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조혜선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2735

        In South Korea, an environment on welfare service and a worker’s desire for welfare have changed, which causes necessities of change of traditional welfare systems. There has been a shift in generations in the public sector including civil service and advanced welfare is required with an increase in the MZ generation showing individualism.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work life balance, related welfare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in the public sector, welfare systems have not reflected the changes and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erms of welfare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Welfare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are categoriz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work life balance and according to the category, welfare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are reviewed and compared. In particular, welfare systems that are autonomously implemented by public agencies are focused are focused. Methodologically, in terms of research design, this study is based on both case and comparative study. Research method 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secondary data. Welfare systems in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orea Airport Corporation,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are reviewed. As a result,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new welfar systems is suggest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types and components of welfare systems and related literature are reviewed. In addition, theoretical framework is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welfare systems, characteristics of public agencies need to be identified and public policy need to be reflected.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designed in terms of types and components of welfare systems as well as 「Guidelines on Innovation in Public Institutions」. Second, welfare systems in public agencies are reviewed in terms of categories and limitations are reviewed. In terms of recreational facilities, housing, support of student loan, selective welfare, welfare systems in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orea Airport Corporation,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are reviewed and compared and limitations are analyzed. ① In terms of recreational facilities, restrictions on the use of all employees, insufficient rooms and days and lack of diverse facilities are reviewed as limitations. ② As for housing,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and housing instability, moving expense and vacation for moving and insufficient company housing are mentioned as main issues. ③In terms of support of student loan, the financial burden by abolition of the free support of student loan, possiblities for outstanding individuals to avoid public agencies, a uniform scholarship payment method and expansion to beneficiaries are reviewed. ④ As to selective welfare, suspension of welfare fund projects, reduction in welfare benefits by structural change and possiblities of passive selection of basic elements are reviewed as limtiations Third,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welfare systems in public agencies is anlayzed. ① In terms of recreational facilities, diversification of operation methods of recreational facilites, efficient operation reflection trends and the formation of a network through welfare governance are suggested. ② As for housing, new housing systems reflecting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stable support for employees who relocate the place of work and diversification of company housing are reviewed. ③ n terms of support of student loan,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 loan systems, expansion of student loan beneficiaries and differential payment of scholarships are mentioned. ④ s to selective welfare, strategic goals, financial stabilties and diversities, expansion of welfare benefits for families and expansion of medical examination and medical expense are suggested.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급변하고 있는 복지 서비스의 환경과 근로자의 복지에 대한 욕구가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방식의 복리 후생 제도의 변화 필요성을 야기하고 있다. 최근 공무원을 비롯한 공직사회에서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있으며, 개인적 성향이 강한 MZ세대의 유입으로 보편화된 일방적인 복지보다 필요에 따른 고차원적인 복지를 원하게 되었고,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삶을 원하는 워라밸(WLB)의 등장으로 그에 상응하는 신종 복지제도들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공공기관에서는 복지제도에 대해 미흡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일과 삶의 양립을 이루고자 하는 개인들의 시대적 특성에 맞추어 공공기관의 복리후생 제도를 범주화하여 그 영역에 따라 공공기관들의 복리후생 제도를 비교·검토하여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복리후생제도의 유형 중에서도 기관별로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법정 외 복리후생제도를 중심으로 하부 구성요소를 범주화 하고,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복리후생 제도의 운영실태를 문헌조사와 경험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비교·검토하고 향후 공공기관의 새로운 형태의 복리후생제도 설계에 기여할 수 있는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접근에 기초한 복리후생의 개념, 유형, 구성요소, 선행연구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이론적 접근과 틀을 검토하였다. 우선 복리후생제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부 정책에 부합되게 검토해야 한다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접근의 틀은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유형별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종합적 검토와 「공공기관의 혁신에 관한 지침」 등 정부의 지침을 반영하여 복리후생제도의 한계 및 발전 방향을 위한 틀을 완성하였다. 둘째,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를 범주별로 검토하고 각각의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의 휴양시설 및 여가 제도, 주택 및 주거제도, 학자금 지원제도, 선택적복지제도로 나누어 비교·검토하여 종합적인 한계점을 검토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휴양시설 및 여가 제도의 한계로는 전 직원 이용의 제한, 이용 객실 및 이용 일수의 부족, 시설의 다양성 부족 등 제한된 자원으로 인한 한계점이 나타났다. ②주택 및 주거제도의 한계는 부동산 시장변화에 따른 직원의 주거 불안정, 근무지 이동에 따른 가재 이전비용 및 이사휴가 제도 미비, 사택 수량 부족으로 인해 일부 직원만 혜택을 받는 보편적 복지 실현의 위배 등의 한계가 있었다. ③학자금 지원제도의 한계로는 대학교 학자금 무상지원 폐지에 따른 가계부담 증가와 우수 인재의 공공기관 기피 가능성, 일률적인 장학금 지급방식, 학자금 수혜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나타났다. ④선택적복지제도의 한계점은 사내근로복지기금 사업중단으로 인한 혜택 중단, 급여성 예산으로 편성되어 구조적인 확대가 어려워 실질적 복지혜택 실현의 위배, 기본항목의 소극적 선택 가능성 등의 한계점이 발생하였다. 셋째, 각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 운영 현황을 토대로 공공기관의 복리후생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휴양시설 및 여가 제도의 발전 방향으로는 휴양시설 운영방식의 다변화, 트렌드에 맞는 효율적 운영, 복리후생 협의체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하는 방향을 제시하였고 ②주택 및 주거제도의 발전 방향은 부동산 시장변화에 따른 제도 마련, 근무지 이동자에 대한 안정적 지원, 단신 부임자를 위한 사택의 다양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③학자금 지원제도에서는 다양한 학자금 제도의 개발, 교육을 위한 학자금 수혜자 확대, 장학금 차등 지급을 통한 인재양성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④선택적복지제도는 전략적 운영목표 설정, 재원의 안정성·다양성 확보, 가족에 대한 복지혜택 확대, 건강검진 및 의료비 선택권의 확대를 통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

