보 주변 표층 퇴적물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에 관한 기초 연구 : PAHs, OCPs, PCBs를 중심으로

        이지환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2009, the Four Major River Project was carried out on a large scale, and three weirs constructed in the basin of the Namhan river. Cities including Chungju, Yeoju and Yangpyeong and agricultural areas spread widely near the Namhan river. Therefore, a large amount of industrial, domestic and agricultural waste water is flowing into it. The influx of such various toxic substances pollutes the aquatic ecosystem and the sediments on the river bed, leading to the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including the aquatic environment. Seriousness of the problems including eutrophication such as algal bloom and the mass stranding of fish is arising in the stagnating water near the weir. The information on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iver bed sediments may reveal not only the pollution situation of the basin but also the tracing of pollutant source or the extent and progress of pollution from the past to date, which therefo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search of river pollution. Thus, in this study, a total of nine spots around the Gangcheon weir, Yeoju weir and Ipo weir on the Namhan river water system, a representative river in Korea, were selected, and 16 polyaromatic hydrocarbons (PAHs), organic chlorinated pesticides (OCP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llution level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toxic to the ecosystem and human body after the Four Major River Project. In the river surface sediments, the concentrations of 16 PAHs were determined at the minimum of 58.31 μg/kg-dw and the maximum of 268.34 μg/kg-dw (average 121.66μg/kg-dw), the concentrations of OCPs at the minimum of null and the maximum of 4.41 μg/kg-dw (average 0.57 μg/kg-dw). The analysis of PCBs showed the concentration at the minimum 80.39 μg/kg-dw and the maximum 594.70 μg/kg-dw (average 256.01 μg/kg-dw). PAHs and PCBs were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in the sediments S1∼S3 from the upstream spots of Gangcheon weir, and at the next high level in S8∼S9 from the downstream spots of Ipo weir. Among persistent pollutants in the Namhamn river, phenanthrene, naphthalene, fluoranthene and pyrene were the most common of PAHs in the surface sediments, and the most common PCBs were tri-CBs, tetra-CBs and penta-CBs, showing similar isomeric patterns. Although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 for domestic rivers specifies nutrient salts and heavy metals, it has not presented any criterion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yet. The level of pollutants in our data was shown to meet the criteria of the sediment control suggested by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except PCBs. However, if compar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in other domestic rivers, the concentration near the upstream of Gangcheon weir was at higher level. Studies on the pollution by PAHs, OCPs and PCBs in the river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weirs are rare. Thus, in order to address such paucity of the data for the changes in sediment pollution after the construction at the downstream of the Namhan river, we aimed to present these as basic data to set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plans. 2009년 4대강 정비 사업이 대대적으로 진행되어 남한강 유역에 3개의 보를 설치되었다. 남한강은 충주시, 여주시, 양평시 등 인근에 도시들과 농업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산업폐수와 생활하수, 농업폐수는 물로 다량이 남한강으로 유입되고 있다. 유입되는 다양한 유해물질들로 수중생태계 및 하상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오염시켜 수중환경을 비롯한 생활환경에 변화를 가져온다. 정체된 보 주변 수역에서 녹조와 같이 부영양화 등과 어류의 집단폐사 등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상 퇴적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관한 정보는 그 유역 오염의 상황뿐만 아니라 오염원의 추적이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오염의 정도와 진행을 밝혀 낼 수 있어 하천오염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남한강 수계의 보 설치 지역인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를 주변 총 9개지점을 선정하였으며, 4대강 사업 이후 생태계 및 인체에 유해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오염수준을 판단하고자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16종, 유기 염소계 농약(OCPs), 다염화바이페닐(PCBs)을 분석하였다. 하천의 표면 퇴적물을 대상으로 16종의 PAHs류는 최소 58.31μg/kg-dw 최대 268.34μg/kg-dw(평균 121.66μg/kg-dw)의 농도로 검출 되었고, OCPs의 농도는 불검출에서 최대 4.41μg/kg-dw(평균 0.57μg/kg-dw)의 농도로 검출 되었다. PCBs의 분석결과 최소 80.39μg/kg-dw에서 최대 594.70μg/kg-dw(평균 256.01μg/kg-dw)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강천보 상류 지점 퇴적물 S1∼S3에서 PAHs, PCBs 농도가 가장 높게 검출 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포보 하류지점 S8∼S9에서는 높게 검출 되었다. 