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변단면 콘크리트 주탑공사의 슬립폼 시스템 적용을 위한 설계기술 연구
윤혜진,김영진,진원종,김희석,Yoon, Hyejin,Kim, Young Jin,Chin, Won Jong,Kim, Hee 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3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을 위한 최첨단 공법이라 할 수 있는 슬립폼 시스템 공법의 기술자립을 목적으로 슬립폼 설계기술을 연구하였다. 대상 주탑은 10m의 높이를 갖으며 보통 케이블 교량의 주탑에서 적용하는 사각 중공 형상으로 계획하였다. 슬립폼 시스템은 콘크리트의 연속 타설을 고려하여 슬립폼이 연속적으로 단면의 치수변화와 두께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시공시 슬립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BIM에 의한 가상 시공으로 실용성을 사전 검증하였다. 설계된 제작 도면을 바탕으로 슬립폼 시스템을 제작하고 10m 높이의 주탑을 성공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개발된 변단면 슬립폼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차미경,Yoon, HyeJin,Cha, Mikye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the program operation in children's servic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librarians' expertise was divided into 6 areas, and the program operation was divided into planning and proceeding, and an e-mai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62 public librarians (response rate 58%).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hildren's program planning was correlated with all areas of professionalism of children librarians, and the program progress was related to the competence of the three areas inclu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preparing ways to activate children's programs.
윤혜진,윤산현,이소영,김해균,이원돈,임진호,Yoon, Hyejin,Yoon, Sanhyun,Lee, Soyoung,Kim, Haekwon,Lee, Wondon,Lim, Jinho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1
본 연구는 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두 번의 냉동과 융해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이식한 결과에 관한 보고이다. 사람 포배기 배아의 동결보존에서 높은 생존율과 성공적인 임신율이 보고되고 있으나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에 두 번의 초급속 냉동 방법을 실시한 후 이식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얻은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를 artificial shrinkage 후 초급속 냉동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재냉동 이식하였을 때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9세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55개의 미성숙 난자들(germinal vesicle stage oocytes)을 체외배양 하여 성숙한 37개의 난자들로부터 30개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12개의 배아가 포배기 배아까지 발달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양질의 포배기 배아를 선별하여 이식하였고, 이식을 한 후에 남은 9개의 포배기 배아들은 artificial shrinkage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초급속 냉동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보존 하였다. 그 중,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융해한 후 이식을 하지 않고 다시 재냉동을 하여 보관하였고 이 후 재냉동 되었던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다시 융해 하여 이식을 한 결과 임신이 되어 건강한 남아를 분만하였다. 이로써 미성숙 난자로부터 얻은 포배기 배아가 두 번의 냉동과 융해의 과정을 통해 크게 손상을 입지 않고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융해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다시 냉동 보관하여 다음 주기에 이용함으로써 축적된 임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윤혜진 ( Yoon¸ Hye Jin ),김은희 ( Kim¸ Eun Hee )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21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7 No.3
Purpose-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considers the start-up as the engine of future economic growth. Tourism businesses have increasingly changed to innovative and technology-based businesses aft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nd describe the growth and output of th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based tourism start-ups, which have been dramatically developing in the Korean tourism industry. Design, data, and methodology-We utilized the secondary data of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which collected 87 tourism start-ups from January 2011 to April 2021.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cross-tab analysis. Result-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sided market is prominent in the domestic tourism market, with O2O(online to offline) and online business being the main focus. It was also found that many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Seoul, where infrastructure and support are abundant. The large majority of tourism start-ups are mainly based on e-commerce technology and have patents. Additionally, venture capital plays a vital role in the investment and growth of tourism start-ups in South Korea.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foster tourism start-up businesses in South Korea.