        김종용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촉진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적 요인(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지개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배경맥락 요인, 근접맥락 요인)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의 3차년도(2018년도) 자료 중 발달장애인 408명 중 결측값을 제외한 346명에 대하여 취업 여부를 종속변수로, 독립변수로는 개인적 요인인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 장애유형, 장애등급, 건강상태)과 인지개인 요인(자기효능감, 대인관계-조직적응능력, 의사소통 능력)으로 구성하고, 환경적 요인으로는 배경맥락 요인(기초생활 수급여부)과 근접맥락 요인(가족의 지지, 일상생활 차별경험)으로 구성하여, 각 변수들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SPSS 26.0을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요인 중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연령, 학력, 건강상태가, 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배경맥락 요인인 기초생활 수급여부와 근접맥락 요인인 가족의 지지가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 대상이 아닐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 가능성이 증가했다. 이는 선행연구들과 그 방향을 같이하였으며,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관점에서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취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가족을 위한 돌봄 지원, 상담 및 부모교육, 돌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의 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 이해하기 쉬운 정보안내 등을 통하여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성공적인 취업을 가능하게 하는 데 기여하는 발달장애인의 건강한 삶 유지를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studied how individual factors(Socio-demographic and cognitive-person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background context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fact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 employment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omot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the data for the third year of the Wave 2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346 of the 408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used, excluding missing values. Employment status was composed of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Socio-demographic and cognitive-person factors, which are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sist of background context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factors. Using spss 26.0, we analyzed the impact of variables on employment.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health conditions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ed employment. Among the factors in background contextual factors, the basic living allowance benefit has been shown to affect employmen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upport of family members among contextual influences factors affects employment.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has increased when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status, and family support are high and are not eligible for basic living expenses. It had a trend similar to that of previou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it is meaningful that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disabled have been verified to affect employmen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rategic and integrated support to local communities that can reduce care stress and strengthen support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essibility to medical institutions through health care systems for the disabled and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healthy lives of the disabl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in order to succeed in employment.

