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하부요로감염 및 과민성방광의 발현과 질 산도의 상관관계

        이성주,유석선,홍근식,구진모,홍경표,김영준,전용석,정우식,심봉석,윤하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1

        Purpose:Vaginal pH change is known a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t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in fema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 overactive bladder revelation and vaginal pH by age group. Materials and Methods:Subjects were schizophrenic out-patients, who fufilled DSM-IV diagnostic criteria, and their families. Results:This study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vaginal pH(p=0.000). It also found that the contraction of cystitis patients was high in older age group(p=0.035). However, vaginal pH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to the contraction of cystitis(p=0.258). In older age group, the number of overactive bladder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er age group(p=0.05), while vaginal pH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to the contraction of overactive bladder(p=0.376). Conclusion:Diseases that cause lower urinary tract symptom such as overactive bladder and recurrent cystitis increase in proportion to age. Vaginal pH also increases in proportion to age. However, vaginal pH is not a significant factor to the contraction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 when the age is revised.

      • KCI등재

        최근 이론 고고학의 反-人間中心主義

        이성주 영남고고학회 2019 嶺南考古學 Vol.- No.85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archaeology is the study of humans and their culture through the material remains of the past, and we have never doubted the validity of the proposition until now. However, in the theoretical suggestions of the recent archaeological studies, the arguments against the proposition are easily seen. For example, some argue that what we want to know are not the human beings and their culture, but the relationships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interact with each other or the things themselves that humans left behind. By the 21st century, archaeological theory had moved away from anti-anthropocentrism and turned into things and concentrated on the relational thinking that human and non-human, nature and culture, and materials and concepts were already associated with each other in an existential way. Thus the role and weight of human beings have been reduced, and archaeology has already had the trends of anti-anthropocentrism. In fact, it was from the early 1990’s when the theoretical archaeology became interested in the importance of things and began to show anti-anthropocentrism tendencies. However, it is Bruno Latour's Actor-Network-Theory(ANT) that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transition to anti-anthropocentrism, which seems to have greatly changed the nature of theoretical archaeology. Some archaeologists, who have recently embraced the philosophy of ‘Speculative Realism’, even argue the need to speculate on the object itself left behind or left after humans. One can see that there is a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recent claims of theoretical archaeology, depending on how much they have tendency to the antianthropocentrism. ‘고고학은 과거의 유물을 통해 인간과 그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알고 있으며 우리는 지금까지 이 명제의 타당성을 의심했던 적이 없다. 하지만 최근 이론 고고학의 새로운 제안들을 보면 지금까지 우리가 고고학의 학문적 본성이라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왔던 명제들에 위배 되는 주장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우리가 알고자 하는것은 인간 그 자체가 아니라 ‘인간과 비인간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관계’라고 한다거나 ‘고고학은 인간 외부, 인간이 떠난 사물 그 자체를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고고학 이론은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사물에 중요성을 부여하게 되었고 인간과 비인간, 사물과 사고, 물질과 개념을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고 존재론적으로 이미 연관되어 있다는 관계론적 사고에 빠져들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인간의 역할과 비중은 축소되었으며 고고학은 이미 반-인간중심주의의 성격을 갖게 되고 관계론적 사고는 현대 고고학의 접근에서 필수적인 요청 사항이 되었다. 사실 이론 고고학이 사물에 중요성을 부여하고 반-인간중심적 경향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탈과정주의 후기부터였다. 하지만 반-인간중심주의로의 전환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Theory: ANT)이며, 이를 계기로 이론 고고학의 성격은 크게 달라진 것 같다. 물론 반-인간중심주의라고 해서 반-휴머니즘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이론 고고학에 윤리적 잣대를 들이대려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은 21세기 이론 고고학의 경향을 반-인간중심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개관해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작성되었다. 1990년대 고고학의 여러 접근 안에서 인간중심주의에서 이탈하고자 하는 경향을 살펴보고 라투르의 ANT를 비롯한 포스트 휴먼 사유를 받아들이면서 고고학 이론이 어떻게 휴머니즘에서 벗어나게 되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21세기 이론 고고학의 다양한 경향에는 반-인간중심주의의 주장에서 정도의 차가 있으며 그러한 층차는 특히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첫째, 사물에 중요성을 부여하게 되는 이론 고고학의 시간적 전개과정, 둘째, 현대 고고학의 이론적 분파들이 각자 철학적 토대로 삼고 있는 포스트 휴먼사상들의 성격 등에 따라 반-인간중심주의의 주장도 다른 듯하다.

