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건일로딘 정(미결정에토돌락 200 mg)에 대한 에토돌 정의 생물학적동등성

        이정애,이윤영,조태섭,박영준,문병석,김호현,이예리,이희주,이경률,Lee, Jung-Ae,Lee, Yun-Young,Cho, Tae-Seob,Park, Young-Joon,Moon, Byoung-Seok,Kim, Ho-Hyun,Lee, Ye-Rie,Lee, Hee-Joo,Lee, Kyung-Ryul 한국약제학회 2004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4 No.4

        A bioequivalence of $Etodol^{TM}$ tablets (Yuhan corporation) and $Kuhnillodine^{TM}$ tablets (Kuhnil Pharm. Co., Lt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ingle 200 mg dose of etodolac of each medicine was administered orally to 24 healthy male volunteer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2{\times}2$ crossover design. Concentrations of etodolac in human plasma were monitored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UC_t$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24 hr) was calc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rule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and $C_{max}$. No significant sequence effect was found for all of the bioavailability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Etodol^{TM}/Kuhnillodine^{TM}$ were 1.01-1.10 and 0.87-1.06, respe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d a bioequivalence of $Etodol^{TM}$ and $Kuhnillodine^{TM}$ with respect to the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퇴소청소년의 위험요인이 자립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애 ( Lee Jung-ae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3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체계의 아동양육시설 퇴소청소년의 자립과 관련된 주요 변수들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아동자립지원단에서 조사한 자료를 제공받아 활용하였다. 아동양육시설에서 퇴소한지 5년 미만 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자료 640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격성은 공동체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우울은 자존감, 사회적지지, 공동체의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변수인 자존감, 사회적지지, 공동체의식은 자립생활기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별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존감은 불안우울에서, 사회적지지는 불안우울에서, 공동체의식은 공격성과 불안우울에서 유의미한 개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들의 보다 나은 자립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structural model including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youth after discharge from out-of-home care.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pport Center for Children’s Independent Living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this study, 640 youths who left within 5 years from out-of-home care have been interview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ggression directly affected sense of community and anxiety·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had direct effects on independent living skills. Separate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mediated the effect of anxiety·depression on independent living skills. Sense of community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aggression and anxiety·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a better independent living of youth after discharge from out-of-home care.

      • KCI등재

        보건교사의 DISC 행동유형별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이정애(Jung-Ae Lee),유인영(In-Young Yoo) 한국생활환경학회 2011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efficacy and job stress according to DISC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behavioral types in health teacher. The subjects consisted of 119 elementary health teacher working in Jeonbuk.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1 to 12, 2010 and analyzed by the SPSS 18.0.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2.7 years and health teacher’s experience was 16 years. Of the participants, D, I, S and C in behavioral type were 10.9%, 31.1%, 45.4% and 12.6% respectively. The teacher-efficacy and job str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health teacher’s experience.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struction efficacy’ (r=-0.331, p=0.000), ‘health service efficacy’ (r=-0.272, p=0.003), ‘task-interpersonal efficacy’ (r=-0.398, p=0.000) and ‘community connection efficacy’ (r=-0.326, p=0.000). The ‘task-interpersonal 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useful to develop program to promot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types.

      • KCI등재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건강관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정애(Lee, Jung-Ae),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건강관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퇴소청소년의 건강과 관련된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내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각 사례별로 정리하였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들을 종합하여 ‘남들과는 다른 어린 시절’, ‘건강을 챙길 여력이 없는 삶’, ‘과거부터 지금까지 연결되는 정신건강’, ‘내겐 너무 어려운 건강한 미래’ 4개의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건강을 당겨 현재의 삶을 소진하는 가불인생’이라는 종합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들의 건강에 관한 사회복지 정책적 ·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related to the health of youths who were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five youths. The within-case analysis summarize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each case. A total of 11 sub-topics and 4 topics were extracted from cross-case analysis: “childhood different from others”, “a life where I cannot afford to take care of my health”, “mental health connec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a healthy future that is too difficult for me”. Four topics led to the comprehensive topic of “youth who harm future health in advance by exhausting the present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the health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 KCI등재

