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국 소수민족문화 지도방안 : 중학생을 대상으로

        윤혜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의 목적은 중국 소수민족문화를 활용해 다양한 문화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문화는 사람들의 사상과 가치관 더 나아가 언어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화 변화에 따라 언어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를 이해해야 언어 표현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뤄지는 교육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뤄진 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뤄지는 문화 소재가 한정적이었다. 따라서 본고는 다양한 문화 교육을 위해 소수민족문화를 활용한 지도방안을 제시했다. 한국은 외국인 근로자, 국제 결혼, 이민 등 다양한 이유로 빠른 속도로 다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학교에서는 다양한 인종과 국가의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수민족문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세상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타 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중국 소수민족문화 지도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제 Ⅰ장에서는 중국 소수민족문화 지도에 대한 연구 목적을 서술하고 기존에 이뤄졌던 문화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중국 소수민족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의 의의를 밝힌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 방법 및 내용을 기술한다. 제 Ⅱ장에서는 문화 교육 개념을 살펴보면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중국 소수민족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기한다. 이어서 중국 소수민족 특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6종 <생활 중국어> 교과서 문화 부분의 소수민족문화를 분석한다. 제 Ⅲ장에서는 소수민족문화 지도방안 설계를 위해 5개의 문화 소재와 2개의 소수민족을 선정한다. 이어 중국 소수민족문화 지도방안에 활용하기 위해 각 문화 소재마다 소수민족 1개씩 선정하고, 소수민족문화 수업에 활용할 ‘다음 카페’의 구성과 활용 방법과 수업 모형을 기술한다. 제 Ⅳ장에서는 소수민족문화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지도방안은 2단계로 나눠 구성하여 1단계는 ‘다음 카페’제시한 소수민족문화 수업에 대해 설명하며 2단계는 ‘다음 카페’에 설계한 소수민족문화 수업을 수업시간에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지도안을 제시한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및 의의를 제시하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중국 소수민족문화 교육을 통해 다양한 문화 접근과 함께 중국어 문화 교육에 대한 다양성을 추구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 활용되길 바란다. 또한 소수민족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길 바란다. 本论文的目的是利用中国小数民族的文化,提示多样化的文化教育方案。文化产生人们的思想和价值观甚至语言波及影响。随着文化的变化,语言也有变化。所以了解文化,能了解目的语的表现方式。关于文化教育的研究是进行活泼的教育领域之一。察看现行文化教育的研究的话,我们可以知道重新组成已经接触过的中国文化。所以本稿为了多样化的文化教育,提示了小数民族文化的指导方案。而且关于小数民族的文化指导方案的论文极少数。 韩国是因为外籍劳工、国际结婚、移民等等多种理由,韩国的多元文化以快速进行,因此在学校各种各样的人种和韩国学生在一起学习所以学生需要多种文化的理解。通过中国小数民族文化讲课,学生可以接触多种文化而且能理解多种文化的共存在世界上和可以接受其他文化的心理准备。所以本论文研究对中国小数民族的文化的教学方法。研究内容如下。 第I章是明确了对中国小数民族的文化的教学方法的研究目标,通过检查目前所形成的文化教育的先行研究,解释中国小数民族的文化的意义。还有记述了将进行的研究方法和内容。 第II章是确立文化教育的概念和重要性,提出了中国小数民族文化教育的必要性。然后分析了中国小数民族概况和2009改正教育过程初中6种《生活汉语》文化部分所述的中国小数民族文化和在学校中国小数民族文化教育现况。 第Ⅲ章是为了设计中国小数民族教案,选定了5个文化素材和2个中国小数民族。然后为了活用少数民族文化的教学方法,每个文化素材选定了一个少数民族。基于承前选定的内容记述了文化讲课的时候‘DAUM CAFE’活用方式、教授模型。 第Ⅳ章是结合承前所述的理论,提示了中国小数民族文化教授方案。教授方案组成两个阶段。第一阶段,说明在‘DAUM CAFE’设计少数民族文化讲课和学生活动,教材资料。第二阶段提出了怎样在上课中学生和教师交流和活动的指导方案 第Ⅴ章是整理了本研究的结论和意义,叙述了研究当中遇到的难点和提出了后续研究方向。 本论文通过中国小数民族文化教育,使学生能接触多种文化,通过追求汉语文化教育的多样化,活用在在教育现场上而且希望活跃进行对小数民族文化教育的研究。

