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기초적 수학 능력의 신장 방안

        이순주 한국수학교육학회 2002 初等 數學敎育 Vol.6 No.2

        After entering an elementary school, in fact, a number of children regard mathematics as one of very difficult subjects because of its abstractiveness.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ir basic thinking power is not yet formed or they can not understand the special quality of mathematics. So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ed to build up the higher logical thought and a basic mathematical concept at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age in which the learning activity on mathematics begins in earnest, that is, at the stage before having an experience on the calculating activity using numbers. But at present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ur country do not understand the special quality of mathematics composed of a various symbolic system and lay stress upon mathematics learning attached to the calculative activity. In order to make the right mathematical concept of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the basic knowledge and ability as follows is sure to be formed. 1) the foundational logical manipulation activity and knowledge 2) the using ability of the sign and symbolic system At the stage on which mathematics learning activity begins,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make the right concept of the abstractive math and nurse the capability for finding mathematical relations covered under the sign system through the continuos learning activity on <realia - the sign, its meaning>. Through the basic logical manipulation activity and the game activity of sign for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ntioned in this article, they can not only foster the higher level logical thinking power and the foundational calculative ability but also bring up the interest on the activity of establishing a new problem solving strategy.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전공교육 혁신을 위한 창의적 사고기법 적용 -건축설계교육 사례 연구-

        이순주,송복섭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4

        대학의 전공교육과 창의성 교육이 각각 독립되지 않고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공교육 속에서 대학생들이 직면하게 되는 문제상황들을 창의적 사고기법과 접목시킴으로써 새롭고 남다른 해결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도록 이들의 사고를 이끌어 줄 수 있는 대학 전공수업의 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이 될 교과목으로 대학교 건축학과에 개설된 “건축설계 스튜디오”를 선정하였다. 건축설계교육을 혁신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의적 사고기법들을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질적분석 방법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강의 상황 속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도구의 샘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건축학과 1학년과 2학년 건축설계 스튜디오 수업에 적용된 창의적 사고기법은 다수의 학생들이 매우 다양하고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고안하도록 이끌어 주었으며 그것을 실제 설계 작업에 적용하는 고무적인 결과를 도출하게 하였다. For not being independent of the major education and creativity training, we tried to develop a synergic method of class case. The students' thinking abilities are guided. by combination of creative techniques and problem solving method that students face in college education. Th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was selected as study object. Creative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is class and it’s effect was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rough this work we tried to suggest some teaching-learning samples that can be applied to reality of lecture directly. As a result creative technique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for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s in department of architecture guided many students to very various and specific ideas and derives encouraging results that they were applied to the actual design work.

      • KCI등재

        유치원 일반학급 순회교육 지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이순주,이효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순회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문지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가 있는 유치원 일반학급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순회교육의 정의와 개념, 그리고 순회교육 운영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구광역시에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110명을 1차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였고 수거한 94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유아교사들의 75% 이상이 순회교육의 정의와 개념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80% 이상이 순회교육이 필요하며 도움받기를 희망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교육함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교사 자신의 전문성 부족을 가장 많이 들었으며,도움 받기를 원하는 영역은 사회성이 가장 많았다. 순회교육의 수업일수는 현재 규정된 수준이 적정하다고 당하였으며 1일 수업 시간은 1시간이 적당하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순회교육 지원형태는 일대일수업과 통합환경의 병행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순회교육계획안 작성은 특수교사,일반교사,학부모가 협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었다. 순회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순회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방안이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것과 순회교사의 전문성 등이 언급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invigorating the itinerant education at the kindergarten level and helping it settle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that is provided centrally by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Research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check whether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perceived the definition and the concept of the itinerant education. The second is to se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the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The third i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have had experiences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eligible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with the exclusion of 3 providing unfaithful answers out of 97 returned questionnaires, total of 94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draw ou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whether to have perceived the definition and the concept of the itinerant education or not, mos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ve been aware that a provision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is specified in the special education law and children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laced in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can get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although most of th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tinerant education was needed, the numb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received th itinerant education support was actually small. Thirdl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improvement measures to help the desirable itinerant education settling down, they answered that the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public relations about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the recruitment for reinforcing itinerant teacher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the placement of qualified professional itinerant teachers and regular full-time teachers, the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upport of relevant services includi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Itinerant education needs to settle in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for the education to be suitably performed to children eligible for the special education placed in the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for the purpose of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for this purpose,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ment measure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should be reviewed as sons as possible.