      • 충청북도 주민의 치매 태도에 대한 연구 : 시·군 비교를 중심으로

        김진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703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ho are over 20 years old in 14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buk-do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dementia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variable factors, the Information Gap Theory is applied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erence there a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and counties and to find a way to positively change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each region according to differenc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from the raw data of the survey on dementia perception and attitudes, etc., conducted by the Chungcheongbuk-do Metropolitan Dementia Center in 2020 on the residents of Chungcheongbuk-do.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41 males and females aged 20 to 96, including local residen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survey (1,682 people in the city area and 2,059 people in the county are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Gap Theory, gend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selected as variables of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and cohabitation type and experience of dementia patients were selected as variables of living environment factors. As variables for health promotion factors,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living environment factors (cohabitation type, experiences of dementia patients), and health promotion factors (drinking, smoking, exercise) of local residents of the city/gun of Chungcheongbuk-d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while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dementia attitud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living environment factors (cohabitation type, experiences of dementia patients), health promotion factors (drinking, smoking, exercise),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of local residents of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buk-do,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dementia were different for each city and county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living environment factors such as dementia patient experience, and health promotion factor such as drinking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had the same difference in both city and county regions. It was confirmed that smoking and exercise were closely related to attitudes toward dementia in the case of urban areas, while the cohabitation type was closely related to dementia attitudes in the case of countryside. In light of the Information Gap Theory, the information gap is shown among classes, such as region, education, age, occupation, and income, like the previous studies mention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exposure to a specific disease or awareness about the disease seems to affect attitude toward dementia. Thu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ifferences in factor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between regions, and to facilitate the access of the elderly to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attitude. In add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with accurate knowledge to positively change their dementia attitud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improving dementia awarenes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dementia attitudes by region in Chungcheongbuk-do. 본 연구는 충청북도 14개 시·군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도민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수 요인 파악을 위해 정보격차이론을 대입하여 시·군 지역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차이에 따른 지역별 치매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충청북도광역치매센터에서 2020년 충청북도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치매인식과 태도 등에 대한 조사 자료를 원 데이터로 한 자료이며, 면접조사에 참여를 희망한 도민 등 20~96세 남·여 3,741명(시 지역 1,682명, 군 지역 2,05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정보격차이론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변수로는 성별, 연령, 학력을 선별하였고, 생활환경적 요인의 변수로는 동거형태, 치매환자경험을 선별하였다. 건강증진 요인의 변수로는 음주, 흡연, 운동을 선별하였다. 연구 대상인 충청북도 시·군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과 생활환경적 요인(동거형태, 치매환자경험), 건강증진 요인(음주, 흡연, 운동)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치매 태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충청북도 시·군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과 생활환경적 요인(동거형태, 치매환자경험), 건강증진 요인(음주, 흡연, 운동)과 치매 태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군마다 치매 태도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은 지역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나,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성별과 연령, 학력, 생활환경적 요인인 치매환자경험, 건강증진 요인인 음주가 시 지역, 군 지역 모두에서 동일하게 차이를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시 지역의 경우 흡연, 운동이, 군 지역의 경우 동거형태가 치매 태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정보격차 이론에 비추어 보면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하였던 선행연구와 같이 한국의 정보격차는 지역, 학력, 연령, 직업, 소득 등 각 계층별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며, 건강증진 행위에 있어서도 특정 질병에 대해 노출되었거나, 그 질병에 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에 따라 치매 태도에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지역 환경 간 정보 습득 등의 여러 요인 차이를 줄이고, 그 중에서도 고령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태도와 관련된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치매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을 심어주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충청북도 시·군 지역별 치매 태도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에 따라 향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치매 인식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해외파병 준비 요원이 인식한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웰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기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2687

        대한민국은 2020년 11월 기준으로 약 1,030여 명이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임무 형태로 해외파병을 실시하며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고 있고 그 규모는 국가 위상에 걸맞게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된다. 대한민국의 국가 위상 제고에 큰 역할을 하는 해외파병 부대원들은 파병지에서 임무 수행 중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사건과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파병지역의 스트레스를 파병 전에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로 파병 전 효과적인 스트레스 조절과 파병지역 임무 수행과의 긍정적 영향 여부 검증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파병 준비 요원이 인식한 스트레스 조절 기능으로서의 웰니스(Wellness)와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파병 임무 수행 전 효과적인 웰니스로 해외파병 준비 요원의 스트레스를 선제적으로 조절하여 조직몰입을 향상시켜 해외파병 임무 간 성공적인 임무 수행에 기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결과, 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트레스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결과, 스트레스는 웰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웰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결과, 웰니스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웰니스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어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검증 결과는 -.0734로 나타나 웰니스는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완전 매개효과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해외파병 임무 수행 전 효과적인 웰니스를 통해 해외파병 준비 요원의 스트레스를 선제적으로 조절하여 조직몰입을 향상할 수 있음을 규명한 것이다. 이것은 스트레스의 조절기능으로 완전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웰니스를 해외파병 준비 요원에게 접목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조직몰입을 이루어 성공적인 파병 임무를 이룰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는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국제평화지원단의 2021년 후반기 파병 예정인 모체부대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모체부대 선발에서 제외되는 병사 및 중앙 선발인원은 설문 및 논문의 작성 시기와 소집 시기 등에 제한이 있어 해외파병 연구결과를 준비 요원들에게 일반화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해외파병 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전 준비요원을 대상으로 표준 진단도구에 의한 측정과 이를 반영한 웰니스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s of November 2020, about 1,030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have been dispatched overseas in various missions,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scale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in line with the national status. Overseas troops, who play a major role in enhancing the status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exposed to stress while performing their duties at the dispatch site, resulting in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Therefore, on the premise that the stress of the dispatch area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efore dispatch, effective stress control before dispatch and verification of the positive effect of the mission performance of the dispatch area were approac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well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stress control function perceived by personnel preparing for overseas dispatch. Through this, it is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xecution of missions between overseas dispatch missions by preemptively controlling the stress of overseas dispatch preparation personnel with effective wellness before carrying out overseas dispatch missions, thereby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stress on wellness, it was confirmed that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wellnes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well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wel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wellness on the effect of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is no multicollinearity problem. Therefore,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was -.0734.It was confirmed that a complete mediating effect was show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reemptively controlling the stress of personnel preparing for overseas dispatch through effective wellness before performing overseas dispatch missions. This suggests that, by developing and applying an effective program that can graft wellness, which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s a stress control function, to personnel preparing for overseas dispatch,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uccessful dispatch mission by controlling stress and achie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parent units scheduled to be dispatched in the second half of 2021 of the International Peace Support Group under the Army Special Warfare Command.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of overseas dispatch to preparing personnel because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period of writing and convening questionnaires and thesis for soldiers and central selection personnel excluded from the selection of the maternal uni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ellness program reflecting the measurement by standard diagnostic tools for all preparation personnel with sufficient time before dispatching overseas.