남한강의 잔류오염물질 중 표층 퇴적물의 PAHs는 Phenanthrene, Naphthalene, Fluoranthene, Pyrene.의 성분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PCBs는 Tri-CBs, Tetra-CBs, Penta-CBs의 검출되어 비슷한 이성질체 패턴을 보였다. 국내 하천의 퇴적물 가이드라인(sediment quality guideline)은 영양염류 및 중금속은 제시되어 있지만,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의 기준은 아직 제시되어있지 않았다. 미국 해양 대기청(NOAA)에서 제시하는 퇴적물의 관리기준은 PCBs를 제외하고는 만족하는 수준이였지만, 국내 강의 퇴적물 오염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강천보 상류 주변 퇴적물의 오염농도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보 설치이후 하천의 퇴적물의 PAHs, OCPs, PCBs 오염에 관한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남한강 하류의 보설치 이후 퇴적물 오염 변화의 자료가 미흡함에 따라 관리 및 처리 방안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제시 하고자 하였다.

      • 사용 맥락 개념을 이용한 군수품의 설계 및 사용성 평가 방법 개발 : 한국형 육군 군장 배낭 및 잠수함 다기능 콘솔에 대한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지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군의 군수품 개발 및 획득 절차를 ISO 9241-210에 제시된 인간 중심 설계 개념과 군수품의 사용 맥락을 반영하여 개선하였다. 또한, 개선된 군수품 개발 및 획득 절차에 따라, 군수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사용성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군수품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측면의 설계 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군장 배낭과 장보고급 잠수함의 다기능 콘솔이 사례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사용자 관찰 및 의견 수렴을 통해 각 군수품의 사용 맥락이 추출되었다. 또한, 추출된 사용 맥락을 기반으로 사용성 평가 도구 (사용성 평가 설문, 사용성 검증 실험)를 개발하였으며, 사용성 평가 도구를 통해 사용자 시각에서 보다 현실적인 군수품의 개선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사용성 평가를 통해 현재 한국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군수품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가 사용자의 인체 크기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군수품의 규격을 설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인체 크기와 군수품의 설계 규격 사이의 부적합 문제를 해결하고 군수품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부적합 제약식을 고안하였으며, 부적합률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알고리즘 접근법을 적용하여 군수품의 신규 규격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결과는 군수품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실질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군수품 개발과정에 사용자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군수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체 크기와 군수품 규격 간 부적합률을 최소화 시켜, 사용자의 물리적 피로와 부담 완화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향후 다양한 군수품의 규격 선정을 위한 새로운 지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military supplies of the Korean military were improved by reflecting the concept of ‘context of use’ and human-centered design presented in ISO 9241-210. In addition, practical and quantitative methods for evaluating and diagnosing the usability of military supplies we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d procedures, and specific design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usability of military supplies were suggested. For this study, the multi-function console of Jang Bogo-class submarine and the military backpack of Korean Arm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case study, and the context of use of each subject was extract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actual users. Based on the extracted context of use, a usability evaluation tool (usability questionnaire, usability verification experiments) for each military supply was developed, and more practical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military supplies could be identifi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using the developed usability evaluation tool.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ith military supplies currently used by the South Korean military was to determine the specification of military supplies without properly considering the body size characteristics of users. Therefore, the mismatch equation for each design variable was devised using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a new specification system using an algorithm approach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mismatch between the user's body size and the design specification of military supplies. The methodology and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practical means of evaluating the usability of military supplies, and by more actively reflecting users' opinions in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military supplies, they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users' satisfaction with military supplies.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mismatch between user’s body size and military supply specifications, physical fatigue and burden of users will be mitigated, and could also be used as a new guideline for the specification of military supplies in the future.

