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이 학생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효과

        이재영 대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이 학생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중등상담심리전공 이재영 본 연구는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이 학생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은 두 가지로 첫째, ‘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에 따라 학생들의 긍정심리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Ⅰ과 둘째,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에 따라 학생들의 행복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Ⅱ를 설정하였다.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이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S지역에 소재한 J중학교 교사 및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변수의 중앙값에 기초한 교사의 공감 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공감 및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들이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에 사용된 연구척도 즉, 각 변인 간 상관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각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사의 공감능력 및 회복탄력성이 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 및 개인행복수준과 양적 선형관계에 있음을 알려주었다. 둘째,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학생의 긍정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의 주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의 공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긍정심리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Ⅰ-1과‘교사의 회복탄력성이 클수록 학생들의 긍정심리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Ⅰ-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의 상호작용도 학생의 긍정심리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긍정심리에 대한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Ⅰ-3도 지지되었다. 셋째,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학생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의 공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이 더 행복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Ⅱ-1과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클수록 학생들이 더 행복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Ⅱ-2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의 상호작용은 학생의 행복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행복에 대한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Ⅱ-3은 지지되지 않았다. 넷째,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 수준이 상승할 때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수준도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이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증거기반의 정책을 실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그 한계도 존재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다. 다양한 지역과 학교를 대상으로 표집 대상을 확대하고 더 다양한 인구 통계적 변인을 고려하여 조사연구 및 실험연구와 종단연구를 병행해야 할 것이다. 한편, 교사의 공감과 회복탄력성이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행복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면 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향상을 위한 구체적 방안 및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주제어 : 공감, 회복탄력성, 긍정심리, 행복 ABSTRACT The Effect of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Jae-yeong Lee Dept. of Middle Couns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kyu Nam)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Two theories of study were set up for this purpose: first, ‘It will work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based on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and second, ‘It will work on students’ happiness according to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Teachers and students at J Middle School in S were surveyed on teachers' empathy, resilience, and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ppiness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effects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 21.0 program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cale.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based on the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a two-way analysis was conducted by separating the teacher's ability to empathize based on the median values of the two variables and the low group, and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er areas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cale used in the paper, i.e., the results of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is showed that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are related to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vel of individual happines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showed that the main effects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were significant, which supported the study’s theory I-1 that ‘the higher the empathy of teachers, the better the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the greater the resilience of teacher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y among students. Therefore, the research theory I-3 was also supported: ‘There will b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eacher’s empathy with the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the resilience.’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mpact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on a student’s level of well-being showed that the main effects o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were significant, which supported the theory II-1 that the higher the empathy of teachers, the happier the students would be, the greater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the study II-2.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student's level of happiness. Thus, research theory II-3 was not supported, saying, ‘There will b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eacher’s empathy with the student’s happiness and resilience.’ Fourth, the results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how teachers' ability to empathize and recover from their 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their ability to be positive and happy have on their level of happiness showed that the more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they have,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 study found that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level of happiness also increase as teachers' level of empathy and resilience increase, suggesting that teachers' empathy and resil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ut its limitations exist in that it can serve as basic data for realizing a policy based on evidence to enhance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happiness. More data is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ncrease reliability.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listings to a variety of regions and schools and to combin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ith end-to-end research taking into account a wider variety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f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well-being, policy response to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eacher empathy and resilience and how to implement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is very important, an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Subject words: empathy, resilience, positive psychology, happiness

      • MV-HEVC를 위한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예측 방법

        이재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예측은 다시점 영상 부호화 할 때,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예측 움직임 벡터는 현재 블록의 실제 움직임 벡터와 유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기반 다시점 영상 부호화 표준(MV-HEVC)에서 비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예측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그리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Enhanced 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EAMVP)를 제안한다. EAMVP는 인접한 두 시점의 관계를 Epipolar 기하학, Similarity transform, Affine transform으로 해석하고,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 부호화를 위한 예측 움직임 벡터를 구해진 두 시점의 관계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MV-HEVC의 기존 방법보다 1.19%에서 1.32%의 부화화 성능 향상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향상은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효율적인 예측 움직임 벡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In terms of motion vector coding, motion vector predictor (MVP) has to find efficiency predicted motion vector (PMV) which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current motion vector (MV). But the MVP design of the current Multi-view HEVC (MV-HEVC) exploits meaningless PMV for inter-view MV coding. Since meaningless PMV has different motion vector property with the current MV, the conventional MVP methodology works in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enhanced 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or (EAMVP) and two substitution MVs to avoid meaningless PMV without calibrated camera projection matrixes. To evaluate the proposed scheme, we implemented the reference software of the MV-HEVC. Our experiments show proposed scheme can effectively avoid meaningless PMV and improves coding performance.