      • 세계측지계 변환성과의 지적측량 적용 방안 연구

        원영길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In this study, using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results, we tried to examine the types of errors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experiments and analysis of field application of cadastral survey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types of errors caused by cadastral surveying,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research area.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an area with regular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s, an area with irregular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s, and a graphical area adjacent to digital area. For detailed surveying of the experimental area, world geodetic system observation results of the supplementary control point of the study area were obtained. A total of 20 points were obtained for each region. World geodetic system observation results were obtained for supplementary control points in the study area, and detailed surveying was performed on parcels in the target area using these point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performance in carrying out detail surveying, parcels with a previous survey history were targeted. Error typ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reference points and parcels. As a result of the error type analysis of the reference point, it was found that the supplementary control point of 2 points exceeds 12.5 cm i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 rule area. In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 a total of 4 points were found to exceed the error tolerance in the irregular area. Based on the conversion performance of the reference point, the error section was divided into 10 cm, 20 cm, and 30 cm. As a result of analysis, 12 points within 10 cm, 4 points within 10 cm and 20 cm, and 2 points within 20 cm and 30 cm.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lot and the types of errors caused by the adjustment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 of the supplementary control point. The types were analyzed centered on the parcels that had been subjected to detail survey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 of the local parcels changed as a whole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 resulting in cadastral non coincidences such as overlapping or blanking with adjacent parcel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reas where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re separated, it was found that gaps or overlapping problems may occur in adjacent areas depending on how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s are adjusted. In the case of a graphical area adjacent to digital area, it was found that even whe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results were readjusted, a separation(overlapping and blanking) of about 3 to 4 cm occurred in each joint area. As a result, there is no choice but to change the location, whether large or small, in drawings or in the field because the transformation of the local geodetic system and the world geodetic system cannot be completely changed without error. This positional change naturally causes cadastral non coincidence. Therefore, when applying the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map to the cadastral surveying site, it is necessary to closely monitor the occurrence of errors from the beginning and perform maintenance through re-surveying where necessary. If maintenance is difficult due to re-survey, it is judged that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Based on the experimental analysi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cadastral surveying of world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results was presented in technical and legal aspects.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이용해 지적측량 현장 적용의 실험 및 분석작업을 통해 오류 유형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측량 수행에 따른 오류 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가감성과가 규칙적인 지역, 가감성과 불규칙 지역, 수치 인접 도해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지역의 일필지 측량을 위해 연구지역 도근점의 세계측지계 관측성과를 취득하였다. 지역별로 총 20점을 취득하였다. 연구지역 도근점에 대한 세계측지계 관측성과를 취득하고, 이 점들을 이용하여 대상지역 필지들을 대상으로 세부측량을 시행하였다. 일필지 측량을 수행함에 있어 기존 성과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기존 측량 이력이 있는 필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오류 유형의 분석은 기준점과 일필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기준점의 오류 유형 분석결과, 가감성과 규칙 지역에서는 2점의 도근점이 12.5cm를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감성과 불규칙 지역에서는 총 4점이 오차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점 변환성과를 기준으로 오차 구간을 10cm, 20cm, 30cm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10cm이내 12점, 10cm초과〜20cm이내 4점, 20cm초과〜30cm이내 2점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지적도근점의 가감성과 조정에 따른 필지의 위치 변동과 이에 따른 오류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일필지 측량을 한 필지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가감량의 조정에 따라 지역 필지들이 전체적으로 위치 변동이 발생하게 되어 인접 필지와의 중복이나 공백 등의 불부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측량 성과가 분리되는 지역의 경우, 가감량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인접지역에서 공백이나 중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 인접 도해지역의 경우, 가감량을 재조정하여도 접합지역마다 3~4cm정도 이격(중복 및 공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면, 지역측지계와 세계측지계의 변환이 오차 없이 완벽하게 변환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도면이나 현장에서는 크든 작든 위치의 변동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위치의 변동은 자연스럽게 지적불부합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세계측지계 변환도면을 지적측량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초기부터 오류 발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부분은 재측량(기준점의 세계좌표 취득 포함) 등을 통해 정비를 시행하여야 한다. 만약, 재측량으로 정비가 어렵다면 지적재조사사업과 연계하여 정비를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분석 내용을 토대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의 지적측량 적용의 개선 방향을 기술적, 법률적 측면에서 제시해 보았다.