      • 전기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함유 폐수처리 연구

        이지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용성 산화전극을 활용한 전기분해 공정으로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었으나 실제 고농도의 산업폐수를 이용한 연구는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 세정공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한 폐수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A업체의 시료를 가지고 전기분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먼저 배치타입 전기분해장치로 불용성 산화 전극 중 RuO 2 /Ti, IrO 2 / Ti, Pt/Ti을 사용하여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효율 테스트를 진행하였 고, 그 결과를 통해 Ir/Ru 로딩량을 달리하여 제거효율 평가를 실시하였 다. 그리고 가장 좋은 효율을 보인 전극을 이용하여 순환형 전기분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배치형태의 테스트가 대부 분이며 적정 운전조건이 명확히 설정된 순환형 공정을 이용한 산업폐수 전기분해 테스트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순환형 전기분해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가 폐수처리시설에 유입될 때 배출허용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80 % 제거율을 목표로 설정하여 다양한 운전조건에서의 제거효율을 알아보았다. 첫 번째로 초기 염소이온 농도를 1,500 ̴ 6,000 mg/L 의 범위에서 테스 트를 진행하여 NaCl 최적 주입농도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순환유량을 0.25 ̴ 1.5 L/min 의 범위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여 일정량 이상의 유량에 서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순환유량과 무관하게 제거됨을 알수 있었다. 세 번째로 전류밀도를 20 ̴ 50 mA/㎠ 의 범위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여 인가 전류를 높일수록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디스플레이 세정공정 폐수 내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를 80 % 이상 제거하기 위한 순환형 전기분해 시스템의 최적조건은 염소이온 농도 4,500 mg/L, 순환유량 0.5 L/min, 전류밀도 50 mA/㎠, 운전시간 30분일 때였다.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moval of ammonia nitrogen by an electrolysis process using insoluble anode. However, studies using high concentration industrial wastewater we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an electrolysis test was conducted with a sample from Company A, which is having difficulty in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ogen generated in the display cleaning process. First, a high concentration ammonia nitrogen removal efficiency test was performed using RuO 2 /Ti, IrO 2 / Ti, Pt/Ti among insoluble anode with a batch type electrolysis device. Through the results, the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by varying the Ir/Ru loading amount. And a circulation type electrolysis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the electrode showing the best efficiency. In particular, in the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tests were batch type tests, and there were hardly any industrial wastewater electrolysis tests using a circulation type process in which proper operating conditions were clearly set.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y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was investigated by setting the target of 80 % removal rat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exceed the emission limit when high concentration ammonia nitrogen flows into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by applying the circulation type electrolysis system. First, the initial chlorine concentration was tested in the range of 1,500 ̴ 6,000 mg/L to confirm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aCl injection. Second, the circulating flow rate was tested in the range of 0.25 ̴ 1.5 L/min, and it was found that ammonia nitrogen was removed regardless of the circulating flow rate at a flow rate above a certain amount. Third, the current density was tested in the range of 20 ̴ 50 m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monia nitrogen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s the applied current increas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circulation type electrolysis system to remove 80 % or more of high concentration ammonia nitrogen in wastewater of display cleaning process are initial chlorine concentration of 4,500 mg/L, circulating flow rate of 0.5 L/min, current density of 50 mA/㎠, and operating time of 30 minute.