        영캐주얼웨어 웹사이트의 시각적 웹스타일가이드 강화 연구

        이정애(Jung Ae Lee),이정희(Jung Hee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영캐주얼 패션브랜드는 10-20대의 소비자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유행에 민감한 패션산업은 빠른 제품주기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덴티티 구축에 성공한 영캐주얼 브랜드는 점유율 상위권을 차지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창출에 성공하며 파워브랜드로 거듭나고 있다. 연구목적은 영캐주얼 패션브랜드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컨셉이 소비자에게 일관성 있게 전달되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수도권 거주하는 남 87명(40.0%), 여 129명(60.0%) 총 216명이며 주요구매자인 대학생 중심으로 2009년 6월1일부터 6월15일까지(15일간)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번째, 국내브랜드를 대상으로 영캐주얼 브랜드가 형성하고 있는 웹스타일가이드의 시각적 측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컨셉, 색상, 폰트, 레이아웃, 그래픽 요소, 인터랙티브 디자인 등 웹아이덴티티 측면에서 대부분 잘 구축되었다. 두번째,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브랜드의 컨셉이 온라인에도 일관성 있게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컨셉이 일치하는지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상위 3개 브랜드는 정확히 일치 하였고 2개 브랜드는 약하거나 다른 컨셉으로 소비자에게 인식 되었다. 향후 이 부분에 대하여 개별 브랜드의 온오프라인의 일관된 컨셉 전달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Young casual wear fashion brand and a consumer group 10-20 formed, and the fashion-conscious fashion industry is a fast product cycle. Nevertheless, successful young casual wear to build brand identity for the dominant share of the top in value as time passed, it has become a power brand. First, the domestic brands and a brand young casual wear the visual aspect of the web style guide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visual concept, colors, fonts, layout, graphic elements, interactive design, build, and I was most in webidentiti. Second, offline, online, even formed the concept of brand has been consistently applied the concept of online and offline to learn about how this match was an experiment. people who are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87 man(40.0%), 129 woman(60.0%) total 216 their major purchases in 2009, the college June 1 to June 15 years (15 day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top three brands, and exactly match the two brands to consumers recognized the consistency visual concept of weak or see the other in the future will require the improvement of the individual brands can be found.

      • KCI등재

        가정외보호 퇴소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립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이정애 ( Lee Jung-ae ),이화조 ( Lee Hwa-jo ),정익중 ( Chung Ick-joo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1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퇴소아동의 자립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자존감, 사회적 지지와 자립생활기술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위험요인과 문제 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이들을 긍정적 관점에서 지지할 수 있는 보호요인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퇴소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립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퇴소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된 보건복지인력개발원 아동자립지원단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고, 총 656명의 퇴소아동을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는 자립생활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동체 의식은 부분매개효과를 통해 이 관계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아동의 자립과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protective factors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apart from the risk factors and problem-focused perspective in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whethe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and whether sense of community mediates these relationships. We used data from Youth Support Center for Independence Living which conducted a survey for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A total of 656 youth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and the sense of community ha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so that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can be self-reliant and grow into healthy adults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취학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자조모임 참여경험

        이정애(Lee, Jung Ae),송명선(Song, Myeong Seon),정익중(Chung, Ick Jo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삶을 이해하고, 이들의 자조모임 참여경험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미취학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 자조모임을 초기단계부터 2년 이상 경험한 4명의 여성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손주를 키우는 동지애’, ‘따로 그리고 함께 살아가는 공감’, ‘친구라는 이름의 동행’, 3가지 범주로 구분한 뒤 하위범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조모임을 통한 손자녀 양육 과정에서 달라진 조모의 삶, 자조모임참여를 통한 변화 경험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필요성과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and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self-help group. Four grandmot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self-help group for over two years from its early stage were recruited for interview. The interviews of grandmothers revealed common themes of ‘Camaraderie raising grandchildren’, ‘Empathy of living apart and also together’, ‘Companion as a friend’ and these themes are divided into subcategories and analyzed. Based upon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we can understand experiences and changes in lives of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through self-help group.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grandparents who raise preschool grandchildren an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m.

      • KCI등재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자립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정애(Lee, Jung ae),김시아(Kim, Si ah),김지선(Kim, Ji sun),정익중(Chung, Ick jo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5

        본 연구는 국내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자립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qualitative meta-synthesis)의 첫 번째 시도로서, 이들의 자립경험을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07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및 박사학위 논문의 질적연구 15편이고,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통합되지 않았던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자립경험에 관해 범주를 나누어 살펴 보았다. 연구절차에 따라 각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종합하였고, 질적 메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들은 자립과정에서 홀로서기를 시도하면서 개인과 이들을 둘러싼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들의 자립경험은 개인과 환경 차원에서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개인 차원은 심리, 생활, 진로 영역으로 나누었고, 환경 차원은 관계, 자원, 인식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각 영역에서 내용을 부정-긍정 경험으로 대비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암(暗)과 명(明): 긴 터널 속 멀리 보이는 빛 한 줄기’라는 종합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들의 자립경험이 암(暗)에서 명(明)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사회복지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s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with an integrated and total point of view.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15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from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2007 to 2018, and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s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which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results of each study were analyzed and pull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trying to stand alone in their independent living, were affected by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s of these youth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domains with six subcategories. Individual domain was divided into psychology, living, and career, and environmental domain was divided into relationships, resources, and awareness. Each subcategory was categorized into negative and positive experiences. The main theme was, “dark and light: a gleam of light seen in a long tunne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in order to improve their conditions from darkness to light for independent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