      • 온라인 리뷰 정보 특성이 앱 사용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배달 앱 서비스 리뷰를 중심으로

        손영권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급성장하고 있는 배달 앱 서비스 시장의 주요 요인인 리뷰 정보 특성에 대한 연구로, 리뷰 정보의 특성이 배달 앱 서비스에 입점한 외식업체의 신뢰성과 태도, 구매의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리뷰 정보의 특성이 외식업체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생생함, 객관성, 적시성의 요인을 채택하였으며 간접 경로 모델과 대안 모델인 직접 경로 모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 300부를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 3가지의 요인 모두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독립변수인 생생함, 객관성, 적시성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성은 태도에 태도는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ize of the domestic delivery app service market continues to grow, and it is rapidly growing due to social distancing caused by COVID-19. Online word-of-mouth information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used as a tool to share consumer and asset experiences with consumers beyond communication between sellers (restaurants), so consumers rely on information provided by others as a tool to reduce problems when purchasing food services (Kim Dong-beom, Nam Gung-young). In the case of delivery app services, online is a special environment, and when products are provided to consumers through an intangible service, such as cleanliness of the cooking environment or cleanliness of the cooking process, the restaurant's trust is very important. 2019). As such, consumers of delivery apps try to decide their purchase intention by relying on word of mouth information such as reviews and comments (Kim Hye-sook,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reviews affect th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delivery app service users.

      • 우리나라 법정 지목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윤경식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687

        현행 우리나라의 법정지목은 지적법 제3조에 21개의 지목이 최초 제정된 이래, 지적법 제5조에 24개의 지목으로 명칭과 개수가 대폭 개정되었고, 지적법 제5조의 개정으로 4개(주차장, 주유소용지, 창고용지, 양어장)가 추가되어 28개로 유지관리 되고 있다. 그 후 지적법이「측량수로 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로 명칭 변경되었고, 동 법률 제67조에 28종의 지목이 승계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측량수로 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이 다시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로 명칭 변경이 되었다. 그 이후로 동 법상에 현재까지 제67조에 법정지목 28종이 설정되어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58조에 28개의 법정 지목이 상세히 구분 제정되어 지금까지 유지관리 되고 있다. 1950년 12월 최초 지적법이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많은 법 개정 절차를 거쳤으나, 단순한 법률 명칭 변경과 몇 개의 지목을 추가하는데 그치는 등 현행 지목제도 구성의 단순함과 근본적인 문제를 도외시 한 점이 파악되었고, 급속한 고도 산업화와 더불어 토지의 다양한 활용성을 생각할 때 지표 중심의 단순 지목만을 규정하는 우리나라 단식 지목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디지털 융복합, Level 5(Auto Pilot) 자율주행, AI(인공지능), Robot, IOT(사물인터넷), ITS(지능형교통체계), Big Data, GPS(위치확인시스템) 등이 이미 우리 실생활에 들어와 있는 4차산업 시대 토지의 다양한 활용도를 고려할 때 현재의 법정 지목이 시대적 상황을 대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점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지하 및 공중 시설물의 증가에 따른 지목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복식지목의 혼용 도입 여부를 검토하며, 지금까지 단순 과세 기준의 토지 구분이 아닌, 그리고 단순한 지표 구분 지목제도가 아닌 공간정보 체계의 중심축으로서 입체 지목으로의 방향 전환과 다양성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된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현 지목제도가 지목 외에도 추가적인 많은 토지이용 규제가 있는바, 그 종류 및 문제점들도 파악하여 개선안을 마련하고 향후 정책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외국의 지목제도와 용도지역(Zoning) 등의 유용성과 효율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지목제도 설정에도 참조하였다. 그간 지적공부상의 지목이 실제 토지이용 현황을 반영하여 운용하고 있는지, 선행연구들에서 제기되고 파악된 공부상 지목과 현실지목과의 불부합에 관한 자료를 취합 및 파악해 보고, 또한 실수요자인 국민은 법정 지목에 맞게 사용하고 있는지, 맞지 않게 사용한다면 그 현황은 어떠한지, 그리고 왜 법을 어겨가며 공부상 지목대로 사용하지 않는지 국민의 측면에서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법정지목 제도가 법 제정 목적인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에도 부합하고, 국민의 소유권 보호 취지 측면에서도 부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Since the first 21 land categories were enacted in Article 3 of the Cadastral Law, the names and number of legal land categories in Korea have been revised drastically into 24 in Article 5 of the Cadastral Law, and four(parking lot, gas station, warehouse, fish farms) with the revision of Article 5 of the Cadastral Law were added and maintained at 28. After that, the cadastral law was renamed to the “Law on Survey and Cadastral Surveys and Cadastral Channels,” and 28 kinds of land categories were succeeded and maintained in Article 67. Meanwhile, the “Law on Survey and Cadastration of Survey Channels” was renamed the “Act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Since then, 28 statutory land categories have been established in Article 67 under the Act until now, and 28 statutory land categories have been enacted in detail in Article 58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nd have been maintained until now. Since the first Cadastral Law was enacted in December 1950, many laws have been revised until now. Still, it has been recognized that it has neglected the simplicity and fundamental problems of the current designation system, such as simply changing the law's name and adding a few land categories. When considering the various land and advanced industrialization uses, the Korean single land category system, which regulates only simple land category, is exposed. Considering Digital convergence, Level 5(Auto Pilot) autonomous driving, AI(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nd the various uses of land in the 4th industrial era, where IoT(Internet of Things),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Big Data, and GPS(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have already entered our real life, I try to find out whether the current legal designation represents the situation of the times. Besides, we identify land category problems due to the increase of underground and public facilities and review whether to introduce a double land category. I conducted this study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e land category system should play a role as a central axis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rather than a simple land taxation standard data. Also, since Korea's current land category system is related to many additional land-use regulations and the name,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prepare improvement plans by identifying the types and problems and suggesting future policy directions. Besides, I reviewed the usefulness and efficiency of foreign land category systems and zoning and referenced them to improve Korea's land category system. I checked whether the land category of public cadastral documents reflected the actual land use status and analyzed the non-conformity between land categories on the public documents and real land categories rais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analyzed whether the public used it following the legal design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if it is misused. Moreover, after investigating why citizens violate the law and do not use it by the land categories on the documen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land categories to help protect the people's ownership while also meeting the country's efficient management.