      • 라이프니츠의 철학에서 물체의 문제 : 실재론과 관념론 논쟁을 중심으로

        이지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라이프니츠의 철학에 대한 물질 관념론적 해석과 물질 실재론적 해석 각각의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관념과 실재라는 두 범주적 개념을 가지고서 물체를 둘 중 하나로 환원하여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필자는 그의 철학에서 물체가 이러한 범주적 개념으로 완전히 환원되어 설명될 수 없는 특성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를 밝히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탐구를 진행해나갈 것이다. 첫째, 2장에서 필자는 물질 실재론과 물질 관념론의 논쟁의 쟁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물체에 관한 라이프니츠의 서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현상 테제는 물체가 단순히 현상에 불과하다는 주장으로, 이 테제에 주목하는 이들은 물질 관념론자다. 다음으로 집합 테제는 물체를 특정한 모나드들의 집합체와 관계시켜 서술하는 것으로, 이 테제에 주목하는 이들은 물질 실재론자이다. 그들은 각각의 서술에 주목하여 관념론과 실재론을 정당화하고 있다. 필자는 라이프니츠의 실체론과 예정조화의 원리에 근거하여 이러한 해석들이 그의 물체 개념을 충족적으로 설명하는지를 검토해 볼 것이다. 둘째, 3장에서 필자는 라이프니츠의 실체론을 중점적으로 탐구할 것이다. 그의 실체론에 따르면, 모나드는 단순해야 하며, 지각과 욕구를 본질로 가진다. 그리고 이로 인해, 물체는 현상에 불과하며, 모든 지각은 인식주관에 근거한다. 이러한 실체론의 귀결은 인식주관 내부의 관념은 그 인식주관에 의존한다는 관념론의 주장과 일치한다. 하지만 그의 실체론만을 근거로 하여 그의 철학을 관념론으로 결론내리는 것은 성급한 일이다. 그는 예정조화를 통해 현상과 실재의 관계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의 논의는 예정조화에 대한 고찰로 넘어갈 것이다. 셋째, 4장에서 필자는 라이프니츠의 예정조화의 원리를 분석할 것이다. 신의 예정조화는 현상들이 실재들을 표현하도록 하며, 실재들에 토대하도록 만든다. 즉 신의 예정조화에 의해 현상과 실재들은 표현 관계 또는 토대 관계를 지닌다. 이때 둘 사이의 관계가 성립하는 이유는 신의 예정조화에 있다. 이러한 예정조화 분석을 통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두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첫째로, 예정조화로 인해 성립하는 현상과 실재의 관계는 관념론의 주장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관념론적 해석은 라이프니츠의 물체 개념을 충족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다. 둘째로, 비록 예정조화로 인해 현상과 실재 사이의 관계가 성립한다고 하더라도, 그 관계는 통상의 실재론에서 말하는 관계와는 다르기 때문에, 그를 물질 실재론으로 규정하기는 힘들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예정조화에 의한 현상과 실재의 관계는 외재적인 관계인데 비해, 통상의 실재론에서 말하는 관계는 내재적 관계이다. 끝으로, 5장에서는 위의 논의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것이다. 라이프니츠의 철학에 대한 물질 관념론적 해석과 물질 실재론적 해석 모두 설명적 한계를 지닌다. 필자는 이를 근거로 그의 철학에 대한 범주적 도식을 통한 외재적 접근이 그의 철학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그의 철학을 관념론 아니면 실재론으로 해석할 것을 요구하는 문제 설정 자체에 대해 반성하는 것으로 글을 마치고자 한다.

      • 시각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박 내 Dangerous Zone 공간 인식 자동화 및 검토 기술 지원

        이지환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선박 3D뷰어 화면에서 Opening 장비를 인식하고 장비와 Dangerous Zone간의 위치를 비교하여 간섭 여부를 판단, 사용자에게 결과를 출력하여 설계 검토를 지원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선박 모델 내 Opening장비를 인식하기 위해 시각 인식 모델 중 하나인 YOLO(You Only Look Once)를 사용하였다. YOLO를 통해 장비가 인식되면 해당 장비의 클래스와 위치 좌표가 출력된다. 선박의 Dangerous Zone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NAPA데이터를 사용하였다. NAPA 데이터 내 Dangerous Zone 구역의 좌표 정보를 불러와 모델을 생성하도록 하였다. 인식된 Opening장비와 생성된 Dangerous Zone과의 위치를 비교하여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지 검사한다. 검사를 통해 간섭이 발생한 장비에 대해서 장비명과 간섭 위치를 설계자에게 안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opening equipment on the ship's 3D viewer screen, compares the location between the equipment and the Dangerous Zone to determine interference, and proposes a technology that supports design review by outputting results to users. You Only Look Once (YOLO), one of the visual recognition models, was used to recognize the opening equipment in the ship model. When the equipment is recognized through YOLO, the class and location coordinates of the equipment are output. NAPA data was used to create the ship's Dangerous Zone area.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Zone area in the NAPA data was retrieved to generate a model. The locations of the recognized Opening equipment and the generated Dangerous Zone are compared to check whether interference occurs with each other. A system was established to guide the name of the equipment and the location of interference to the designer for the equipment where interference occurred through inspection.

