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색인어의 추출방법에 따른 문서간 유사도 측정

        윤수연 성신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can easily resolve problems through the mechanism 'Internet' and also can make things easier using various computer technologies. However, at the same time, people make a big deal social issue so called plagiarism by the fact that they can get thousands of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fter a few minutes searching. Beacuse of this, assessors, and professors, are struggling for articulate evaluation of their students' work.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s, people use numerous index search and a Methodology for Semantic Similarity system through similarity measurement.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the what kind of thing accuracy is high from in the word which is a indexed extraction method of existing and word pair, also the word pair modification which is extracted what kind of effect should have gone mad to an accuracy, the hazard which it examines presents a new indexed extraction method from word pair indexed extraction method and test it analyzed the accuracy which also the beginning of history follows in measurement calculation. This test it leads and the indexed extraction method where the accuracy is high and the reliability against an evaluation volition evaluation result and it searches Professor inside to sleep it raises it does. The hazard 4 branch indexed extraction method which will reach (word index, the personage group, the size sliding window the word pair which puts on master drawing right (the size 2-9), variable sliding window the word pair which puts on master drawing right) the beginning of history it did a measurement test with smallest weight calculation. The testing method divided impression of a book 10 thing of 10 page quantity which from the actual teachers' college unit hands over with subject with 1 page and create the data of 100 things which in the object which thing accuracy probably is higher from in word and word pair indexed extraction method, it examined, the indexed word meaning modification of word pair what kind of effect should have gone mad to an accuracy, against it it tested. The accuracy where word pair indexed extraction method is higher the result word than it seems, the indexed word meaning modification which word pair is extracted gives an effect to accuracy and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fact that the accuracy changes it was. 잘 구축된 인터넷망과 컴퓨터기술 습득을 통해 누구나가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수많은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자료를 전부 혹은 일부를 복사하거나 표절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교수·평가자 입장에서 보자면 과제평가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인추출방법과 유사도측정계산식에 따른 문서간 유사도 측정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색인어추출방법인 단어와 단어쌍 중에서 어떤 것이 정확도가 높으며, 또한 단어쌍 색인어추출방법에서는 추출된 단어쌍 개수가 정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새로운 색인추출방법을 제시하여 유사도 측정 계산식에 따른 정확도를 실험·분석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정확도가 높은 색인추출방법을 찾아내어 교수·평가자의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4가지 색인추출방법(단어색인, 명사그룹, 크기별 슬라이딩윈도우를 씌운 단어쌍(크기2-9), 가변적 슬라이딩 윈도우를 씌운 단어쌍)을 최소가중치계산식으로 유사도 측정 실험을 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제 교육대학원에서 과제로 내준 10페이지 분량의 독후감 10개를 1페이지로 분할하여 생성한 100개의 문서와 인터넷을 통해 검색한 독후감 400개 총 500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단어와 단어쌍 색인어추출방법 중에서 어느 것이 정확도가 더 높은지 알아보고, 단어쌍의 색인어의 개수가 정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단어보다는 단어쌍 색인어추출방법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단어쌍의 추출된 색인어의 개수가 정확도에 영향을 주어 정확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협동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의 관광통역 안내사 양성을 중심으로

        윤수연 경희사이버대학교,문화창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전문대학의 한국어 관광통역 안내사 양성을 위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교재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간의 교류가 증가하는 가운데 관광은 양국 간 우호적인 교류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한국어 관광통역 안내사의 수나 수준이 한국인 관광 시장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의 관광 산업에 있어서 한국인 관광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자질을 갖춘 한국어 관광통역 인재를 양성하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하다.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신장시키기 위한 언어 교육과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 교육이 함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그간 중국에서 이루어진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은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보다 전문지식 습득에 더 치중되어 있고 교수 방법 측면에서는 교사 중심의 전통적 교수가 이루어져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목표 언어를 가지고 의사소통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통해 여러 사람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하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하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소집단 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최대화하여 인지적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특징인 협동학습은 언어 학습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 협동학습은 구성원들과 협동하며 과업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경험은 관광통역 안내사로서의 직무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 관련 지식 습득의 두 가지 측면이 균형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사람들과 유의미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물론 직무 관련 지식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대해 밝히고 관광통역 한국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 방향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과 협동학습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관광통역 한국어의 개념과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관광통역 한국어는 관광통역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이며, 학습 대상과 학습 목적에 따라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양성 목적, 교육 수료 후 현장 투입을 위한 훈련 목적, 끝으로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관광통역 안내사들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세분하였다. 