      • 인간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젬시타빈의 항바이러스 활성

        이재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리노바이러스는 일반 감기의 주원인 균으로 천식과 만성 폐색성 폐질환과 연관되어 있다. 현재로서는 인간 리노바이러스(HRV)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나 백신이 없다. 젬시타빈 (2',2'-difluorodeoxycytidine, dFdC)은 디옥시사이티딘 유사체로 in vitro 에서 리노바이러스와 엔테로바이러스 71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다. 하지만 아직 in vivo 에서의 활성은 확인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설치류 인간 리노바이러스 감염 모델을 이용하여 젬시타빈이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지 평가하였다. 젬시타빈의 비강내 투여는 유의적으로 폐의 바이러스 부하와 염증을 낮춰주었고 이는 TNF-α와 IL-1β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폐에 침투한 세포의 수가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 흥미로운 것은 뉴클레오티드의 투여로 젬시타빈의 HR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완화되는데 이는 젬시타빈의 주 대사체인 삼인산젬시타빈이 RNA 복제를 저해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항종양 약물인 젬시타빈이 HRV 감염에 대한 항바이러스 약제로 재창출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Rhinovirus is one of main causations of the common cold. It is also related with deteriora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 well as asthma. Unfortunately, current development could not reach to any of antiviral treatment or vaccine for human rhinovirus (HRV) yet. Recent research reported the antiviral activity against rhinovirus as well as enterovirus 71 of Gemcitabine (2',2'-difluorodeoxycytidine, dFdC) as a deoxycytidine analog, in vitro.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of antiviral effects of it in vivo.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viral activity of gemcitabine using a rodent HRV infection model. Intranasal application of gemcitabine significantly alleviated pulmonary viral load and inflammation. This is due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1β, and cells infiltrating the lungs. Intriguingly, administration of nucleotides attenuated the antiviral activity against HRV of gemcitabine.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gemcitabine triphosphate, the main metabolite of gemcitabine, inhibits RNA repl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repositioning of gemcitabine, an antineoplastic, as a possible antiviral agent against HRV infection.

      • 프랭크 스텔라의 회화 작품 연구 : 변형캔버스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본 프랭크 스텔라의 회화작품

        이재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예술사적 영역에서 기존의 경향을 배제하고, 새로운 시각적 표현의 시대를 예고하는 작품들로서 반동적이고 생소한 예술에 대해 전후를 살펴 볼 때, 이를 정상적인 변화의 과정으로 보는 관대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와 미래의 관계에 있어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의 작품에 의해 더욱 고무되어졌으며, 20세기 현대미술에서 프랭크 스텔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상용어가 되었으며, 브로드웨이(Broardway) 남쪽 Corner 10th Street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처럼, 거리에서조차도 그의 이름을 발견할 수 있다. 현대미술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프랭크 스텔라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를 평면을 기본으로 한 여러 줄무늬 연작을 작업했으며, 초기 줄무늬 작품들은 체계미술(Systemic Painting)이라는 범위 안에서 구조성(構造性)을 지닌 조형의 이미지로서 등장하는 각 연작(連作)마다 많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단일 회화 개념과 변형 캔버스의 다양한 변화와 확장으로 전개되었다. 이후 스텔라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형태와 텍스츄어를 대비시키는 불규칙과 다색형 작품과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부조(浮彫)작품을 제작하여 모더니즘에서 나타나는 표현의 억압과 정신적인 빈곤의 내적인 갈등을 극복한다. 그는 캔버스 예술이 갖는 환영주의(Illusionism)를 보전하는 방법으로 평면성과 3차원적 존재가 동시에 나타나는 금속부조작품을 제작하는데 이 작품 속에는 초기 줄무늬 회화가 가지지 않았던 현란한 흥분과 힘(Energy)이 있다. 금속부조작품의 규모는 점차 건설적인 양식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점점 입체를 향해 비집고 나온 그의 작업 경향은 마침내 벽을 벗어난 독립된 환조작품으로 선보여진다. 그의 회화의 범주, 즉 평면성은 유지하되 그 틀 속에 어떤 내용을 어떤 재료로써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 형태를 주조적으로 축적(蓄積)하여 그려나가는 부조회화라는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새로운 현대미술의 실험적인 모색을 하게 된 것이다. The history of the arts sees newly emerging unfamiliar and reactio- nary works, which sweep away the existing trend and predicts a new artistic revolution, from a tolerant perspective as a desirable phenomenon that naturally appear in the context of the past and future such a tendency was more encouraged by the painting of Frank Stella(1936-), who is discussed in this study. the word of Stella becomes one of usual terms used everywhere the modern art of the 20th century is argued. His name can be discovered even on the street, being carved on the 10th street in southern Broadway Frank Stella, who made an outstanding contribution to modern art, produced a series of striped plain paintings in the late 1950s and the 1960s. His early striped paintings projected a structural plastic image within the range of systemic painting. Even though there were plenty of differences between the series of works, they took root in the same, single concept of painting, showing multiple changes and extention of shaped canvas, From then on, Stella was absorbed in irregular polygonal paintings and relief paintings, instead of logical and reasonable works. The former used a contrast between form and texture and the latter employed different materials, by which he got over the inner conflicts associated with mental poverty and oppressed expression of modernism. In an effort to pre- serve the illusionism of canvas arts, metal relief painting was created by him, in which plainness coexisted with a three-dimensional existence. In this work, we can detect great excitement and energy that couldn't be found in his early striped paintings. In scale, the metal relief paintings gradually developed into more constructive mode, and his moving toward dimension design made his work go across the barrier and seen as a separate sculpture in the round. He had his sights set on more than just thinking over which content and materials should be used in the given plane framework, namely the given category of painting. He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painting, turning his eyes into relief painting utilizing an accumulation of multiple different forms in structural way, and thereby successfully got out of the bounds of the 20th century's abstract painting.

