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평가를 위한 ISO/IEC 9126 품질 모델 기반 평가준거 개발

        이종연(Jong Yun Le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4

        The analysis platform of remote-sensing big data is a system that downloads data from satellites, transforms it to a data type of L3, and then analyzes it and produces its analysis resul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ISO/IEC 9126-1 software quality model-based assessment criteria,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remote-sensing big data analysis platform. Its detaile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ISO/IEC 9216 standards and previous software evaluation models will be reviewed. Second, this paper will define evaluation areas, evaluation elements, and evaluation items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big data analysis platform. Third,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criteria will be verified by statistical experiments through content validity, reliability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by using SPSS 20.0 and Amos 20.0 software. The construct validity will also be conducted by perform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Lastly, it is significant that our research result demonstrates the first evaluation criteria in measuring the quality of big data analysis platform. It is also expected that our assessment criteria could be used as the basis information for evaluation criteria in the platform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

        이종연 ( Jong Yun Lee ),김성율 ( Sung Yu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2

        지금까지 기존의 정보과학영재교육 연구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합의된 정의도 없고 학자들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심한 상태이다. 둘째, 기존의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의 교육목표가 아주 추상적이며 실용성이 부족하다. 셋째, 이로 인해 현장의 정보과학영재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과학영재 교육내용 정보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게다가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도 주로 일반대학 교육과정의 축소판과 같은 성격을 띠고 있거나 일선 대학교나 중등학교에서 정보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육용 로봇 교육’이나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교육’에 치중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선 교육현장에서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목표를 정의하고 이에 맞는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안하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 SDE 공간 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이종연(Lee Jong Yun),안병익(Ahn Byoung Ik),류근호(Ryu Keun Ho)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5 No.9

        Spatial objects in the space world have been changed by either non-spatial operations or spatial operations. For example, their states are changed by the following operations changing their owners, changing their owner's address installing new constructions, changing precincts, splitting, and merging. The conven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however, did not also manage their historical information because it handles the snapshot image of spatial objects in the world. In this paper we therefore propose a spatiotemporal data model which is able to not only manage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spatial objects but also support their historical interrogation by extending a time dimension and a historical pointer for SDE(Spatial Database Engine) spatial data model. Finally, the proposed spatiotemporal data model using a layered time extension are going to contribute to manage the history of spatial objects in the world and retrieve them.

      • 시공간 데이터를 위한 공간 및 시간 관계 연산자의 통합

        이종연(Lee Jong Yun),류근호(Ryu Keun Ho)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1

        In this paper we study on an interface connection between spatial operators and temporal operators to support the unified operations for spatioremporal data. The integration development of the spatiotemporal operations will be defined as a common use of spatiotemporal relationship operators by spatiotemporal referencing macros. Additionally, we propose an integration algorithm of a history operator and temporal relationship operators. Then the proposed system will be implemented on the commercial GIS software and evaluated by examples of spatiotemporal query expressions. Here, our integr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operators will provide spatiotemporal query expressions with a useful framework.

      •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history 집계 연산자

        이종연(Jong-Yu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Ⅰ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count, max, min, sum, avg의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s)를 제공하며, DBMS에 따라 다양한 집계 연산자를 추가로 지원한다.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인 공간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흐름에 따른 이력 정보를 취급하므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유로운 이력(history) 정보의 검색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력을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는 새로운 집계 연산자, ‘history'를 제안하고, 그 처리 알고리즘과 SQL3에서 탐색 질의 표현법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이력 집계 연산자를 향후 SQL3의 질의 표현 능력의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 SQL의 공간질의 확장을 위한 공간지정 질의 규격

        이종연(Jong Yun Lee),김태영(Tae Young Kim),박상열(Sang Yeul Park),류근호(Keun Ho Ryu),김영만(Young M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B