다음으로 관광통역 안내사의 역할과 관광통역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에 협동학습을 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협동학습의 개념과 수업 구성 요소를 파악하여 협동학습 수업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 전문대학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중국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이 한국어 전공자뿐만 아니라 관광 관련 전공에도 개설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도 다양한 취업 진로를 목표를 여러 분야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이 병행되고 있어 중국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이 질적으로는 아직 많은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현지 관광통역 한국어 교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 및 상황, 문법 및 표현, 학습 활동 등을 분석하여 중국의 교수-학습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의 수업 원리와 수업 절차 및 수업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고 그 중 시뮬레이션 모형, SDM 모형, Co-op Co-op 모형을 활용하여 5장에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Plans for Cooperative Learning Based Korean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 of Tourism interpretation guide in China- Yoon, Soo Yeon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to bring up Korean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at community colleges in China, analyze the related teaching materials, and propose plans for cooperative learning-based, learner-centric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have been on the rise. Touris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friendly exchanges between them. It is, however, the reality that Korean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have not satisfied the Korean tourism market in terms of number and level. It is essential that Korean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who are dealing with Korean people in many of their works, should have the ability of communicating vocally and receive education on job-related expertise to increase the quality of job performance. The ol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China, however, has exhibited shortcoming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s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since it has focused more on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tha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and provided traditional teacher-centric lessons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premise that two asp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job-related knowledge should develop in balance i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design a learner-centric teaching and learning plan. It also aimed to propose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o promote the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and teach job-related knowledge effectively by making use of cooperative learning to allow for significant social interactions with various individual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s: Chapter 1 set the objectives,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nd covered the research directions, subjects, and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Chapter 2 examined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heories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lso the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Korean education.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s needed to perform the duties of tourism interpretation and further divided into the goal of bringing up Korean tourism interpreters according to the objects and purposes of study, the goal of training to dispatch graduates to the field after the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he goal of reeducation for incumbent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The chapter also presented educa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the roles of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s well as discuss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needed to design a cooperative learning-based lesso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omponents of a lesson to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t community colleges in China and found that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was currently provided for Korean majors and tourism-related majors. Korean education for Korean education majors covered Korean education targeting various occupations to promote employments and careers, which indicates that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China still needs a lot of improvement in terms of quality. The chapter also analyze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terms of topic and situation, grammar and expression, and learning activity, thus exami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of China even indirectly. Based on the discussions of Chapters 2 and 3, Chapter 4 examined the lesson principles, procedures, and compos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making us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selected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cable to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esults. By using the simulation model, SDM model, and Co-op Co-op model, Chapter 5 designed a specific educational plan and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lan. The study implemented cooperative learning-based, learner-centric lessons i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China, which had been teacher-centric, and proposed specific educational plans an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lans.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follow-up study o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nd be followed by new ongoing researches o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 NCS 기반 교육시스템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