      • 조선 전기 계비(繼妃) 선정의 변천과 그 의미

        윤혜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선시대에는 왕비가 사망하거나 지위를 박탈당했을 때, 왕비의 지위를 이어받는 ‘繼妃’를 들였다. 繼妃는 성리학 이념이 정착되면서 등장한 개념이었다. 본고에서는 선조대까지로 시대를 한정하여 ‘조선 전기 繼妃’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繼妃 선정의 변천을 통해 당대의 시대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繼妃 선정 방법은 중종의 두 번째 繼妃인 문정왕후를 선발할 때 큰 변화를 보였다. 문정왕후 간택 이전에는 후궁 중에서 繼妃를 선발하여 승격시켰고, 문정왕후 때부터는 繼妃를 외부에서 새로 간택하여 선정하였다. 조선 초기에 후궁 출신의 繼妃가 선정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후궁의 위상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순왕후ㆍ폐비 윤씨ㆍ정현왕후ㆍ장경왕후가 후궁 출신의 繼妃였다. 이들은 궁중에서 생활해 본 검증된 처자였기에 왕실에서의 선호도가 높았다. 중종의 繼妃 문정왕후 선정 때는 繼妃를 외부에서 간택하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은 성리학 이념의 정착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후궁 朴氏에 대한 경계와 元子의 보호와 같은 현실적 요인이 결합되면서 이루어진 결과였다. 문정왕후가 외부에서 간택되면서, 왕의 혼례식에 처음으로 親迎禮가 등장하였다. 親迎禮의 도입은 성리학적 이념의 구체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전기가 되는 사건이었다. 이후, 선조의 繼妃가 된 인목왕후의 경우에도 문정왕후 때 행해진 외부 간택과 親迎禮가 계승되어 시행되었다. 이로써 繼妃를 외부에서 선정하는 것이 새로운 관행이 되었고, 親迎禮도 완전히 정착될 수 있었다.

      • MRI 기반 치매 진단에서 딥러닝과 기술 통계량 기법을 활용한 정확도 개선 연구 : Accuracy Improvement Study Using Deep Learning and Descriptive Statistics Technique on MRI Images for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윤혜민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알츠하이머 병은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뇌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퇴행성 신경 질환이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진단하여 신경 퇴행을 막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단시간에 종합적으로 MRI 영상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CAD, Computer-Aided Medical Diagnostics)의 개발이 중요하다. CAD에 딥러닝 기법을 결합하면 전문가가 정확하고 빠른 판단을 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그래서 딥러닝을 통해 치매 발병 여부를 분류하는 시스템 개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MRI 영상을 통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발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서 치매 상태(AD, Alzheimer Disease)와 정상 상태(CN, Case Normal)로 분류하였다. 딥러닝 모델인 ResNet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5겹 교차 검증(5-Fold Cross Validation)을 통해 학습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구조를 가공하여 치매 분류에는 ResNet 50이 적절하다는 걸 발견하였다. 또한, 치매 발병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서 두 가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는 MRI 단면 이미지 기준 치매 분류이고 두 번째로는 기술 통계량을 활용한 피실험자 기준 치매 분류이다. 기존 MRI 단면 이미지 기준 치매 분류 방법 대비 기술 통계량 기법을 사용한 후의 치매 분류 방법이 최대 9%가 향상된 94%의 성능으로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각 기술 통계량을 어떤 기준으로 설정하는지에 따라 치매 분류 성능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 했고 기술 통계량 기법 중 중앙값(Median)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치매 분류 방법으로 추출된 MRI 슬라이스에서 뇌 구조의 물리적인 특성인 해마를 검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Alzheimer's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mentia and is a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in which brain neurons slowly die. In order to prevent Alzheimer's type dementia, early diagnosis and prevention of neurodegeneration are necessar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computer-aided diagnostic system (CAD)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evaluates MRI images in a short time. Combining CAD with a deep learning-based methodology can help healthcare professionals make accurate and fast decisions. Therefore, research on developing a diagnostic assistance system that classifies the onset of Alzheimer's type dementia through deep learning is actively conducted. In this paper, to predict the onset of Alzheimer's type dementia through MRI images, we define two states: the dementia state (AD, Alzheimer Disease) and the normal state (CN, Case Normal). Learning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through 5-fold cross validation using the ResNet network, a deep learning model. In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ResNet 50 is suitable for classifying dementia. In addition, two methodologies were proposed to predict the onset of dementia. The first is the classification of dementia based on MRI cross-sectional single images, and the second is the classification of dementia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from subjects. Compared to the existing MRI cross-sectional image-based dementia classifica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showed improved dementia classification accuracy of up to 94%. Dementia classification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which standard is set for each descriptive statistic. Amo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highest accuracy was achieved when the median was used. Finally, the MRI slice extracted by the proposed method detected the hippocampus,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brain structure, which verifies the validity of this study.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른 소리 내어 읽기와 지속적 묵독의 효과 비교 분석