      • 멀티콥터의 제어 동특성 기반의 실시간 풍향/풍속 추정

        이재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멀티콥터형 드론의 제어 동특성을 기반으로 하고 탑재된 센서(Onboard Sensor)를 이용하여 실시간 풍향/풍속 추정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 중 고정익(Fixed Wing) 비행체에 Pitot tube, Lidar 센서 등을 탑재하여 풍향/풍속을 추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한 지점에서의 추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특정 지점에서제자리 비행(Hovering)이 가능한 멀티콥터를 제안한다. 그러나 멀티콥터의 경우 로터의 추력을 이용하여 비행하게 되므로 고정익 비행체와 같이 Pitot tube와 같은 외부센서를 부착할 경우 와류의 영향으로 추정 오차가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멀티콥터에 탑재된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온보드 센서를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추정하였다. 멀티콥터에서 추정된 바람의 방향과 세기는 실시간으로 지상용 초음파 풍향/풍속계와 비교하여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uses a multicopte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apable of hovering in a specific place to estimate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A fixed-wing plane uses external sensors, e.g., a Pitot tube, which measures flow velocity, to take measurements. A multicopter flies by the power of its rotors. When it uses external sensors, large errors can occur because of the turbulence. To compensate for this drawback, onboard sensors, e.g.,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are used, and the wind direction and strength are estimated.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was verified by comparisons with ground wind-direction and speed observation equipment.