        윤수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기존의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이론 중심이거나 시대를 반영하지 못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일과 학습을 병행함으로써 현장 즉시 적용이 가능한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자 하는 NCS 교육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와 이를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가 NCS 교육과정에만 집중되어 있고 교육시스템과 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다. 사실 교육도 하나의 서비스라는 관점에서 보면 교육과정도 중요하지만, 교육의 품질, 피교육생의 입장에서의 효과(만족도)가 고려되어야 하고, 그 교육과정 또한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기존의 NCS 교육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만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는 결과만으로는 NCS 교육서비스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NCS 교육시스템이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교육만족도와 피교육자들이 기대한 가치를 충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향후 동일한 과정과 서비스에 대한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반영가치인 NCS 교육서비스의 품질을 원인변수로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NCS 교육서비스 품질요인이 교육에 사용한 교육비에 비례한 피교육생의 지각된 가치와 교육환경 및 내용에 대한 품질 전반에 대한 실직적인 교육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추천의도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일반적인 정보시스템품질의 SERVQUAL을 가지고 NCS 교육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품질요인을 동일하게 적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일반적인 정보시스템의 내용성을 측정할 때 그 도메인에 따라서 측정항목의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NCS 교육서비스 사용자들에게 표면적 가치(지각된 가치)를 실질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선행요인을 규명한 결과, NCS 교육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산업현장의 직무능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냈다. 또한, NCS 교육과정 설계 시 각 산업에 종사하는 실무자들도 참여하도록 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능력을 중심으로 한 역량 로드맵을 제시하고 이를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기업을 NCS 교육과정에 참여시킴으로써 현장에서 필요한 내용으로 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결국, NCS 교육과정은 재학생의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협업하는 각 기관의 입장에서 그리고 기업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The awareness of lacking cultivation of talented people who could be applied on fields immediately is increasing because existing curriculums are focusing only theories or consist of contents which could not reflect times. Therefore, there was an attempt to study about curriculums based on NCS educational system which is trying to reorganization into applicable curriculums immediately in the fields by combining working and study. However, current studies have focused on NCS curriculums and studies about educational systems and environment did not have enough. When educations are considered as servic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effect(satisfaction) by trainee would be considered and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actual effect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studies on existing NCS educational system have focused on effects of education performance by curriculum development.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have a limitation for improving NCS education service system or to apply users' demand concretely. This study is aiming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same course and service through an empirical study about whether the expected value of trainee and education satisfaction could be satisfied in the asp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fered by NCS educational system or not. The quality of NCS education service which is substantive and concrete reflected value is chosen as a reason variable instead of focusing on curriculum development. The perceived value of trainee by educational spending and substantive educational satisfaction into overall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tent were chosen as a parameter to explain the process that the quality of NCS education service arrives at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However, SERVQUAL which is a gener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would not be applied on quality factors targeting NCS educational service equally because when the contents of general information system are measured, the content of measurement items is changed depending on the domai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precedence factors to improve apparent value(perceived value) for NCS educational service users, the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work ability in the substantive industrial fields should be needed to settle NCS educational system successfully. Moreover, when establishing NCS curriculum, invited workers who are in each industry could suggest a capability road map to meet work ability in the field and students would choose what they want. In addition, the course should be designed to contain industry demands with participating companies in NCS curriculum. Finally, NCS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consider the standpoints of students, cooperating organizations, and companies.

      • 천식과 구강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윤수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천식과 구강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현대의 평균 수명 증가에 따라 ‘얼마나 오래 살았는가’보다 ‘얼마나 건강하게 오래 살았는가’를 의미하는 건강수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따라서 만성질환과 구강건강 및 정신건강의 중요 성 또한 더욱 커지고 있다. 만성질환 중 하나인 천식의 최근 국내 유병률은 2018년 3.2%로 2005년(2-3%)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을 꾸준 히 유지하고 있다. 유병률 감소를 위한 예방 및 지속적 관리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동안 국,내외의 천식과 구강건강에 관련된 다양 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독립적인 국내연구 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국외의 연구자료는 서로 다른 사회 적, 인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대로 국내에 적용하는 것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여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7기 자료를 이용하여 천식과 구강건강 및 정신건강의 상관 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천 식 환자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와 예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병관리청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 016-2018)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구강검사가 완료 된 총 16.489명 의 참여자가 선정되었고, 본 연구와 관련된 조사항목에 모두 응답한 의사의 천식 진단이 있는 19세 이상 성인을 분류하여 12,639명을 최 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로 분 석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일반적특성에서는 60세이상 에서 천식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학력이 초등학교 이하, 대학교 이상인 경우와(p<0.003) 소득수준이 낮을 경우 천식의 발생 확률이 증가하였다.(p<0.001) 또한, 월간음주 1회이상에서 천식진단 군이 더 높게 나타났다.(p<0.023) 또한 일반인에 비해 말하기 불편과 (OR=1.37) 저작불편을(OR=1.29) 겪는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 고, 치통경험(OR=0.73)이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 건강을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와(OR=1.73) 우울증이나(OR= 0.45), 스트레스를 많이 겪고(OR=0.66), 활동에도 제한(OR=2.38)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혈구(OR=1.10), 고감도C단백반응 검사(OR=1.06)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처럼 천식은 구강건강과 정신건강, 나아가 구강관리행태에도 관련이 있다 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식의 치료와 함께 환자에게 체계적 인 구강관리교육과 정기적인 치과내원의 중요성을 인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또한 천식은 정신건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 로 이러한 심리적인 부분을 고려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집단 따돌림 피해 경험과 자기 및 타인의 정서예측 : 자의식 정서의 매개효과