      • 군(軍) 조직의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에 따른 평판 회복 전략 연구 : 2000년대 북한군·주민 귀순 사건 중심으로

        황인광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2687

        위기(Crisis)로부터 어떠한 조직도 자유로울 수 없다. 2000년대 군 조직에서는 불량 급식을 필두로 하여 임 병장 총기난사 사건과 윤 일병 폭행 사망 사건을 비롯하여 북한군·주민 귀순 등 부정적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였다. 이러한 위기로부터 군 조직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훼손된 평판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군 조직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언론매체는 위기의 원인과 책임을 군 조직에 전가하는 보도기사를 지속 노출하여 조직 전반에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범국민 안보의식 조사 결과 공중은 군 조직의 공식적 발표를‘신뢰하지 않는다(71.3%)’, 군 조직을‘신뢰하지 않는다(57.8%)’라고 응답하였다. 군조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과반수를 넘는 걱정스러운 수치이다. 이는 훼손된 평판 회복을 위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것을 함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기 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해야 훼손된 평판을 효과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군 조직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사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에 따른 평판 회복 전략으로 분석하였다. 위기에 적절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위기 유형에 따라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을 분석해야 한다. 하지만 군 조직은 위기 유형에 따른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의 분석이 없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훼손된 평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Coombs(2014)의 평판 회복 전략을 분석의 틀로 차용하여 군 조직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 문제점을 식별하여 발전방향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의 관계를 <연구문제 1>로 위기 이력과 언론 프레임에 따른 평판 회복 전략을 <연구문제 2>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 1>의 경우, 언론매체는 위기이력(Crisis History)이 존재하는 위기를 주제 중심적(thematic) 프레임보다 일화 중심적(episodic) 프레임으로 구성을 하는 비중이 높았다. 또한 위기 이력이 언론 프레임에 명시된 경우에도 일화 중심적 프레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2>와 관련 군(軍) 조직은 평판 회복 전략으로 부인자세(denial posture)의 희생양 만들기와 축소자세(diminishment posture)의 변명, 그리고 재건자세(rebuilding posture)의 사과와 강화(bolstering posture)자세로서 환심사기 전략을 비중 있게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강화자세의 상기와 부인자세의 공격자 공격 전략이 낮은 비중으로 구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군 조직은 수용적 전략이 적합한 위기 유형에 방어적 전략으로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을 분석하지 않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에 군 조직은 위기 유형을 상정하고 위기이력과 언론 프레임의 분석으로 훼손된 평판 회복을 위한 공보전략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No organization can ever be free from crises. There has been multiple events continuously within a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the 2000s which pose negative impacts on the group such as inadequate rations, a shooting spree by SGT Lim, PFC Yoon's death by bullying, and defections by North Korean military personnel and civilians. The organization has attempted to repair its reputation damaged by crises through it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Despite its effort to employ such a strategy, however, the press causes negative impacts on the organization as a whole by constantly exposing articles that blamed the military for causing and being responsible for crises. According to a security awareness report for South Korean citizens, 78% of respondents do not 'trust' official announcements made by the organization, and 57.8% do not 'trust' the military itself. This number is extremcly alarming since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have negative perceptions on the military organization. The statistics imply the inappropriateness of the strategy taken to repair its damaged reputat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demonstrate proper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to be taken for an effective reputation for certain type of crisis. This paper analyzes a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used by the military to overcome its crises through a reputation repair strategy depending on crisis history and press frame based on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SCCT). Crisis history and press frame must be analyzed by each type of crises to utilize the proper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However, the military is failing to repair its damaged reputation due to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that lacks analysis of those variables. The paper utilizes Coombs(2014) reputation repair strategy as an analysis tool to analyze th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strategy, identifies its weaknesses, and suggests developmental direction as well as possible improvement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history and press frame is set as <research question #1>, and the reputation repair strategy depending on these variables is set as <research question #2>. Research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1>,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press constitutes crises that have a history with a narrative-centered frame rather than with a subject-centered frame. In addition, a narrative-centered frame is shown to be weighed heavier even in the case of explicit demonstration of crisis history by the press. As seen in <research question #2>, the military organization attempts to repair its reputation by utilizing provocation of denial posture, excusing of diminishment posture, apology of rebuilding posture, and ingratiation of bolstering posture. Furthermore reminding of bolstering posture and attack accuser of denial posture are utilized with much lower frequency. Therefore, it can be implied that the military organization applies a defensive strategy as it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to respond to the type of crisis that can be adequately handled by a receptive strategy due to the lack of analysis on crisis history and press frame. The organization must establish a systematic public affairs strategy for reputation repair by categorizing crisis types and analyzing crisis history and press frame.