      • 고려 전기 북계 방어체계의 성립과 변화

        이재영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Bukgye defense system. I have looked in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ukgye defense system in the early Dynastic period of Koryo and how the principal army left the defense system following a mutiny that occurred in Bukgye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12th and the 13th centuries along with subsequent changes in the defense system, accordingly. Bukgye had two groups of army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tationed at the time. The first group was Bangsu Army and the second was Jujin Army. Bangsu Army was stationed in Goryeo’s frontlines only. Accordingly, they were sta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Cheongcheongang(river) (river) and southern area only in early Goryeo Dynasty period and in the vicinity of the Amnokgang(river) (river) and the Cheongcheongang(river) (river) only in mid Goryeo Dynasty period and afterwards. Bangsu Army was organized and dispatched directly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Gaegyeong with the commander also appoint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as well. Jujin Army, on the other hand, was local troops stationed throughout the Bukgye area with the commander and soldiers recruited from local residents of Bukgye region. There were four Yohaecheos (key strategic points for defense) in the north of Gaegyeong. The first Yohaecheo was Jeollyeong located immediately to the north of Gaegyeong, second near the Daedonggang(river), third near the Cheongcheongang(river) and the fourth near the Amnokgang(river). Four Yohaecheos were not only strategic military locations but also served as axes that divide the region. The Daedonggang(river), a boundary between Bukgye and Namdo, served as the axis that divided the regions comprised of Juhyeon and Jujin, respectively in Bukgye while Cheongcheongang(river), in turn, served as another axis that further divided Jujin region into the frontline and the rear Dividing Jujin region of Bukgye along the Cheongcheongang was attributed to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Amnokgang-Cheongcheongang region, which was the very frontline of Goryeo and thus was critically important for military purposes. Therefore, Bangsu Army was stationed in this region only along with more troops of Jujin Army deployed in this region than in the south of Cheongcheongang. It was the 12th century that the Bukgye defense system established in early Goryeo period started to wobble. Following the Myocheong's revolt, Seogyeong’s status plummeted and the royal tour to Seogyeong was suspended, causing increased grievance of Doryeong, public officials in Bukgye. Entering into the military regime, officials started to redeem the private land in Bukgye, causing fury among ordinary people. With grievance of Doryeong accumulated since the Myocheong's revolt topped with complaints of general public triggered Doryeong to build local powers in earnest. This phenomenon led Jujin Army to mobilize its troops in large scale and to engage in mutiny during the Jowichong’s revolt,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the breakaway of Jujin Army from the defense system. Following the Jujin Army’s move against the defense system, Goryeo rearranged the Bukgye defense system with the Bangsu Army serving as the axis. With general Bangsu holding multiple posts, including military judge, military administrator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 Bukgye defense system was reshuffled and reorganized with Bangsu Army serving as the main principal. However, reorganization of the defense system based on the Bangsu Army led to a decrease of defense bases. In a war against the Khitan, the Amnokgang basin where Bangsu Army was stationed served as a sole major defense base, and the majority area of Jujinseong in Bukgye failed to serve as the defense base by the time when Goryeo engaged in the first clash against Mongolia. In the end, the decrease of defense bases in that period forced Goryeo to give up its original defense system and to turn to a new strategy called ‘Sanseonghaedo Yipbo(山城海島入保)’. Keyword : Bukgye defense system, Bangsu Army, Jujin Army, Myocheong's revolt, Jowichong’s revolt. 이 글은 고려 北界 방어체계의 성립과 변화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고려전기 북계 방어체계의 성립과정을 살피고, 12~13세기 북계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인해 주진군이 방어체계에서 이탈해 나아가는 과정과 그로 인해 일어난 방어체계의 변화를 살폈다. 북계에는 서로 성격이 다른 두 종류의 군대가 함께 주둔하고 있었다. 첫 번째는 防戍軍이고, 두 번째는 州鎭軍이다. 방수군은 고려 최전방에만 주둔하는 군대였다. 이에 따라 고려초에는 청천강 유역과 남쪽에만, 중기 이후부터는 압록강-청천강 지역에만 주둔하였다. 방수군은 개경조정에서 직접 편성·파견하였으며, 지휘관 역시 개경조정에서 직접 임명하였다. 주진군은 북계 전 지역에 걸쳐 주둔하고 있었던 지방군이었다. 지휘관 임명과 군대편성을 모두 북계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경 북쪽에는 방어에 중요한 4개의 要害處가 있었다. 첫 번째는 개경 바로 북쪽에 위치한 절령이었고, 두 번째는 대동강, 세 번째는 청천강, 네 번째는 압록강이다. 4개 요해처는 모두 군사적 요충지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을 구분하는 기준점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대동강은 북계와 남도의 경계선이자 북계에서 주현으로 구성된 지역과 주진으로 구성된 지역을 나누는 기준점 역할을 하였고, 청천강은 북계 주진지역을 전방지역과 후방지역으로 나누는 기준점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북계 주진지역을 청천강을 중심으로 구분했던 까닭은 압록강-청천강 지역의 중요성 때문이다. 압록강-청천강 지역은 고려 최전방 지역으로 국방상 매우 중요하였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만 방수군이 주둔하였고 주진군 역시 청천강 남쪽 보다 많은 숫자가 편제되어 있었다. 고려전기 구성된 북계 방어체계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12세기부터이다. 묘청의 난 이후 西京의 위상이 하락하고, 왕의 서경순행이 중단되면서 북계 吏屬層인 都領의 불만이 누적되기 시작하였다. 무인정권기에 들어서면 북계 民田에 대한 탈점이 시작되었고, 그로 인해 일반민의 불만이 가중되었다. 묘청의 난부터 이어진 도령의 불만과 일반민의 불만이 합치되면서 무인정권기부터 본격적으로 도령이 지방세력화 하였다. 이러한 도령의 지방세력화는 조위총의 난 때 주진군이 대규모로 반란에 참여하게 된 원인이 되었고, 이것은 결국 주진군의 방어체계 이탈로 이어지게 되었다. 주진군의 방어체계 이탈로 인해 고려는 방수군을 중심으로 북계 방어체계를 재편하였다. 防戍將軍이 兵馬判官·兵馬副使, 그리고 分道員을 겸임하기 시작하면서 북계 방어체계가 방수군을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하지만 방수군 중심의 방어체계 재편은 방어거점의 감소로 이어졌다. 거란유종과의 전쟁에서는 방수군이 주둔하고 있었던 압록강 유역만이 주 방어거점으로 활용되었고, 몽골과의 제1차 전쟁 때가 되면 북계 대부분의 주진성이 방어거점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 결국 이러한 방어거점의 감소는 고려가 기존 방어체계를 포기하고 산성해도 입보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전쟁을 수행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