        윤혜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른 소리 내어 읽기와 지속적 묵독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지속적 묵독과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그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지속적 묵독과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소리 내어 읽기와 지속적 묵독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대해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 결과에 따라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을 상·중·하로 나누어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어떤 읽기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하고자 Bonferroni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밖에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교사 수업 일지, 학생 수업 소감문을 분석하여 양적 도구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동화책을 지속적 묵독으로 읽었을 때보다 소리 내어 읽었을 때가 읽기 능력이 더 많이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소리 내어 읽는 방법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지속적 묵독 방법으로 영어 동화책을 읽은 학생들의 평균 영어 읽기 점수도 향상 되었으므로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지속적 묵독 역시 좋은 읽기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어 동화책을 지속적 묵독으로 읽는 것과 소리 내어 읽는 것 모두 정의적 능력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집단 모두 정의적 능력 점수가 비슷한 폭으로 변화하였으므로 이 두 가지 읽기 방법에 따른 효과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읽기 방법에 따라 학생 수준별로 읽기 능력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산출한 결과, 상 수준과 중 수준에서는 지속적 묵독을 한 집단과 소리 내어 읽기를 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 수준에서는 지속적 묵독 대비 소리 내어 읽기 방법의 효과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정의적 영역의 하위 요소인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모든 측면에서 지속적 묵독을 한 집단과 소리 내어 읽기를 한 집단 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또 학생들의 상·중·하 영어 수준에 따른 효과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뿐만 아니라 읽기 방법과 학생 수준 간에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교사의 수업일지와 학생들의 소감문을 통해 지속적 묵독과 소리 내어 읽기는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수준 및 읽기 방법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읽기 방법을 선택·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한다.

      •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 외모도구성과 신체이형장애 성향의 관계 : 자기대상화의 매개효과와 자기개념의 다면성의 조절효과

        윤혜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외모도구성 신념이 신체이형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영향을 자기대상화가 매개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대상화가 신체이형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개념의 다면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대학교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남녀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내면화 척도(SATAQ-I), 외모도구성 척도(BVI-SI-A),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다면적 자기개념 검사(MSCI), 신체상 걱정 검사(BIC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 외모도구성, 자기대상화, 신체이형장애 성향 간에는 정적 상관이, 다면적 자기개념에서의 외모 이외의 영역들의 중요도에서의 비중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 외모도구성, 자기대상화, 신체이형장애 성향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와 외모도구성이 자기대상화를 매개로 신체이형장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면적 자기개념에서의 외모 이외의 영역들의 중요도 비중이 자기대상화가 신체이형장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으나, 사회적 자기의 중요도 비중이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내면화가 자기대상화에 미치는 경로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on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examined whether self-objectification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In addition to this mediation model, this study tested whether multiphasic self-concept moderates the mediation effects abov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443 (under)graduate students in Gyeonggi-do. To assess each variables, SATAQ-I(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Questionnaire–Internalization), BVI-SI-A (Body Value Inventory-Social Instrumentality-Appearance), K-OBCS (Korea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 a shortend form of MSCI (Multiphasic Self-Concept Inventory), BICI(Body Image Concern Index)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he multiphasic self-concept score in this study, defined as the ratio of self domains other than appearance in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Secondly, self-objectification appeared to have mediation effect between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and between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symptoms. Third, multiphasic self-concept score in this study, defined as the ratio of self domains other than appearance in importance did not moderate the 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on body dysmorphic symptoms. In the additional examination, the ratio of social self in importa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on self-object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17세기 후반 국왕의 정국운영과 戚臣의 역할 : 효종·현종·숙종을 중심으로

