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무기 섬유 조합 및 배합변수 변화에 따른 HPFRCC의 공학적 특성

        이종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현대사회는 문명의 발전 및 기술발전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어지고 있으며, 더불어 건설 산업에서도 건축 재료의 발전은 건설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건설 산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건축 재료 중 콘크리트는 시공편이성, 경제성 및 높은 압축강도 등의 이점을 활용하여 편의, 미, 안전을 추구하며 고층 및 대형 건축물 등이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높은 강성에 비해 낮은 인장성능으로 포격 및 폭발에 대해 충격으로 인한 건축물의 안전성 확보가 미흡하다. 보완으로 섬유를 활용한 HPFRCC는 휨 모멘트 또는 인장력 작용 하에 있어서 초기 균열이 발생한 이후에도 응력의 저하 없이 변형의 증가와 함께 응력이 증가하는 변형경화(Strain Hardening)특성과 다수의 미세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균열 폭 제어 특성을 나타내어 에너지 흡수능력 및 변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반면에 섬유혼입으로 인한 비경제성과 섬유 뭉침 현상(Fiber Ball)으로 인한 워커빌리티(Workability) 저하현상이 발생하고 재료분리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어 섬유를 활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에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하는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존 HPFRCC 연구에서는 유기섬유 혹은 무기섬유를 단일 혼입과 2종을 혼입한 하이브리드 섬유의 HPFRCC 성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무기 섬유를 1종에서 4종까지 조합 활용하는 HPFRCC에 대하여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단 강섬유와 장·단 유기섬유의 4가지 종류를 1종, 2종, 3종, 4종으로 분류하여 섬유 조합 변화에 따른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여 최적의 섬유조합을 도출하고 유·무기 섬유조합을 실무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W/B, 섬유 혼입율 및 모르타르 배합비 변화를 통해 HPFRCC의 시공성 향상 및 인성 개선에 필요한 최적의 배합을 제안하고자 한다.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concrete, as the most widely used material, is focused on its improvement of performance. Concrete has many advantages as easiness of handling, economical benefits, and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tensile strength, brittleness and drying shrinkage are reported as the drawbacks of concrete.  Hence, to solve these drawbacks of concrete, many research has conducted especially using fiber-reinforced concrete technology. Especially, HPFRCC which has high volume of fiber reinforcement was suggested as a solution of these drawbacks of normal concrete with increased ductility while it has the possibility of workability loss with fiber clumping which can cause low performance of concrete.

      •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문화 소재 분석

        이종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본문 7종의 문화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문화교육을 위해 교과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첫째,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화소재 항목 19가지를 기준으로 본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 영미, 보편, 비교, 기타 문화를 기준으로 문화배경을 나누고, 이에 따라 본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Bierstedt가 제시한 문화의 구성요소에 따라 관념(idea)문화, 규범(norm)문화, 물질(material)문화의 비중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소재 항목에 분류는 개인생활이 12.5%, 교양증진과 타문화일상이 11.25%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여가선용이 10%, 학교생활과 가치관형성 항목이 8.75%, 건전한 사고와 심미적 심성항목이 7.5%를 차지하였다. 이어서 언어·문화적 차이, 복지 증진 항목이 5%로 비율을 나타냈다. 가정생활이 3.75%, 자연현상과 우리문화소개가 2.5%, 의사소통방식과 안보의식 함양이 1.25%의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 외에 모든 교과서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는 항목도 몇 가지 있었다. 문화소재항목의 경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비교적 친근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와 참신하면서도 교훈적인 소재도 있었으나, 소재항목에 따라 편중되는 부분도 있었고, 내용자체도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고 문화에 관한 내용을 충분히 전달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둘째, 문화배경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문화배경부터 차례로 열거하면 보편문화가 62.14%, 기타문화가 13.57%, 영미문화가 12.38%, 비교문화가 8.33%, 한국문화가 3.57%의 순서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보편문화에 치우친 경향이 있으며, 영미나 기타문화를 배경으로 한 문화·언어적 이해를 넓힐 수 있는 내용의 보완도 필요하다. 또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소개나 우리나라와 영미 등의 비교문화를 통해서 문화·언어적 차이에 대한 인식을 명확히 하는 등의 내용에 관한 부분이 보강되어야 한다. 셋째, 문화구성요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규범문화가 43.57%, 관념문화가 32.86%, 물질문화가 23.57%를 나타냈다. 앞에서 논한 분석결과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관념이나 규범, 물질문화를 다룬 내용자체가 너무 단조롭고 제한적인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문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과서가 나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집필 시, 문화소재, 문화배경, 문화 구성요소들이 골고루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문화소재, 문화배경, 문화 구성요소들의 하위소재나 주제가 다양해져야 한다. 셋째. 교과서에 문화교육 목표를 제시한다. 넷째, 교과서 읽기 자료 이외의 다른 문화 제시 방법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육과정을 통해서 문화교육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지침서를 제공해야 한다.