      • KCI등재후보

        社會’考古學 그 理論的 展開에 대하여

        이성주 한국고대학회 2006 先史와 古代 Vol.25 No.-

        The culture-historical archaeolog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as concerned with describing the regional sequence of material culture. From the middle of this century the functional archaeologists began to analyze the settlement patterns to define the social entities and their evolutionary levels. For Colin Renfrew as one of the processual archaeologist, the definitions of the territorial scales and the internal organizations of the past social units were believed to be fundamental in the researches of ‘social’ archaeology. But the contemporary neo-Marxist archaeologists refused to observe the social changes from the internal of the social units. They suggested that the social changes of the local group could not be isolated from the larger system. The critical aim of social archaeology, therefore, is to explain the social reproduction process in the contexts of the local and global social networks. With the recent turning from society to the social, the social archaeologists begin to explore the every meaning of social practice in the past and present daily life based on the social theories of Giddens and Broudieu. From the 1990's, some Korean archaeologists have tried to define the scale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social units, analyzing the settlement and burial data of Bronze age similarly to the work of western functional archaeologists. Apart from the social approaches to the settlements and burials, the inter-regionally distributed objects, such as bronze dagger and mirror and jade ornaments, have not been adequately interpreted because of the ethnic concern to reconstruct the nation's history. 최근 취락과 분묘에 대한 전면 구제발굴로 축적된 자료를 통해 청동기시대 '사회'고고학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사회의 연구는 한편으로 英美 '사회'고고학으로부터 다른 한편으로는 일본의 彌生時代 공동체 연구로부터 개념과 이론적 전제를 채택하는 경향이다. 이 논문은 英美 '사회'고고학의 이론적 전개에 대한 검토를 통해 최근 우리의 청동기시대 사회연구의 개념적 문제를 점검하고 연구 과제를 정돈해 보기 위해 작성되었다.20세기 전반까지 고고학은 유물과 문화를 다루어 왔지만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고고학은 사회와 그 진화로 관심을 돌렸다. 특히 기능주의 과정고고학은 사회진화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취락유형을 분석하였고 사회집단의 규모와 사회조직을 정의하는 것이 '사회'고고학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반해 네오-마르크스주의 고고학자들은 분석의 단위로서 사회적 실체를 정의하기 보다는 사회적 재생산이 이루어지는 관계망과 같은 것을 설명하려 했다. 그들은 사회의 형성과 변동이 단위사회와 같은 국지적인 관계를 통해서도 일어나지만 그것도 거시적인 사회관계의 일부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20세기 말에 이르러 고고학에서도 사회보다는 사회성(social), 혹은 사회생활(social life)의 해석에 초점을 맞춘다. 全體化되고 固定된 실체로서의 社會에 대한 관념을 버리고 과거와 현재에 걸쳐 일상생활에서 性, 年齡, 젠더의 觀念과 그 물질적인 표상들에 관한 담론이 본격화된 것이다.최근, 우리 학계의 청동기시대 사회연구는 전면 발굴된 취락과 분묘 자료의 분석을 통해 사회의 통합과 위계를 진단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영미 기능주의 고고학과 일본식 공동체론의 접근과 유사하며 사회를 정의하기 위해 고고학 자료를 적절하게 분석하기 시작하였다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유물복합체의 시·공간적인 분포나 광역으로 나타나는 물질문화의 해석에서는 文化單位, 種族性, 民族史 등을 의식하게 되면서 자연스럽지 못한 담론이 되고 만다. 또한 통합적인 실체 혹은 규제로서의 社會槪念에 묶여 사회성에 대한 탐구도 멀게 느껴진다. 그래서 지금 우리의 '사회'고고학에서는 그러한 개념적인 장애물을 제거하고 과거사회 연구의 과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학습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성주,김경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실천에 관심을 두고, 대학생의 개인특성(성별, 학년별, 전공별)에 따라 학습활동 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습활동 유형을 교수주도형, 교수개입형, 또래리 더형, 학생상호형으로 구분하여 학습자 특성별 학습활동 참여 유형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활 동 참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교차분석 결과, 학습자 개인특성별로 학습활동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다. 성별로는 여학생, 학년별로는 1학년, 전공별로는 보건복지계열의 참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concerning convergence education practice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based on college students' individual traits such as gender, grade and majo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y were divided into teacher-directed type, teacher-intervened type, peer-leader type, students' mutual initiative type, and then the difference of types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learners' traits was examined. The results of crosstab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of learning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tudents' individual traits. The participation of girl students in gender, first year students in school-year, and students of Health & Social Service in major was significantly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