        윤혜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Chucksin is a relative of the king's matern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who participated in politics. Chucksin was both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and a government official. The king's use of Chucksin's political capabilities has greatly influenced his political structure and direction. Research on the king and Chucksin of the Joseon Dynasty has been steadily conducted. However, there are few articles on the late 17th century king and Chucksi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yojong, Hyeonjong, and Sukjong's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it looked at the activities and roles of Chucksin. They are from the Cheongpung Kim, Kwangsan Kim, Yeoheung Min's famil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ing was the key figure in leading operation of political situations in the late 17th century. This shows that the ruling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maintained the basic framework of the dynasty era, which was divided into kings and officials. It also confirms that power was distributed from the king. Second, in the late 17th century, Chucksin played a role in defending the royal authority, and the growth of Chucksin during this period was organically linked to the height of the royal authority. The weak royal power during the Hyojong period was strengthened during the Sukjong period, which was possible thanks to Chucksin's support. Third, in the late 17th century, Chukshi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Chucksin played a major role in the two administration changes. And it influenced the division of Seoin into Noron and Sor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Chucksi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 in the political situation. Fourth, Chucksin in the late 17th century showed characteristics of working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forming a collective force. Representatively, Kim Seok-Joo showed outstanding ability in the performance of reconnaissance and the management of the military authority, and were given various tasks by receiving great trust from the king. Fifth,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of the late 17th century king and Chucksin laid the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18th century Tangpyong Politics. Sukjong changed the political situation without the help of his aides, unlike he had previously changed the political situ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Chucksin. This was possible because Sukjong had secured a stable royal authority thanks to Chucksin's support. Sukjong, who gained confidence through this, moved away from the style of political management that he relied on Chucksin, and established his own found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to exercise strong royal power. Thi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us to open the era of Tangpyong Politics, which was based on the strong royal authority of the 18th century. 조선시대의 외척은 왕의 측근 세력 중에서 법제적으로 유일하게 관직 진출이 가능했는데, 이렇게 관료로서의 지위와 정치 행적을 갖고 있는 외척의 인물을 별도로 ‘戚臣’이라는 개념을 사용해 표현하였다. 척신은 왕실의 일원이면서 동시에 관료라는 위치에 있었기에 왕과 신하 사이에서 조정자의 역할을 할 수도 있었고, 왕실의 대변인으로서 왕실의 세력 기반을 공고히 하고 관료 집단을 통솔·제어하는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었으며, 권세에 편승해 오히려 왕을 제압하고 권력을 농단할 수도 있었다. 