      • 교대 근무자의 수면의 질 평가

        李鍾泰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society, more people work during 'non-standard' working hours, including shit work, which is recognized risk factors for health, safty, and social well-being. Of the many health-realted effect of shift work, disturbed sleep is the most common. Evaluation of shift work effect on sleepiness and sleep disorders. Subject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July 2005, nurses who work in Kyung-Pook National Hospital, were made sleep questionnair. 199 nurses enrolled to make sleep questionnaire and 128 nurses completely filled up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leep complaints in nurses, we adopte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Restless Legs Syndrome Questionnaire (RLSQ), Berlin Questionnaire(BQ) and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Results: Shif work group had a mean age of 30.17(SD: 6.35) and non-shift work gorup had a mean age of 29.75(SD: 5.78), with a mean body mass index(Kg/m2) of 20.86(SD: 1.98) and 21.54(SD: 2.03) respectively. 45.6% of shift work group and 37.5% of non-shift work group had poor sleep quality. Mean SSS of shift work group was 3.19(SD: 1.12) and of non-shift work group was 2.95(SD: 1.31). Mean ESS of shift work group was 6.53(SD: 2.52) and of non-shift work group was 7.13(SD: 2.86). Mean ISI score of shift work group was 6.95(SD: 5.04) and of non-shift work group was 4.27(SD: 3.89). Only ISI showe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14). Conclusions: Complaints of insomnia and daytime somnolence are very common in nurses, and shift work group had more often complaint of insomnia than non-shift work group. Bright light exposure in night duty and disturbed circadian rhythm by shift work may aggravate insomnia. Studies for find out the causative factors of insomnia and therapeutic trials for shift work sleep disorders are required.