        윤수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집단 따돌림 피해 경험이 자신과 타인의 미래 정서를 예측하는 정서예측과 공감예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 수치심과 죄책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전국의 18세 이상 29세 이하의 성인, 총 357 명을 대상으로 집단 따돌림 경험척도, 개인 느낌 설문지(PFQ-2)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사회적 상황을 묘사한 비네트를 사용하여 정서예측으로 자신의 수치심과 죄책감을 측정하였고, 공감예측으로 타인의 분노와 혐오를 측정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하였고,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이 정서예측과 공감예측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죄책감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정서예측은 죄책감이, 공감예측은 수치심이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이 나타났고, 정서예측과 공감예측에 대해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은 수치심과 죄책감을 완전이중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예측할 시 영향을 주는 변인들간의 경로를 탐색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on affective forecasting and empathy forecasting which is predictive of future emotions of oneself and others and examine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hame and guil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7 adults aged 18 to 29 years old around the country. Questionnaires included a bullying experience scale and the Personal Feelings Questionnaire-2 (PFQ-2). Through the use of a vignette that depicted social situations, guilt and shame of the self were measured by affective forecasting and the anger and disgust of others were measured by empathy forecast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examine whether shame and guil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affective forecasting, as well as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empathy forecasting.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uil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ffective forecasting and sham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mpathy forecasting.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on affective forecasting and empathy forecasting was found to be fully mediated by both shame and guilt. This study explored the path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the future self and others' emotions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 브랜드 아이덴티티 각인을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

        윤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lifestyle changes combined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have brought huge changes to the consumption culture and values of modern people, and these changes tended to make the quality and service levels among different products similar to each other.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consumers want to have first-hand experiences with brands and products, and be able to assess the perceived values of the products to be obtained. Corporations have thus placed importance on the various ways that they communicate with consumers by promoting brand and product experiences, and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has emerged as a key element in this strategy. A brand experience space offers contact points between corporations and their customers. What consumers experience in such a space engraves a brand identity in their consciousness and exerts huge influence on their positive images of a brand. A brand experience space is not simply for product sales. It functions as a social space in which corporations connect their brands to consumers' lifestyles and values, express their brand identity, and ensure that their experiences are shared. Such a space therefore requires a careful and strategic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brand space that will increase brand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experiential elements into a space and provide consumers with more differentiating values, thus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old brand spaces as the consumer paradigm changes.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Chapter 1 examines the backgrounds, goals, an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of the study. Chapter 2 explores the theoretical basis for brand communication and brand experience space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 brand experience space. Chapter 3 analyzes successful cases of brand experience spaces at home and abroad with the cas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findings of Chapter 2, and identifies the expressive elements and organizational methods of a brand experience space. They are then used as a part of the basic framework in the development of the study's space design. Chapter 4 develops a design based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a brand experience space identified in the previous chapters. The design features identified in the case analysis are then applied to propose a design for a brand experience space according to the changing consumer paradigm. Chapter 5 presents the study conclusions, and makes proposal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case analysis results and design development. It examine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proposed desig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design of a brand experience space according to the changing consumer paradigm. Finally, it mak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rand experience space to imprint brand identity was designe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based on brand identity. Experientiality, a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an brand experience space, was expressed through the space element of understanding, the space element of worship and the space element of desire, the three elements overlapping and integrating, forming a sequence of spaces repeatedly. Consumer engagement space had the flexibility of space to turn space into a diverse function and was leading to a creativ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corporations convey a positive brand image to consumers and brand identity is imprinted on consumers through a brand experience space, proposes a strategy of reinforcing bonding with them through brand experiences in such a space, and presents a creative communication space between their brands and consumers, thus reinforcing the image of and loyalty to their corporate brands. 