따라서 왕이 척신의 정치적 역량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 정치 구조와 정치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의 국왕과 척신 관련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17세기 후반의 국왕과 척신에 대한 논문은 그 중요도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이것은 그동안 연구자들이 이 시기를 당파성론이나 붕당정치론 등의 시각에서 정치 세력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보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왕권의 기능이나 척신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17세기 후반은 반정과 반란 및 양난의 폐해와 명나라의 멸망 등으로 인한 위기의 상황 속에서 昭顯世子의 가족이 몰살당하고 효종이 왕위에 올랐다는 왕위의 정통성 是非도 더해져 왕권은 실추될 수밖에 없었는데, 이때 왕은 조력자로서 척신을 선택해 정치적으로 성장시켜 나갔다. 척신의 성장과 더불어 왕권이 신장되는 모습이 이 시대의 특징으로 잘 드러난다. 당시에 禮訟·告變·換局·分黨 등의 정치적으로 굵직한 사건들마다 모두 척신이 개입되어 있었던 것과 兵權이 척신에게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따라서 17세기 후반의 정국을 국왕의 입장과 척신의 활동을 중점적으로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7세기 후반 효종·현종·숙종의 정국 운영 방식을 분석하면서, 당시의 주요 외척 가문인 淸風 金門, 光山 金門, 驪興 閔門 출신 척신들의 활동과 역할을 함께 연계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17세기 후반의 국정을 주도한 핵심 인물은 왕이었다. 당시의 정국은 기본적으로 붕당의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었지만, 그 구조 위에서 국왕은 최종 결정권을 가지며 주체적으로 왕권을 행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 왕조의 지배 구조가 왕과 신하로 구분되는 왕조 시대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최종 권력자인 왕으로부터 권력이 분배되었다는 사실도 확인시켜 준다. 둘째, 17세기 후반의 척신은 왕권을 수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이 시기의 척신의 성장과 왕권의 신장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효종이 정통성 논란 속에서 즉위하면서 크게 약화되었던 왕권은 숙종대 국왕의 독자적인 환국 단행이 이루어질 만큼 강화되었는데, 이것은 척신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셋째, 17세기 후반에 척신은 정국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였다. 金佑明과 金錫胄는 寧陵 表石과 閔愼 代服 사건 및 甲寅禮訟으로 山黨을 물러나게 하고, 이후에는 紅袖의 變과 庚申換局을 일으켜 宗親과 南人을 제거하는 등 두 차례의 정권 교체에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대립했던 청풍 김문과 광산 김문이 하나의 외척이라는 범주 안에 들게 되면서 연합하는 양상을 보인 것과 아울러 산당과 연대를 이루게 된 부분도 주목된다. 이 연대로 인해 여흥 민문의 계비가 간택되어 三戚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고, 척신의 정치 참여가 더욱 확대 되었으며, 巨頭 宋時烈의 정치적 浮沈이 척신과 함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척신의 정치 참여와 壬戌三告變의 처리 과정을 두고 西人이 老論과 少論으로 분기한 점은 척신의 정치적 위상을 재고하게 한다. 또한 己巳換局 이전에 척신의 공백으로 인해 나타났던 정치적 공황을 통해서도, 척신이 정국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넷째, 17세기 후반의 척신은 집단화된 세력을 이루기보다는 개별 인물의 역량에 따라 활동하는 특징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김석주가 정탐의 수행과 軍門의 관리 등에 탁월한 능력을 보였고, 의술에도 조예가 깊어 왕실의 응급 상황에 불려가는 등 왕으로부터 큰 신임을 받으며 다양한 임무를 부여받았다. 삼척을 형성하여 같이 움직이기는 하였으나, 김만기와 閔維重은 김석주만큼 적극적이지 않았고 閔鼎重은 기본적으로 이들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김석주를 구심점으로 하여 인사권과 병권을 맡고 있기는 하였지만, 다른 인물들을 끌어들여 세력을 확장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이것은 保社功臣에 척신과 함께 錄勳된 척신의 주변 인물들이 중앙 요직에 있는 자들이 아니고 대부분 하위 관직에 있던 비주류들이었다는 점과 삼척의 주요 인물들이 연이어 사망한 이후에 그들의 역할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었던 사람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17세기 후반 국왕과 척신의 왕권 강화는 18세기 蕩平 정치 시행의 토대가 되었다. 숙종은 삼척의 공백을 메울 대체 인물을 구하지 못한 상태에서 후궁 장씨 소생의 왕자가 탄생하자, 독자적으로 정국을 전환시키는 도전을 하였다. 기존에 척신과의 협력을 통해 정국을 변화시켰던 것과 달리, 측근의 도움 없이 기사환국을 단행했던 것이다. 이는 그동안 척신의 지원에 힘입어, 숙종이 안정화된 왕권을 확보하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를 통해 자신감을 얻은 숙종은 척신에게 의지하던 정치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숙종 후반기에는 독자적인 기반을 구축하여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였다. 이것이 바로 18세기의 강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탕평 정치의 시대를 열 수 있게 한 밑바탕이 되었다.