윤혜진(Yoon, Hye-jin) 한국불교상담학회 2019 불교상담학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약물중독문제를 초기불교명상 입장에서 살펴보고, 갈망 유혹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약물은 미량으로도 강력한 진통작용과 마취작용을 하며 계속 사용하면 습관성과 탐닉성이 생기게 하는 물질이다. 약물중독의 특징을 개괄하고 초기경전에 나타난 중독과 괴로움의 원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연구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초기불교는 괴로움의 원인을 갈망과 집착으로 본다. 불교명상은 괴로움에 벗어나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집중 과 통찰 두 가지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약물중독자의 갈망을 다루기 위한 방편을 집중명상에서 모색했다. 약물중독자의 단약 및 회복을 위해서는 갈망에 불을 붙이는 유발인자(생각, 사람, 장소, 감정적 상태 등)에서 벗어나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다. 그러나 유발인자는 피할 수 없고 예측할 수도 없어 만나면 저항할 수 없는 충동이 되어 버린다. 중독자는 유발인자를 만났을 때 약물을 하지 않고 그 힘을 없애는 방법에 대해 배워야 한다. 집중명상은 하나의 대상(예, 호흡 등)을 정해 마음을 거기에 집중하게 한다. 집중력이 증장되면 어떤 유혹과 자극을 만나더라도 쉽게 휩쓸리지 않고 마음의 중심을 잡게 된다. 약물중독자가 갈망 유혹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주의를 몸과 마음에 집중하는 명상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주의기울임, 알아차림, 삼매 세 가지 기제와 그 역할을 살펴본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how early Buddhist meditation can be applied to help drug addicts to react to the crisis of craving for drug use. Any drug, albeit at low leves, works in the brain as strong analgesic and anesthetic. and if keep using it becomes habituation. According to Buddhist Scripture, the drug use of human beings is related to their agony and the early Buddhist assigns the cause of human beings’ agony to their craving and obsession. Buddhist meditation can help human being to escape from agony by practicing two major meditation techniques ‘concentraion’ and ‘insight’. It s not easy to get away from craving for drug use when the drug addicts are exposed to the drug using inducing factors (thought, person, place, emotional status). These trigger factors are not only easy to escape but also hard to foretell when they appear. Drug addicts should learn how to deal with them. They need to concentrate on the meditation object, such as their breath, body, and mind. Through the mediative development of calm abiding, one is able to suppress the obscuring craving and obsession.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took a close look at three main mechanisms of concentration meditation-attention(manasikāra), awareness(sati), and concentration(samatha).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발생한 경추부 장경근의 석회화 건염
윤혜진 ( Hyae Jin Yoon ),손창남 ( Chang Nam Son ),이승훈 ( Seung Hun Lee ),주경빈 ( Kung Bin Joo ),김태환 ( Tae Hwan Kim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3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20 No.6
Retropharyngeal calcific tendinitis, also known as calcific tendinitis of the longus colli muscle, was first described by Hartley in 1964. It is caused by deposition of calcium hydroxyapatite crystals in the longus colli muscles from C1 to C3. Retropharyngeal calcific tendinitis is diagnosed radiologically by the detection of amorphous calcification and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Twelve cases of retropharnygeal calcific tendinitis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 but no case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In this case,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retropharyngeal calcific tendiniti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메이커교육 아웃리치 프로그램 사례: 메이커 정신 함양을 중심으로
윤혜진 ( Hyea Jin Yoon ),강인애 ( Inae Kang ),강은성 ( Eun Sung Kang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현 시대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서 메이커 운동에서 기인한 메이커교육이 제시되고 있다. 메이커교육은 흔히 메이커 활동을 통한 결과물 생산이라는 하드 스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나 이와 동시에 메이커 활동 과정과 결과를 통해 소위 메이커 정신(mindsets)이라는 소프트 스킬을 함양한다는 목표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이커교육은 다양한 도구와 재료 구비 및 전문 강사 수급, 메이커스페이스 활용, 나아가 실생활 연계 활동 등의 인프라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외부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로서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메이커교육을 실행하기에 더욱 요긴한 환경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사고기반 메이커교육 모형’에 따라, 109명의 중학생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15주차 메이커교육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한 후, 그 결과로서 질적자료(인터뷰, 성찰일지, 관찰일지)를 바탕으로 메이커운동 선언문에서 강조되었던 메이커정신(자기주도성, 생산적 실패, 공감, 나눔과 공유) 함양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아웃리치 메이커교육이 주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실제적 학습 환경, 외부와의 연결, 전문 강사 활용)를 간략히 제시하였다.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aised needs for empathetic, proactive, and collaborative competencies which are able to solve complicated social issues and problems. For this purpose, Maker education, originated from Maker Movement, has been suggested as alternative educational environments. since it tends to focus on not only developing material competencies, but also fostering maker mindset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maker activities. Maker education, however, requires infrastructures, such as various kinds of materials, tools, and advanced technologies,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using makerspaces as well. Accordingly, outreach program in corpo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 might be a appropriate model to practice the maker education along with its educational values in presenting authentic learning environments to the stud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fte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design thinking process 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in the form of an outreach program to 109 students in 7<sup>th</sup> graders during a free semester, purposed to examine 1) how maker mindsets(self-autonomy, productive failure, empathy, and sharing) can be practiced among the participant students, and 2) what are the educational values of the program as an outreach program.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data(interview, reflective journals, observational reports)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s. Finally, considerations needed for successful Maker education outreach program are briefly suggested.
윤혜진(Yoon Hye-Jin),허영림(Huh Young-Rim)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2
본 연구는 8년 이상 경력이 있는 3명의 어린이집 원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면담을 통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 원장이 어떻게 교사들과 상호작용 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Laub(1999)의 서번트 리더쉽 6영역을 바탕으로 면담질문을 구성하여 그 내용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원장은 교사들의 자신감을 함양시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원장은 적극적인 상담과 배려프로그램을 통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함께 교사와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정부나 민간단체는 어린이집 원장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원장훈련과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have more than about 8 years of work-experience in order to examine how they have interacted with teachers. The researchers, above all, made up the questionaires of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based on the six areas of servant-leadership by Laub(1999) and analyzed the interview-material to find out the director’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ervant-leadershi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irectors feel they need to form empathy between the center members by boosting self-confidence and developing counselling and care programs of various kinds.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ies of servant-leaders, the government or private organizations need to strengthen training center directors in diverse ways and offering more workshop chances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