현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기술의 진보에 따라 현대인의 소비문화와 가치관은 크게 변화되고 있으며, 상품의 품질과 서비스의 수준은 유사해졌다. 최근 소비자들은 상품의 인식과 소비에 있어 브랜드와 상품을 직접 체험하고 얻을 수 있는 가치를 판단하고자 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기업은 소비자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와 상품을 어떻게 체험하게 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체험은 공간 디자인의 중요한 전략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브랜드 체험 공간은 기업과 고객이 접하는 접점이며, 그 공간에서의 체험은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키고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갖도록 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 아닌 브랜드 체험공간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를 브랜드와 연결시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체험을 공유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공간으로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기존의 브랜드 공간과는 차별화될 수 있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킬 수 있는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을 파악하고, 공간에 체험적 요소를 도입하여 브랜드 경쟁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소비자에게는 보다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브랜드 공간 디자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논문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내용을 서술한다. 제 2 장에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체험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ㅔ브랜드 체험 공간 구성 요소를 도출한다. 제 3 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한 사례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국내외 성공한 브랜드 체험 공간 사례분석을 통하여 브랜드 체험 공간의 표현 요소와 공간의 구성 방식을 파악하고 본 연구의 공간 디자인 전개의 기본 틀로 사용한다. 제 4 장에서는 앞선 연구를 통해 도출한 브랜드 체험 공간 표현특성과 표현요소를 기본 근거로 디자인을 전개를 한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디자인 특징들을 공간에 적용하여 소비자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을 제안한다.
 제 5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 및 사례분석 및 디자인 전개를 통해 결론 및 제언을 내리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하기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 디자인을 바탕으로 적용안의 기대효과와 연구의 의의를 알아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하기 위한 브랜드 체험 공간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축으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소비자가 공간 전체를 하나의 컨셉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먼저 상징성은 브랜드 로고나 심볼의 직접적 표현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간접적 표현을 통해 구현되고 있었다. 상징성은 내부와 외부가 브랜드 컨셉으로 연계되어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시키고 있었다. 체험 공간 표현 특성인 체험성은 이해의 공간 요소, 경탄의 공간 요소, 욕망의 공간 요소를 통해 표현되었는데, 세 가지 요소는 중첩되고 통합되면서 반복적으로 공간의 시퀀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 참여 공간은 공간이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는 공간의 유연성을 가지며, 소비자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창조적 소통 공간이 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각인하기 위해 오늘날 브랜드 체험 공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줄 수 있고, 공간에서 브랜드 체험을 통해 소비자와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여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 제고와 충성도를 강화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 인터넷 게임중독 및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게임특성, 게임이용동기,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윤수연 아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게임중독과 게임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게임중독과 게임몰입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게임중독과 게임몰입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중독과 게임몰입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게임중독의 경우 성별과 게임이용시간, 심리적 변인 중 우울과 자기통제력, 공격성, 게임이용동기 중에는 현실도피동기와 공격동기, 게임의 특성 중에는 조작용이성이 유의미한 예언변인이었다. 반면, 게임몰입의 경우 성별과 게임이용시간, 심리적 변인 중에는 우울과 공격성, 게임이용동기 중 도전성취동기와 교우동기, 게임의 특성 중에는 청각적 생동감과 게임의 줄거리 구성이 유의미한 예언변인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게임중독과 게임몰입 모두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의 게임중독과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초등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윤수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 시행된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해 초등 학습자들과 교사의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과 개선 및 요구 사항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온라인 영어수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며 겪은 개선 의견을 정리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영어수업에 대비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습자의 온라인 영어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학습자와 교사의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소재 2개 초등학교의 3∼6학년 712명과 온라인으로 영어 교과를 지도 중인 교사 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해 평균 비교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검증을 위해 scheffe 검증을 실시했다. 서술형 응답은 핵심 단어를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작된 온라인 수업이지만 대면 수업과 비교했을 때 보통 이상의 수준의 수업이 이뤄진 것으로 판단된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 영향 요인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매체 요인에서 남학생의 만족도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만족도 영향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매체 요인과 관리적 요인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매체 요인의 경우 5, 6학년과 3, 4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관리적 요인의 경우 5, 6학년과 4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학생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만족도 영향 요인별로 살펴보면 매체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아 교사 역시 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불편함을 수업의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요인은 교수설계 요인으로 원활한 수업을 위해 교사가 다양한 조력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온라인 영어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리적 요인과 학습자료 요인이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 및 수업 참여에 대한 관리가 철저할수록, 학습자료가 다양하고 흥미로울수록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영어수업의 개선 및 요구 사항에 대해 매체 요인과 교수설계 요인에 대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다. 