      • 강접합 거동을 위한 T-stub 기둥-보 접합부의 해석

        윤혜민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건축물의 초고층화와 거대화에 따라 강구조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구조물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인 접합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둥-보 접합부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 T-stub를 이용한 접합은 반강접합(semi-rigid)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고력볼트를 이용하므로 용접접합에 비하여 시공 및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내력과 변형 능력이 우수하여 강접합(rigid)에 가까운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반해 실무에서는 반강접합에 대한 설계 치침이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주로 사용하지 않아 T-stub의 사용이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석을 통해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강접합 거동을 확인 하고 T-stub 접합부의 강접합 거동을 위한 영향인자의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앞서 해석적용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T-stub 접합부의 강접합 거을 위한 초기강성 영향인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영향인자가 적용된 T-stub 기둥-보 접합부를 구성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해석을 통하여 T-stub 플랜지의 볼트 간격과 ,T-stub 플랜지의 두께가 강접합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보의 My와 T-stub 플랜지 두께의 관계를 통해 강접합 거동이 가능한 T-stub의 플랜지 두께 변화의 경향을 예측할 수 있다.

      • 언어이전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양육자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놀이상황 관찰과 양육자 의견에 근거하여

        윤혜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paper reviews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fosterer with children who have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fiv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1 and 14, and who show the development at prelinguistic level, belonging to an expressive language of less than 12 months as a result of the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 (SELSI). For the above subject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through play situation evalu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re there any changes in the play situation between the child and the fostere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what are the subjective opinions of the fosterers abou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s.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t was implemented for 50 minutes in one sessio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9 times. At pre-post play situation evaluation parent and child executed free play for 50 minutes and compared-analyzed the frequency by number of times through communication log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ve themes were derived: ‘communication situation with children and families', 'difficulties felt during program progress', 'what was gained through the program', 'change of children through program' and 'change of family through program'. First, child with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and their family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Parents have many effects on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f you can acquire linguistic skills through interaction with a child, but do not understand the child's communication function, you will b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express by limiting the child's communication. However by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expressions that child represents, they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become a family member that they make together. Second, parent education program with children who have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should be implemented for family members as well as main fosterer. Children spend the most time with their families, and home is the most natural environment, so they can acquire communication skill in various situations and improve the skill. Also, change of the family environment influence direct and diverse impacts to children. Through the education execute to family member, children can be provided proper linguistic stimulus and environment. The method of presenting and educating communication technology methods conducted in the preceding study was effective in this study and showed high parental satisfaction. But unlike previous research, there were lots of suggestions that the education was needed not only for parenting but also for all family member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 who have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and their family had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 Parent have many effects on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on. When language skills can be acquired through interaction with children, but the child's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understood, the child's communication is restricted and opportunities for expression are deprived. By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expression that children represent, they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be a family that they make together. Secondly, the paren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main fosterer and also family member.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with families and home is the most natural environment to acquire and improve communication skill in various situation. The change of the family environment also has direct and diverse effects on children. The education that executes to family member can provide proper linguistic stimulation and environment. Therefore,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for families with children who have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and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and listen to more diverse candidat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participation of family members along with the need for education for fosterer in improvi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Key Word : parent education programs, prelinguistic communication dis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이전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양육자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언어이전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1세에서 14세사이, 영·유아발달검사(SELSI)결과 표현언어 12개월 미만에 속한 언어이전기 수준의 발달을 보이는 아동 5명이다. 위의 대상자들에게 놀이상황평가을 통해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심층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과 양육자 간 놀이상황에 변화가 있었는가,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그 효과에 대한 양육자의 주관적 의견은 어떠한가이다. 언어이전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양육자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한 회기에 50분, 주 2회, 총 9회에 결쳐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놀이평가에서 아동과 어머니는 50분간 자유놀이를 하였고, 의사소통 기록지(화행기록지)를 통하여 빈도를 횟수화 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동과 가족들과의 의사소통 상황’, ‘프로그램 진행 시 느낀 어려움’, ‘프로그램 진행하며 얻은 것’,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변화’, ‘프로그램을 통한 가족의 변화’의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언어이전기수준의 의사소통장애 아동과 그 가족들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모는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지만 아동의 의사소통기능을 이해하지 못할 땐, 아동의 의사소통을 제한하여 표현 기회를 박탈하게 된다. 아동이 나타내는 의사소통표현을 이해함으로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가족구성원으로서 함께 만들어가는 가정이 된다. 둘째, 언어이전기 의사소통장애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주양육자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해야 한다. 아동은 가족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가정은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이기에 다양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족의 변화는 아동에게 직접적이고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족 구성원들에게 실시하는 교육을 통하여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적 자극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선행연구에서 실시되었던 의사소통기술 방법을 제시하고 교육하였던 방법이 본 연구에서도 효과적 이였으며 보호자 만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와 다르게 양육자뿐만 아닌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이전기수준의 의사소통장애 아동과 그 가족들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모는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지만 아동의 의사소통기능을 이해하지 못할 땐, 아동의 의사소통을 제한하여 표현 기회를 박탈하게 된다. 아동이 나타내는 의사소통표현을 이해함으로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가족구성원으로서 함께 만들어가는 가정이 된다. 둘째, 언어이전기 의사소통장애아동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주양육자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해야 한다. 아동은 가족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가정은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이기에 다양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족의 변화는 아동에게 직접적이고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족 구성원들에게 실시하는 교육을 통하여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적 자극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언어이전기수준의 의사소통장애아동들을 대상으로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대상자 수를 늘려 좀 더 다양한 대상자들의 의견을 들어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의 의사소통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양육자뿐에게 실시하는 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가족 구성원들의 교육 참여도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