      • 지적정보를 활용한 드론 배송맵 구축 연구

        김병기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에서는 드론 배송망의 내륙 지역 확대 구축을 위해 드론 거점과 배달점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시험 운항을 통해 배달점 착륙 오차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지적도면과 지적기준점 정보 등의 지적정보를 기반으로 드론 배송맵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정보를 활용한 드론 배송맵 구축을 위해 연구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실험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드론 배송이 필요한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고성리 일원을 선정하였다.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거점 1점과 배달점 3점을 선정하였다. 거점과 배달점은 효율적인 배송 및 드론의 안정적 착륙을 고려해 지형상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주변 건물이나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으로 하였다. 거점과 배달점 선정 후 이 지점에 대한 표지 설치와 위치 관측(GPS-RTK)을 통해 좌표를 취득하였다. 거점과 배달점의 위치좌표를 취득한 후 거점에서 배달점까지 시범 운항을 실시하였다. 시범 운항은 배달점 별 총 10회의 운항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배달점1, 2, 3점에 대한 드론 착륙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모든 배달점의 경우 드론 착륙의 위치정확도는 RMSE 산출값을 기준으로 보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1m이내의 정확도를 보였다. 다만 일부 시험운항에서 1m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그 차이는 미미한 수준으로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배달점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배달점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배달점의 드론 착륙 위치정확도를 분석하고, 지적정보(도면 및 지적기준점)를 이용해 드론 배송망과 배송맵을 구축하기 위해 연구에서는 거점 및 배달점과 함께 주변 지적기준점(보조점 포함), 드론 착륙 가능 지점 등을 조사‧추가하였다. 구축방법은 지적도면에 거점과 배달점을 연결한 배송망을 구축하고, 배달점에 포인트(point) 형태로 관련 속성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배송맵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현재 지적측량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자평판시스템 랜디고(LandyGo)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드론 배송망과 배송맵의 도형정보를 구축하고, 여기에 관련 속성정보를 입력하였다. 연구에서는 기준점정보와 매칭을 통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속성정보를 정의‧입력하였다. 끝으로 지적정보를 이용해 드론 배송맵을 제도적으로 구축․적용이 가능하도록 법률 및 제도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o expand the inland area of the drone delivery network, a drone base point and a delivery point were selected, and the delivery point landing error was analyzed through test drone operatio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it was attempted to suggest a drone delivery map construction plan based on cadastral information such as cadastral map and cadastral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build construct a drone delivery map using cadastral information, the research area was selected and experiment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area, the area of Goseong-ri, Cheongcheon-myeon, Goesan-gun, Chungcheongbuk-do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at require drone delivery. The research area was selected, and 1 base point and 3 delivery points were selected. The base point and delivery point we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opography in consideration of efficient delivery and stable landing of the drone, and also an area where there were no surrounding buildings or facilities. After selecting the base point and delivery point, the coordinates were acqui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onument for this point and observation of the location(GPS-RTK). After acquiring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base point and the delivery point, a delivery test operation was conducted from the base point to the delivery point. A total of 10 pilot flights were conducted per delivery point. Through an experiment,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drone landing for delivery points 1, 2, and 3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all delivery points,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drone landing showed the accuracy within 1m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RMSE calculated value. However, in some test flights, it occurred in excess of 1m, but the difference is insignifica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very point, which requires a certain space,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in using it as a delivery point. In order to analyze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drone landing at the delivery point, and to build a drone delivery network and delivery map using cadastral information(map and reference point), the study in addition to the base point and delivery point, the surrounding supplementary control points(including assistant points) and possible drone landing points were investigated and added. The construction method is to build a drone delivery network connecting the base point and the delivery point on the cadastral map, and input the relevant attribut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point to the delivery point. The software for building the delivery map used LandyGo software in the electronic plane table system, which is currently most commonly used in cadastral surveying. Graphical information of a drone delivery network and a delivery map was built, and related attribute information was input here. In this study, attribute information was defined and enter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rough matching with reference point information. Finally, improvement methods were presented in terms of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so that the drone delivery map can be systematically constructed and applied using cadastral information.