주요 요구 사항은 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안정화와 학생 간 상호작용 기회 확대였다. 교사들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수업 플랫폼 운영의 안정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학습자들이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육용 단일 플랫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를 고려한 수업 자료 및 동기 유발로 자기주도성 신장이 필요하다. 학습자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요인은 학습자 요인으로 그중에서도 참여도와 집중도 항목에서 낮은 만족감을 보였기 때문이다. 둘째, 원활한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회 확대를 위해 온라인 수업 플랫폼을 개선해야 한다. 특히 단일 플랫폼을 구축하여 학습자가 쉽게 온라인 수업에 참여 및 활동할 수 있게 하고, 수업 구성원 간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별 및 학년별 특성을 고려한 수업 계획이 필요하다. 성별 및 학년별 특성에 따른 디지털 경험과 정보통신 활용 능력이 수업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되며, 새로운 프로그램을 활용할 시 구체적인 사전 안내를 통해 학습자가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교사는 온라인 영어수업과 관련된 모든 일정 및 사항을 학습자에게 구체적으로 안내해야 한다. 관리적 요인은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와 가장 관련성이 높았던 요인으로, 학습 과정 및 평가 일정에 대해 세부적으로 공유하고 채팅 및 메시지 외에도 교사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여 학습자들의 불안감과 고립감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and teachers with online English classes conducted during COVID-19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future online English classes by analyzing the relevance, improvement, and requirement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learners and teachers and analyzed them statiscally. We intend to prepare for English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by summarizing the improvement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online classes. For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712 learners in the 3rd to 6th grades in Seoul and 37 teachers teaching English subjects online, average compara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post-verification analysis continued. Descriptive respons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centering on key 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online English class at a relatively high level. It is an online class that suddenly started due to COVID-19, but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it is judged that the class was above averag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the average satisfac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media fact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 differences were found in media and management factors. In the case of media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5th, 6th, 3rd, and 4th graders, and in the case of management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5th, 6th and 4th graders. On the other hand, teachers' satisfaction with online English classes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students. Looking at each factor influencing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a factor was the lowest, so teachers also cited the inconvenience of the online class platform as an obstacle to class. The factor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is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and it seems that teachers are providing various assistance for smooth class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online English classes, the management factors and the learning material factor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more thorough the learner's management of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the more diverse and interesting learning materials ar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online English classes. Third, learner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to media and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to the improvement and requirements of online English classes. The main requirements were stabilization of online class platforms and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Teachers, like students, responded that stabiliz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lass platform should be prioritized, and mentioned the need for a single educational platform that learners can skillfully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lf-direction by inducing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otivation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factor that had the lowest learner satisfaction was the learner's factor, especially because they showed low satisfaction in terms of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on. Second, the online class platform should be improved to expand smooth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opportuni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build a single platform so that learners can easily participate in and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nd support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class member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class plan that considers gender and grade-specific characteristics. Digital experience and ability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characteristics should not affect classes, and when using new programs, learners should secure time to handle them skillfully through specific prior guidance. Fourth, teachers should specifically guide learners on all schedules and matters related to online English classes. The management factor was the most related factor to learners' class satisfaction,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lieve learners' anxiety and isolation by sha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schedule in detail and providing a window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eachers in addition to chatting and messages.