      • 법의곤충학적 관점에서 사후분해 건조단계의 분석

        이지환 고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체곤충의 사후분해에 따른 분류학적 다양성을 측정하고, 같은 지역 내 다른 부위와 계절에 따른 차이를 법의곤충학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죽와 뼈와 관련된 곤충에 대한 특히 집중하여 사후 천이의 건조기까지 전반적인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은 2018년에서 2019년사이에 경상남도 창원특례시의 천주산과 동읍의 경작지에서 7구의 돼지사체로 진행되었고, 총 8목 67과 171종의 곤충을 채집하였다. 검정파리과가 가장 먼저 사체로 접근하였다. 접근한 검정파리과는 사체에서 산란을 하였고, 구더기가 부화하여 다른 포식성 곤충을 유인하였다. 사체의 건조한 부위는 구더기의 섭식이후 남은 부위에서 발생했고, 사체의 100%가 건조되기까지의 시간은 구더기의 활동에 따라 달랐다. 계절에 따라 동읍과 천주산의 경작지에서는 종구성에 차이가 있었다. 이후 건조되는 부위가 증가함에 따라 일일채집량이 증가하는 곤충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종은 북위 30 ∼ 40°도 사이에서 수집한 11편의 문헌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Anisolabella marginalis (Dohrn), Merohister jekeli (Marseul), Necrodes nigricornis Harold, Nicrophorus concolor Kraatz, Staphylinidae sp3, Dermestes coarctatus Harold, Dermestes maculatus De Geer, Necrobia rufipes (De Geer), Omosita colon (L.), Ichneumonidae sp, Ptecticus tenebrifer (Walker), and Sepsidae sp. 12종은 선정하였다. 이 종들은 건조기에 대한 법의지표종일 가능성이 높다. 이후 돼지 사체 19구를 조사하여 말기 건조기에서 활동하는 곤충을 확인했고, 총 8목 19과 33종의 곤충이 채집하였다. 가죽과 뼈에서 채집되는 곤충의 종구성은 차이가 나타났다. Necrobia rufipes (De Geer)가 가장 빈번하게 출현한 종으로 확인되었다. 가죽에서는 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뼈에서는 다리 부위에 곤충이 집중되어 있었고, 뼈의 구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뼈에서 발견된 곤충은 수시렁이과를 제외하고 외부에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사후분해단계가 발생할 때 동시에 여러 단계가 나타나는 것은 혼동을 일으킨다. 이 실험은 돼지의 사체에서 얼마나 많은 부분이 부패기, 건조기 그리고 백골화가 일어나는지 격자를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 국가대표선수들의 종목별 지도자 선호행동유형과 실제행동유형의 차이가 경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지환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가대표선수들의 종목별 지도자 선호행동과 실제행동유형의 차이가 경기성과에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참여한 국가대표 및 파트너 중 유도 32명, 복싱 24명, 레슬링 38명, 역도 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일원변량분석, 독립표본 T-Test, 종속표본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종목별 지도자 선호행동 및 실제행동의 리더십 유형 종목별 지도자 선호행동 리더십 유형의 인식차이 선호하는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행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종목별 지도자 실제행동 리더십 유형의 인식차이 실제 민주적 행동에서, 사회적 지지행동, 전제적 행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도자 선호행동과 실제행동 간의 인식차이 훈련적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전제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목별 지도자 선호행동과 실제행동 간의 인식차이 종목별 지도자 선호행동과 지도자 실제행동 유형간의 인식차이에서 유도, 복싱, 레슬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선호행동과 실제행동 유형이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성과별 지도자 선호행동 유형의 차이 선호하는 사회적 지지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기성과별 지도자 실제행동 유형의 차이 실제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기성과별 지도자의 선호행동과 실제행동 유형의 인식차이에서는 3위 이상의 집단에서는 선호하는 민주적 행동과 실제 민주적 행동, 선호하는 전제적 행동과 실제 전제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0위 이하의 집단에서는 선호하는 지도자 리더십 행동과 실제 지도자 리더십행동유형에서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 선호행동과 실제행동 리더십 유형이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 선호하는 지도자 사회적 지지행동이 경기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실제 지도자 사회적 지지행동이 경기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monstrate if the discrepancy in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pattern by sports and actual behavior pattern of national athletes influences on sports performance. The study sample is confined to 32 athletes in judo, 24 in boxing, 38 in wrestling, and 32 in weight lifting out of national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2008 Beijing Olympic, and their partners. The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 T-Test, Dependa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for data processing,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leadership styles of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by sports and actual behavior The cognitive discrepancy in leadership style of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by sports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preferred training and instruction,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positive behavior. The cognitive