      •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 운영의 개선방안 연구

        이재혁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2687

        In this study, the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selected and supported a private company, performed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and tried to understand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proces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case areas, analyzing operating cases, and deriving limitations, it was attempt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this end,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were established and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review, the study selected a case area and tried to analyze the cases of the actual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As the case area, Tongdong 2 district in Taebaek-si, Gangwon-do was selected. In the case of case analysis criteria, efficiency was defined as the selection and support of a cadastral resurvey agency. Rationality was defined as the performance and division of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work by the responsible agency and cadastral resurvey agency. In addition, stakeholder was interviewed to draw up operational limits and to reinforce objectivity in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the derivation of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operation of the responsible agency. In the section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dastral resurvey agency selection and support, a method was proposed to raise the qualitative evaluation score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selection evaluation. In order to expand the support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it was suggested to enable automatic linkage installation when LandyGo SW update is perform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through separate budgeting for the portion that is being supported by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at the level of the responsible agency. In the part of rationalization of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work performance and division of duties, it was proposed to integrate 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boundary monuments and determine boundary monuments. In addition, the performing entity sought the direction of preserving the project cost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through joint implementation. In the short term,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in the direction of adjusting the project cost distribution ratio by adjusting the scope of work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was suggested to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that the scope of the current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process should be expanded to the extent possible and the cost of the project should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responsible agency should select and outsource the tasks that can be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responsible agency among the duties of the current cadastral office. A separate budget was established at the government level to support the required cos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의 민간 대행자 선정 및 지원, 지적재조사측량 수행 및 공정별 업무분장 등에 관한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례지역을 선정해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한계성을 도출한 후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정립하고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현황 검토된 내용을 기초로 연구에서는 사례지역을 선정하고, 실질적인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 운영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지역은 강원도 태백시 통동2지구를 선정하였다. 사례분석의 기준의 경우, 효율성은 지적재조사대행자 선정‧지원, 합리성은 책임수행기관 및 지적재조사대행자의 지적재조사측량업무 수행과 분장의 내용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운영의 한계 도출 및 개선방안 제시의 객관성 강화를 위해 이해관계자(지적소관청, 한국국토정보공사, 민간업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분석과 한계성 도출 내용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책임수행기관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적재조사대행자 선정 및 지원의 효율화 부분에서는 지적재조사대행자 선정 평가의 정성평가 점수를 상향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적재조사대행자 지원 확대에 있어서는 랜디고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할 경우 자동으로 연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책임수행기관 차원에서 지적재조사대행자에게 지원하고 있는 부분의 별도 예산 책정을 통해 지원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지적재조사측량 업무수행 및 업무분장의 합리화 부분에서는 임시경계점표지와 확정경계점표지 설치 작업을 통합하고, 이에 따른 수행 주체는 공동수행을 통해 지적재조사대행자의 사업비를 보전해 주는 방향으로 모색하였다. 책임수행기관의 업무위탁 확대와 연계한 사업비 배분의 현실화 방안은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업무범위의 조정을 통해 사업비 배분 비율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지적재조사대행자에게 현행 지적재조사측량 공정의 업무범위를 가능한 범위까지 확대하고 이에 따른 사업비를 증가시켜 주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상대적으로 업무범위가 감소하여 사업비의 감소가 발생하게 되는 책임수행기관에게는 현재 지적소관청의 업무 중 책임수행기관 차원에서 수행이 가능한 업무를 선별하여 위탁해 주고, 그에 따른 비용은 정부차원에서 별도의 예산을 수립하여 지원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