      • KCI등재후보

        여성 정치리더 등장을 통해 본 라틴아메리카 여성정체성의 변화

        이순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7

        라틴아메리카의 전통적 여성정체성을 의미해왔던 ‘마리아니스모’는 라틴아메리카 정치경제발전과정에서의 여성참여 그리고 특히 민주화이후의 여성정치리더 등장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양상의 여성정체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체성의 변화의 방향과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과거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여성상을 ‘네오-마리아니스모’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전통적인 ‘마리아니스모’의 개념으로는 공적영역에서 활동범주가 확대되고 있는 현대적 여성정체성을 설명하는 데는 상당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 라틴아메리카 사회가 완전히 변화한 것이 아니라 현재도 전통적 개념과 새로운 개념들이 혼재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여성들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안 정치, 경제발전과정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활동영역을 확장해왔고, 이러한 확장도구는 전통적 정체성의 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모성’의 역할이었다. 최근 라틴아메리카의 여성정치리더들을 통해 본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여성정체성은 과거보다 전문성을 갖추고 보다 적극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 사용한 ‘네오-마리아니스모’는 아직 완전히 정의된 개념이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사회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나타날 여성정체성의 변화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changing Latin American women’s identity throughout political arena as a part of society. It is well known that no country has completely equal gender representation. If there are meaningful conceptual changes of women’s political activities, it can be considered as a deep changes of their society. Because the political area is the most kept area by men and patriarchy. In this context, I tried to find out differences and changes of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 ‘marianismo’, along the political changes in Latin America. For that, the meaning of ‘marianismo’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ies and the behavior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re explained. And also analysed how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in Latin america is making changes from traditional ‘marianismo’ to newer ‘marianismo’. During 1970s and 1980s, the concept of ‘Supermadre’ legitimized and applied to mobilize women’s socio-political participation and to secure their support recognizing women’s cultur al identity in view of the state. It was a notion that legitimize women’s participation in most of public activities as a maternal activities during latin american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Due to these process of participation of women, we can consider that definitions and contents of ‘marianism’ is changing. To explain those changes, it is suggested ‘neo-marianismo’ as a experimental perception.

      • KCI등재

        전차 교전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체계모델의 논리 모델링 방법

        이순주,Lee, Sunju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20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9 No.2

        다양한 무기체계 중 대표적인 지상 무기체계인 전차는 각국의 핵심 전력 중 하나로, 전차의 운용 개념과 효과도 분석을 통해 과학적 분석 기반의 비용 효과적인 연구개발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전 시뮬레이션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데, 전차 무기체계를 모델링함에 있어 전차의 기동, 통신 등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운용교리를 반영한 효과분석을 위하여 전차장 등의 의사결정을 모델링하는 논리 모델도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통합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AddSIM)에서 제공하는 무기체계 모델의 표준 아키텍처인 기본체계모델(Base System Model, BSM)에 맞추어 전차 교전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전차 BSM 설계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논리 모델을 인간 의사결정 모델에 근거하여 세분화하였으며, DEVS 형식론이라는 수학적 형식론에 기반한 정형적인 모델링 방법으로 모델링하였다. 그 결과 전차 BSM을 계층적이고 모듈화된 형태로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향후 우리 군의 전차 운용 개념 연구와 전차의 효과분석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ank, which is a representative ground weap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eapon systems in each country. For the cost-effective acquisition of a tank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the operational concept and effectiveness should be studied based on engagement simulation technology. Besides physical capabilities including maneuver and communication, logical models including decision-making of a tank commander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to model a tank for engagement simulation based on Base System Model(BSM), which is the standard architecture of the weapon system model in AddSIM, an integrated engagement simulation software. In particular, a method is proposed to develop logical models by hierarchical and modular approach based on human decision-making model. The proposed method applies a mathematical formalism called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formalism.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widely used to study the operational concept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anks in the Korean military in the future.

      • KCI등재

        최근 칠레 가족정책 변화의 젠더 함의 -미첼 바첼레트 대통령 집권 이후를 중심으로-

        이순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9 중남미연구 Vol.38 No.2

        칠레 사회는 사회적 역할에서 젠더구분이 명확한 국가 중 하나이다. 칠레의 복지제도는 전통적으로 남성 부양자-여성 돌봄 제공자 역할에 대한 전제가 기반이 되어왔다. 최근 칠레 정부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라틴아메리카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을 높이는 것과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출생률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노력은 가족정책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칠레 가족정책은 미첼 바첼레트 대통령이 취임한 후부터 크게 변화하였다. 칠레 정부는 연대연금을 신설하고 출산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였으며, 공공보육 시설과 서비스를 확대하였다. 또한 출산휴가 기간을 확대하고 남성도 일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도입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책변화의 내용을 젠더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정책변화가 갖는 젠더 함의를 도출한다. The Chilean society is a representative country with a clear gender division in its social role. The premise of male breadwinner has been the basis of the government's welfare system. Increasing the decreasing birth rate and the relatively low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 in Latin America has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task for the Chilean government. The Chil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ocial policy reforms targeting families in recent decade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basic solidarity pension, introduced a maternity voucher, ‘bono por hijo’ and expande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servic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extended the period of maternity leave and allowed fathers to participat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tents of these policies in detail from the gender perspective along with the trend of policy change in Chile and derive the gender implications of policy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