discrepancy in leadership style of actual behavior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actual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autocratic behavior. The cognitive discrepancy between the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and actual behavior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instruction behavior for training, democratic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and autocratic behavior. The cognitive discrepancy between the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and actual behavior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judo, boxing, and wrestling. Second, the influences of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pattern and actual behavior pattern on sports performance. The discrepancy in the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pattern by sports performance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social support. The discrepancy in the actual behavior pattern by sports performance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positive compensation. The cognitive discrepancy between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pattern by sports performance and actual behavior pattern present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preferred democratic behavior and actual democratic behavior, and autocratic behavior and actual autocratic behavior in the groups within 2ndrunner-up.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ccurred both on the preferred leadership behavior pattern of leader and actual leadership behavior pattern in the groups within 9thrunner-up. Third, influences of preference of leader behavior pattern and leadership pattern of actual behavior on sports performance. Both the social support for preferred leader and the social support for actual leader are reported to have influences on sports performance.

      • 초등 사회과 영역 관련 융합교육 수업 실태 분석 : STEAM 연구학교 수업지도안을 중심으로

        이지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현대 사회는 더 이상 단편적인 지식만으로 사고하고 단순한 정보만을 활용하여 기술을 발전시킬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현재를 포함한 미래 사회에서는 여러 분야의 융합된 지식을 기반으로 창의성과 주체적인 사고 능력, 그리고 합리적 시민성을 갖춘 인재가 요구되며, 따라서 융합의 가장 큰 축은 사회과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STEAM 융합인재교육의 수업지도안 분석을 통하여 초등 사회과와 관련한 융합교육의 실태와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융합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3년과 2014년에 운영되었던 STEAM 융합인재교육 연구학교 중 에듀넷에 수업지도안을 탑재한 5개 초등학교 131개의 수업지도안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사회과 융합여부, 융합 영역, 융합 유형, 수업 방법으로 항목을 나누었다. 사회과가 융합되었는지에 대한 기준은 본시 교과명, 학습목표, 활동내용으로 세분화하였으며, 융합 영역은 역사, 지리를 비롯한 정치, 경제, 법, 사회·문화 등 6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융합 유형은 학문융합방식과 융합의 중심으로, 수업 방법은 교과 수업 운영방식과 사용된 교수·학습모형, 주요 학습 활동 유형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하였다. 수업지도안의 분석 결과와 이를 통하여 도출해 낸 초등 사회과에서 융합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가 STEAM 융합인재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저조하다. 전체 131개 수업지도안 중 사회과가 융합된 경우는 총 26.72%였다. 이를 통하여 STEAM 융합인재교육에서 사회과 수업을 활용하려는 시도 자체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사회과가 STEAM 융합인재교육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어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배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사회과가 융합된 수업의 구조가 단순하고 획일화되어 있다. 대부분의 수업지도안이 지리(61.11%), 역사(30.56%) 영역에서 융합을 시도하였고, 전체적으로 다학문적 융합(62.86%), 주제 중심형(80%), 교과 연계 수업형(65.71%), 문제해결학습모형(85.72%), 조사·발표 활동(42.62%)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태의 요인으로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환경의 부재 및 제도적 취약, 교사의 전문성 부족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융합에 대한 인식 재고와 사회과 융합을 위한 국가 및 학교 차원에서의 교육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또한, 교사의 역량 강화 역시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 사회과에서의 융합교육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향후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설계될 수 있도록 다각도에서 꾸준한 후속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인상사진스튜디오의 경영위기와 디지털 시스템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지환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인상사진스튜디오의 경영위기와 디지털 시스템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영상정보산업전공 연 구 자 이 지 환 지도교수 이 종 옥 오늘 날 인상사진스튜디오가 처해 있는 경영환경은 날로 급변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시스템의 도입 이후, 다양해진 소비자들의 요구로 인해 소비자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이에 따른 인상사진스튜디오의 경영 환경도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수 년 전부터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들에게 일반화 되면서 이와 관련된 각종 SW, 출력 시스템 등 역시 일반화되고, 이러한 변화로 일반 스튜디오는 더 이상 예전의 독점적 지위를 누리기 힘든 환경에 놓이게 되었으며, 이는 비단 인상사진스튜디오만이 아닌 일반스튜디오에도 해당하는 문제이다. 