      • 퇴칸을 가진 한옥의 지붕가구 구성에 관한 연구 : ㅡ자형 평면을 중심으로

        이종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ditional Korean wood buildings used Toekan. Toekan, also known as Maru, Toekkan, and Toetmaru, refers to a bay extended from the original house structure. Toekan, located inside the buil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top structure and in composing the inner space. Toekan, composed of floors, are installed and used as paths to move from one room to another, and they are positively used as a transfer space connecting the building and the garden across the whole scope of traditional Korean wood buildings. This study analyzed Toekan of the ㅡ-shaped Hanok which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treasures, and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cities and provinces,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Toekan and roof structures to identify the impact factors for Toekan. All possible impact factors were examined to identify such connection between Toekan and roof structures, revealing that the Toekan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the inside space plan and the roof structure plan. Structural factors were found to consist of supporting roof load, securing the eaves's inner length, and stable eaves angle. They are required to position the collar beams close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to allow Toekan's inner pillars to m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collar beams, and accordingly, the Toekan depth is determined. The plane factors try to maintain a minimum Toekan depth, regardless of the building scale, in order to further use the main space. Thus, collar beams are positioned outside the building along the Toekan's inner pillars. As such, Toekan composition should, importantly, structurally respond to the need to position collar beams close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to stabilize the building structure. It should also meet the plane need to maintain a minimum Toekan depth in order to further use the inner space. Corresponding changes are examined as follows. Toekan depth, regardless of the lateral length, is required to maintain a minimum level, and as such, in buildings with a relatively small lateral length, the maximum Toekan space size is 20% of the total building space. Collar beams are connected to Toekan's inner pillars, and to stabilize the eaves structure, the protruded length of the eaves is smaller that Toekan depth. This brings structural stability, but the shorter protruded length of eaves leaves the building vulnerable to rainwater. To respond to such situations, a stable structure is created that lengthens the protruded length of the eaves further compared with the inner length. There are eaves reinforcement methods due to the creation of unstable eaves structures, using long rafters, heaped rafters, small sticks and Boto. Inconsistent Toekan type, to which collar beams and Toekan are not directly connected, are considered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e inconsistent Toekan type has weaknesses in delivering load, but it reflects the positive intention of the structural plan to position collar beams close to the building in order to create a stable roof structure, as well as the plane need to maintain a minimum floor depth in order to further use the inner space. This study on Toekan sought to identify the deterministic components of Toekan composition, and to examine - in the planning of a building - what relationship the plane need has with the top roof structure. This study thus examined examples of Toekan composition, and revealed that the composition of Toekan is related to the building inner space planning and the roof structure planning. Keywords : Floor, Toekan, the position of collar beams, plane planning, structural planning 한국전통목조건축에서 퇴칸을 사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퇴칸이란 원집채에 물려서 달아 낸 간(間) 또는 마루,툇간, 툇마루를 지칭하는 말이다. 퇴칸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가구의 지지와 내부공간 구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마루를 설치하여 실과 실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연결통로로서 활용되거나 건물과 마당을 연결하는 전이공간으로써 한국전통목조건축의 전범위에 걸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국보, 보물, 시·도 지정 유형 문화재로 지정된 한옥 중 ㅡ자형 평면을 가지는 한옥을 대상으로 퇴칸을 분석하고, 퇴칸과 지붕가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아 퇴칸 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퇴칸과 지붕가구와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요인을 검토해 본 결과 퇴칸의 구성은 내부공간계획과 지붕구조계획의 영향을 받아 결정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구조적인 요인은 지붕 하중의 지지,처마 내단길이의 확보,안정된 처마각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중도리 위치가 건물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려 하고, 퇴칸의 내주는 중도리의 위치를 따라 이동하고, 그에 따라 퇴칸의 깊이가 결정되게 된다. 평면적인 요인은 주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 건물의 규모와 상관없이 퇴칸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중도리 위치는 퇴칸의 내주를 따라 건물 바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퇴칸의 구성은 건물구조의 안정화를 위해 중도리의 위치를 건물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려는 구조적 대응과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 퇴칸의 깊이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려고 하는 평면적 요구가 상충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이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퇴칸의 깊이는 측면길이와 상관없이 최소한으로 유지하려는 평면적 요구에 따라 측면길이가 비교적 작은 건물에서 퇴칸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 1/5까지 차지하고 있다. 중도리는 퇴칸 내주와 결구하고 있으며, 처마구조의 안정화를 위해 처마 내민 길이를 퇴 깊이보다 짧게 유지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는 안정되나, 처마내민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우수에는 취약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처마 내민길이를 내단길이보다 길게 내는 불안정한 구조가 나타난다. 불안정한 처마구조의 발생에 따라 처마 보강의 방법들이 나타나는데, 긴서까래 구조,덧 서까래 구조, 적심과 보토를 통해 처마 구조를 보강하는 기법들이 나타난다. 중도리와 퇴칸이 직접 결구되지 않는 불일치형 퇴칸의 발생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유형으로 판단된다. 불일치형 퇴칸의 경우에는 하중전달의 측면에서는 불리한 점을 안고 있으나 안정된 지붕구조를 위해 중도리를 건물의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하고자 하는 구조계획의 적극적인 의도와 내부 공간 활용을 위해 퇴 깊이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려는 평면적 요국를 동시에 만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퇴칸에 관한 연구는 퇴칸 구성의 결정요인을 찾고 건물을 계획함에 있어 평면적 요구가 상부 지붕가구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칸 구성에 대해 사례를 통해 검토하여 정리하였고, 퇴칸의 구성은 건물 내부 공간 계획과 지붕구조 계획에 관련된 것임을 밝혀내었다.