      • 국어 부정수 표현 연구 :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윤수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부정수 표현(不定數 表現)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수량 표현과 부정수 표현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부정수 표현’이라는 용어를 명확히 하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부정수 표현의 유형을 구성 방식과 의미 범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구성 방식을 기준으로 부정수 표현을 크게 3가지, 세부적으로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대분류에서는 한 단어로 된 부정수 표현, 부정 표현이 선행하는 부정수 표현, 부정 표현이 후행하는 부정수 표현으로 나누었다. 한 단어로 된 부정수 표현은 다시 수사 및 수 관형사로만 구성된 유형, 다른 품사와 함께 단어를 이루는 유형으로 분류했다. 여기에는 ‘한둘, 몇’, ‘-남은, -쯤’ 등이 속한다. 부정 표현이 선행하는 부정수 표현은 관형사가 수량사(구)를 수식하는 유형, 명사가 수량사(구)를 수식하는 유형, 부사가 수량사(구)를 수식하는 유형으로 세밀히 분류했다. 여기에는 ‘약, 한’, ‘최소, 최하’, ‘거의, 대략’ 등이 포함되었다. 부정 표현이 후행하는 부정수 표현은 부정의 의미가 명사에 담긴 유형, 부정의 의미가 명사구에 담긴 유형, 부정의 의미가 동사에 담긴 유형으로 다시 나뉜다. 여기에는 ‘이상, 내외’, ‘일부, 대부분’, ‘넘다, 되다’ 등이 속한다. 의미 범위를 기준으로는 크게 3가지, 세부적으로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기준점의 수와 종류에 따라 범위 한정 부정수 표현, 단측 분포 부정수 표현, 양측 분포 부정수 표현으로 나누었다. 범위 한정 부정수 표현은 다시 참값이 균등하게 분포하는 유형과 참값이 불균등하게 분포하는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한둘, 수-’, ‘-남은, 남짓’ 등이 속한다. 단측 분포 부정수 표현은 기준점을 포함하는 유형, 기준점을 포함하지 않는 유형, 기준점에 수렴하는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최소, 이상’, ‘초과, 웃돌다’, ‘거의, 일부’ 등이 포함되었다. 양측 분포 부정수 표현은 어림수를 제시하는 유형과 교차점을 제시하는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에는 ‘대략, 정도’, ‘내외, 전후’ 등이 속한다. 마지막으로 구성 방식과 의미 범위에 따라 분류한 내용을 표로 정리하여 그 분포를 살피고, 부정수 표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및 교육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Korean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This paper clarified the academic terminology,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based on reviews of prior research about quantity expression and indefinite quantity expression. On that basis, determine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bout indefinite quantity expression. It was composition method and range of meaning. Based on the composition method,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main types and eight detail types. The main 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in one word,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preceded by indefinite expressions,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followed by indefinite expressions.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in one word were classified into a type consisting only of sum numerals or quantifying determiners, and a type consisting numerals and other word class. '한둘, 몇', '-남은, -쯤', etc belongs here.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preceded by indefinite expressions was classified into a type of modifying quantifier phrase by determiners, a type of modifying quantifier phrase by noun, and a type of modifying quantifier phrase by adverb. '약, 한', '최소, 최하', '거의, 대략', etc belongs here.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followed by indefinite expressions was classified into a type in which the meaning of indfinite is contained in nouns, a type in which the meaning of indfinite is contained in noun phrases, and a type in which the meaning of indfinite is contained in verbs. '이상, 내외', '일부, 대부분', '넘다, 되다', etc belongs here. Based on range of meaning,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main types and seven detail types. According to number and type of reference point, the main 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range-limited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one-sided distribution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two-sided distribution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Range-limited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was again classified into type in which true values were evenly distributed, and type in which true values were unevenly distributed. '한둘, 수-', '-남은, 남짓', etc belongs here. one-sided distribution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a type including a reference point, a type not including a reference point, and a type converging on the reference point. '최소, 이상', '초과, 웃돌다', '거의, 일부', etc belongs here. Two-sided distribution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was classified into a type that presents an approximate number and a type that presents an intersection. '대략, 정도', '내외, 전후', etc belongs here. Finally,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method and the range of meaning were summarized in a table and distribution was analyzed. After that, it was suggested that additional research and school curriculum on indefinite quantifier expression were needed.