물론 앞서가는 인상사진스튜디오는 이처럼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새롭고 다양한 마케팅 방안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그렇지 못한 인상사진스튜디오는 경영 위기에 시달리며 도태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디지털 시스템 도입 초기 대부분의 인상사진스튜디오들이 시대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에 소홀하였고, 이후 위기의식을 느낀 인상사진스튜디오들이 변화된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여 오곤 있으나 단순한 시스템 도입만으론 현재의 위기 상황을 타개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특히 디지털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인상사진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40∼60대 인상사진가들의 경우 현 상황에서의 경영위기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현 인상사진스튜디오가 겪고 있는 위기상황과 관련해, 이미 자리 잡고 있는 인상사진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는 인원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인상사진스튜디오의 전반적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더불어 40∼60대 이후의 인상사진가들의 경영위기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고 그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본 연구는 현업에 종사하는 인상사진스튜디오 운영자들을 중심으로 실증적인 연구조사를 했다는 점에 있어 본 연구와 다른 관련 연구와의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ortrait Studio's Business Crisis and Digital System Lee, Ji Hwan Major. Industrial Business Administration Dept. of Industri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w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Jong Ok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oday's portrait studio is changing rapidly every day. Especially, after the digital system was introduced, consumers' environment is changing drastically, driven by consumers' diversified demands. Consequently, the business environment of portrait studio is changing as well. To be more specific, since several years ago, as digital cameras were generalized to the public, all kinds of SW, generating power system and other related systems have also been generalized. Such change placed common studios in a situation where their previously enjoyed monopolistic position is no longer attainable; this problem applies not only to portrait studios but also to general photo studios. Not surprisingly, excelling portrait studios are creating new and various marketing plans to cope with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while the rest of other portrait studios are troubled with considerable business crisis and are dismissed from the market. This is the reality of the present time. When the digital system was first introduced, most portrait studios did not put in sufficient amount of effort into coping with the social changes. Later, portrait studios that became aware of the crisis started to adopt the digital system; however, it was self-evident that simply adopting the system would not breakthrough the current crisis situation. Furthermore, changes in the environment due to adopting digital system coupled with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in portrait, especially for portrait photographers, who are forty years or older, resulted a more serious problem. Thus, this study, in reference to the crisis situation that present portrait studios are experiencing, investigates the overall changing environment of portrait studio based on the managers of current portrait studios.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business crisis faced by portrait photographers, who are forty years or older,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them. This study aims to discern itself from other related studies by introducing an illustrative research and investigation with operators of currently established portrait studio as the center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