      • 高校生의 職業價値觀에 關한 硏究

        이종태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Objectives of the Study This study is to seek the guiding direction for forming the correct view of value and the researching method for educating students as good work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ay of thinking about the value view of occupation and previous researches with reference book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environment influence and forming processes. B. Methods of the study 1.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research consist of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in the 2nd grade of the senior high school in Chungbuk Province. 2. The whole questionnaires consists of 30 items, of which 5 is those of questioning about population statistics. They are attached to the appendix 3.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so universal and diverse that they are designed to be chosen one. By the simple frequency of the answers, the whole direction could be outlined. C. Conclusion 1. The high school students' view of occupational values is realistic from the standpoint of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value view in choosing jobs are the development of aptitude, talent and future guarantee rather creativity, contribution to the society and honor. 2. The parents professional engineer to clerical worker, while students prefer administrative official. Students want to be employed through the fair processes. 3. High school students want to have job to promote to the high position rather than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and value view preferable power to pay. 4. In the high school students' occupational environment, students put emphasis upon self-development, ability being more important than scholastic level. In the characteristic of job worker personality, activity and earnestness are regarded much more important things. Therefore students have personality and attitude suitable for the modern workers. 5. In the high school students' occupational value view, girl students tend to serve more, want to get more reliable job, than boy students. The students in he liberal art high school seem to prefer to have a favorable job, though low in salary. In the school facilities, vocational schools are generally facilitated better than liberal art school, and in the urban area better than in the rural area.

      • 자동차부품 제조업 근로자들의 개인 및 근무특성별 근로자 건강진단 유소견율

        이종태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 적 : 자동차부품 제조업 근로자들의 개인 및 근무특성별 건강진단 유소견율을 조사하여 만성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만성질환의 관리 방안과 직업병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경유차 입자상물질의 환경성 평가시 바이오디젤과 저감장치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태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득증가에 따른 개인의 자동차 보유대수 증가와 여가생활의 확대로 자동차 등 이동오염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기오염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건강위해성평가는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합리적인 수단이며 대기질에 대한 불신과 비과학적인 논쟁을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한 논의로 전환시키는 훌륭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대기환경기준 및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설정 등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활용되어 수용체 중심의 대기질관리정책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사용에 따른 효과와 바이오디젤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특성과 유전독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형자동차 엔진(AC동력계, 일본 HORIBA사)에 Base Diesel(BD), Bio-Diesel 10(BD10%), Bio-Diesel 20(BD20%)을 이용하여 한국 및 유럽 규제모드인 European Transient Cycle (ETC)모드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의 특성 및 미세먼지의 유기성 추출물(SOF)에 대한 유전독성 평가(Genetoxicity ; In vitro COMET assay 및 In vitro Micronucleus test)를 확인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규제물질인 PM2.5는 BD 함량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저감장치부착에 의해서도 감소되었다. 또한 CO, HC는 BD 함량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NOx는 BD 함량증가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오히려 DPF 부착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저감장치 부착에 따른 배압에 의한 배출가스 온도 증가가 원인이었다. CO2는 BD함량과 저감장치부착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VOCs는 BD 함량증가에 따라 Benzene 농도는 증가되었으나 Toluene과 Ethylbenzene 농도는 감소되었다. 저감장치 부착에 따라 VOCs 농도는 감소되었다. Benzene 농도의 증가는 BD 성분인 FAME가 연소환경에서 방향족으로 전환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PAHs 분석값과 B(a)P의 독성등가치(B(a)P-TEQ )를 이용한 개인초과발암위해도 평가시 저감장치 부착전 BD와 BD10에서 5.8×10-5과 2.3×10-5을 나타내어 발암위해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BD20에서는 발암위해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D 함량증가에 따라 발암위해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저감장치 부착시 개인초과발암위해도는 모두 10-6보다 낮게 나타나 저감장치 부착에 의해서도 발암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BD(일반경유)에 대해 CHO-K1 cell을 이용하여 유전독성을 평가 한 결과 DNA와 Chromosome 손상이 유도되어 여타의 연구에서와 같이 폐암유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BD 함량증가에 따른 DNA damage 시험결과에서는 BD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세종류 BD에서 48이상 손상이 확인되어 독성유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Chromosome damage 시험에서는 BD함량이 증가할 수록 Chromosome 손상이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BD 사용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량의 감소가 그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에 따라 미세먼지가 평균 40%이상 감소되었으나 이에 대한 독성평가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독성이 비례해서 감소한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노출량이 감소하였고, PAHs 분석값과 B(a)P의 독성등가치(B(a)P-TEQ )를 이용한 개인초과발암위해도 평가 결과를 볼 때 독성이 감소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본 연구는 대형자동차에서 배출특성 및 노출 확산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제한적 노출 평가 조건에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이다. 따라서 대형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대한 정확한 인체위해성을 평가하여 규제기준 설정 및 저감장치(DPF+DOC)효율, 타이어 마모 먼지, 도로재 비산 먼지 등에 대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종합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