        SQL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의 표준적인 질의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주로 관계형 테이블의 속성자료에 대한 검색, 갱신, 삭제, 삽입 등의 연산을 제공한다. 지금은 공간 및 시간 데이터베이스(spatial and temporal database)의 처리 기술의 발달과 함께 관계형 DBMS의 SQL에서 순차적인 (procedural)공간질의의 지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미 차세대 관계형 질의의 표준 규격인 SQL3에는 공간지정 질의문의 추가적인 제공의 명문화와 함께 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계형 DBMS의 SQL에서 공간질의를 위해 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공간 연산의 분석을 통해 SQL의 대화형 공간지정 질의에서 제공해야 하는 공간질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설계된 시공간 데이타 모델의 특성과 SDE(Spatial Database Engine) 및 GOTHIC 공간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간 연산을 바탕으로 향후 설계될 시공간 질의문의 공간질의 표현을 위한 탐색영역의 지정, 탐색객체의 지정, 공간관계 연산자 설계, 유효 객체유형의 지정, 시공간 집계 연산 등의 공간지정 연산의 설계 규격을 제안하였다.

      • 국제 물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의를 위한 어휘 사전

        이종연(Jong-Yun Lee),이상호(Sang-Ho Lee),배우식(Woo-Sik Bae),이선영(Sun-Young Lee),송병준(Byung-Jun So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C

        EPCglobal 네트워크란 EPC(Electronic Product Code)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네트워크로 연동하여 공급자, 수요자, 소비자가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EPCglobal 네트워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EPCglobal network architecture framework)는 EPC를 사용하여 공급과 유통망 강화라는 업체 간의 공동 목표를 위한 서비스하는 것이다. EPCglobal 네트워크 아키텍처 중 EPCIS(EPC Information System)수집 애플리케이션, EPCIS 접근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 정의 시 공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표준 어휘 정의가 필수적이며, 그 어휘 종류에는 표준 어휘(standard vocabulary)와 사용자 어휘(user vocabulary)가 있다. 이 논문은 이 가운데 EPCglobal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표준 어휘 정의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 어휘는 부분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EPCglobal 네트워크 프레임 아키텍처의 이벤트 정의 시 사용될 표준 어휘를 제안하고, XML 구현을 통해 실제 사용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허브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 검색

        이종임(Jong-Im Lee),이현순(Hyun-Sun Lee),전우진(Woo-Jin Jun),유광원(Kwang-Won Yu),신동훈(Dong-Hoon Shin),홍범식(Bum-Shik Hong),조홍(Hong-Yun Cho),양한철(Han-Chul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2

        허브를 비롯한 식용되는 채소류로부터 항응고 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93종을 대상으로 냉수(Fr. I), 메탄올(Fr.Ⅱ), 열수(Fr. Ⅲ)추출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내인성 경로에 작용하는 항응고 활성은 수용성 획분인 Fr. I과 Fr. Ⅲ를 대상으로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으로 검색한 결과 양파, 마늘, 정향, 쑥, 울금 등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외인성 경로와 공통경로에 작용하는 항응고 활성은 저분자임을 감안하여 Fr. I과 Fr. Ⅱ를 대상으로 각각 prothrombin time(PT) 과 thrombin time(TT)으로 검색한 결과 민트, 이탈리안 시즈닝, 로즈메리, 타라곤, 울금, 백리향, 와사비는 공통경로에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외인성 경로에 단독으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는 없었다. 1, 2차 검색 결과 가장 높은 항응고 활성을 보인 정향(Eugenia caryophyllate, clove)을 대상으로 산지를 달리하여 항응고 활성을 검색한 결과 홀랜드산 정향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In order to search for blood anticoagulant substance from herbal extracts, we extracted with cold water (Fr. I), methanol (Fr. II) and hot water (Fr. III) from 93 commercially available herbs.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herbal extracts was examined through the intrinsic pathway by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the extrinsic pathway by prothrombin time (PT) and the common pathway by thrombin time (TT). Onion, garlic, clove, fenugreek, mugwort, thyme and sage had on anticoagulant activity with in- trinsic pathway and mint, italian seasoning, rosemary, turmeric, tarragon and wasabie had on anticoagulant activity with common pathway. Nobody had on anticoagulant activity with extrinsic pathway. Among commercial herbs tested, clove cultivated in holland was selected because it showed the most potent anticoagulant activity among the samples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