      • 말라리아 백신 소재의 면역학적 유용성 평가 방법 연구

        윤수연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Merozoite surface protein 1 (MSP1), a well-known target antigen for protective immune responses against asexual blood-stage malaria, yet effective vaccines constructed on MSP1 N terminal have not been developed so far compared to the well-known MSP1 C terminal region. Using an in silico approach, we predicted the immunogenicity of the N-terminal (462 aa) region of MSP1 from Plasmodium yoelii (PyMSP1). Recombinant protein was generated using pET21b(+) and purified for further use. In an in vivo study, humoral responses were determined, and after nine weeks, immunized mice were challenged with 104 parasites. At day 9, PyMSP1 N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arasitemia and a 20% weight difference in Plasmodium yoelii - infected mice and PyMSP1 N immunized mice with 100% survival. In addition, we observed IgG1 and IgG2a responses to the antigen in the serum of mice immunized with PyMSP1 N, and determined that this antigen activates CD4+ T cell. In vitro, a 40% boost in the CD86c+ population was observed in PyMSP1 N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confirming antigen stimulation by FACS. Cytokine ELISA was performed by the co-culture of stimulated DCs and 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yMSP1 N activates CD4+ T cells. Conclusively, the immunological significance of PyMSP1 N terminal region suggest that the PyMSP1 N terminal region exhibited Th1 and Th2 type immune responses and has a potential as vaccine material. Merozoite surface protein 1 (MSP1)은 무성 혈액 단계 말라리아에 대한 보호 면역 반응을 위한 표적 항원으로 확인되었지만 잘 알려진 MSP1 C 말단 영역에 비해 MSP1 N 말단을 기반으로 하는 효과적인 백신은 지금까지 개발되지 않았다. In silico 접근법을 사용하여 우리는 Plasmodium yoelii 에서 MSP1 (PyMSP1)의 N 말단 (462 aa) 영역의 면역원성을 예측하였다. pET21b(+)를 사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만들고 추가 사용을 위해 정제하였다. 생체내 연구에서 체액성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면역 시작 9 주 후 면역화된 쥐에 104 개의 기생충으로 감염시켰다. 9 일째에 PyMSP1 N 은 Plasmodium yoeli 감염 마우스와 PyMSP1 N 면역화된 마우스에서 기생충혈증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체중 차이가 20% 증가하여 100%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PyMSP1 N 으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혈청에서 항원에 대한 IgG1 및 IgG2a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험관 내에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PyMSP1 N 에서 CD86c+ 집단의 40%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FACS 를 통해 항원 자극을 확인시켜 줍니다. Cytokine ELISA 는 항원으로 인해 자극된 DC 와 T 세포의 공동 배양 후 수행되었다. 결과는 PyMSP1 N 이 CD4+ T 세포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결론적으로, PyMSP1 N 말단 영역의 면역학적 중요성은 PyMSP1 N 말단 영역이 CD4+ T cell 의 Th1 및 Th2 유형의 면역 반응을 나타내며 백신 물질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